KR20090063677A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3677A KR20090063677A KR1020070131127A KR20070131127A KR20090063677A KR 20090063677 A KR20090063677 A KR 20090063677A KR 1020070131127 A KR1020070131127 A KR 1020070131127A KR 20070131127 A KR20070131127 A KR 20070131127A KR 20090063677 A KR20090063677 A KR 200900636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circulation pipe
- drying apparatus
- pipe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270 Allium sibir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mertan pack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3 nox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with heat exchange taking place in the fluidised bed, e.g. combined direct and indirect heat excha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단열성의 벽체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가지며 도어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 내에 위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서 건조되는 원통형 수납통, 수납장치의 내부공간 기류를 흡인하여 가열한 후 다시 내부공간으로 되돌려보내며 일부의 기류는 탈취장치로 보내는 열풍순환장치, 열풍순환장치로부터 나오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및 상기 장치들을 에워싸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열풍순환장치,탈취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특히 음식물 쓰레기 건조능력이 향상되고 배출기류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가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7019호 및 대한민국 공개 제2006-0004601호에 본 출원인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2)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상부 도어(41)와 하부 도어(61)가 구비되고 ,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수납통(70)이 위치되는 수납장치(20)를 포함한다. 수납장치(20)의 내부에는 수납통(70)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 기류가 유동하는 내부공간(21)이 형성된다. 내부공간은 단열성의 벽체부(35,3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수납장치(20)의 상부에는 열풍순환장치(75)가 위치된다. 열풍순환장치(75)는 순환배관(80)을 포함한다. 순환배관(80)은 제1 순환배관(84)과 제2 순환배관(82)으 로 구성되며, 이들은 일측이 각각 수납통(70) 상부의 내부공간(21)으로 연결된다. 또한 내부공간(21)의 일측은 배출관(83)을 경유하여 제2 순환배관(82)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납장치(20) 상부벽에는 열풍순환장치(75)와의 연결을 위해 적당한 위치에 세개의 구멍(24,26,28) - 각각 제1 구멍, 제2 구멍, 제3 구멍 - 이 형성된다. 순환배관(80)의 일부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바이패스관 형식으로 배기관(87)이 연결되어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순환배관(82)에는 배출관(83)과 연결되는 부분에 모터(92)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91)이 위치되고, 송풍팬(91)과 내부 공간부(20) 사이의 제2 순환배관에는 히터(100)가 위치된다. 제1 순환배관(84)에는 보조 송풍팬(95)이 위치된다. 또한 수납통(70) 하부에는 열선(31)이 배열된 하부 히터(30)가 위치되어서 하부 히터의 열은 밑판(32)을 통해 수납통(70)으로 전열된다.
수납통(70)에는 고정홀더(72)에 의해 비닐봉투가 씌워져 고정되어서 음식물 쓰레기는 비닐봉투 내에 위치된다.
수납장치(20)와 열풍순환장치(75)를 둘러싸는 하우징(10)에는 동작 및 비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43)가 부착되어 있다. 수납통 상부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 관(45)이 위치되어서 상부도어(41)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가이드 관(45)에 의해 수납통(70)으로 안내된다. 장치(1)에는 적당한 위치에 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서 수납통 내부의 온도가 일정 범위에 있도록 제어된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하부 도어(61)를 통해 수납통(70)이 수납장치의 내부공간(21) 내에 위치되고, 상부도어(41)를 개방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가이드 관(45)을 통해 수납통(70)에 위치된다. 장치가 스위치(43)에 의해 작동모드로 되면, 하부 히터(30)가 작동하여 수납통에 위치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할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21)의 기류를 가열하며, 송풍팬(91)이 작동하여 내부공간(21)의 기류는 배출관(83)을 통해 내부공간(21)을 나와서 제2 순환배관(82)으로 유입된다. 제2 순환배관(82)으로 유입된 기류의 일부는 제1 순환배관(84)으로 유동하여 다시 내부공간(21)으로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히터(100) 방향으로 유동한다. 히터(100)는 순환배관의 기류를 가열하여 수납통(70) 내의 음식물 쓰레기 상부로 공급한다. 순환배관 내 기류의 일부는 배기관(87)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수납통(70) 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히터(100)에 의해 가열된 기류에 의해 상부가 건조되고 하부 히터(30)에 의해 그 하부가 가열 건조되며, 기류의 일부는 배기관(87)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악취가 장치(1)외로 배출된다. 수납통 내부의 온도는 센서에 의해 50 ~ 80℃ 범위로 제어된다.
장치(1)의 모든 작동부는 전원공급부(22)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수납장치(20)의 상부에는 독립적인 외부 공기흡입관(85)이 설치되어 있어서, 배기관(87)을 통해 순환배관(80)으로부터 배출된 기류에 해당하는 만큼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며, 이를 위해 장치(1)의 하우징 상부벽에 통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수납통(70)의 고정홀더(72)로부터 비닐봉투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전술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비닐봉투에 담긴 건조된 음식물을 손쉽게 배출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수납통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효과적으로 건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납통 중심부와 하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에는 악취가 포함되어 있어서, 건조장치를 실내에서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풍순환장치를 내부 공간부 상부에 설치시 각 순환배관을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번잡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외부로 순환배관의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에 효율적인 수납통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기류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간편하고 음식물 쓰레기 장차 내에 수납되며, 소음이 적은 열풍순환장치가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열성의 벽체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가지며 도어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 내에 위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서 건조되는 원통형 수납통, 수납장치의 내부공간 기류 를 흡인하여 가열한 후 다시 내부공간으로 되돌려보내며 일부의 기류는 탈취장치로 보내는 열풍순환장치, 열풍순환장치로부터 나오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및 상기 장치들을 에워싸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납통 하부에는 수납통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혼합시키기 위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날개가 부착되되, 교반날개 동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교반날개 동체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칼날부가 형성된다.
수납통 내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날개가 부착되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혼합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통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매우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교반날개에 홈을 형성시키는 경우, 덩어리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날개에 들러붙는 부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이 부위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부착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은 작은 크기로 다수 형성시키는 것보다 비교적 큰 크기로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서 동시에 교반날개의 어느 일측,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칼날부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칼날부위는 회전 중에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여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쪽파, 배추 잎사귀, 생선 뼈 같은 음식물 쓰레기 또는 죽과 같은 덩어리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기 위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여 잘게 부수는 것은 교반날개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간 단축에도 기여한다.
상기 탈취장치는 일측이 전면적으로 개방된 덮개 형태를 가지며 이 개방된 부분이 하우징을 향하도록 하여 하우징 내측벽에 부착되되, 열풍순환장치의 배출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부, 유입된 기류가 탈취 후 유출되는 유출구부, 및 유입구부와 유출구부 사이의 배출기류 유동관부로 구성된다. 유동관부, 바람직하게는 유출구부 근방의 유동관부에 탈취키트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탈취키트 부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탈취장치의 탈취키트 부착부에는 이 부착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탈취키트가 부착되되, 각 탈취키트는 실리카 겔층, 활성탄층 및 제올라이트층으로 구성된다.
실리카 겔은 주로 배출기류의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활성탄층은 기류의 악취를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제올라이트는 수분흡수 및 기류의 악취를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는 표면흡착력이 우수하며, 특히 활성탄은 악취성분 중에서 지방산류, 메르탄갑류, 페놀류, 탄화수소류 등의 성분을 주로 흡착시켜 제거하며 제올라이트는 암모니아, 벤젠,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악취성분을 흡착시켜 제거한다.
실리카 겔,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의 크기는 작을수록 흡착면에서 바람직하나 가격이 급증하므로, 흡착효율과 가격을 고려할 때 2~3mm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키트는 소모성으로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하면 새로운 탈취키트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탈취장치의 탈취장치 부착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하우징 부분에 탈 취키트를 상기 부착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탈취장치의 탈취키트는 하우징을 분해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탈취장치의 상기 탈취키트 상류측에 자외선 램프와 방열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양자 모두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탈취키트 상류측이란 배출기류의 유동면에서 탈취키트의 전방을 말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취키트와 탈취장치의 유입구부 사이의 유동관부를 말한다.
방열판은 배출기류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기능을 하며, 따라서 탈취키트의 실리카 겔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킨다.
자외선 램프는 배출기류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나, 주된 기능은 배출기류 중의 악취성분을 산화반응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램프는 활성라디칼을 생성하는 작용을 한다. 활성라디칼은 공기 또는 수분에 의해 반응성이 강한 화합물인 OH 라디칼(0H*)로 변화되고, OH*는 유해가스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환원되며 악취성분과도 반응하여 탈취작용을 한다. 따라서 자외선 램프가 탈취키트 상류측에 제공되면, 배출되는 기류에서 악취성분을 산화반응으로 제거함으로써 탈취키트에서 흡착해야할 악취성분의 양을 저감시키므로, 탈취키트의 수명과 탈취능력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진다.
열풍순환장치는 열풍순환장치와 연통하는 세개의 구멍이 상부벽에 형성되는 수납장치의 상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열풍순환장치는 제1 순환배관과 제2 순환배관으로 구성된다. 제1 순환배관은 일측 단부가 수납장치 상부벽의 제1 구멍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탈취장치로 연결된다. 제2 순환배관은 일측 단부가 수납장치 상부벽의 제2 구멍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1 순환배관의 측부에 연결되어서 제1 순환배관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경우, 제2 순환배관의 한쪽 단부가 제1 순환배관과 연통하도록 제1 순환배관의 측부에 연결됨으로써 열풍순환장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2 순환배관의 일측 하부는 배출관을 통해 수납장치 상부벽의 제3 구멍에 연결된다.
열풍순환장치에는 송풍팬, 보조 송풍팬과 히터가 부착된다. 송풍팬은 배출관이 연결되는 제2 순환배관부분의 배출관 상부에 부착되고 히터는 상기 송풍팬과 제2 구멍 사이의 제2 순환배관에 부착된다. 보조 송풍팬은 제1 구멍상부의 제1 순환배관에 부착된다.
열풍순환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체형 열풍순환장치를 수납장치 상부벽의 상응하는 구멍들에 맞도록 위치시켜서 고정하면 그 설치가 완료되므로 설치가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장치는 기류 배출측, 즉 제1 순환배관의 배출기류 단부측이 탈취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열풍순환장치는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외부로 순환배관의 일부가 노출되는 결점이 해소됨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열풍순환장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순환배관의 일부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비해, 단열효과가 증대하는 예상외의 효과가 발생한다. 열풍순환장치의 단열효과 증대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열효율의 증가로 이어져 음식물 쓰레기 건조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순환배관은 두개의 배관으로 구성된다. 특히, 두개의 배관이 상,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순환배관 역시 두개의 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공지의 열풍순환장치의 경우, 열풍순환장치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송풍팬과 모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약 40~50 db정도로 비교적 커서 실내에서 사용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변경실험을 수행하던 중에 열풍순환배관을 복수의 배관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종래 순환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배관덕트 내에서 발생하는 공명에 의한 것으로, 배관을 복수의 배관구조로 변경시킴으로써 이 공명현상이 소멸하여 소음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출원인의 측정에 의하면, 열풍순환배관을 복수의 배관구조로 하는 경우 소음이 약 20~25 db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전방과 후방사시도이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0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하우징(110)이 외관을 구성하며, 하우징(110) 전방에는 도어부(1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수납통(120)을 하우징 내로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전방에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작동 및 비작동 모드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114)가 위치된다. 하우 징(110) 후방 상측에는 배기관(118)이 위치되고, 후방 하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연결부(116)가 위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부분절취 상태로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하우징 내에는 수납장치(140), 수납장치 상부에 고정되는 열풍순환장치(150),및 열풍순환장치 일측에 연결되는 탈취장치(180)가 위치된다. 또한 수납장치(140) 일측 상부에는 스위치부(114)와 연결되는 콘트롤러
(220)가 위치되며, 콘트롤러(220)는 스위치부(114)가 작동모드로 되면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를 자동제어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치(1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단열성의 벽체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141)을 가지며, 도어부(112)가 일측에 형성된다. 수납장치 상부벽(142)에는 후술될 열풍순환장치의 세개의 개구(143',144',145')와 상응하는 세개의 구멍 -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지 장치를 나타낸 도 2의 제1, 제2, 제3 구멍(24,26,28)에 해당함 - 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장치(140) 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서 건조되는 수납통(120)이 위치된다. 수납통(120)은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일측에는 손잡이(122)가 부착되어 있으며, 수납통 내부에는 교반날개(124)가 위치된다. 교반날개(124)는 모터(13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128)이 삽입되어 있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터(130)는 바퀴(134)가 달린 지지대(132)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부(112)를 개방하여 손잡이(122)를 쥐고 수납통(120)을 수납장치(140) 내로 용이하게 밀어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교반날개(124)는 여러 꺽임부를 갖는 횡방향 동체로 구성된다. 꺽임부를 형성하는 것은 교반날개의 교반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교반날개(124)에는 그 동체부에 복수의 홈(126)이 형성된다. 또한 동체의 양측에는 칼날부(127)가 형성된다. 통공(125)으로는 모터(13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128)이 삽입된다.
홈(126)은 이곳을 통해 기류가 통할 수 있게 하여 점도가 높은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날개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칼날부(127)는 회전 중에 음식물 쓰레기,특히 덩어리 상태를 컷팅하여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한다. 칼날부
(127)는 안전을 위해 칼날부(127) 선단부를 너무 날카롭지 않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교반날개(124)는 교반날개에 음식물 쓰레기가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 중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킨다.
상기 수납장치(140) 상부에 고정되는 열풍순환장치(150)는 수납장치 내부공간(141)의 기류를 흡인하여 가열한 후 다시 내부공간으로 되돌려보내며 일부의 기류는 후술될 탈취장치(18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장치 상부벽(14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개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열풍순환장치는 수납장치의 내부공간(141)과 연통할 수 있도록 상기 세개의 구멍에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열풍순환장치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장치(150)는 제1 순환배관(152)과 제2 순환배관
(162)으로 구성되며, 양 배관(152,162)이 합체되어 일체로 된 구조를 갖는다. 일체형으로 된 열풍순환장치(150)는 나사 또는 리벳 같은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수납장치(140)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개수의 고정부(151)를 갖는다.
제1 순환배관(152)의 일측 단부는 수납장치 상부벽(142)의 제1 구멍(미도시)에 연결되며, 이를 위해 단부에는 개구(143')가 형성된다. 개구(157)가 형성되는 배관(152)의 다른 단부는 탈취장치(180)의 유입구부(182)에 연결된다.
제2 순환배관(162)의 일측 단부는 수납장치 상부벽(142)의 제2 구멍(미도시)에 연결되며, 이를 위해 단부에는 개구(144')가 형성된다. 배관(162)의 다른 단부는 제1 순환배관(152)의 측부에 연결되어 합체된다. 제2 순환배관(162)이 제1 순환배관(152)과 합체되는 부분에는 제2 순환배관이 제1 순환배관과 연통하도록 연결구
(166)가 형성된다. 제2 순환배관의 일측 하부는 수납장치 상부벽(142)의 제3 구멍
(미도시)에 연결되며, 이를 위해 상기 하부에는 개구(145')가 형성된다. 개구(145'
)는 직접 제3 구멍에 연결되거나, 종래와 같이 배출관(83)(도1 참조)을 경유하여 제3 구멍에 연결될 수도 있다.
송풍팬(164), 보조 송풍팬(158)과 히터(165)가 열풍순환장치(150)에 부착된다(도 6 및 도 12 참조).
송풍팬(164)은 제2 순환배관(162)의 개구(145')부분에 부착되며, 모터 케이스(161) 내에 위치되는 모터(160)에 의해 구동된다. 히터(162)는 개구(144')와 송풍팬(164) 사이의 제2 순환배관(162) 부분에 부착된다. 히터(162)는 서로 이격하여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열선을 갖도록 구성되어서 제2 순환배관(162) 내를 흐르는 기류가 열선 사이를 유동하여 흐를 때 기류를 가열한다. 보조 송풍팬(158)은 제1 순환배관의 개구(143')부분에 부착된다.
열풍순환장치(15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열풍순환장치(150)를 수납장치 상부벽(142)의 상응하는 구멍들에 맞도록 위치시켜서 고정부(151)를 통해 볼트 또는 리벳으로 고정하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순환배관(152)은 두개의 배관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열풍순환장치의 B-B 방향 단면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배관은 상부배관(154)과 하부배관(153)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상부배관(154)은 보조 송풍팬(158) 상부에 위치되는 유입구(155)와 탈취장치(180)의 유입구부(182)로 개방되는 개구(157) 근방의 유출구(156)에 의해 하부배관(153)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장치(150) 동체는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제조의 편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당한 강도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열풍순환장치의 동체를 상,하 두 블럭으로 사출성형하고 제 1 순환배관의 상부배관(154) 부분을 별도의 블럭으로 사출성형하면, 각 블럭들을 조립하여 간단하게 열풍순환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이다.
탈취장치(180)는 일측이 전면적으로 개방된 덮개 형태를 가지며 이 개방된 부분이 하우징을 향하도록 하여 하우징 내측벽에 부착된다(도 4와 도 8 참조). 탈 취장치(180) 동체에는 나사 또는 리벳 같은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110) 내측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개수의 고정부(181)를 갖는다. 탈취장치(180)는 열풍순환장치(150)의 배출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부(182), 유입된 기류가 탈취 후 유출되는 유출구부(184), 및 유입구부(182)와 유출구부(184) 사이의 배출기류 유동관부(186)로 구성된다. 유입구부(182)는 제1 순환배관(152)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이 단부에는 개구(15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풍순환배관
(150)의 기류는 탈취장치의 유입구부(182)로 유동할 수 있다. 유출구부(184)는 하우징 외부로 개방되는 배기관(118)(도 3 참조)에 연결된다.
탈취장치(180)에는 유동관부(186), 바람직하게는 유출구부(184) 근방의 유동관부에 탈취키트 부착부(188)가 형성된다. 탈취키트 부착부(188)는 육각기둥 형상의 탈취키트(190)가 탈착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유동관부(186)에 적절히 배열되는 지지부(188')에 의해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2개의 탈취키트가 병렬로 부착할 수 있도록 탈취키트 부착부(188)가 형성된다. 하측 지지부(188')에는 적당한 형상의 홈(189)이 형성된다.
육각기둥 형상의 탈취키트(1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층
(196,197,198)으로 구성된다. 하부의 제1 층(196)에는 실리카 겔이 충전되며, 중간의 제2 층(197)에는 활성탄이 충진되며, 제3 층(198)에는 제올라이트가 충진된다. 충진되는 실리카 겔,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의 크기는 2~3mm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키트(190) 동체의 밑면,윗면 및 각 층(196,197,198)의 면에는 기류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구(191,192,193,194)가 위치된다. 통기구(191,192,193,194)는 각 층 내의 충진물은 빠져나가지 않으나 기류는 유동할 수 있도록 1mm 이하의 구멍이 다수 형성된 시브(sieve)형태로 형성된다.
탈취키트(190)는 소모성으로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하면 새로운 탈취키트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탈취장치의 탈취키트는 하우징을 분해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장치의 탈취장치 부착부(188)에 상응하는 위치의 하우징(110) 부분에 탈취키트를 상기 부착부(188)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189)이 형성된다
. 탈취키트(190)는 제1 층(196)이 홈(189)을 향하도록 탈취장치 부착부(188)에 위치시킨 후 삽입홈(189)을 덮는 덮개(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덮는다.
탈취장치(180)의 상기 탈취키트(190) 상류측, 즉 탈취장치와 유입구부 사이의 유동관부에 자외선 램프(210)와 방열판(200)이 부착된다. 자외선 램프(210)는 UV램프이며, 방열판(200)은 세로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판상의 열판형태로서 그 사이로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방열판이 자외선 램프의 상류측에 위치되나, 역으로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자외선 램프와 방열판의 부착은 선택사항이며, 자외선 램프와 방열판 중의 어느 하나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방열판은 도시된 형태 외에 기류를 가열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수납통(120)이 수납장치의 내부공간(141) 내에 위치 되고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가 스위치(114)에 의해 작동모드로 되면, 모터(160)가 구동하는 송풍팬(164)은 수납장치 내부공간(141)의 기류를 화살표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열풍순환장치(150)의 제2 순환배관(162) 내로 흡인한다(이때, 보조 송풍팬은 작동하지 않음). 흡인된 기류는 제2 순환배관의 히터(165) 방향과 제2 순환배관
(162)이 제1 순환배관(152)과 합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구(166)를 통해 제1 순환배관의 하부배관(153) 방향의 양쪽으로 유동하나(도 6 참조), 연결구(166)의 단면적이 히터(165) 방향의 단면적보다 작으므로 기류는 히터(165)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유동한다. 2 순환배관의 히터(165) 방향의 기류는, 화살표 D로 표시한 바와 같이, 히터(165)를 가로질러 유동하면서 가열된다. 가열된 기류는 개구(144')와 이 개구(144')에 연결된 수납장치(140) 상부벽의 제2 구멍을 통해 내부공간(141), 보다 정확하게는 제2 구멍 아래에 위치된 수납통(120) 내부로 유동한다. 가열된 기류는 수납통(120) 내에서 교반날개(124)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며,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되므로 비교반 상태인 도 1의 공지의 경우에 비해 신속하게 건조된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는 적당한 위치에 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서 수납통 내부의 온도가 일정 범위(50 ~ 80℃)로 제어된다. 에 있도록 제어된다. 기류는 계속 화살표 C,D와 같이 유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한편, 송풍팬(164)에 의해 흡인된 기류의 일부는 연결구(166)를 통해 제1 순환배관의 하부배관(153)을 유동하여서, 화살표 E로 표시한 바와 같이, 탈취장치
(180)의 유입구(182)로 개방되는 개구(157)를 통해 탈취장치(180)로 유입된다. 연 결구(166)를 통해 나온 기류는 그 일부가 하부배관(153)을 통해 개구(157)의 반대방향에 있는 개구(143')를 통해 다시 내부공간(141)으로 유동할 수는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66)의 방향에 비추어 볼 때, 설사 내부공간(141)으로 유동하더라도 그 양은 매우 적을 것이다. 탈취장치(180)로 유입된 기류는 방열판(200)에 의해 재가열되고 자외선 램프(210)에 의해 악취성분의 일부가 산화반응으로 제거되며, 홈(189)을 통해 탈취키트(190)로 유입되어 실리카 겔층(196)에서 탈수, 활성탄층(197)에서 악취성분의 흡착제거, 및 제올라이트이층(198)에서 탈수와 악취성분의 흡착제거가 진행된다. 기류가 최종적으로 탈취장치의 유출구부(184)에 연결된 배기관(118)을 통해 하우징
(110) 외부로 유동할 때는 사용자가 악취성분을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악취성분은 거의 완전하게 제거된다. 이처럼 배출되는 기류에서 악취성분이 제거되므로, 음식물 쓰레기 제거장치(101)를 실내에서 사용하여도 전혀 지장이 없다.
음식물 쓰레기가 충분히 건조된 때는 모터(130)의 작동이 중단되며, 도어부
(112)를 열고 수납통(120)을 인출하여 내부의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다.
수납통(120)을 인출하기 위해 또는 사용중 필요에 의해 도어부(112)가 개방될 수 있다. 도어부가 열리는 경우, 이 상태를 미도시된 센서가 감지하여서 콘트롤러(220)는 송풍팬(164)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보조 송풍팬(158)을 작동시킨다(도어부가 닫히는 경우, 역시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서 콘트롤러가 보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송풍팬을 작동시킨다). 보조 송풍팬(158)이 작동하면, 이번에는 내부공간(141)의 기류는 보조 송풍팬에 의해 흡인되어 제1 순환배관(152) 내로 유동한다. 제1 순환배관(152) 내로 흡인된 기류는,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배관
(153)과 상부배관(154) 어느 곳으로도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송풍팬(158)에 의해 흡인된 기류는 보조 송풍팬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유동하므로, 도 7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볼 때, 주로 상부방향으로 유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류는, 화살표 F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배관(154)을 통해 유동하여 유출구(156)와 개구
(157)를 통해 탈취장치(180)로 유동한다. 보조 송풍팬(158)은 도어부(112) 근방에 위치하므로, 도어부를 개방하여도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내의 악취가 하부도어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2 순환배관 역시 두개의 배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두개의 배관이 전술한 제1 순환배관에서처럼 상,하로 배열될 수 있으며, 또는 좌,우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순환배관이 수납장치 상부벽의 각 구멍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납장치의 내부공간으로부터 각 순환배관으로 또는 역으로의 기류 유동시 이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시브(sieve)형태의 필터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건조장치 상부벽에는 공지 장치에서와 같이 신선한 공기가 흡인될 수 있는 별도의 독립적인 외부 공기흡입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공지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열풍순환장치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열풍순환장치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탈취장치에 부착된 탈취키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수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수납통에 부착되는 교반날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Claims (8)
- 단열성의 벽체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가지며 도어부가 일측에 형성 되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 내에 위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서 건조되는 원통형 수납통, 수납장치의 내부공간 기류를 흡인하여 가열한 후 다시 내부공간으로 되돌려보내며 일부의 기류는 탈취장치로 보내는 열풍순환장치, 열풍순환장치로부터 나오는 배출기류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및 상기 장치들을 에워싸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되,상기 수납통 하부에는 수납통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혼합시키기 위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날개가 부착되되, 교반날개 동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교반날개 동체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칼날부가 형성되며.상기 탈취장치는 일측이 전면적으로 개방된 덮개 형태를 가지며 이 개방된 부분이 하우징을 향하도록 하여 하우징 내측벽에 부착되되, 열풍순환장치의 배출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부, 유입된 기류가 탈취 후 유출되는 유출구부, 및 유입구부와 유출구부 사이의 배출기류 유동관부로 구성되며, 유동관부의 일측에 탈취키트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탈취키트 부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키트 부착부에 부착되는 탈취키트가 실리카 겔층, 활성탄층 및 제올라이트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탈취키트의 실리카 겔,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의 크기가 2~3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제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취장치의 상기 탈취키트 상류측 유동관부에 자외선 램프와 방열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양자 모두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탈취장치의 탈취장치 부착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하우징 부분에 탈취키트를 상기 부착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열풍순환장치가 열풍순환장치와 연통하는 세개의 구멍이 상부벽에 형성되는 수납장치의 상부에 부착되며,열풍순환장치는, 일측 단부는 수납장치 상부벽의 제1 구멍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제1 순환배관과, 일측 단부는 수납장치 상부벽의 제2 구멍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1 순환배관의 측부에 연결되어서 제1 순환배관과 연통하는 제2 순환배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제2 순환배관의 일측 하부는 배출관을 통해 수납장치 상부벽의 제3 구멍에 연결되며,송풍팬이 배출관이 연결되는 제2 순환배관부분에 부착되고 히터가 상기 송풍팬과 제2 구멍 사이의 제1 순환배관에 부착되며, 보조 송풍팬이 제3 구멍 상부의 제1 순환배관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배관 및 제2 순환배관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두개의 배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배관의 두개의 배관이 상,하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1127A KR20090063677A (ko) | 2007-12-14 | 2007-12-14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1127A KR20090063677A (ko) | 2007-12-14 | 2007-12-14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3677A true KR20090063677A (ko) | 2009-06-18 |
Family
ID=4099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1127A KR20090063677A (ko) | 2007-12-14 | 2007-12-14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6367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10559A1 (ko) * | 2019-07-17 | 2021-01-21 | 주식회사 루펜 | 열풍 순환식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
KR102484783B1 (ko) * | 2022-07-07 | 2023-01-06 | 이남원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
KR102616838B1 (ko) * | 2023-04-27 | 2023-12-22 | 김일구 | 음식물 쓰레기 발효처리기 |
-
2007
- 2007-12-14 KR KR1020070131127A patent/KR200900636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10559A1 (ko) * | 2019-07-17 | 2021-01-21 | 주식회사 루펜 | 열풍 순환식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
KR102484783B1 (ko) * | 2022-07-07 | 2023-01-06 | 이남원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
KR102616838B1 (ko) * | 2023-04-27 | 2023-12-22 | 김일구 | 음식물 쓰레기 발효처리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290061A (ja) | 生ゴミ乾燥器 | |
KR20090063677A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
US20080057173A1 (en) | Apparatus for drying food waste | |
KR102356383B1 (ko) | 사이클론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 |
KR100994080B1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 |
JP2005516760A (ja) | 生ごみ処理装置 | |
JP4770621B2 (ja) |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 |
KR100531836B1 (ko) | 공기처리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 |
KR20090035348A (ko) | 본체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
KR20090032435A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
JP3842928B2 (ja) | 有機物処理装置 | |
JP3757833B2 (ja) | 消臭装置及び消臭装置付き下駄箱 | |
JP2004028382A (ja) | 除湿機 | |
JPH0827861A (ja) | 脱臭装置 | |
JP2003103234A (ja) | 厨芥処理機 | |
KR20090032451A (ko) | 탈취성능과 건조성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
CN215586763U (zh) | 厨余垃圾处理器 | |
KR200438073Y1 (ko) | 급 배기장치 | |
JP4147853B2 (ja) | ビルトイン生ゴミ乾燥処理機 | |
KR20090035353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
KR20090035347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
KR20090032438A (ko) | 탈취성능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
KR102200979B1 (ko) |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 |
KR20090035350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유닛 설치구조 | |
KR20090035349A (ko) | 본체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