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403A - 디퍼렌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퍼렌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403A
KR20090062403A KR1020070129631A KR20070129631A KR20090062403A KR 20090062403 A KR20090062403 A KR 20090062403A KR 1020070129631 A KR1020070129631 A KR 1020070129631A KR 20070129631 A KR20070129631 A KR 20070129631A KR 20090062403 A KR20090062403 A KR 2009006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distance piece
oil
bearing
out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혁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403A/ko
Publication of KR2009006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2048/382Methods for manufacturing differential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F16H2048/405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ring of the rotating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퍼렌셜 내부의 베어링 손상 및 오일실 마모, 오일 누유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는 디퍼렌셜 샤프트(20)의 일측에는 아우터 베어링(3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이너 베어링(40)이 마련되고,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20)와 상기 아우터 베어링(30) 및 이너 베어링(40)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디스턴스 피스(100)로 이루어진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피스(100)의 외주에는 상기 아우터 베어링(30) 방향으로 나선형의 리브(110)가 다수 형성되어, 아우터 베어링 및 오일실에 원활한 오일량을 공급함으로써 오일량 저감 및 클레임 저감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디퍼렌셜, 디스턴스 피스, 리브, 오일, 왼나사

Description

디퍼렌셜 어셈블리{Differential assembly}
본 발명은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퍼렌셜 내부의 베어링 손상 및 오일실 마모, 오일 누유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기는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알맞은 속도와 구동력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로서, 대부분 변속기 케이스에는 변속기 어셈블리뿐만 아니라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도 함께 조립되며 디퍼렌셜 어셈블리가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디퍼렌셜 어셈블리는 좌우 바퀴 회전수 변화를 가능케 하여 울퉁불퉁한 도로 및 선회시 무리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디스턴 스 피스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는 디퍼렌셜 샤프트(20)의 일측에는 아우터 베어링(3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이너 베어링(40)이 마련되고,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20)와 상기 아우터 베어링(30) 및 이너 베어링(40)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디스턴스 피스(50)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턴스 피스(50)는 디퍼렌셜 샤프트(20)의 전후방향에 마련되는 아우터 베어링(30)과 이너 베어링(40)에 맞물려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장착되는 상태가 상기 이너 베어링(40)에 비해 상기 아우터 베어링(30)이 높게 마련되어 상기 아우터 베어링(50)측이 상기 이너 베이링(40)측 보다 상대적으로 오일 윤활에 불리하게 작용된다.
또한,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는 오일이 마련되어 아우터 베어링(30) 및 오일실(31)로 오일을 공급하게 되는데, 디퍼렌셜 어셈블리가 장착될 때 상기 아우터 베어링(30) 방향이 3 ~ 7°정도 높게 장착되는 설계상의 제약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아우터 베어링(30) 및 오일실(31)로 전달되는 오일량이 부족하게 되어 베어링(30, 40)이 손상되며 오일실(31)이 마모되고, 오일이 누유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퍼렌셜 내부의 베어링 손상 및 오일실 마모, 오일 누유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디퍼렌셜 샤프트의 일측에는 아우터 베어링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이너 베어링이 마련되고,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와 상기 아우터 베어링 및 이너 베어링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디스턴스 피스로 이루어진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피스의 외주에는 상기 아우터 베어링 방향으로 나선형의 리브가 다수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아우터 베어링 및 오일실에 원활한 오일량을 공급함으로써 오일량 저감 및 클레임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되며, 리브의 형상 자유도로 인해 디스턴스 피스의 다양한 면압 특성을 부여하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디스턴스 피스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턴스 피스와 종래의 디스턴스 피스의 강도 해석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디퍼렌셜 어셈블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는 디퍼렌셜 샤프트(20)의 일측에는 아우터 베어링(3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이너 베어링(40)이 마련되고,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20)와 상기 아우터 베어링(30) 및 이너 베어링(40)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디스턴스 피스(40)로 이루어진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피스(40)의 외주에는 상기 아우터 베어링(30) 방향으로 나선형의 리브(110)가 다수 형성되어 아우터 베어링 및 오일실에 원활한 오일량을 공급함으로써 오일량 저감 및 클레임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된 디퍼렌셜 샤프트(20, 도 1 참조) 외주에 위치하며,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20)에 위치하는 아우터 베이링(30, 도 1 참조)과 이너 베어링(40, 도 1 참조)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턴스 피스(100)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턴스 피스(10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단을 기준으로 좌측은 아우터 베어링(30, 도 1 참조)이 위치하게 되며, 우측은 이너 베어링(40, 도 1 참조)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아우터 베어링(30, 도 1 참조) 방향인 디스턴스 피스(100)의 좌측 외주면에는 나선형이 리브(110)가 다수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디스턴스 피스(100)에 형성된 리브(110)는 디퍼렌셜 샤프트(20, 도 1 참조)가 회전하게 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도록 하며, 상기 리브(110)의 나선형 분포 형상은 왼나사 방향으로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턴스 피스(100)에 접촉되는 오일이 아우터 베어링(30, 도 1 참조)측으로 밀려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브(110)는 여러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턴스 피스(100)는 그 외주면에 나선형의 리브(110)가 다수 형성된다.
그 결과, 디스턴스 피스(100) 내부에 삽입되는 디퍼렌셜 샤프트(20, 도 1 참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디스턴스 피스(100)의 리브(110)는 왼나사 방향으로 적용하여, 낙하 및 침전오일이 스크루 작용을 통해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의 아우터 베이링(30, 도 1 참조) 방향으로 오일을 빠르게 배출시켜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20, 도 1 참조)의 회전방향에 대비 오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디스턴스 피스(100)에서 리브(110)가 형성된 아우터 베어링(30, 도 1 참조)측이 이너 베어링(40, 도 1 참조)측 보다 오일 배출 속도가 점차적으로 빨라지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턴스 피스(100)에 형성된 리브(110)에 따른 변형량을 비교해보면, 도 5 (a)의 종래의 디스턴스 피스(10)에 비해 도 5 (b)의 본 발명의 디스턴스 피스(100)는 리브(110)의 형상 및 각도에 따라 보다 높은 강도와 다양한 특성값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퍼렌셜 어셈블리는 디퍼렌셜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턴스 피스 외주면에 나선형의 리브가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아우터 베어링 및 오일실에 원활한 오일량을 공급함으로써 오일량 저감 및 클레임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되며, 리브의 형상 자유도로 인해 디스턴스 피스의 다양한 면압 특성을 부여하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디스턴스 피스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종래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디스턴스 피스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턴스 피스와 종래의 디스턴스 피스의 강도 해석을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퍼렌셜 케이스 20 : 디퍼렌셜 샤프트
30 : 아우터 베어링 40 : 이너 베어링
100 : 디스턴스 피스 110 : 리브

Claims (2)

  1. 디퍼렌셜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디퍼렌셜 샤프트의 일측에는 아우터 베어링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이너 베어링이 마련되고,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와 상기 아우터 베어링 및 이너 베어링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디스턴스 피스로 이루어진 디퍼렌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피스의 외주에는 상기 아우터 베어링 방향으로 나선형의 리브가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퍼렌셜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피스의 리브는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퍼렌셜 어셈블리.
KR1020070129631A 2007-12-13 2007-12-13 디퍼렌셜 어셈블리 KR20090062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631A KR20090062403A (ko) 2007-12-13 2007-12-13 디퍼렌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631A KR20090062403A (ko) 2007-12-13 2007-12-13 디퍼렌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403A true KR20090062403A (ko) 2009-06-17

Family

ID=4099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631A KR20090062403A (ko) 2007-12-13 2007-12-13 디퍼렌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4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4798A (zh) * 2015-04-27 2015-11-11 谷伟 电动汽车动力总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4798A (zh) * 2015-04-27 2015-11-11 谷伟 电动汽车动力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7217B (zh) 滚珠轴承壳体
JP2009103142A (ja) シール装置
MX2012015002A (es) Sello anular.
CN203189534U (zh) 车轮支撑用滚动轴承单元
JP2008275027A (ja) 動力伝達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動力伝達装置
CN103573808A (zh) 用于转向柱的轴承装置和设置有该装置的旋转发动机
KR100969367B1 (ko) 차동 기어세트
KR20090062403A (ko) 디퍼렌셜 어셈블리
CN105221580A (zh) 轴承
JP6547620B2 (ja) 差動ギヤ装置の潤滑構造
CN204186940U (zh) 变速箱输出轴齿轮
CN209524057U (zh) 差速器总成及车辆
CN107120410B (zh) 一种消隙直齿轮
CN102678899B (zh) 差速器壳体
KR100850974B1 (ko) 마모방지형 내경을 갖는 디퍼런셜 피니언 기어
WO2011142217A1 (ja) 両シール付き玉軸受
EP2366913B1 (en) A protective embodiment at the sealing felts used in the drive shaft sliding sets
KR20110040596A (ko) 스티어링 기어용 밸브체의 오일 씰
CN112747100A (zh) 一种一字轴
KR200425753Y1 (ko) 디퍼렌셜 케이스
KR20160056633A (ko) 휠 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 베어링
WO2018207314A1 (ja) シール構造
KR101546746B1 (ko)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CN115405636B (zh) 一种万向节
WO2016175027A1 (ja) 密封形転が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