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347A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347A
KR20090035347A KR1020070100588A KR20070100588A KR20090035347A KR 20090035347 A KR20090035347 A KR 20090035347A KR 1020070100588 A KR1020070100588 A KR 1020070100588A KR 20070100588 A KR20070100588 A KR 20070100588A KR 20090035347 A KR20090035347 A KR 2009003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waste
deodorization
deodorizing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7010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347A/ko
Publication of KR2009003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6Bio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켜 감량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온활성탄필터를 이용한 탈취유닛을 흡인유닛의 후방에 배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GARBAG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켜 감량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온활성탄필터를 이용한 탈취유닛을 흡인유닛의 후방에 배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있어 지금까지 상용화된 기술은 건조방식, 발효방식, 발효소멸 방식, 건조발효방식 등이 있다.
건조방식은 단순하게 음식쓰레기를 넣고“열풍이나 히터를 삽입하여 80∼125℃ 이상의 온도를 가하여 음식물 중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단순한 처리라고 할 수 있으나, 열의 유지와 음식물이 음식물쓰레기통 내부에 고착되지 않고 건조시키는 것이 기술이다.
이 방식은 감량화로 상기 열거한 방식 중 좋지 않은 방법 중의 하나이나 높은 소비전력, 고온처리, 사용의 편리성과 소비전력의 과다 사용,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하면 음식물쓰레기의 85%를 구성하고 있는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 일반 소비 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편한 감량화 처리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건조방식은 음식물쓰레기를 단순하게 건조시킴으로 겉보기 밀도가 증가한다. 이들 겉보기 밀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교반 날개로 파쇄하는 기계적인 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종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처리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6974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5는 종래의 소형 잔반 처리기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방식의 종래 기술은 잔반 처리를 시행하는 음식물쓰레기통과, 이 음식물쓰레기통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취부기구단이 장착된 수납외통, 도어(28) 상부에 음식물쓰레기통의 온도를 올려주는 히터I(29), 수납외통의 외부를 둘러싸고 열 손실을 최소화한 단열 석면포로 조립되어 있고, 히터II(33)가 내장되어 배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어 백금 촉매 탈취 기능을 돕는 탈취 시스템(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28)를 열고 음식물쓰레기를 넣은 후 도어(28)를 닫으면 일단의 컨트롤 보드에 의해 전기 모터가 좌우 회전을 행하고, 이에 연결된 기어장치의 감속, 연결된 파쇄 회전축(10)의 회전, 연결된 파쇄 날개(17)의 회전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혼합이 행하여지고, 이와 동시에 상부 도어(28)의 히터I(29)에 전기를 투입하여 열이 발생한다. 이때 히터I(29)는 가까이 부착된 온도 센서의 조절로 150℃로 열을 발생하여 음식물쓰레기통에 전달된다. 온도 센서는 히터I(29)가 열을 발생, 음식물쓰레기통의 내부 온도를 100℃∼125℃로 가능하게 조정한다.
음식물쓰레기통에 온도가 올라가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어 수증기를 발생하게 되고 이 수증기는 음식물쓰레기통의 공기 배출구(31)를 통해 공기 흐름관을 거쳐 탈취 시스템(32)의 공기 흡입구로 흡입되고 탈취 시스템(32) 내부는 히터II(33)에 의해 300℃로 가열되어 있어 흡입된 수증기가 동일한 온도로 건조되게 된다. 이 건조 공기는 탈취 시스템(32)의 일단에 설치된 하니컴형 백금 촉매(23)을 지나며 악취가 제거되어 진다. 배출된 공기는 흡배기 팬으로 흡입되어 내부 흡입 공기와 혼합되어 공기 배출구로 완전히 배출된다.
이때 흡.배기 팬은 탈취 시스템(32) 내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배출하여 탈취 시스템(32) 내부, 공기 흐름관(31), 음식물쓰레기통 내부의 압력을 부압이 되게 하여, 도어(28)에 흡기팬(30), 공기 주입구를 설치하여 음식물쓰레기통 공기 흡입구을 통하여 부압 상태인 음식물쓰레기통에 계속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끔 공기 흐름을 구성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시행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는 고온의 백금촉매히터를 이용하여 수증기나 악취성분 등과 같은 배기가스를 연소시켜 탈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온의 배기가스가 먼저 탈취시스템(32)을 통과한 후(열효율이 좋기 때문에) 흡배기팬을 통과하도록 탈취시스템(32)의 후방에 흡배기팬을 배치한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서, 탈취시스템(32)은 흡배기팬과 수납외통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로 넓어지거나 높아져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한, 탈취시스템(32)은 흡배기팬과 수납외통 사이에 배치되어, 교체 가능한 타입의 레이-아웃을 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본체를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수납외통은 본체의 상부도어(28)와 접하는 상판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지 않음은 도 15의 단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수납외통을 본체의 상판에 지지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여 조립이 복잡하고, 수납외통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탈취시스템(32)이 교반 모터 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전체적으로 높아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탈취유닛을 흡인유닛의 후방에 배치하여 필터 교체 타입의 레이아웃으로 전체적으로 콤팩트해지는 구조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수납부를 갖는 본체; 상기 수납부 내에 안착되는 음식물쓰레기통;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통을 개폐하는 본체뚜껑; 상기 음식물쓰레기통에서 발생하는 증기나 악취성분 등의 배기가스를 흡인하는 흡인유닛; 상기 흡인유닛을 통해 흡인된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탈취하는 탈취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탈취유닛을 흡인유닛의 후방에 배치하여 필터 교체 타입의 레이아웃으로 전체적으로 콤팩트해지는 구조를 갖는다.
청구항2에 기재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상기 음식물쓰레기통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유닛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흡인유닛의 흡인구동부와 상기 교반유닛의 교반구동부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좌우로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상기 탈취유닛은 탈취통과, 상기 탈취통에 담기는 활성탄으로 구성되고, 상기 탈취통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탈취통케이싱 내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탈취통케이싱에는 배출그릴이 형성된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탈취통의 보수 및 교체와 같은 메인터넌스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흡인유닛의 후방에 탈취유닛을 배치함으로써, 탈취유닛의 교환 등의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납부에 대해 교반유닛, 흡인유닛, 탈취유닛을 근접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뚜껑이 열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체뚜껑에 설치된 걸름망을 제거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외 관을 이루는 본체(100)와 본체뚜껑(200),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음식물쓰레기통(300), 및 음식물쓰레기통(300)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유닛으로 구성하여 있다.
본체(100)는 크게 전판(110), 양측판(120), 수납부(130), 바닥판(140) 및 뒷판(150)이 결합된 박스 형상이다. 물론, 박스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 예컨대 전판을 원호형상으로 한 총알형태로 본체를 구현할 수도 있다.
수납부(13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커버(131)와 수납외통(135)으로 구성하여 있다.
본체커버(131)는 본체뚜껑(200)이 접하는 상판으로서 전판(110), 양측판(120) 및 뒷판(15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체커버(131)의 일측 상면에는 수힌지부(13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수납외통(135)은 내통을 이루는 음식물쓰레기통(300)이 안착 수납되는 구성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커버(131)와 수납외통(135)은 일체로 사출 성형하였기 때문에, 수납외통(135)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플라스틱 사출이므로 가볍다.
또한, 수납외통(135)이 사출 성형될 때, 수납외통(135)의 바닥 하면에 돌기편(137)도 일체로 성형하여, 추후 설명될 감속부재(621)의 가이드하여 지지할 수 있어 조립도 훨씬 용이하다.
또한, 수납외통(135)의 바닥에는 중심에 관통공(136)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36)에는 추후 설명될 구동회전축부(651) 및 제1가이드축부(661)가 삽입 배치된다.
또한, 도 1, 도 2,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외통(135)의 상면에는 위치결정돌기(3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돌기(330)에는 음식물쓰레기통(300)의 위치결정홈(310)이 끼워져 손잡이의 위치가 앞으로 향하도록 결정해 줄 뿐만 아니라 교반날개(610)의 회전시 수납외통에 대해 음식물쓰레기통(300)의 상대적 회전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동력전달축부(650)와 가이드축부(660)의 결합 위치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바닥판(140)에는 에어벤트공(141)이 그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벤트공(141)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수직한 수직편(143)과 이 수직편(143)에서 수평으로 연장한 수평편(145)이 "ㄱ" 자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편(145)은 에어벤트공(141)의 바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편(143)과 수평편(145)은, 외부의 에어가 에어벤트공(141)으로 들어올 때, 교반모터(626)나 흡인모터(750) 쪽으로 유도하여 모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뒷판(150)은 크게 탈취유닛(800)이 수납되는 탈취통케이싱(151)과 마감뒷판(154)이 조립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통케이싱(151) 하부에 설치되는 후술된 분배관(730)에 의해서도 지지, 즉 분배관(730)은 분배관 기능뿐만 아니라 탈취통케이싱(151)의 지지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마감뒷판(154)는 바닥판(140)의 후단에서 상부로 일부 연장한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감뒷판(154)에는 전원선인출공(15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뚜껑(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힌지부(133)와 결합되는 암힌지부(233)에 의해 본체(10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뚜껑(200)은 본체커버(131)의 전방에 설치된 개폐버튼(170)을 누르면 열리게 된다.
본체뚜껑(200)에는 안전스위치(230)가 설치되어, 열렸을 때 처리유닛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뚜껑(200)에는 뚜껑패킹(260)이 설치되어, 닫았을 때 음식물쓰레기통(300)의 상면을 밀폐시켜 냄새가 새지 않도록 한다.
본체뚜껑(200)에는 처리유닛의 하나인 가열송풍유닛(500)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송풍유닛(5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기가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히터(510)와 송풍팬(530)으로 구성하여 있다. 송풍팬(530)은 본체뚜껑(200) 내부에 탑재된 송풍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송풍팬(530)은 가열히터(510)의 열을 음식물쓰레기통(300) 내부에 골고루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히터(510)와 송풍팬(530)에는 걸름 망(55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할 때 비산하는 찌꺼기가 가열히터(510)와 송풍팬(530) 쪽으로 오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탈취필터로 활성탄(830)을 이용하기 때문에, 가열히터(510)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쓰레기통(300) 내부 온도는 55℃±3℃ 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온도센서(250)가 본체뚜껑(20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건조 처리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통(300) 내부에 수증기나 악취 성분 등의 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배기가스는 배기가스흡입공(210)을 통해 본체뚜껑(200)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미도시)를 지나 탈취유닛(800)을 거쳐 배출시킨다.
이때, 배기가스흡입공(210)으로 흡입되는 가스를 강제적으로 배기하기 위한 흡인유닛(700)이 탈취유닛(800)에 앞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유닛(800)이 흡인유닛(700)의 후방 즉 가스가 배출되는 유로의 하류에 설치 가능한 것은 종래와 필터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기존 탈취방식은 히터와 백금촉매필터에 의한 연소방식이고, 본 실시예의 탈취방식은 활성탄(830)에 의한 흡착방식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배기가스 온도는 기존에 비해 매우 현저히 낮기 때문에 흡인유닛(700)을 통과하더라도 부품에 나쁜 영향(열적 손실)을 받지 않아, 탈취유닛(800)을 최종 라인에 배치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탈취유닛(800)을 장치의 후면에 설치할 경우, 탈취유닛의 보수나 교체 등과 같은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통(300)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유닛(6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유닛(600)은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물기의 증발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분쇄편(611)(613)으로 잘게 분쇄하여 음식물쓰레기의 감량 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이하, 처리유닛에 대해 설명하는데 가열송풍유닛(500)은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때문에 생략한다.
처리유닛으로는 가열송풍유닛(500), 교반유닛(600), 흡인유닛(600), 탈취유닛(700)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열송풍유닛(500), 교반유닛(600) 및 흡인유닛(600)은 음식물쓰레기의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강제 부가 수단임을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 처리유닛들은 제어유닛(90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유닛(600)은 도 2 내지 도 6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통(300) 내에 배치되는 교반날개(610), 교반날개(6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교반구동부(620), 교반구동부(620)의 회전동력을 교반날개(610)에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축부(650)로 구성하여 있다.
교반날개(61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 절곡한 가동분쇄편(611)이 형성되고, 음식물쓰레기통(300)의 내주면에는 고정분쇄편(613)이 설치되어 있다.
교반날개(610)가 회전하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면서 가동분쇄편(611)과 고정분쇄편(61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잘게 분쇄하여 감량 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교반구동부(620)는 교반모터(626)와 감속부재(621)로 구성하여 있다.
교반모터(626)는 바닥판(140)에 형성된 안착편(630)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교반모터(626)와 안착편(630) 사이에는 방진을 위한 방진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속부재(621)는 교반모터(626)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교반날개(610)에 전달하는 감속기어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속기어열은 감속기어박스에 내장된다.
감속부재(621)의 기어박스 상부는 전술한 수납외통(135)의 돌기편(137)에 삽입 지지되고, 기어박스 하부는 바닥판(140)에 돌출 성형된 돌출장착편(640)에 장착된다.
감속부재(621)의 상부를 돌기편(137)에 삽입 지지한 상태에서 돌출장착편(640)에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다. 물론, 돌기편(137)에 기어박스 상부를 지지한 후 수납외통(135)의 내부에서 피스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장착편(640)의 외주면에 리브(641)를 형성하는 것이 피스의 체결에 따른 강도 보강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회전동력전달축부(65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부재(621)에 연결되는 구동회전축부(651)와, 교반날개(610)에 연결되는 피동회전축 부(655)로 구성하여 있다.
교반날개(610)와 피동회전축부(655)는 회전샤프트(615)의 상하단에 연결된다.
베어링부시(617)는 중공축부(350)와 회전샤프트(615)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샤프트(615)의 회전을 원활히 행하도록 한다.
체결링(618)은 회전샤프트(615)의 상하에 끼워져 베어링부시(617)와 피동회전축부(655)의 상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가 중공축부(350)를 통해 피동회전축부(655)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619)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회전축부(651)에는 피동회전축부(655)가 결합되는 구조를 취한다.
구동회전축부(651)와 피동회전축부(655)는 다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회전동력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동회전축부(655)의 내주면에는 구동회전축부(651)의 외주면이 끼워져 결합되는 소켓과 렌치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다각형상의 회전동력전달축부(6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축부(6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축부(660)도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회전축부(651)의 외주면 근처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축부(661)와, 피동회전축부(655)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축부(665)로 구성하여 있다.
제1가이드축부(661)는 감속부재(621)의 기어박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축부(665)도 음식물쓰레기통(300)과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자유단(하단) 외주면 전체에는 라운딩부(66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딩부(666)는 피동회전축부(655)를 구동회전축부(651)에 끼울 때 제2가이드축부(665)가 제1가이드축부(661)에 걸리는 방지하고자 한다. 즉, 제2가이드축부(665)의 라운딩부(666)가 제1가이드축부(661)의 상단에 걸리면 미끄러져 가이드공간부(670)로 바로 안내하기 때문에 결합효율이 좋다.
특히, 라운딩부(666)가 음식물쓰레기통(300)의 사출 성형할 때 제조되기 때문에 별도의 라운딩부를 두는 제조공정이 필요 없다.
또한, 가이드축부(660)도 다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수납외통(135)에 대해 음식물쓰레기통(300)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가이드축부(660)가 다각형상인 경우, 라운딩부(666)는 제2가이드축부(665)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통(300)에는 스토퍼(66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퍼(667)의 하단이 제1가이드축부(661)의 자유단에 놓이게 되면, 피동회전축부(655)가 가이드공간부(670)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여 원활히 회전한다.
이하, 음식물쓰레기통(300)에서 발생하는 증기나 악취성분 등의 배기가스를 흡인하는 흡인유닛(700)에 대해 설명한다.
흡인유닛(700)은 도 4 내지 도 6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미도시), 임펠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흡인모터(750), 임펠러가 내장된 임펠러케이 싱(710)으로 구성하여 있다.
임펠러케이싱(710)은 바닥판(140)에 형성된 돌출장착편(740)에 체결되어 장착된다.
또한, 돌출장착편(740)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돌출장착편(640)과 마찬가지로 리브(7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러케이싱(710)의 일측면에는 흡인모터(750)가 지지되어 있다. 이 흡인모터(750)는 임펠러를 회전하는 정도의 동력만을 전달하여도 좋기 때문에 소형이다.
임펠러케이싱(710)에는 인렛(711)과 아웃렛(713)이 형성되어 있다.
인렛(711)은 접속관(160)을 통해 본체뚜껑(200)의 통로(미도시)와 접속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통(300)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강제적으로 흡인되는데, 배기가스흡입공(210), 통로(미도시), 접속관(160), 인렛(711)을 통해 임펠러케이싱(710) 내에 흡인되고, 다시 아웃렛(713)과 배기관(714)을 통해 배기된다.
한편, 배기관(714)에는 후술된 탈취유닛(800)이 배치되게 된다. 즉 흡인유닛(700)의 후방에 탈취유닛(800)이 놓이게 된다.
이러한 레이아웃에 의해, 흡인된 배기가스가 탈취유닛(800)을 통과하는 동안 흡인모터(750)에는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임펠러케이싱(710)의 타측에는 외부흡기공(7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부흡기공(720)은 외부 공기를 흡기하기 때문에 모터(740)에 걸리는 부 하를 줄일 뿐 아니라 외부공기가 배기가스와 혼합한 상태에서 탈취유닛(800)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냄새 저감 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인유닛(700)의 후방에 탈취유닛(800)이 놓이게 되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유닛(600)의 구동부(620)에 흡인유닛(700)을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좌우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유닛(800)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탈취유닛(800)은 활성탄(830)의 흡착에 의해 탈취하는 방식이다.
탈취유닛(83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통(810)과 이 탈취통(810)에 담긴 활성탄(830)으로 구성하여 있다.
탈취통(810)의 상부에는 배출캡(815)이 나사 체결되어 있다. 배출캡(815)을 열고 활성탄(830)을 담거나 교환할 수 있다. 배출캡(851)에는 배출구(816)가 그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탈취통(810)의 하단에는 배출구(816)와 마찬가지로 흡입구(811)가 그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는 흡입구(811)로 들어와서, 활성탄(830)을 통과하면서 흡착되고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816)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탈취유닛(830)은 탈취통케이싱(151)의 내부에 수납된다.
탈취통케이싱(151)은 뒷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서 상판(131)과 마감뒷판(154)에 지지된다.
탈취통케이싱(151)의 하면에는 분배관접속관(1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배관접속관(158)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관(730)이 설치된다.
분배관(730)은 배기관(714)의 배기가스를 복수개의 탈취통(810)으로 분배하는 관이다.
분배관(730)의 전방에는 아웃렛(714)이 접속되고, 분배관(73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은 탈취통케이싱(151)의 분배관접속공(158) 각각에 접속된다.
분배관(730)의 관통공 각각에는 내주면에 암나사(732)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732)에는 탈취통(810)의 하단측에 형성된 수나사(812)가 체결 고정된다. 이때 분배관(730)의 관통공 상면과 탈취통(810) 사이에는 패킹(736)이 개재되어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탈취통(810)이 단수개인 경우에는 분배관(730)은 단일관으로서 대체하면 된다.
또한, 탈취통(810)을 탈취통케이싱(151)의 분배관접속공(158)에 직접 삽입하거나 나사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분배관(730)에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형태의 공기상승유도편(73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상승유도편(734)은 탈취통(810)의 흡입구(811)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기가스가 수평방향으로 분배관에 들어와 부딪친 후 수직 기류에 의해 탈취통(810)을 향해 원활히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공기상승유도편(734)은 기둥형태로 융기한 캡원통형상으로서, 분배관(730)의 하면에 마감되는 마감판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통(810)에는 나사체결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8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830)은 미세공 구조가 발달한 탄소로 되어있으며, 극성이 적어 비극성 분자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낮은 온도의 배기가스를 흡착하고 정화시킨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통케이싱(151)에는 개폐도어(15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도어(152)에는 최종적인 배출그릴(15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탈취유닛(800)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때, 개폐도어(152)을 열고 나사체결된 탈취통(810)을 풀어 꺼내면 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가 매우 용이하고 외관이 깔끔하다.
이와 같은 처리유닛들, 특히 가열송풍유닛(500)의 가열히터와 송풍모터, 교반유닛(600)의 교반모터, 흡인유닛(700)의 흡인모터는 처리 상태에 따라 제어유닛(90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유닛(9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인 PCB(910)와 이 PCB(910)을 지지하는 PCB케이스(915)로 구성하여 있다.
PCB케이스(915)는 바깥쪽 사이드가 개방된 사각형태의 박스이다.
PCB케이스(915)의 전후에는 풋트(920)가 형성되어 있다.
풋트(9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판 형태로서, 체결공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풋트(920)의 양측은 PCB케이스(915)의 양측보다 옆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 풋트(920)는 바닥판(140)의 돌출체결편(93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돌출체결편(930)에 체결 고정할 때, 풋트(920)와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PCB케이스(915)의 좌우를 지지하는 좌우가이드지지편(940)(950)이 바닥판(14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가이드지지편(94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 자 형태로서, PCB케이스(915)의 좌측을 가이드하면 지지하는 제1가이드지지판(941)과 풋트(920)의 좌측을 가이드하면서 지지하는 제2가이드지지판(943)으로 구성하여 있다.
우측가이드지지편(950)도 마찬가지로 'ㄴ' 자 형태로서, PCB케이스(915)의 우측을 가이드하면 지지하는 제1가이드지지판(951)과 풋트(920)의 좌측을 가이드하면서 지지하는 제2가이드지지판(953)으로 구성하여 있다. 우측가이드지지편(950) 중 가운데 있는 것은 PCB케이스(915)의 우측을 가이드하면서 지지하기만 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풋트를 가이드하며 지지하는 구조는 불필요하다.
이와 같은 좌우가이드지지편(940)(950)의 사이로 PCB케이스(915)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끼우면 PCB케이스(915)와 풋트(920)가 가이드되면서 돌출체결편(930)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조립도 빠르고, PCB케이스(915)의 지지도 견고히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인 흡인유닛의 후방에 탈취유닛이 배치되는 구조는 음식물 이외의 건조 감량하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뚜껑이 열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체뚜껑에 설치된 걸름망을 제거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전면판과 좌우측면판을 제거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좌측 및 우측 사시도.
도 6은 도 4의 PCB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좌측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교반유닛과 흡인유닛을 제거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탈취통케이싱을 보여주기 위한 도 7의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일체형 본체커버와 수납외통을 도시한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1은 교반유닛의 구동부와 흡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a는 분배관의 단면도.
도 12는 음식물쓰레기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실시예의 회전동력전달축부와 가이드축부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예의 탈취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종래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전판 120 : 측판
130 : 수납부 131 : 본체커버(상판) 133 : 수힌지부
135 : 수납외통 136 : 관통공 137 : 돌기편
140 : 바닥판 141 : 에어벤트공 143 : 수직편
145 : 수평편 150 : 뒷판 151 : 탈취통케이싱
152 : 개폐도어 153 : 배출그릴 154 : 마감뒷판
155 : 전원선인출공 158 : 분배관접속공 160 : 접속관
170 : 개폐버튼
200 : 본체뚜껑 210 : 배기가스흡입공 230 : 안전스위치
233 : 암힌지부 250 : 온도센서 260 : 뚜껑패킹
300 : 음식물쓰레기통 310 : 위치결정홈 330 : 위치결정돌기
350 : 중공축부
500 : 가열송풍유닛 510 : 가열히터 530 : 송풍팬
550 : 걸름망
600 : 교반유닛 610 : 교반날개 611,613 : 분쇄편
615 : 회전샤프트 617 : 베어링부시 618 : 체결링
619 : 패킹 620 : 교반구동부 621 : 감속부재
626 : 교반모터 630 : 교반모터안착편 640,740 : 돌출장착편
641,741 : 리브 650 : 회전동력전달축부 651 : 구동회전축부
655 : 피동회전축부 660 : 가이드축부 661 : 제1가이드축부
665 : 제2가이드축부 666 : 라운딩부 667 : 스토퍼
670 : 가이드공간부
700 : 흡인유닛 710 : 임펠러케이싱 711 : 인렛
713 : 아웃렛 714 : 배기관 720 : 외부흡기공
730 : 분배관 732 : 암나사 734 : 공기상승유도편
736 : 패킹 750 : 흡인모터
800 : 탈취유닛 810 : 탈취통 811 : 흡입구
812 : 수나사 813 : 돌기 815 : 배출캡
816 : 배출구 830 : 활성탄
900 : 제어유닛 910 : PCB 915 : PCB케이스
920 : 풋트 930 : 돌출체결편 940,950 : 가이드지지편

Claims (3)

  1. 수납부를 갖는 본체;
    상기 수납부 내에 안착되는 음식물쓰레기통;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통을 개폐하는 본체뚜껑;
    상기 음식물쓰레기통에서 발생하는 증기나 악취성분 등의 배기가스를 흡인하는 흡인유닛;
    상기 흡인유닛을 통해 흡인된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탈취하는 탈취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통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인유닛의 흡인구동부와 상기 교반유닛의 교반구동부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유닛은 탈취통과, 상기 탈취통에 담기는 활성탄으로 구성되고,
    상기 탈취통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탈취통케이싱 내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탈취통케이싱에는 배출그릴이 형성된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0070100588A 2007-10-05 2007-10-05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90035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88A KR20090035347A (ko) 2007-10-05 2007-10-05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88A KR20090035347A (ko) 2007-10-05 2007-10-05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47A true KR20090035347A (ko) 2009-04-09

Family

ID=4076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588A KR20090035347A (ko) 2007-10-05 2007-10-05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9268A (zh) * 2021-12-24 2022-03-25 太原科技大学 一种用于垃圾箱的臭味监测及除臭处理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9268A (zh) * 2021-12-24 2022-03-25 太原科技大学 一种用于垃圾箱的臭味监测及除臭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5348A (ko) 본체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05501752A (zh) 一种等离子除臭垃圾桶的循环装置
CN105460462A (zh) 一种等离子除臭垃圾桶
KR1008936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8078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3534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60004601A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KR2009003535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유닛 설치구조
KR20090035353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212619291U (zh) 电热水器
KR100994080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KR2009003535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9003535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흡인유닛
KR20090035354A (ko) 피씨비 설치구조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90035349A (ko) 본체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90063677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2480162B1 (ko) 연기발생이 저감되는 피쉬오븐 장치
CN111744024A (zh) 奶瓶消毒器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200356444Y1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KR20060046083A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CN210170511U (zh) 一种芳香装置、空调面板和空调
TWM579877U (zh) Environmentally-friendly composting machine with high sealing degree feeding and discharging cover
KR200362618Y1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KR102200979B1 (ko)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