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246A -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246A
KR20090061246A KR1020070128184A KR20070128184A KR20090061246A KR 20090061246 A KR20090061246 A KR 20090061246A KR 1020070128184 A KR1020070128184 A KR 1020070128184A KR 20070128184 A KR20070128184 A KR 20070128184A KR 20090061246 A KR20090061246 A KR 2009006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media content
digital
input port
exter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614B1 (ko
Inventor
이진영
천경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14B1/ko
Priority to CNA2008102153129A priority patent/CN101459804A/zh
Priority to US12/330,970 priority patent/US20090147146A1/en
Publication of KR2009006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기기와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해 접속하는 디지털 TV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TV는 휴대 기기가 접속되면, 접속된 휴대 기기의 종류를 인지하고 휴대 기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TV의 자체 화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는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손쉽게 휴대 기기의 컨텐트를 디지털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edia content of portable device through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디지털 TV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와 연동하여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에서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가 점점 모바일화 되고, 디지털 컨버전스 경향이 가속화됨에 따라, 실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휴대 기기들은 원래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부가적으로 갖추게 되었다.
예를 들면, 요즘 출시되는 대부분의 휴대폰에는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캠코더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녹화할 수 있는 기능까지 구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기기의 다기능화에 따라, 휴대 기기는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에서 미디어 컨텐트를 생산하는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휴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 기기 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휴대 기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검색하여 재생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 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휴대 기기의 배터리 용량이나화면 크기 등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는 미디어 컨텐트를 감상하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다.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상, 휴대 기기를 통해 생산된 미디어 컨텐트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옮겨서 편집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을 이용하여 찍은 디지털 사진이나 동영상은 휴대폰의 화면이 작아서 감상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트를 큰 화면의 디지털 TV를 통해 감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110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TV의 전원을 인가한다.
단계 120에서, 디지털 TV와 휴대 기기를 USB 등의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해 접속한다.
단계 130에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디지털 TV의 출력 모드를 휴대용 메모리가 접속된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모드로 전환한다.
단계 140에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휴대용 메모리의 디렉토리 구조에서 재생하기 원하는 미디어 컨텐트를 찾아서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기기가 디지털 TV와 USB 포트를 통해 접속되면 휴대 기기는 디지털 TV에게 대용량 저장 장 치(mass storage)로 인식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미디어 컨텐트를 지정하여 선택해 주어야 한다.
단계 150에서, 디지털 TV는 선택된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려고 할 때마다, 디지털 TV의 출력 모드를 조절해야 하고 리모컨을 통해 휴대용 메모리의 디렉토리를 탐색하여 재생할 미디어 컨텐트를 지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기기와 접속되면 사용자의 개입이 없어도 자동으로 휴대 기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디지털 TV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휴대 기기가 소정의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해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모드가 전환되면 상기 휴대 기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에게 기기의 종류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은 미디어 컨텐트의 생성 순서, 미디어 컨텐트의 용량, 미디어 컨텐트의 개수 및 미디어 컨텐트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기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휴대 기기 또는 상기 디지털 TV용 무선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화면을 상기 디지털 TV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입력 장치는 리모콘, 무선 마우스 및 무선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TV의 전원이 오프(OFF)였던 경우에는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기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휴대 기기와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의 출력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TV의 전원이 오프(OFF)였던 경우에는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기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휴대 기기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TV의 펌웨어(Firmware)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입력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한 접속은 무선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 기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도중 상기 휴대 기기로 문자 메시지, 이메일 및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상기 디지털 TV의 출력 장치를 통해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 기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휴대 기기가 소정의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해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출력 모드가 전환되면 상기 휴대 기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자체 출력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기기 또는 디지털 TV를 조작하지 않아도 휴대 기기를 TV에 접속하기만 하면 휴대 기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디지털 TV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의 휴대 기기는 자체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에서 자동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는 종류의 모든 기기를 의미하며, 어떠한 종류의 기기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TV가 자동으로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할 지는 디지털 TV 및 휴대 기기가 출시될 때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TV는 휴대 기기가 휴대폰인 경우에만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210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소정의 외부 포트를 통해 휴대 기기가 접속된다. 한편, 디지털 TV와 휴대 기기는 무선으로도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기기에 디지털 TV를 위한 동글(dongle)을 연결하여 디지털 TV와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휴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동안 디지털 TV는 휴대 기기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단계 220에서, 외부 포트를 통한 접속이 인지되면, 디지털 TV의 전원이 인가된다.
단계 230에서, 디지털 TV와 휴대 기기는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로의 기기 종류를 확인한다. 즉, 휴대 기기는 디지털 TV에게 수동적인 이동식 저 장 장치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 기기로 인식된다. 이 때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구체적인 사양에 대하여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지 않는다.
단계 240에서, 디지털 TV는 접속된 휴대 기기의 종류가 휴대폰인 것을 확인하였으면,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없어도, 해당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한다.
단계 250에서, 디지털 TV는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재생할 미디어 컨텐트를 선택한다. 이 때, 선택 기준은 미디어 컨텐트의 생성 순서, 미디어 컨텐트의 용량, 미디어 컨텐트의 개수, 미디어 컨텐트의 포맷 등이 될 수 있다.
어떠한 기준으로 미디어 파일을 선택할 것인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들 중 최근 일주일 내에 생성된 JPG 이미지 파일들을 100M Byte 이내의 범위에서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디지털 TV는 선택한 미디어 컨텐트를 휴대 기기에게 요청하고, 휴대 기기가 송신하는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 내에 저장함으로써 휴대 기기가 디지털 TV와 분리된 후에도 사용자는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를 이용하여 감상할 수 있다.
단계 270에서, 디지털 TV는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한편,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도중 휴대 기기에 문자 메시지, 이메일, 전화 등이 수신되면, 디지털 TV는 이를 자체 화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 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는 단지 휴대 기기를 디지털 TV에 접속하기만 하면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휴대 기기가 분리되었을 때의 디지털 TV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휴대 기기가 디지털 TV로부터 분리되고, 디지털 TV는 이를 인지한다.
단계 320에서, 디지털 TV는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의 원래 상태대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 출력 모드가 <외부입력1> 이었으면, 휴대 기기가 분리된 후 <외부입력1>로 출력 모드를 전환한다.
단계 330에서, 만약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에 디지털 TV가 꺼져있었다면, 휴대 기기가 디지털 TV로부터 분리되면 디지털 TV의 전원이 꺼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가 휴대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디지털 TV와 연결한 후, 디지털 TV용 무선 입력 장치를 통하여 메뉴 표시를 선택하면, 도 4와 같은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무선 입력 장치는 리모콘, 무선 마우스, 무선 키보드, 무선 마이크 등을 가리키며, 이하 동일하다.
도 4와 같은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무선 입력 장치 또는 휴대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1, 2번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는 각각 휴대폰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디지털 TV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3번 항목 및 4번 항목을 선택한 경우의 절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각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5번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는 디지털 TV의 다양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떠한 종류의 휴대 기기와 연결된 경우 그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재생할 미디어 컨텐트를 선택하는 기준, 반복 재생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휴대 기기는 휴대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510에서, 사용자가 무선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입력을 수행하거나, 도 4의 메뉴 화면에서 3번 항목을 선택하면, 디지털 TV는 휴대폰 사용 모드로 전환한다.
단계 520에서, 디지털 TV가 휴대폰 사용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휴대폰의 화면이 디지털 TV의 화면으로 표시되고, 휴대폰의 사운드가 디지털 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는 디지털 TV용 무선 입력 장치를 통하여 휴대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무선 키보드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도 있으며, TV 화면과 무선 마이크를 이용하여 휴대폰에서 제공되는 영상 통화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를 통해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기기는 휴대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610에서, 사용자가 무선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TV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명령을 송신하면, 디지털 TV는 휴대폰을 제어하여 원격의 서버에 접속한다.
단계 620에서, 디지털 TV는 원격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 TV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생산자에게 TV를 직접 보내거나 제조사의 담당 직원이 가정을 방문하여야 했으나,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집에서 쉽게 디지털 TV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700)는 외부 입력 포트(710), 전환부(720), 업그레이드부(730), 제어부(740), 수신부(750), A/V 출력부(760) 및 재생부(770)를 포함한다.
외부 입력 포트(710)는 디지털 TV(700)와 휴대 기기(780)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USB(Universal Serial Bus), 무선 랜 카드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 될 수 있다.
전환부(720)는 외부 입력 포트(710)를 통해 휴대 기기(780)가 접속되면, 휴대 기기(780)와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휴대 기기(780)의 종류를 파악하고, 접속된 휴대 기기(780)가 미리 설정된 특정 종류의 기기이면, 디지털 TV를 외부 입력 포트(710)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한다.
업그레이드부(730)는 사용자가 무선 입력 장치(800)를 통해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요청하면, 휴대 기기(780)를 통해 원격의 업그레이드 서버(7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TV(700)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제어부(740)는 사용자가 무선 입력 장치(800)를 통해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78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고,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휴대폰의 화면을 디지털 TV(7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A/V 출력부(76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휴대폰의 소리 역시 디지털 TV(700)의 스피커, 즉 A/V 출력부(7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40)는 디지털 TV(700)의 재생부(770)가 휴대 기기(780)의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동안 휴대 기기(780)에 이메일, 문자메시지, 전화 등이 오면, 이를 A/V 출력부(7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수신부(750)는 사용자가 TV용 무선 제어 장치(800)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재생부(770)는 특정한 종류의 휴대 기기(780)가 접속되면, 휴대 기기(780)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들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이 때의 선택 기준으로, 미디어 컨텐트의 생성 순서, 미디어 컨텐트의 용량, 미디어 컨텐트의 개수 및 미디어 컨텐트의 포맷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부(770)는 요청부(771), 저장부(772) 및 디코딩부(773)를 포함한다.
요청부(771)는 휴대 기기(780)에게 재생할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요청한다.
저장부(772)는 요청부(771)의 요청에 따라 휴대 기기(780)가 송신하는 미디어 컨텐트를 저장한다.
디코딩부(773)는 저장부(772)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디코딩하여 A/V 출력부(760), 예를 들면 LCD 패널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휴대 기기가 분리되었을 때의 디지털 TV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를 통해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9)

  1. 디지털 TV가 휴대 기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휴대 기기가 소정의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해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모드가 전환되면 상기 휴대 기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에게 기기의 종류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미디어 컨텐트의 생성 순서, 미디어 컨텐트의 용량, 미디어 컨텐트의 개수 및 미디어 컨텐트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또는 상기 디지털 TV용 무선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화면을 상기 디지털 TV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입력 장치는 리모콘, 무선 마우스 및 무선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TV의 전원이 오프(OFF)였던 경우에는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와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의 출력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TV의 전원이 오프(OFF)였던 경우에는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TV의 펌웨어(Firmware)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한 접속은 무선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도중 상기 휴대 기기로 문자 메시지, 이메일 및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상기 디지털 TV의 출력 장치를 통해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소정의 휴대 기기가 소정의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해 접속되면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출력 모드가 전환되면 상기 휴대 기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자체 출력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휴대 기기에게 기기의 종류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위한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휴대 기기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컨텐트를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휴대 기기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트들 중 재생할 미디어 컨텐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미디어 컨텐트의 생성 순서, 미디어 컨텐트의 용량, 미디어 컨 텐트의 개수 및 미디어 컨텐트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또는 상기 디지털 TV용 무선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 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화면을 자체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입력 장치는 리모콘, 무선 마우스 및 무선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TV의 전원이 오프(OFF)였던 경우에는 전원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휴대 기기와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의 출력 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TV의 전원이 오프(OFF)였던 경우에는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 TV의 펌웨어(Firmware)를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를 통한 접속은 무선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되는 도중 상기 휴대 기기로 문자 메시지, 이메일 및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자체 출력 장치를 통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장치.
  29.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70128184A 2007-12-11 2007-12-11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19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84A KR101195614B1 (ko) 2007-12-11 2007-12-11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A2008102153129A CN101459804A (zh) 2007-12-11 2008-09-05 经由数字电视再现便携式装置的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US12/330,970 US20090147146A1 (en) 2007-12-11 2008-12-09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edia content of portable device via digital telev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84A KR101195614B1 (ko) 2007-12-11 2007-12-11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46A true KR20090061246A (ko) 2009-06-16
KR101195614B1 KR101195614B1 (ko) 2012-10-29

Family

ID=4072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184A KR101195614B1 (ko) 2007-12-11 2007-12-11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47146A1 (ko)
KR (1) KR101195614B1 (ko)
CN (1) CN1014598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585A3 (en) * 2016-02-03 2018-07-19 Lg Electronics Inc. Main speaker, sub speak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72B1 (ko) 2009-08-24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N101917400A (zh) * 2010-07-14 2010-12-15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通过智能手机获取网络资讯的多媒体电视系统
WO2013100350A1 (en) 2011-12-28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8040B1 (ko) * 2012-02-20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966B1 (ko) * 2001-08-24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를 이용한 휴대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TW532030B (en) * 2002-01-07 2003-05-11 Compal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with an audio/video output
JP2005210183A (ja) * 2004-01-20 2005-08-04 Toshiba Lsi System Support Kk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プログラムのアップデート方法
US20070010289A1 (en) * 2005-07-11 2007-01-11 Arthur Mezue Detachable large display unit for cell phones
WO2007134111A2 (en) * 2006-05-09 2007-11-22 Updatelogic Methods and apparatus for updating digital television firmware
US8050712B2 (en) * 2006-09-29 2011-11-01 Alcatel Lucent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multimedia hub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585A3 (en) * 2016-02-03 2018-07-19 Lg Electronics Inc. Main speaker, sub speak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341771B2 (en) 2016-02-03 2019-07-02 Lg Electronics Inc. Main speaker, sub speak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47146A1 (en) 2009-06-11
CN101459804A (zh) 2009-06-17
KR101195614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0051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01510984B (zh) 幻灯片放映显示系统及方法、信息处理设备、播放设备
JP5471453B2 (ja) 携帯情報処理装置
JP200609441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無線端末および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2010157188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24272A (ja) 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このオーディオ装置に用いられる外部アダプタ
JP5089916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724602B2 (ja) 受信装置
TW201349113A (zh) 虛擬頻道之管理方法、擷取數位內容之方法及具有虛擬頻道之網路多媒體重現系統
KR101195614B1 (ko) 휴대 기기의 미디어 컨텐츠를 디지털 tv를 통해 재생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578831B2 (ja) 映像信号及び/または音声信号を記録/再生でき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JP4768301B2 (ja) 関連コンテンツ自動格納システム
JP2006217529A (ja)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229322B2 (ja) 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0226701A (ja) 放送受信装置
JP4728880B2 (ja) 放送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35742A (ja) 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86734B1 (ko)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JP2010147922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6094448A (ja) 音楽再生装置、移動型通話装置、音楽再生システム、及びこの操作方法
US9064543B2 (en) Reproduc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production system
JP5418567B2 (ja) 受信装置
JP2017212549A (ja) 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コンテンツの受信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60088681A (ko) 휴대용 저장 장치의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JP5815650B2 (ja) 遠隔ファイルアクセス端末、ストレージ端末、遠隔ファイルアクセス方法、遠隔ファイルアクセス端末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