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916A -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916A
KR20090062916A KR1020070130403A KR20070130403A KR20090062916A KR 20090062916 A KR20090062916 A KR 20090062916A KR 1020070130403 A KR1020070130403 A KR 1020070130403A KR 20070130403 A KR20070130403 A KR 20070130403A KR 20090062916 A KR20090062916 A KR 20090062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ilure
current
relay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684B1 (ko
Inventor
송창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6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22Integrated protection, motor control cent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 원인을 데이터 저장 및 누름 스위치 입력조건에 따라 표시 가능한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전원부; 3상 교류회로의 상 별 전류 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 기준 전류와 상태결정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 부; 중성 상 전류 값을 검출하여 입력하는 지락 전류 입력 부;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고장 원인 표시부; 사용자의 스위치 누름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 입력 부; 모터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계전기 부; 및 상기 기준 전류 설정 값과 검출된 상 별 전류 값 및 검출된 중성 상 전류 값을 근거로 고장 여부와 고장 원인을 결정하고, 고장 발생시 상기 계전기 부를 통해 모터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고장 원인을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고장 원인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스위치 누름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요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고장 원인 표시, 누름 스위치, 입력조건

Description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라 고장 원인 표시, 초기상태 복귀 및 접점 시험동작 제어가 가능한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는 교류 모터(AC motor)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계전기 및 그 접점을 포함하는 기본적 구성에 부가하여 교류 모터의 시동 및 운전 중 발생하는 과전류(Over Current), 결 상(Phase Deficiency), 상간 불평형(Unbalance among 3 phases), 역 상(Inverse Phase), 지락(Ground Fault) 등의 고장 발생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설정된 동작시간 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고, 계전기 접점을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교류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통상 트립(trip)으로 칭함}함으로써, 모터와 모터에 접속되는 기기를 고장으로 인한 소손 등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고장 원인에 따른 트립 발생시,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 기가 개발되고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는 트립 발생 당시 즉, 고장 발생에 따른 전원 차단 시점 당시에만 고장 원인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등 표시수단으로 표시할 수 있었으나, 사용자의 실수 또는 임의 원인에 의해 트립 상태의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 즉 리셋(reset) 된 후에는 고장 원인을 표시할 수 없어서, 어떤 고장 사고가 해당 모터에 발생했었는 지 사고 이력을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는 일정 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고장 원인 표시 기능, 트립 제어 후 제어부의 초기화 복귀(리셋) 기능 또는 접점 시험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 편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고장 원인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라서 고장 원인 표시와, 트립 제어 후 제어부의 초기화 복귀 또는 접점 시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가 접속되는 3상 교류회로의 상 별 전류 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
기준 전류와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 부;
접지 선 전류 값을 검출하여 입력하는 지락 전류 입력 부;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고장 원인 표시부;
사용자의 스위치 누름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 입력 부;
모터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계전기 부 및
상기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와, 기준 값 설정 부와, 상기 지락 전류 입력 부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상기 계전기 부에 접속되어, 상기 기준 전류 설정 값과 검출된 상 별 전류 값 및 검출된 접지 선 전류 값을 근거로 고장 여부와 고장 원인을 결정하고, 고장 발생시 상기 계전기 부를 통해 모터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고장 원인을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고장 원인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를 통해 입력되는 누름 스위치 입력조건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 요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가,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제 1 설정 시간 내에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있으면, 사용자의 고장 원인 표시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저장된 고장 원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가,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동작 후,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초기화 요구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 호 계전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가,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전동기로의 전원공급 중지상태에서,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계전기 접점 시험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접점의 정상 여부를 시험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3상 교류회로의 상 별 전류 값을 검출하는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와, 기준 전류와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 부와, 접지 선 전류 값을 검출하여 입력하는 지락 전류 입력 부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의 개폐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계전기 부와,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고장 원인 표시부와, 사용자의 스위치 누름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고장 여부와 고장 원인을 결정하고 고장 원인을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고장 원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이용하여,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상태에 서 제 1 설정 시간 내에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있으면, 사용자의 고장 원인 표시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저장된 고장 원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동작 후,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초기화 요구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전동기로의 전원공급 중지상태에서,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계전기 접점 시험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접점의 정상 여부를 시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서 사용자의 실수 또는 임의 원인으로 인해 제어부가 리셋된 상태에서도 고장 원인을 필요 시 표시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에 접속된 모터의 유지 보수 시 고장 이력의 파악 및 대응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따라서 누름 스위치의 입력조건에 따라서 고장 원인 표시와, 제어부의 초기화 또는 접점의 시험 제어 동작을 간편하게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수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로 인한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는 전원부(1),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2), 기준 값 설정 부(3), 누름 스위치 입력 부(4), 지락 전류 입력 부(5), 고장 원인 표시부(6), 계전기 부(7),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부(1)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구성하는 전자부품들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예컨대 AC 220 볼트(Volt)의 상용 교류 전원을 5볼트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기 및 다이오드(diode) 정류회로로 구성되는 잘 알려진 변압 및 정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2)는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가 접속되는 3상 교류회로의 상(phase) 별 전류 값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변류기(Current Transformer)는 3상 교류 모터에 연결된 3상 전원공급 선로에 직렬 접속되는 1차 측 코일(coil)과 1차 측 코일보다 많은 권회 수를 가지고 1차 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는 소량의 전류 값이 유도되어 흐르는 2차 측 코일을 가지는 통상적인 변류기로서 3상교류 모터의 3상에 대응되게 3개로 구성되고, 검출 전류 입력 부(2)는 상기 변류기의 2차 측 코일을 흐르는 전류(즉 모터에 흐르는 전류 값에 비례한 검출 전류)를 전압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회로 부로서 저항과 출력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준 값 설정 부(3)는 기준 전류와 상태결정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회로 부로서, 여기서 기준 전류의 설정 값은 예컨대 기준 정격 전류 설정 값 또는 정격 전류에 대해 설정한 비율로 설정되는 값이거나, 결 상 상태로 보는 상별 최저 기준 값이거나, 상간 검출 전류의 허용 기준 차이 값이거나, 상 별 위상 차 기준 값이며, 여기서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은 고장 결정시 모터의 전원 차단 설정시간(예컨대 2 밀리 초) 또는 누름 스위치 입력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시간(예컨대 600밀리 초, 400밀리 초)을 의미한다.
기준 값 설정 부(3)는 예컨대 가변저항과 가변저항에 의해 설정된 아날로그(Analog) 값을 디지털(Digital) 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회로로 구성 될 수 있다.
누름 스위치 입력 부(4)는 누름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른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 회로 부로서, 누름 스위치와 누름 스위치의 누름 여부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전압 또는 영(zero) 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지락 전류 입력 부(5)는 접지 선, 일명 중성 극(Neutral Pole, 약하여 N극), 중성 상(Neutral Phase, 약하여 N상) 또는 중성 선에 흐르는 전류 값을 검출하는 중성 선 변류기와 중성 선 변류기의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고장 원인 표시부(6)는 고장 원인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고장 원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회로 부로서,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램프(lam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6)는 과전류 상태, 결 상 상태, 상간 불평형 상태, 역 상 상태, 지락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표시부의 측방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면에는 해당 고장의 내용(과전류, 결 상, 상간 불평형, 역 상, 지락)이 표기될 수 있다.
계전기 부(7)는 모터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계전기 코일과 계전기 코일의 여자(magnetizing) 또는 소자(demagnetizing)에 따라 폐로 또는 개로되는 접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2)와 기준 값 설정 부(3)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4)와 상기 지락 전류 입력 부(5)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6)와 상기 계전기 부에 접속되어, 상기 기준 전류 설정 값과 검출된 상 별 전류 값 및 검출된 중성 상 전류 값을 근거로 고장 여부와 고장 원인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고장 발생시 상기 계전기 부(7)를 통해 모터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고장 원인을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6)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고장 원인 데이터를 예컨대 내장하는 메모리(memory)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4)를 통해 입력되는 누름 스위치 입력조건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 요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더욱 상세히,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기준 값 설정 부(3)로부터 제공된 기준 전류의 설정 값을 기준으로,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2)로부터 제공된 상 별 검출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 별 검출 전류 값이 기준 정격 전류 설정 값보다 작으면 정상 상태로 결정하고, 상 별 검출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정격 전류 설정 값보다 크면 과전류 상태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상기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2)로부터 어느 한 상의 검출 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상 전류 값보다 작으면 해당 상의 결 상(phase deficiency) 상태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상기 기준 설정 시간 동안 상 별 검출 전류 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간 검출 전류의 차이 값이 허용 기준 차이 값보다 크면 상간 불평형(Unbalance of phases) 상태로 결정하며,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상 별 검출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역 상(inverted phase) 상태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에 상 별 검출 전류 신호로부터 위상을 검출하기 쉽게 처리하여 제공하는 예컨대 상 별 검출 전류 신호의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 값을 검출하여 제공하는 제로 크로싱 회로(zero crossing circuit)가 추가로 부설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상기 지락 전류 입력 부(5)에 의해 입력된 접지 선 전류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지락 발생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상기 과전류, 결 상, 상간 불평형, 역 상 및 지락 발생시 해당 고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상기 고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를 갖는 구성 실시 예도 있을 수 있고, 상기 고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를 구성 즉, 예컨대 이이프롬(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접속되게 별도로 병설하는 변형 실시 예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제 1 설정 시간(실시 예상 400밀리 초) 내에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 실시 예상 2번) 만큼 있으면, 사용자의 고장 원인 표시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저장된 고장 원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 및 데이 터 저장부(8)는 자신이 계전기 부(7)에 접점 개로 제어 신호를 발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2의 (c)파형과 같이 제 1 설정 시간(실시 예상 400밀리 초) 내에 누름 스위치의 입력 즉 누름이 2번 있으면,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사용자의 고장 원인 표시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와 같이 내부 메모리 또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장 원인의 데이터를 고장 원인 표시부(6)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동작 후, 제 2 설정 시간(실시 예상 600밀리 초)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초기화 요구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자신이 계전기 부(7)에 접점 개로 제어 신호를 발출한 상태에서, 도 2의 (a)파형과 같이 제 2 설정 시간(실시 예상 600밀리 초) 동안 또는 그 이상 시간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 즉 누름이 지속 되면,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사용자의 초기화(reset)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접점 개로 제어신호의 발출을 중지하고 접점 폐로 제어신호를 발출하여 모터를 재기동하는 초기화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전동기로의 전원공급 중지상태에서, 제 2 설정 시간(실시 예상 600밀리 초)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계전기 접점 시험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접점의 정상 여부를 시험한다. 즉, 예컨대 고장발생에 따라 자신이 접점 개로 제어신호를 발출한 상태가 아니고 사용자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수 동으로 조작하여 모터 전원공급 차단 조작한 상태일 때(수동 조작 스위치 미 도시),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는 사용자가 계전기 접점의 시험을 요구한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접점의 정상 여부를 시험한다. 시험은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에서 계전기 부(7)에 접점 개로 제어신호를 출력한 다음, 변류기 및 검출전류 입력 부(2)를 통해 입력되는 상 별 전류 값이 있으면 해당 상의 계전기 또는 계전기 접점이 고장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 별 전류 값이 없으면 해당 상의 계전기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고장 원인 표시 제어방법 및 고장 원인 표시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 도이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고장 원인 표시 제어방법 및 고장 원인 표시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은 3상 교류회로의 상 별 전류 값을 검출하는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도 1의 부호 2 참조)와, 기준 전류와 상태결정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 부(도 1의 부호 3 참조)와, 접지 선 전류 값을 검출하여 입력하는 지락 전류 입력 부(도 1의 부호 5 참조)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의 개폐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계전기 부(도 1의 부호 7 참조)와,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고장 원인 표시부(도 1의 부호 6 참조)와, 사용자의 스위치 누름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 입력 부(도 1의 부호 4 참조)와, 고장 여부와 고장 원 인을 결정하고 고장 원인을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고장 원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도 1의 부호 8 참조)를 구비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이용하여, 도 3의 단계 1(S1)에서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제 1 설정 시간(예컨대 400밀리 초) 내에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예컨대 2회) 만큼 있으면, 단계 2(S2)에서 사용자의 고장 원인 표시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저장된 고장 원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계전기 초기 상태 복귀 제어방법 및 계전기 초기 상태 복귀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 도이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계전기 초기 상태 복귀 제어방법 및 계전기 초기 상태 복귀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이용하여, 도 4의 단계 3(S3)에서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동작 후, 제 2 설정 시간(예컨대 600밀리 초)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단계 4(S4)에서 사용자의 초기화 요구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는 접점 개로 제어신호의 발출을 중지하고 접점 폐로 제어신호를 발출하여 모터를 재기동하는 초기화 상태로 복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접점 시험 제어 방법 및 접점 시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 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접점 시험 제어 방법 및 접점 시험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이용하여, 도 5의 단계 5(S5)에서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전동기로의 전원공급 중지상태에서,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계전기 접점 시험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단계 6(S6)으로 진행하고, 단계 5(S5)에서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없거나 전동기로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거나 고장발생에 따른 전동기로의 전원 공급 중단중인 경우, 다시 단계 5(S5)의 조건이 성립하는지 반복 조사한다.
단계 6(S6)에서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접점의 정상 여부를 시험한다.즉,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8)에서 계전기 부(7)에 접점 개로 제어신호를 출력한 다음, 변류기 및 검출전류 입력 부(2)를 통해 입력되는 상 별 전류 값이 있으면 해당 상의 계전기 또는 계전기 접점이 고장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 별 전류 값이 없으면 해당 상의 계전기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고,
도 2는 누름 스위치의 입력 조건의 예를 보여주는 누름 스위치 입력신호의 파형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고장 원인 표시 제어방법 및 고장 원인 표시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계전기 초기 상태 복귀 제어방법 및 계전기 초기 상태 복귀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중 누름 스위치 입력 조건에 따른 접점 시험 제어 방법 및 접점 시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 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부 2: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
3: 기준 전류 및 시간 설정 부 4: 누름 스위치 입력 부
5: 지락 전류 입력 부 6: 고장 원인 표시부
7: 계전기 부 8: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

Claims (9)

  1.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가 접속되는 3상 교류회로의 상 별 전류 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
    기준 전류와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 부;
    접지 선 전류 값을 검출하여 입력하는 지락 전류 입력 부;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고장 원인 표시부;
    사용자의 스위치 누름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 입력 부;
    모터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계전기 부 및
    상기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와, 기준 값 설정 부와, 상기 지락 전류 입력 부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상기 계전기 부에 접속되어, 상기 기준 전류 설정 값과 검출된 상 별 전류 값 및 검출된 접지 선 전류 값을 근거로 고장 여부와 고장 원인을 결정하고, 고장 발생시 상기 계전기 부를 통해 모터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고장 원인을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고장 원인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를 통해 입력되는 누름 스위치 입력조건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 요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는 과전류 상태, 결 상 상태, 상간 불평형 상태, 역 상 상태, 지락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는,
    기준 값 설정 부로부터 제공된 기준 전류의 설정 값을 기준으로,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로부터 제공된 상 별 검출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 별 검출 전류 값이 기준 정격 전류 설정 값보다 작으면 정상 상태로 결정하고, 상 별 검출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정격 전류 설정 값보다 크면 과전류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로부터 어느 한 상의 검출 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상 전류 값보다 작으면 해당 상의 결 상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상 별 검출 전류 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간 검출 전류의 차이 값이 허용 기준 차이 값보다 크면 상간 불평형 상태로 결정하며, 상 별 검출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역 상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지락 전류 입력 부에 의해 입력된 접지 선 전류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면 지락 발생을 결정하고, 상기 과전류, 결 상, 상간 불평형, 역 상 및 지락 발생시 해당 고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는,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제 1 설정 시간 내에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있으면, 사용자의 고장 원인 표시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저장된 고장 원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는,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동작 후,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초기화 요구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는,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전동기로의 전원공급 중지상태에서,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계전기 접점 시험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접점의 정상 여부를 시험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7. 3상 교류회로의 상 별 전류 값을 검출하는 변류기 및 검출 전류 입력 부와, 기준 전류와 기준 시간의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 부와, 접지 선의 전류 값을 검출하여 입력하는 지락 전류 입력 부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의 개폐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계전기 부와, 고장 원인을 표시하는 고장 원인 표시부와, 사용자의 스위치 누름 시간 및 스위치 누름 횟수에 따른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고장 여부와 고장 원인을 결정하고 고장 원인을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고장 원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누름 스위치 입력 부와 상기 고장 원인 표시부를 이용하여,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제 1 설정 시간 내에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있으면, 사용자의 고장 원인 표시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저장된 고장 원인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동작 후,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초기화 요구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를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고장발생에 따른 계전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가 아닌 전동기로의 전원공급 중지상태에서, 제 2 설정 시간 동안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누름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계전기 접점 시험 요구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접점의 정상 여부를 시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의 제어방법.
KR1020070130403A 2007-12-13 2007-12-13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2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403A KR100923684B1 (ko) 2007-12-13 2007-12-13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403A KR100923684B1 (ko) 2007-12-13 2007-12-13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916A true KR20090062916A (ko) 2009-06-17
KR100923684B1 KR100923684B1 (ko) 2009-10-28

Family

ID=4099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403A KR100923684B1 (ko) 2007-12-13 2007-12-13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6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751A (ko) * 2010-05-26 2011-12-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용 계전 요소의 선택 표시 및 설정장치
KR101634634B1 (ko) * 2015-04-13 2016-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정 계수 자기 진단 및 교정이 가능한 모터 보호 계전기
CN106787966A (zh) * 2017-01-11 2017-05-31 广东亦能地坪设备有限公司 地坪机电源监控装置
CN108162801A (zh) * 2017-12-29 2018-06-15 常州市武起常乐电机有限公司 小型纯电动汽车用电机控制器的控制方法
CN111458587A (zh) * 2020-04-16 2020-07-28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就地化线路保护双套配置的同频自动检测方法及其测试装置
CN113955642A (zh) * 2021-09-24 2022-01-21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珠海检测院 起重机起升机构电机定子异常失电故障保护方法
CN115394030A (zh) * 2022-08-02 2022-11-25 山东鑫泽消防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自带复检功能的剩余电流电气火灾探测器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755B1 (ko) * 2011-08-17 2013-03-26 주식회사 한세스 다기능 모터 보호 계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221A (ko) * 1994-12-21 1996-07-22 이종수 모터제어센타용 모터보호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00006347U (ko) * 1998-09-14 2000-04-15 이해규 디지털 보호계전기
JP2001025149A (ja) 1999-07-09 2001-01-26 Canon Inc 過電流保護システムおよび過電流保護方法
KR100586104B1 (ko) 2003-12-31 2006-06-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디지털 모터제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751A (ko) * 2010-05-26 2011-12-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용 계전 요소의 선택 표시 및 설정장치
KR101634634B1 (ko) * 2015-04-13 2016-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정 계수 자기 진단 및 교정이 가능한 모터 보호 계전기
CN106787966A (zh) * 2017-01-11 2017-05-31 广东亦能地坪设备有限公司 地坪机电源监控装置
CN108162801A (zh) * 2017-12-29 2018-06-15 常州市武起常乐电机有限公司 小型纯电动汽车用电机控制器的控制方法
CN111458587A (zh) * 2020-04-16 2020-07-28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就地化线路保护双套配置的同频自动检测方法及其测试装置
CN111458587B (zh) * 2020-04-16 2023-03-03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就地化线路保护双套配置的同频自动检测方法及其测试装置
CN113955642A (zh) * 2021-09-24 2022-01-21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珠海检测院 起重机起升机构电机定子异常失电故障保护方法
CN115394030A (zh) * 2022-08-02 2022-11-25 山东鑫泽消防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自带复检功能的剩余电流电气火灾探测器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684B1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684B1 (ko)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7592924B2 (en) Intelligent life test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eakage current protection
RU2553669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индикацией отказов и вторичным источником питания
KR101553766B1 (ko) 누전 차단기
KR101759598B1 (ko) 변류기 2차 회로 개방 감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계전기
CN102054634B (zh) 用于检测致动器开关装置的故障的方法和设备
KR200383776Y1 (ko) 변류기 2차단자의 개방 감지장치
KR100978269B1 (ko) 3상용 누전 차단기의 구동 회로
US7420343B2 (en) Current limiting DC motor starter circuit
KR100951445B1 (ko) 전원 자동절체 시스템 및 절체 제어방법
US20030043516A1 (en) Electrical ground fault protection circuit
JP2008128837A (ja) 漏電検出回路のテスト方法及び漏電検出装置
CN108281331B (zh) 三相欠压跳闸装置以及具有三相欠压跳闸装置的塑壳断路器
KR100927462B1 (ko) 차단기 진단장치가 내장된 수배전반 및 차단기 진단 방법
US20120169348A1 (en)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Monitoring Circuit Connectivity
JPH08223777A (ja) 負荷制御装置
KR101681592B1 (ko)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용 계전 요소의 선택 표시 및 설정장치
US7859809B2 (en) Test plug with overvoltage protection
KR101505703B1 (ko)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62872B2 (en) Circuit interrupter for detecting breaker fault conditions and interrupting an electric current
JPH0819166A (ja) 地絡検出装置
JP5876722B2 (ja) 時間測定器閾値電圧調整アダプタ
JP2001281275A (ja) 負荷制御装置
JP2001314031A (ja) 漏電遮断器
KR20060116594A (ko)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 기기에 구성되는코일검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