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356A -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356A
KR20090061356A KR1020070128342A KR20070128342A KR20090061356A KR 20090061356 A KR20090061356 A KR 20090061356A KR 1020070128342 A KR1020070128342 A KR 1020070128342A KR 20070128342 A KR20070128342 A KR 20070128342A KR 20090061356 A KR20090061356 A KR 20090061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istein
breast cancer
composition
treatment
map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예선
심혜영
박종화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356A/ko
Publication of KR2009006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암 중에서도 MCF-7 세포에 대해 이소프라빈 계열인 Genistein의 항암 메커니즘에 대한 기작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방암세포에 대한 Genistein의 세포 사멸 기작을 세부적으로 밝혀줌으로서 항암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MCF-7 세포, Genistein, 항암 메커니즘, apoptosis signaling kinase 1, Ca2+, caspase 7,

Description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reast cancer comprising Genistein}
본 발명은 유방암 MCF-7 세포에 대해 이소프라빈 구조를 갖는 물질 중 Genistein을 사용한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Genistein은 에스트로겐 리셉터 (ERs)와의 억제하거나 자극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 성장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Genistein은 나노몰라 단위의 낮은 농도에서 세포 증식을 촉진하고 마이크로몰라 단위의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농도에 비례 또는 반비례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Genistein은 항산화 효과와 전이 억제 및 신생혈관생성억제 성질은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Genistein은 에스트로겐 리셉터 여부의 세포 종류와 농도에 따라 유방암세포에 대한 다른 효과를 보인다. 내생적인 에스트로겐이 존재하는 경우, 낮은 농도의 Genistein에서 에스트로겐 리셉터를 지닌 MCF-7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지만, 에스트로겐 리셉터가 없는 MDA-MB-468 과 HBL 같은 유방암 세포에서는 그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다. 10 마이크로몰라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 Genistein은 G2/M 과정에서 MCF-7 세포의 성장을 세포 주기에 관련된 유전자의 mRNA 발현과 단백질 조절을 통 하여 정지시킨다.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Genistein은 소포체에 저장되어있는 칼슘 이온의 소모를 유도하여 세포내 칼슘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이 결과 칼슘 이온에 의해 calpain과 caspase-12 활성화가 유도된다. 세포내 칼슘 이온은 ASK1-p38 MAPK 신호전달과정을 조절하여 세포 사멸 유도에 관여하고 있다. ASK1은 MAPK kinase 구성 중 하나의 키나아제로 MAPK kinase 3/6-p38 MAPK과 SEK1-JNK 신호전달 과정을 활성화 시킨다. ASK1은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죽음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사멸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ASK1은 종양괴사인자 (TNF)와 Fas, 활성산소종(ROS)과 같은 다양한 세포 살상형 요인에 의한 세포 사멸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MAPK 구성원은 세포 증식과 분화, 생존, 그리고 세포 사멸에 신호 전달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 구성원의 중요 효소들은 세포외부의 다양한 자극에 의해 반응하는 ERK1/2 (or p44/42 MAPK)와 JNK, 그리고 p38 MAPK이 있다. ERK1/2은 Ras/Raf/MEK 신호 전달 과정을 통한 유사분열 촉진 물질에 의해 우선적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며, 세포 증식과 생존을 담당한다. JNK와 p38 MAPK은 산화적 스트레스와 사전 면역 사이토카인에 의해 차별화되어 활성화가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세포 분화와 세포 사멸을 일으킨다. JNK와 p38 MAPK 과정의 활성화는 다양한 사전 세포사멸의 하위 요소들의 인산화를 유도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방암 MCF-7 세포을 이용하여 항암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량의 5,7-다이하이드록시(Dihydroxy)-3-(4-하이드록시페닐)-4H-1-벤조피란-4-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50μM에서 200μ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칼파인(calpain)과 캐스페이즈(caspase) 7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소포체에서 칼슘 이온 방출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에팝토시스 시그날링 카이네이즈(apoptosis signaling kinase) 1의 인산화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p38 MAPK 인산화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항암 조성물은 암을 치료, 예방 또는 처리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치료법과 병용하여 투여된다. 그러한 통상적 치료법의 예는 외과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호르몬 요법, 생물학적 요법 및 면역요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지 않은 혈관신생과 관련되거나 이것에 의해 특징되는 암 이외의 질병이나 장애를 치료, 처리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그러한 치료, 처리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게 치료적으로 또는 예방적으료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병용 투여될 수 있는 항암제의 예는 아시비신(acivicin); 아클라루비신(aclarubicin); 아코다졸 아이드로클로라이드(acodazole hydrochloride); 아크로닌(acronine); 아도젤레신(adozelesin); 알데스루킨(aldesleukin); 알트레트아민(altretamine); 암보마이신(ambomycin); 아메탄트론 아세테이트(ametantrone acetate); 암사크린(amsacrine);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안트라마이신(anthramycin);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아스페린(asperlin); 아자시티딘(azacitidine); 아제테파(azetepa); 아조토마이신(azotomycin); 바티마스타트(batimastat); 벤조데파(benzodepa); 비칼루트아미드(bicalutamide); 비산트렌 하이드로클로라이드(bisantrene hydrochloride); 비스나피드 디메실레이트(bisnafide dimesylate); 바젤레신(bizelesin);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bleomycin sulfate); 브레퀴나 소디움(brequinar sodium); 브로피리민(bropirimine); 부술판(busulfan); 칵티노마이신(cactinomycin); 칼루스테 론(calusterone); 카라세마이드(caracemide); 카베티머(carbetimer); 카보플라틴(carboplatin); 카무스틴(carmustine); 카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rubicin hydrochloride); 카젤레신(carzelesin); 세데핀골(cedefingol) ; 셀레콕시브(celecoxib) (COX-2 억제제); 클로암부실(chlorambucil); 시롤레마이신(cirolemycin); 시스플라틴(cisplatin); 글라드리빈(cladribine); 크리스나톨 메실레이트(crisnatol mesylat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시타라빈(cytarabine); 다카바진(dacarbazine);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daunorubicin hydrochloride); 데시타빈(decitabine); 덱소마플라틴(dexormaplatin); 데자구아닌(dezaguanine); 데자구아닌 메실레이트(dezaguanine mesylate); 디아지쿠온(diaziquone); 도세탁셀(docetaxel); 독소루비신(doxorubicin);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doxorubicin hydrochloride); 드롤록시펜(droloxifene); 드롤록시펜 시트레이트(droloxifene citrate); 드로모스타놀론 프로피오네이트(dromostanolone propionate); 두아조마이신(duazomycin); 에다트렉세이트(edatrexate); 데플로니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eflornithine hydrochloride); 엘사미드루신(elsamitrucin); 엔로플라틴(enloplatin); 엔프로메이트(enpromate); 에피프로피딘(epipropidine); 에피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epirubicin hydrochloride); 에루불로졸(erbulozole); 에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esorubicin hydrochloride); 에스트라무스틴(estramustine); 에스트라무스틴 포스페이트 소디움(estramustine phosphate sodium); 에타니다졸(etanidazole); 에토포시드(etoposide); 에토포시드 포스페이트(etoposide phosphate); 에토프 린(etoprine); 파드로졸 하이드로클로라이드(fadrozole hydrochloride); 파자라빈(fazarabine); 펜레티니드(fenretinide); 플록수리딘(floxuridine);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fludarabine phosphate);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플로오로시타빈(flurocitabine); 포스퀴돈(fosquidone); 포스트리에신 소디움(fostriecin sodium); 젬시타빈(gemcitabine); 젬시타빈 하이드로클로라이드(gemcitabine hydrochloride); 히드록시우레아; 이다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idarubicin hydrochlor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일모포신(ilmofosine); 이프로플라틴(iproplatin); 이리노테칸(irinotecan);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irinotecan hydrochloride); 란레오티드 아세테이트(lanreotide acetate); 레트로졸(letrozole);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leuprolide acetate); 리아로졸 하이드로클로라이드(liarozole hydrochloride); 로메트렉솔 소디움(lometrexol sodium); 로무스틴(lomustine); 로속산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losoxantrone hydrochloride); 마소프로콜(masoprocol); 마이탄신(maytansine); 메크로레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mechlorethamine hydrochloride);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megestrol acetate); 멜렌게스트롤 아세테이트(melengestrol acetate); 멜파란(melphalan); 메노가릴(menogaril); 메캡토퓨린(mercaptopurin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메토트렉세이트 소디움(methotrexate sodium); 메토프린(metoprine); 메투레데파(meturedepa); 미틴도미드(mitindomide); 미토카신(mitocarcin); 미토크로민(mitocromin); 미토길린(mitogillin); 미토말신(mitomal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토스퍼(mitosper); 미토테인(mitotane); 미토잔트론 하이드로클 로라이드(mitoxantrone hydrochloride); 미코페놀릭 애시드(mycophenolic acid); 노코다졸(nocodazole); 노갈라마이신(nogalamycin); 오마플라틴(ormaplatin); 옥시수란(oxisuran); 파클리탁셀(paclitaxel); 페가스파가제(pegaspargase); 펠리오마이신(peliomycin); 펜타무스틴(pentamustine); 페플로마이신 설페이트(peplomycin sulfate); 퍼포스파미드(perfosfamide); 피포브로만(pipobroman); 피포술판(piposulfan); 피로잔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piroxantrone hydrochloride);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플로메스탄(plomestane); 포피머 소디움(porfimer sodium); 포피로마이신(porfiromycin); 프레드니무스틴(prednimustine); 프로카바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procarbazine hydrochloride); 푸로마이신(puromycin); 푸로마이신 하이드로믈로라이드(puromycin hydrochloride); 피라조푸린(pyrazofurin); 리보프린(riboprine); 사핀골(safingol); 사핀골 하이드로클로라이드(safingol hydrochloride); 세무스틴(semustine); 심트라젠(simtrazene); 스파포세이트 소디움(sparfosate sodium); 스파소마이신(sparsomycin); 스피로게르마늄 하이드로클로라이드(spirogermanium hydrochloride); 스피로무스틴(spiromustine); 스피로플라틴(spiroplatin); 스트렙토니그린(streptonigrin);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술로페너(sulofenur); 탈리소마이신(talisomycin); 테코갈란 소디움(tecogalan sodium); 탁소테레(taxotere); 테갈퍼(tegafur); 텔로잔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teloxantrone hydrochloride); 테모포르핀(temoporfin); 테니포시드(teniposide); 테록시론(teroxirone); 테스토락톤(testolactone); 티아미프린(thiamiprine); 티오구아닌(thioguanine); 티오테파(thiotepa); 티아조푸 린(tiazofurin) ; 티라파자민(tirapazamine); 토레미펜 시트레이트(toremifene citrate); 트레스톨론 아세테이트(trestolone acetate); 트리시리빈 포스페이트(triciribine phosphate); 트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 트리메트렉세이트 글루쿠로네이트(trimetrexate glucuronate); 트리프토렐린(triptorelin); 투불로졸 하이드로클로라이드(tubulozole hydrochloride); 우라실 머스타드(uracil mustard); 우레데파(uredepa); 바프레티드(vapreotide); 베르테포르핀(verteporfin); 빈블라스틴 설페이트(vinblastine sulfate); 빈크리스틴 설페이트(vincristine sulfate); 빈데신(vindesine); 빈데신 설페이트(vindesine sulfate); 빈에피딘 설페이트(vinepidine sulfate); 빈글리시네이트 설페이트(vinglycinate sulfate); 빈루로신 설페이트(vinleurosine sulfate); 빈오렐빈 타르트레이트(vinorelbine tartrate); 빈로시딘 설페이트(vinrosidine sulfate); 진졸리딘 설페이트(vinzolidine sulfate); 보로졸(vorozole); 제니플라틴(zeniplatin); 지노스타틴(zinostatin); 및 조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zorubicin hydrochloride)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항암 약물은 20-에피-1, 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5-에티닐우라실(ethynyluracil); 아비라테론(abiraterone); 아클라루비신(aclarubicin); 아실풀벤(acylfulvene); 아데시페놀(adecypenol); 아도젤레신(adozelesin); 알데스루킨(aldesleukin); ALL-TK 대항제; 알트레타민(altretamine); 암바무스틴(ambamustine); 아미독스(amidox); 아미포스틴(amifostine); 아미노레불리닉 애시드(aminolevulinic acid); 암루비신(amrubicin); 암사크린(amsacrine); 아나그레 리드(anagrelide);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안드로그라폴리드(andrographolide); 혈관신생 억제제; 대항제 D; 대항제 G; 안타렐릭스(antarelix); 안티-도살라이징 형태발생 단백질-1(anti-dorsalizing morphogenetic protein-1); 안티안드로겐(antiandrogen), 전립샘 암종(prostatic carcinoma); 안티에스트로겐(antiestrogen); 안티네오플라스톤(antineoplaston);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antisense oligonucleotides); 아피디콜린 글리시네이트(aphidicolin glycinate); 아포프토시스 유전지 조정자(apoptosis gene modulators); 아포프도시스 조절자(apoptosis regulators); 아푸리닉 애시드(apurinic acid); 아라(ara)-CDP-DL-PTBA; 아르기닌 디아미나제(arginine deaminase); 아술아크린(asulacrine); 아타메스탄(atamestane); 아트리무스탄(atrimustine); 악시나스타틴 1(axinastatin 1); 악시타스타틴 2(axinastatin 2); 악시나스타틴 3(axinastatin 3); 아자세트론(azasetron); 아자톡신(azatoxin); 아자티로신(azatyrosine); 박카틴 III 유도체(baccatin III derivatives); 발라놀(balanol); 바티마스타트(batimastat); BCR/ABL 대항제; 벤조클로린(benzochlorins); 벤조일스타우로스포린(benzoylstaurosporine); 베타락탐 유도체(beta lactam derivatives); 베타-알레틴(beta-alethine); 베타클라마이신 B(betaclamycin B); 베툴리닉 애시드(betulinic acid); bFGF 억제제; 비칼루타미드(bicalutamide); 비스안트렌(bisantrene); 비스아지리디닐스퍼민(bisaziridinylspermine); 비스나피드(bisnafide); 비스트라텐 A(bistratene A); 비젤레신(bizelesin); 브레플레이트(breflate); 브로피리민(bropirimine); 부도티 탄(budotitane); 부티오닌 설폭시민(buthionine sulfoximine); 칼시포트리올(calcipotriol); 칼포스틴 C(calphostin C); 캄프토테신 유도체(camptothecin derivatives); 카페시타빈(capecitabine); 카르복스아미드-아미노-트리아졸; 카르복시아미노트리아졸; CaRest M3; CARN 700; 연골 유래 억제제(cartilage derived inhibitor); 카젤레신(carzelesin); 카제인 키나제 억제제(casein kinase inhibitors) (ICOS); 카스타노스퍼민(castanospermine); 세크로핀 B(cecropin B); 세트로렐릭스(cetrorelix); 클로른(chlorlns); 클로로퀴녹살린 술폰아미드(chloroquinoxaline sulfonamide); 시카프로스트(cicaprost); 시스-포르피린(cis-porphyrin); 클라드리빈(cladribine); 클로미펜 유사물(clomifene analogues);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콜리스마이신 A(collismycin A); 콜리스마이신 B(collismycin B); 콤브레타스타틴 A4(combretastatin A4); 콤브레트스타틴 유사물(combretastatin analogue); 코나게닌(conagenin); 크람베시딘 816(crambescidin 816); 크리스나톨(crisnatol); 크립토피신 8(cryptophycin 8); 프립토피신 A 유도체(cryptophycin A derivatives); 쿠라신 A(curacin A); 시클로펜탄트라퀴논(cyclopentanthraquinones); 시클로플라탐(cycloplatam); 시페마이신(cypemycin); 시타라빈 옥포스페이트(cytarabine ocfosfate); 시톨리틱 인자(cytolytic factor); 시토스타틴(cytostatin); 다클릭시맙(dacliximab); 데시타빈(decitabine); 디하이드로디데민 B(dehydrodidemnin B); 데슬로렐린(deslorelin);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덱시포스파미드(dexifosfamide); 덱스라족산(dexrazoxane); 덱스베라파밀(dexverapamil); 디아지쿠온(diaziquone); 디 뎀닌 B(didemnin B); 디독스(didox); 디에틸노르스퍼민(diethylnorspermine); 디하이드로-5-아자시티딘(dihydro-5-azacytidine); 디하이드로탁솔(dihydrotaxol), 9- ; 디옥사마이신(dioxamycin); 디페닐 스피로무스틴(diphenyl spiromustine); 도세탁셀(docetaxel); 도코사놀(docosanol); 도라세트론(dolasetron);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드롤록시펜(droloxifene); 드로나비놀(dronabinol); 두오카마이신(duocarmycin) SA; 에브셀렌(ebselen); 에코무스틴(ecomustine); 에델포신(edelfosine); 에드로콜로맙(edrocolomab); 에플로니틴(eflornithine); 엘레멘(elemene); 에미테퍼(emitefur); 에피루비신(epirubicine); 에피스테리드(episteride); 에스트라무스틴 유사물(estramustine analogue); 에스트로겐 대항제; 에타니다졸(etanidazole); 에토포시드 포스페이트(etoposide phosphate); 엑서메스탄(exemestane); 파드로졸(fadrozole); 파자라빈(fazarabine); 펜레티니드(fenretinide); 필그라스팀(filgrastim);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플레젤라스틴(flezelastine); 플루아스테론(fluasterone); 플루오로다우노루니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fluorodaunorunicin hydrochloride); 포페니멕스(forfenimex); 포메스탄(formestane); 포스트레신(fostrecin); 가돌리늄 텍사피린(gadolinium texaphyrin); 갈륨 니트레이트(gallium nitrate); 갈로시타빈(galocitabine); 가니렐릭스(ganirelix); 젤라티나제 억제제(gelatinase inhibitors); 젬시타빈(gemcitabine); 글루타치온 억제제(glutathione inhibitors); 헤프술감(hepsulgam); 헤레굴린(heregulin); 헥사메틸렌 비스아세트아미드; 하이페리 신(hypericin); 이반드로닉 애시드(ibandronic acid); 이다루비신(idarubicin); 이독시펜(idoxifene); 이드라만톤(idramantone); 일모포신(ilmofosine); 일로마스타트(ilomastat); 이마티닙(imatinib) (예를 들면, Gleevec®), 이미퀴모드(imiquimod); 면역자극 펩타이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 수용체 억제제(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inhibitor); 인터페론 대항제; 인터페론; 인터루킨; 아이오벤구안(iobenguane); 아이오도독소루비신(iododoxorubicin); 이포미아놀(ipomeanol), 4-; 이로플락트(iroplact); 이르소글라딘(irsogladine); 이소벤가졸(isobengazole); 이소호모할리콘드린 B(isohomohalicondrin B); 이타세트론(itasetron); 자스플라키놀리드(jasplakinolide); 카할랄리드 F(kahalalide F); 라멜라린-N 트리아세테이트(lamellarin-N triacetate); 란레오티드(lanreotide); 레이나마이신(leinamycin); 레노그라스팀(lenograstim); 렌티난 설페이트(lentinan sulfate); 렙톨스타틴(leptolstatin); 레트로졸(letrozole); 루케미아 억제 인자(leukemia inhibiting factor); 루코사이트 알파 인터페론(leukocyte alpha interferon); 루프롤리드(leuprolide)+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루프로렐린(leuprorelin); 레바미솔(levamisole); 리아로졸(liarozole); 선형 폴리아민 유사물; 친유성 디사카라이드 펩타이드(lipophilic disaccharide peptide); 친유성 플라티눔 화합물(lipophilic platinum compounds); 리소클린아미드(lissoclinamide) 7; 로바플라틴(lobaplatin); 롬브리신(lombricine); 로메트렉속(lometrexol); 로니다민(lonidamine); 로속잔트론(losoxantrone); 록소리빈(loxoribine); 루토테칸(lurtotecan); 루테티움 텍사피린(lutetium texaphyrin); 리소필린(lysofylline); 리틱 펩타이드(lytic peptides); 마이탄신(maitansine); 만노스타틴 A(mannostatin A); 마리마스타트(marimastat); 마소프로콜(masoprocol); 마스핀(maspin); 마트리리신 억제제(matrilysin inhibitors);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인나제 억제제(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메노가릴(menogaril); 메르바론(merbarone); 메테렐린(meterelin); 메티오니나제(methioninase);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MIF 억제제;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 밀테포신(miltefosine); 미리모스팀(mirimostim); 미토구아존(mitoguazone); 미토락톨(mitolactol); 미토마이신 유사물(mitomycin analogues); 미토나피드(mitonafide); 미토톡신 피브로블라스트(mitotoxin fibroblast) 성장인자-사포린(saporin); 미토잔트론(mitoxantrone); 모파로텐(mofarotene); 몰그라모스팀(molgramostim); 에르비툭스(Erbitux), 인간 융모막 고나도트로핀(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모노포스포릴 리피드(monophosphoryl lipid) A+미오박테리움 세포벽 sk(myobacterium cell wall sk); 모피다몰(mopidamol); 머스타드 항암제; 미카페록사이드 B(mycaperoxide B); 미코박테이라 세포벽 추출물(mycobacterial cell wall extract); 미리아포론(myriaporone); N-아세틸디날린; N-치환 벤즈아미드; 나파렐린(nafarelin); 나그레스팁(nagrestip); 날록손(naloxone)+펜타조신(pentazocine); 나파빈(napavin); 나프테르핀(naphterpin); 나토그라스팀(nartograstim); 네다플라틴(nedaplatin); 네모루비신(nemorubicin); 네리드로닉(neridronic) 애시드; 닐루트아미드(nilutamide); 니사마이신(nisamycin); 니트릭 옥사이드 조정자(nitric oxide modulators); 니트록사이드 항산화제(nitroxide antioxidant); 니트룰린(nitrullyn); 오블리머센(oblimersen) (Genasense®); 06-벤질구아닌; 옥트레오티드(octreotide); 오키세논(okicenone);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s); 오나프리스톤(onapristone); 온단세트론(ondansetron); 온단세트론(ondansetron); 오라신(oracin); 경구 사이토카인 유발인자; 오마플라틴(ormaplatin); 오사테론(osaterone);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옥사우노마이신(oxaunomy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파클리탁셀 유사물(paclitaxel analogues); 파클리탁셀 유도체(paclitaxel derivatives); 팔라우아민(palauamine); 팔미토일리족신(palmitoylrhizoxin); 팔미드로닉(pamidronic) 애시드; 파낙시트리올(panaxytriol); 파노미펜(panomifene); 파라박틴(parabactin); 파젤립틴(pazelliptine); 페가파가제(pegaspargase); 펠데신(peldesine); 펜토산 폴리설페이트 소디움(pentosan polysulfate sodium); 펜토스타틴(pentostatin); 펜트로졸(pentrozole); 퍼플루브론(perflubron); 퍼포스파미드(perfosfamide); 페릴릴 알코올(perillyl alcohol); 페나지노마이신(phenazinomycin); 페닐아세테이트; 포스파타제 억제제(phosphatase inhibitors); 피시바닐(picibanil); 필로카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pilocarpine hydrochloride); 피라루비신(pirarubicin); 피리트렉심(piritrexim); 플라세틴(placetin) A; 플라세틴 B; 플라스미노겐 활성자 저해제(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플라티눔 복합체(platinum complex); 플라티눔 화합물(platinum compounds); 플라티눔-트리아민 복합체(platinum-triamine complex); 포르피머 소디움(porfimer sodium); 포르피로마이신(porfiromycin);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로필 비스-아크리돈(propyl bis-acridone); 프로스탄글란딘 J2; 프로테아좀 억제제; 단백질 A-기초 면역 조절자; 단백질 키나제 C 억제제; 단백질 키나제 C 억제제, 마이크로알갈;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제 억제제; 퓨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 억제제; purpurins; 피라졸로아크리딘; 피리독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폴리옥시에틸렌 컨쥬게이트; 라프(raf) 대항제; raltitrexed; 라모세트론; 라스 파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라스 억제제; 라스-GAP 억제제; 레텔리프틴 디메틸레이티드; 레늄 Re 186 에티드로네이트(rhenium Re 186 etidronate); 리족신(rhizoxin); 리보자임; RII 레티나미드; 로히투킨; 로무티드(romurtide); 로퀴니멕스(roquinimex); 루비기논(rubiginone) B1; 루복실; 사핀골; 사인토핀; SarCNU; 사르코피톨 A; 사르그라모스팀(sargramostim); Sdi 1 유사체(mimetics); 세무스틴; 노화 유래 억제제 1(senescence derived inhibitor 1); 감각 올리고뉴클리오티드(sense oligonucleotides); 신호전달 억제제(signal transduction inhibitors); 시조피란(sizofiran); 소부족산; 소디움 보로캅테이트;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 솔베롤; 소마토메딘 결합 단백질; 소네르민(sonermin); 스파르포식(sparfosic) 애시드; 스피카마이신(spicamycin) D; 스피로무스틴(spiromustine); 스플레노펜틴(splenopentin); 스폰지스타틴(spongistatin) 1; 스쿠알아민(squalamine); 스티피아미드(stipiamide);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 억제제; 술피노신(sulfinosine); 수퍼액티브 바소액티브 인테스티날 펩타이드(superactive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대항제; 수라디스타(suradista); 수라민(suramin); 스웨인소닌(swainsonine); 탈리무스틴(tallimustine); 타목시펜 메티오디드(tamoxifen methiodide); 타우로무스틴(tauromustine); 타자로텐(tazarotene); 테코갈란 소디움(tecogalan sodium); 테카푸르(tegafur); 텔루라피릴륨(tellurapyrylium); 텔로머라제 억제제(telomerase inhibitors); 테모포르핀(temoporfin); 테니포시드(teniposide); 테트라클로로데카옥사이드(tetrachlorodecaoxide); 테트라조민(tetrazomine); 탈리블라스틴(thaliblastine); 티오코랄린(thiocoraline); 트롬보포이에틴(thrombopoietin); 트롬보포이에틴 유사체(thrombopoietin mimetic); 티말파신(thymalfasin); 티모포이에틴 수용체 작용제(thymopoietin receptor agonist); 티모트리난(thymotrinan); 티로이드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틴 에틸 에티오푸푸린(tin ethyl etiopurpurin); 티라파자민(tirapazamine); 티타노센 비클로라이드(titanocene bichloride); 토프센틴(topsentin); 토레미펜(toremifene); 번역 저해제(translation inhibitors); 트레티노인(tretinoin); 트리아세틸우리딘(triacetyluridine); 트리시리빈(triciribine); 트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 트리프토렐린(triptorelin); 트로피세트론(tropisetron); 투로스테리드(turosteride);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s); 티르포스틴(tyrphostins); UBC 억제제; 유베니멕스(ubenimex); 비뇨생식굴-유래 성장 억제 인자(urogenital sinus-derived growth inhibitory factor); 유로키나제 수용체 (urokinase receptor) 대항제; 바프레오티드(vapreotide); 바리올린(variolin) B; 베라레솔(velaresol); 베라민(veramine); 베르딘(verdins); 베르테포르 핀(verteporfin); 비노렐빈(vinorelbine); 빈잘틴(vinxaltine); 비탁신(vitaxin); 보로졸(vorozole); 자노테론(zanoterone); 제니플라틴(zeniplatin); 질라스코릅(zilascorb); 및 지노스타틴 스티말라머(zinostatin stimalamer)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암(cancer)"라는 용어는 고체 종양 및 혈액 종양(blood born tumor)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암”이라는 용어는 방광, 뼈 또는 혈액, 뇌, 유방, 자궁목, 가슴, 결장, 엔드로메트리움(endrometrium), 식도, 눈, 머리, 신장, 간, 림프절, 폐, 입, 목, 난소, 췌장, 전립선, 직장, 위, 고환, 인후 및 자궁의 암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피부 조직, 기관, 혈액 및 혈관의 질병을 의미한다. 특정 암은 진행 암(advanced malignancy), 아밀로이드증, 신경모세포종, 수막종, 혈관주위세포종, 다발성 뇌 전이(multiple brain metastase), 다형성 아교모세포종(glioblastoma multiforms), 아교모세포종(glioblastoma), 뇌 줄기 신경아교종(brain stem glioma), 나쁜 예후 악성 뇌 종양(poor prognosis malignant brain tumor), 악성 신경아교종(malignant glioma), 재발성 악성 신경아교종(recurrent malignant glioma), 역형성별세포종(anaplastic astrocytoma), 역형성 희소돌기아교세포종(anaplastic oligodendroglioma), 신경내분비 종양, 직장 샘암종(adenocarcinoma), Dukes C & D 직장결장 암, 수술에 의해 제거될 수 없는(unresectable) 직장결장 암, 전이성 간세포 암종, 카포시육종, 카로타입(karotype) 급성 골수모구 백혈병, 호지킨 림프종(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 림프종, 피부 T-세포 림프종, 피부 B-세포 림프종, 확산 거대 B-세포 림프 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낮은 등급 감상샘소포암종(low grade follicular lymphoma), 악성 흑색종, 악성 중피세포암종(mesothelioma), 악성 가슴막삼출 중피세포암종 신드롬(pleural effusion mesothelioma syndrome), 복강 암종, 유두샘 장액 암종(papillary serous carcinoma), 부인성 암종(gynecologic sarcoma), 연 조직 암종(soft tissue sarcoma), 스셀로더마(scelroderma), 피하 맥관염, 란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평활근육종, 선천골화섬유형성이상(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e), 호르몬 무반응 전립샘 암, 수술제거 고 위험 연조직 암(resected high-risk soft tissue sarcoma), 수술로 제거되기 어려운 간세포 암종(unresc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왈덴스트롬 마크로글로블린혈증, 노출성 골수종(smoldering myeloma), 무통성 골수종, 자궁관 암, 안드로겐 비의존성 전립샘 암, 안드로겐 의존성 스테이지 IV 비-전이성 전림샘 암, 호르몬-비감작성(hormone-insensitive) 전립샘 암, 화학요법제-비감작성 전립샘 암, 유두 감상샘 암종, 소포(follicular) 갑상생 암종, 속질(medullary) 갑상생 암종, 및 평활근종(leiomyoma), 두경부암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효과적인 암은 유방암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암은 전이성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암은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에 대해 난치성 또는 내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부가적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일 유닛 투여 형태는 환자에게 경구, 점막(예를 들어, 비강, 설하, 질, 버칼, 또는 직장), 비경구적(예를 들어, 피하, 정맥, 볼루스 주입, 근육내 또는 동맥내), 국소(예를 들어, 눈), 경피(transdermal) 또는 피부통과(transcutaneous) 투여하기에 적절하다. 투여 형태의 예는 정제; 캐프릿(caplets); 부드러운 탄성 젤라틴 캅셀과 같은 캅셀제; 캐세트(cachets); 트로키; 로젠즈(lozenges); 분산제; 좌제; 파우더; 에어로솔(예를 들어, 비강 스프레이 또는 인홀러); 겔; 현탁제제(예를 들어, 수상 또는 비-수상 액상 현탁제제, 수중유형 유제, 또는 유중수형 액상 유제) 용액제 및 엘릭실제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경구 또는 점막 투여하기에 알맞은 액상 투여 제형; 환자에게 주사 투여하기에 알맞은 액상 투여 제형; 국소 투여하기에 적당한 아이 드랍(eye drop) 또는 다른 안과 제제; 및 환자에게 주사 투여하기에 적당한 액상 투여 형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재구성될 수 있는 멸균 고상제제(예를 들어, 결정형 또는 무정형 고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투여 형태의 조성물, 모양, 및 타입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사용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질환의 급성 치료를 위해 사용된 투여 형태는 동일한 질환의 만성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투여 형태보다 그것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많은 양을 함유할 수 있다. 유사하게, 비경구적 투여 형태는 동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경구 투여 형태보다 그것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더 적은 양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특정 투여 형태 의 이러한 및 다른 방식들은 각각 매우 다양하고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1990) 참조.
전형적인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부형제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적절한 부형제의 비-한정적 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특정 부형제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여부는 투여 형태가 환자에게 투여되는 방식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여러 가지 인자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정제와 같은 경구 투여 형태 비경구 투여 형태에서의 사용에 알맞지 않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성분이 분해하는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한 화합물은 안정화제, 아스코르빅 산과 같은 항산화제, pH 완충제, 또는 염 완충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형제의 양 및 타입과 같이, 투여 형태 내에서 활성 성분의 양 및 특정 형태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경로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인자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 적당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예를 들어, 츄어블정), 캐플릿(caplet), 캅셀, 및 액제(예를 들어, 가향된(flavored) 시럽)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별개의 투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투여 형태는 미리 정해진 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약학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1990) 참조.
본 발명의 일반적 경구 투여 형태는 활성 성분을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와 통상적인 약학적 혼합 기술에 따라서 치밀한 혼합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부형제는 투여를 위해 바람직한 제제의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액상 또는 에어로솔 투여 형태의 사용에 적합한 부형제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코올, 향료 성분, 보존제, 및 착색 성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경구 투여 형태(예를 들어, 파우더, 정제, 캅셀제 및 캐플릿)에서 사용하기에 알맞은 부형제의 예는 전분, 설탕, 미결정 셀룰로오스, 부형제, 과립화제, 활택제, 결합제, 및 붕해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의 편리함 때문에, 정제 및 캅셀제는 가장 유용한 경구 투여 유닛 형태이고, 이 경우 고형 부형제가 적용된다. 바람직하다면, 정제는 표준 수상 또는 비수상(nonaqueous) 기술을 이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그러한 투여 형태는 약학 분야의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활성 성분과 액상 운반체, 미세하게 분리된 고체 운반체, 또는 둘 모두와 균일하고 친밀하게(intimately) 혼합하고, 그 후 필요하다면 바람직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 프로덕트를 모양냄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정제는 압축 또는 몰딩(mold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축 정제는 적당한 기기를 사용하여 파우더 또는 과립과 같은 유동성이 있는 형태인 활 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부형제와 혼합하여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주조 정제(molded tablet)는 적당한 기기를 사용하여 비활성의 액상 부형제로 습윤된 분말화된 혼합물을 몰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의 예는 결합제, 충진제, 붕해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서의 사용에 적당한 결합제는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또는 다른 전분, 젤라틴, 아카시아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류, 소디움 알지네이트, 알지닉 산, 다른 알지네이트, 분말 트라가칸트(powdered tragacanth), 구아 검(guar gum),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파이로리돈, 메틸 셀룰로오스, 프리-젤라틴화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로스, (예를 들어, Nos. 2208, 2906, 2910), 미결정 셀룰로오스,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결정 셀룰로오스의 적절한 형태는 AVICEL-PH-101, AVICEL-PH-103, AVICEL RC-581, AVICEL-PH-105 (FMC Corporation, American Viscose Division, Avicel Sales, Marcus Hook, PA에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함)이란 명칭으로 팔리는 물질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결합제는 AVICEL RC-581이라는 명칭으로 시판되는 미결정 셀룰로오스와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이다. 적당한 무수 또는 낮은 수분 첨가제 또는 부가제는 AVICEL-PH-103TM 및 Starch 1500 LM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충진제의 예는 탈크, 칼슘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과립 또는 파우더),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말 셀룰로오스, 덱스트레이트, 카올린, 만니톨, 실리식 산, 소르비톨, 전분, 프리-젤라틴환 전분,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결합제 또는 충진제는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의 약 50 내지 약 99 중량 퍼센트 존재한다.
붕해제는 정제가 수성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붕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다. 너무 많은 붕해제를 함유한 정제는 보관 중에 붕해될 수 있는 반면, 너무 적게 함유한 정제는 바람직한 조건 하에서 바람직한 속도로 붕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활성 성분의 방출을 조절하는데 나쁘지 않도록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은 충분한 붕해제의 양이 본 발명의 고형 경구 투여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사용된 붕해제의 양은 제제의 타입에 따라 다양하고,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전형적인 약학적 조성물은 약 0.5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의 붕해제,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 중량 퍼센트의 붕해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붕해제는 아가-아가, 알지닉 산, 칼슘 카보네이트, 미결정 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스 소디움, 크로스포비돈, 포라크릴린 포타시움, 소디움 전분 글리콜레이트,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다른 전분, 프리-젤라틴화 전분, 다른 전분, 점토, 다른 알진, 다른 셀룰로오스, 검류,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활택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미네랄 오일, 경(light) 미네랄 오일,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른 글리콜, 스테아릭 산,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탈크, 수소화 식물유(예를 들어, 땅콩 유, 면실 유, 해바라기 유, 참깨 유, 올리브 유, 옥수수 유, 및 콩 유), 진크 스테아레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에틸 라우레에이트, 아가,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 활택제는 예를 들어, 실로이드 실리카 (AEROSIL200, W. R. Grace Co. 제조, Baltimore, MD), 합성 실리카의 응고 에어로솔(coagulated aerosol of synthetic silica, Degussa Co. 제조, Plano, TX), CAB-O-SIL (pyrogenic silicon dioxide product, Cabot Co., Boston, MA),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만약 사용된다면, 활택제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의 약 1 중량 퍼센트 이하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체 경구 투여 형태는 본 발명의 선택적 사이토카인 억제 약물, 무수 락토스, 미결정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파이로리돈, 스테아릭 산, 콜로이달 무수 실리카, 및 젤라틴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은 조절 방출 수단에 의해서 또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전달 장치에 의해서 투여될 수 있다. 예는 미국특허 제3,845,770호; 제3,916,899호; 제3,536,809호; 제3,598,123호; 및 제4,008,719호, 제5,674,533호, 제5,059,595호, 제5,591,767호, 제5,120,548호, 제5,073,543호, 제5,639,476호, 제5,354,556호, 및 제5,733,566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용문헌은 그 인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그러한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다양한 비율로 바람직한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드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다른 폴리머 매트릭스들, 겔, 투과성 막, 삼투 시스템, 다층 코팅, 마이크로파티클, 리포솜,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성분의 느린 또는 조절-방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적절한 조절-방출 제제는 본 발명의 활성 성분에 있어 사용을 위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조절-방출을 위해 적합한 정제, 캅셀제, 겔캡제(gelcaps), 및 캐플릿과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경구 투여를 위해 적당한 단일 유닛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모든 조절-방출 약학적 조성물은 그들의 비-조절된 대응물에 의해 달성되는 약물 치료 효과를 개선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목적을 가진다. 이상적으로, 의료 치료에 있어 최적으로 설계된 조절-방출 제제의 사용은 최소의 시간 내에 상태를 치료 또는 조절하도록 채택된 최소 약물 물질에 의해 특징져진다. 조절-방출 제제의 이점은 약물의 확장된 활성, 감소된 투여 주기, 및 증가된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조절-방출 제제는 작용의 개시 시기 또는 약물의 혈중 레벨과 같은 다른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부가 반응(예를 들어, 부작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부분의 조절-방출 제제는 초기에 바람직한 치료 효과를 즉시 나타낼 수 있 는 약물(활성 성분)의 양을 방출하고, 점차적으로 연속하여 확장된 시기 동안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의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약물의 다른 양을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체내에서 이러한 일정한 약물 레벨을 유기하기 위해서, 약물은 투여 형태로부터 체내에서 배출 및 대사되는 약물의 양을 대체하는 속도로 방출되어야 한다. 활성 성분의 조절-방출은 pH, 온도, 효소, 수분, 또는 다른 생리적인 조건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조건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형태는 환자에게 피하, 정맥(볼루스 주입을 포함), 근육내, 및 동맥내 경로를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투여는 일반적으로 오염원에 대한 환자의 자연적 방어를 우회할 수 있기 때문에, 비경구적 투여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멸균 또는 환자에게 투여 전에 멸균될 수 있어야 한다. 비경구적 투여 형태의 예는 주사용 용액, 주사를 위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히클로 용이하게 용해 또는 현탁될 수 있는 건조 프로덕트, 주사용 현탁액, 및 유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비경구적 투여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비히클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는 USP 주사용 증류수; 소디움 클로라이드 주사액, 링거 주사액, 덱스트로스 주사액, 덱스트로스 및 소디움 클로라이드 주사액, 및 락테이티드 링거 주사액과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수성 비히클; 에틸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물-혼화성 비히클; 옥수수 유, 면실 유, 땅콩 유, 참깨 유, 에틸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비-수상 비히클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 또한 본 발명의 비경구적 투여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는 본 발명의 선택적 사이토카인 억제 약물 및 그의 유도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134,127호 참조. 상기 문헌은 인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국소 및 점막 투여 형태는 스프레이, 에어로솔, 용액, 유제, 서스펜션, 아이 드랍 또는 다른 안과 제제, 또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른 형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and 18th eds., Mack Publishing, Easton PA (1980 & 1990); 및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Dosage Forms, 4th ed., Lea & Febiger, Philadelphia (1985) 참조. 구강 내 점막 조직을 치료하기 위해 적당한 투여 형태는 양치질 약(mouthwash) 또는 경구 겔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국소 및 점막 투여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첨가제(예를 들어, 운반체 및 부형제) 및 다른 물질들은 약학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주어진 약학적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가 적용될 특정 조직에 의존한다. 상기 사실을 염두에 두고, 용액, 유제 또는 겔제를 형성하기 위한 전형적인 첨가제는 물, 아세톤,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 로필렌 글리콜, 부탄-1,3-디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미네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비-독성이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가습제(moisturizer) 또는 습윤제(humectant) 또한 바람직하다면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한 부가적 성분의 예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and 18th eds., Mack Publishing, Easton PA (1980 & 1990) 참조.
약학적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의 pH 또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전달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용매 운반체의 극성, 그의 이온 강도, 또는 삼투압도 전달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화합물이 전달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친수성 또는 친유성을 이롭게 조정하기 위하여 약학적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테아레이트는 제제화를 위한 지질 비히클로써, 유화제로써 또는 계면활성화제로써, 및 전달-촉진 또는 침투-촉진 성분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다른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 생성되는 조성물의 물성을 더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경구투여 또는 정맥투여가 바람직하고, 그 유효용량은 경구투여인 경우에는 보통 성인을 기준으로 1회에 1 내지 500 mg이 바람직하며, 정맥투여인 경우에는 0.1 내지 100 mg이 바람직하다. 특정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성별, 연령,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그리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enistein 이라는 flavonoid의 한 종류로서 유방암 세포 중에서도 에스트로겐 리셉터를 갖고 있는 MCF-7 세포에 대해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Genistein에 의한 세포 사멸은 calpain 과 caspase-7, 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 의 활성이 관여하고 있다. 또한 소포체에서부터 칼슘이온 방출을 억제하는 억제제로 dantrolene을 사용하여 Genistein에 의한 calpain과 caspase 7 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Genistein이 처리된 MCF-7 세포는 p38 MAPK가 인산화되어 활성화가 유도되었으며, 이와는 달리 ERK1/2의 활성화는 유도되지 않았다. p38 MAPK의 상위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는 ASK1의 인산화 활성화 또한 Genistein처리에 의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Dantrolene을 함께 처리한 결과 Genistein에 의해 유도된 ASK1 과 p38 MAPK 의 인산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MCF-7 세포에서 Genistein 에 의한 세포사멸이 calpain/caspase 7 과 소포체에서 칼슘 이온 방출로 인한 ASK1-p38 MAPK 활성에 매개 되어 일어남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Genistein 이라는 flavonoid의 한 종류로서 유방암 세포 중에서도 에스트로겐 리셉터를 갖고 있는 MCF-7 세포에 대해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메커니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Genistein에 의한 세포 사멸은 calpain 과 caspase-7, 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의 활성이 관여하고 있다. 또한 소포체에서부터 칼슘이온 방출을 억제하는 억제제로 dantrolene을 사용하여 Genistein에 의한 calpain 과 caspase 7 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Genistein이 처리된 MCF-7 세포는 p38 MAPK가 인산화되어 활성화가 유도되었으며, 이와는 달리 ERK1/2의 활성화는 유도되지 않았다. p38 MAPK의 상위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는 ASK1의 인산화 활성화 또한 Genistein 처리에 의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Dantrolene을 함께 처리한 결과 Genistein 에 의해 유도된 ASK1 과 p38 MAPK의 인산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MCF-7 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세포사멸이 calpain/caspase 7 과 소포체에서 칼슘이온 방출로 인한 ASK1-p38 MAPK 활성에 매개되어 일어남을 보여주었다.
현재 알려져 있는 여러 유방암 치료제는 예상할 수 없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기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치료약이 개발 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위적이기 보다는 자연적인 물질로부터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자연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의 개발이 활발해 지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본 Genistein의 유방암 세포에서의 메커니즘 규명은 앞으로 유방암 치료제 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 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방암 MCF -7 세포에 대한 Genistein 의 세포 사멸 유도
본 발명은 유방암 MCF-7 세포에 대한 Genistein의 세포 사멸 유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MCF-7 세포 증식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Genistein은 비교군으로 사용한 etoposide 처리보다 조금 높은 27.5± 0.8 마이크로몰라에서 50%의 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내었다 (도 2A 참조). 세포사멸을 일으키기기 위한 Genistein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시간과 농도간격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세포로부터 얻은 DNA를 전기영동을 통해 DNA 분열 정도를 수행 하였다 (도 2B와 2C 참조). 이러한 실험 수행을 통해 Genistein의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는 세포 사멸적 DNA 분열을 확인하였으며, MCF-7 세포에서의 Genistein에 의한 세포 사멸에 관한 분자학적 메커니즘 연구 수행은 100 마이크로몰라의 농도로 정하였다.
실시예  2. Genistein 에 의한 세포 사멸에 caspase 단계적 과정 관여
본 발명은 Genistein에 의한 세포 사멸에 caspase 단계적 과정 참여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 분석법을 수해하였다 (도 3 참조). Caspase-7은 35 kDa의 크기에서 17 kDa으로 분열되어 활성화를 띠며, 100 마이크로몰라의 Genistein을 MCF-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확인하였다. 게다가, 세포사멸을 활성화시키는 caspase 단계적 과정의 표지요소로 85 kDa PARP 형태의 증가를 Genistein을 처리한 세포에서 발견하였다.
실시예 3. Dantrolene 처리에 따른 Genistein 에 의한 세포사멸 변화
본 발명은 Genistein에 의한 caspase 7 활성이 소포체로부터의 칼슘 붕괴에 관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칼슘 이온의 방출 억제제인 dantrolene과 thapsigargin을 Genistein과 함께 처리한 MCF-7 세포는 Genistein에 의해 활성환 된 caspase-7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도 4 참조). Dantrolene가 존재한 경우 Genistein에 의한 세포 성장 억제가 20~30%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참조). 또다른 칼슘 이온의 에너지원 억제제인 thapsigargin은 MCF-7 세포에 대한 Genistein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 사멸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본 발명은 Genistein을 처리한 MCF-7 세포에서 얻은 단백질을 사용하여 calpain 활성을 측정하였다. Genistein을 처리한 세포는 calpain 활성이 증가였으며, calpain 억제제인 Z-LLY-FMK를 함께 처리한 경우 calpain 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6A 참조). dantrolene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도 Genistein에 의한 calpain 활성이 감소함을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6B 참조).
실시예 4. Genistein 에 의한 p38 MAPK 인산화 유도
본 발명은 Genistein에 의한 세포사멸에 MAPK 신호전달 과정의 관여를 알아보기 위해 Genistein 처리 후 시간별에 따른 p38 MAPK와 ERK1/2 인산화 정도 실험 을 수행하였다. 각각 인산화된 p38 MAPK와 ERK1/2를 잡을 수 있는 항체를 사용하여 western blot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Genistein 처리 3시간 이후부터 인산화된 p38 MAPK 활성이 나타났으며, 24시간 이후까지 증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도 7 참조). 그러나, Genistein 처리 후 ERK1/2의 인산화 활성은 거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38 MAPK 활성 억제제인 SB203580을 세포에 처리하고 Genistein의 p38 MAPK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도 8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Genistein을 6시간 정도 처리한 경우 p38 MAPK의 인산화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Genistein에 따른 세포 증식 억제도 60% 정도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B 참조). 또한 dantrolene을 전처리하고 12시간 동안 Genistein을 후처리했을 경우 Genistein에 의해 유도되었던 p38 MAPK 인산화 정도가 감소함을 명확히 확인하였다 (도 9 참조).
실시예 5 : Genistein 에 의한 세포 사멸과 ASK1 활성의 관계성
본 발명은 Genistein의 ASK1과 p38 MAPK 활성의 중요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MCF-7 세포에 Genistein을 처리하고 시간에 따라 회수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ASK1의 활성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10A 참조). Genistein 처리하고 1시간 후에 ASK1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9 시간 정도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Genistein에 의한 ASK1 활성이 칼슘 이온 방출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Genistein과 dantrolene을 처리하였다. Genistein에 의해 유도된 ASK1 활성이 dantroelene 처리에 따라 약해짐을 확인하였다 (도 10B 참조).
실시예 6 : 유방암 MCF -7 세포에 대한 Genistein ROS 생성의 관계
본 발명은 Genistein 처리함에 따라 MCF-7 세포 내에 ROS 생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포내 과산화에 따른 산화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표지물인 DCFH-DA를 사용하였다. 비교군으로 H2O2를 처리하여 Genistein의 효과와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1 mM H2O2를 처리한 세포로부터 형광의 DCF를 확인하였으나 Genistein을 처리한 경우는 어떠한 DCF 형광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세포 내 ROS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인 N-acetyl-L-cysteine (NAC)을 처리하여 앞의 결과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H2O2 에 의해 발생된 ROS 생성양이 NAC 처리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Genistein의 경우에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Genistein을 처리한 세포 증식 억제에도 동일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암 물질로 사용한 Genistein의 구조를 보여주며, isoflavone 화합물 형태를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Genistein 에 의한 유방암 세포의 세포 사멸 정도를 각 농도와 시간별로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서 Circle은 콘트롤로서 아무것도 안 넣은 것이고 triangle은 geniestein을 첨부한것이며 square는 etoposide로서 기존의 항암제로 알려진 식물성 알칼로이드계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Genistein 농도 증가에 따른 caspase 7과 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의 활성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Genistein 이 유방암 세포 내의 칼슘이온을 증가시킴으로 인한 caspase 7 활성을 유도했음을 미토콘드리아내의 칼슘이온 방출을 억제하는 억제제인 dantrolene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증명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Genistein 에 의한 세포 사멸 정도가 dantroele을 함께 처리함에 따라 세포 사멸이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Genistein 처리에 따른 세포 내 calpain 활성의 증가와 dantrolene 처리에 의한 calpain 활성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00 mM Genistein 을 시간별로 처리하였을 때, 유방암 세포 내의 p38 MAPK 활성의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Genistein에 의한 세포 사멸과 p38 MAPK 활성 증가가 p38 MAPK 활성 억제제 SB203580 처리에 따라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Genistein에 의한 p38 MAPK 활성 증가가 칼슘 이온 방출 억제제인 dantrolene 처리에 따라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Genistein에 의한 apoptosis signaling kinase (ASK) 1 활성 증가와 p38 MAPK 활성 억제제 SB203580 처리에 따라 그 활성이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유효량의 5,7-다이하이드록시(Dihydroxy)-3-(4-하이드록시페닐)-4H-1-벤조피란-4-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50μM에서 2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칼파인(calpain)과 캐스페이즈(caspase) 7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소포체에서 칼슘 이온 방출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에팝토시스 시그날링 카이네이즈(apoptosis signaling kinase) 1의 인산화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치료 및 예방은 p38 MAPK 인산화 의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070128342A 2007-12-11 2007-12-11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90061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42A KR20090061356A (ko) 2007-12-11 2007-12-11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42A KR20090061356A (ko) 2007-12-11 2007-12-11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356A true KR20090061356A (ko) 2009-06-16

Family

ID=4099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342A KR20090061356A (ko) 2007-12-11 2007-12-11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3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8707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2004007282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2046331B1 (en) Use of 3- (4-amino-1-oxo-1,3-dihydro-isoindol-2-yl)-piperidine-2,6-dione for the treatment of mantle cell lymphomas
US2002012822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S2940302T3 (es) Métodos para tratar el mieloma múltiple con compuestos inmunomoduladores en combinación con anticuerpos
WO2012050374A2 (en) Immunotherapy for solid tumors
CN103142594A (zh) 使用3-(4-氨基-1-氧代-1,3-二氢-异吲哚-2-基)-哌啶-2,6-二酮治疗某些白血病的方法
US2010012936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pde4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ancers
US10604510B2 (en) Solid forms comprising (1E, 4E)-2-amino-N,N-dipropyl-8-(4-(pyrrolidine-1-carbonyl)phenyl)-3H-benzo[B]azepine-4-carboxami compositions thereof, and uses thereof
US9839632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4-amino-2-(2,6-dioxo-piperidine-3-yl)-isoindoline-1,3-dione for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cancers
US10159675B2 (en) Cycling therapy using 3-(5-amino-2-methyl-4-oxo-4H-quinazolin-3-yl)-piperidine-2,6-dione
EP165612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100898330B1 (ko) 항암성을 갖는 새로운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7-o-(3-벤질옥시프로필)-5,4' -o-디메틸-아피제닌, 그 제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WO2004065572A2 (en) Proteic binding partners of tctp and methods of modulating tumor reversion or cell apoptosis
KR20090061358A (ko) 아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EP2504703B1 (en) Immunomodulatory compounds for the restoration of vitamin d sensitivity in vitamin d resistant tumor cells
KR20090061356A (ko)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10139397A (ko) 다약제 내성 저해 활성을 갖는 5,6-벤조플라본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약제 내성 저해용 조성물
US10646479B2 (en) Use of N-(4-iodobenzoylamino)-5-ethyl-1,2,3,6-tetrahydropyridine as a treatment for cancer
WO2007143096A2 (en) Compounds for treating cancers
KR20100134966A (ko) 4'-o-글루코스-루테올린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20100134986A (ko) 7-메톡시-3-(4-메톡시페닐)-4에이치-크로멘-4-온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WO1999004817A1 (en) Chemotherapy synergistic agent
KR20100138395A (ko) 항암 및 전이억제 효과를 갖는 스피라에오사이드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