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34B1 -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34B1
KR101586734B1 KR1020090128205A KR20090128205A KR101586734B1 KR 101586734 B1 KR101586734 B1 KR 101586734B1 KR 1020090128205 A KR1020090128205 A KR 1020090128205A KR 20090128205 A KR20090128205 A KR 20090128205A KR 101586734 B1 KR101586734 B1 KR 101586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usb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592A (ko
Inventor
조봉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7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전자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기기는, 제1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제2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제1 외부기기가 제2 외부기기 및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및 제1 외부기기가 제1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면,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에 따라 제2 외부기기 및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에 제1 외부기기가 액세스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온인 상태 뿐 아니라 오프 상태에서도 USB기기를 외부 전자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90128205
USB, 스위치, 전원 상태

Description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according to power st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환경 내에서도 복수 개의 전자기기들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이들 전자기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형성한 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반적이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인 USB 인터페이스는 그 편리성 때문에 대부분의 전자기기에서 지원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 등의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연결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TV에 마련된 큰 디스플레 이 화면을 통해 감상하거나, PC에 연결하여 다양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는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활용도가 높은 인터페이스이다.
하지만,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USB 기기는 그 연결된 호스트에서만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많은 수의 전자기기들이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이라고 하더라도, 타 사용자에게 USB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USB 기기를 직접 전달하거나, 서버와 같은 별도의 시스템에 USB 기기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USB 포트가 마련되지 않은 기기의 경우, USB 기기를 직접 연결할 수가 없어, USB 기기를 활용할 수 없다는 어려움도 있었다. 또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off)인 상태에서는 USB 기기를 연결하더라도 USB를 실행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상태에 상관없이 외부기기에서 타 사용자가 USB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외부기기가 연결되면,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에 따라 제1 외부기기를 제2 외부기기 또는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하는 전자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외부기기 및 제2 외부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 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access)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및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외부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액세스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온(ON)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OFF)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특정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된 상태로 변경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외부기기는, USB 기기이고,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된 경우, 상기 USB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포맷의 데이터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HDMI-CEC 인터페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외부기기 및 제2 외부기기와 연결가능한 전자기기의 제1 외부기기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외부기기를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제2 외부기기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시키기 위해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온(ON)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OFF)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특정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된 상태로 변경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외부기기는, USB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SB기기를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시킬 것으로 결정한 경우, USB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포맷의 데이터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HDMI-CEC 인터페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USB 기기를 연 결하더라도 외부기기에서 USB 기기를 편리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와 상관없이 외부기기에서 USB 기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시스템은 TV(111), BDP(Blu-ray Disc Player)(113), 셋탑박스(115), 게임기(117), HTS(Home Theater System)(119) 및 DSC(Digital Still Camera)(1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시스템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전자기기의 개수 및 전자기기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DSC(120)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임기(117)에 연결된 USB 기기이다.
도 1에서의 각 전자기기(111,113,... 119)들은 서로 간에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전자기기(111.113,...,119)는 HDMI-CEC(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Consumer Electronics Control)라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HDMI-CEC 인터페이스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AV 용도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규격이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게임기(117)에 DSC(120)가 연결되면, 게임기(117)의 전원 설정에 따라, DSC(120)가 게임기(117) 또는 다른 전자기기(111,113,115,119)에 액세스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기(117)에 DSC(120)가 연결되면, 게임기(117)에서는 자신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게임기(117)의 전원상태가 온(on)으로 판단된 경우, 게임기(117)는 자신이 바로 액세스한다.
반면, 게임기(117)의 전원상태가 오프(off)로 판단된 경우, 게임기(117)는 외부기기(111,113,115,119)가 DSC(120)를 액세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게임기(117)는 TV(111)가 DSC를 액세스할 수 있고, BDP(113)가 DSC(120)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셋탑박스(115)가 DSC(120)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HTS(119)가 DSC(120)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SC(120)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이 게임기(117)를 통해 외부기기(111,113,115,119)에 통지된다. 이때, 게임기(117)의 전원 상태는 오프이나, 게임기(117)는 전원 상태가 온인 외부기기(111,113,115,119)로부터 HDMI-C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TV(111)의 전원 상태가 온인 경우, TV(111)는 HDMI-C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게임기(117)로 보내준다. 따라서, 게임기(117)는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도, 외부기기(111,113,115,119)가 DSC(120)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게임기(117)의 인터페이스부(260)는 연결된 외부기기(111,113, 115,119)에게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연결 사실을 통지한다.
외부기기(111,113,115,119)는 DSC(120)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이 통지되면, 이에 대응되는 알림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DSC(120) 사용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이때, 각 외부기기(111,113, 115,119)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 기(111,113, 115,119)에서 직접 OSD 형태로 표시하거나, UI 창을 생성하여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UI를 생성할 수 있는 TV(111)를 통해 DSC(120)의 연결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는 TV(111)의 UI를 통해 DSC(120)가 액세스될 외부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기기(111,113,115,119) 중 TV(111)에 DSC(120)를 사용하고자 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게임기(117)는 USB 데이터 패킷을 TV(111)에 전송한다.
이때, 게임기(117)는 DSC(120)에서 출력되는 USB 패킷 포맷을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 신호에 포함시켜 TV(111)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TV(111)에 USB 기기를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TV(111)가 USB 기기인 DSC(117)의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게임기(117)의 전원상태가 온(on)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DSC(120)가 TV(111)와 같은 다른 외부기기에 액세스될 수 있도록 게임기(117)는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기기에서 DSC(120)를 액세스한다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게임기(117)는 DSC(120)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외부 기기(111,113,115,119)에 통지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DSC(117)가 액세스될 외부기기가 결정되면, 게임기(117)는 USB 링크를 생성하고 DSC(120)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패킷화(pecketizing)한다. 그리고 게임기(117)는 생성된 USB 데이터 패킷을 결정된 외부기기에 전송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예와 달리, USB 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에서 먼저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를 탐색하기 위한 쿼리(query)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게임기(117)는 DSC(120)가 연결된 사실을 주변 기기들로 통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TV(111)에서 사용자가 DSC(120)를 탐색하고자 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TV(111)는 주변 기기들로 쿼리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DSC(120)가 연결되지 않은 BDP(113)나 STB(115)가 쿼리를 수신하게 되면, 각 외부기기는 쿼리를 폐기한다.
반면, DSC(120)가 연결된 게임기(117)가 쿼리를 수신한 경우, 그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DSC(120)의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DSC(120)가 연결된 게임기(117)는 DSC(120)가 연결된 사실을 TV(111)에 통지하고, DSC(120)의 데이터를 페킷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HDMI-C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한다. 이에 따라, TV(111)가 DSC(120)의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TV(111), BDP(113), 셋탑박스(115), 게임기(117) 및 HRS(119)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르면, 본 전자기기는, 사용자 입력부(210), 기능블럭(220), 제어부(230), 저장부(240), 스위치부(250), 인터페이스부(260), USB 인터페이스부(2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는 USB 기기와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므로, USB 기기를 연결할 수 없는 전자기기의 경우 USB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리모컨, 포인팅 디바이스,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블럭(220)은 전자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1) 전자기기가 TV(111)인 경우, 기능 블럭(220)은 외부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받아 방송 컨텐츠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2) 전자기기가 BDP(113)인 경우, 기능 블럭(220)은 컨텐츠(특히, 비디오 컨텐츠) 재생 기능을 수행하며,
3) 전자기기가 STB(115)인 경우, 기능 블럭(220)은 방송 컨텐츠 재생를 재생하여 TV(111)로 전송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고,
4) 전자기기가 게임기(117)인 경우, 기능 블럭(220)은 컨텐츠(특히, 게임 컨텐츠) 저장/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4) 전자기기가 HTS(119)인 경우, 기능 블럭(220)은 컨텐츠(특히, 오디오 컨텐츠) 재생/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40)는 수신된 방송이나 비디오, 오디오 컨텐츠뿐 아니라 USB 기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250)는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이하에서는 '전자기기'라 한다.)의 전원 상태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USB 기기를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 또는 외부기기 중 하나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스위칭한다. 여기서 '전자기기' 라 함은 USB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를 말하며, '외부기기'라 함은 USB 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전자기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온인 경우, 스위치부(250)는 USB 기기가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전원상태가 온인 상태에서 USB 기기가 USB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연결되면, 제어부(230)는 USB 인터페이스부(270)와 제어부(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경우, 스위치부(250)는 USB 기기가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USB 기기가 USB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연결되면, 제어부(230)는 USB 인터페이스부(270)와 인터페이스부(2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또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온인 경우, USB 기기가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더라도, 스위치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USB 기기가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온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30)는 USB 인터페이스부(270)와 인터페이스부(2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다만, USB 기기가 연결되지 않는 외부기기의 경우, 반드시 스위치부(250)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인터페이스부(260)는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로는 HDMI-CEC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USB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경우,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기기에 USB 기기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통지한다. 이때,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는 오프이나,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부(260)는 전원 상태가 온인 외부기기로부터 HDMI-C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활성화된다.
또한, USB 기기가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된 경우, 인터페이스부(260)는 USB 기기의 데이터 패킷을 사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USB 인터페이스부(270)는 USB 기기(20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50)는 USB 커넥터가 직접 연결되는 USB 포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USB 커넥터가 연결되면, USB 기기의 연결 상태를 인식하여, 제어부(230)로 통지한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USB기기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면, 제어부(230)는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에 따라 외부기기 및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에 USB 기기가 액세스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2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HDMI-CE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기기(310,320 ,.. 340)을 포함하며, 이 중 하나인 제4 전자기기(340)에 USB 기기(350)가 연결된다. 도 3의 시스템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전자기기의 개수 및 USB 기기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자기기들은 각각의 인터페이스부(315,325 .. 345)를 통해 서로 간에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단말 장치(315,325 .. 345)는 HDMI-CEC라고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HDMI-CEC 인터페이스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AV 용도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규격이다.
이들 전자기기들 중 하나인 제4 전자기기(340)에는 USB 기기(350)와 같은 외부 기기가 연결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제4전자기기(340)에 USB 기기(350)가 연결되면, 제4 제어부(341)는 제4 전자기기의 전원 설정에 따라, USB 기기(350)를 제4 전자기기(340) 또는 다른 전자기기(310,320.330)에 액세스되도록 제4 스위치부(34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4 전자기기(340)의 USB 인터페이스(347)를 통해 USB 기기(120)가 연결되면, 제4 제어부(341)에서는 제4 전자기기(340)의 전원 상태를 판 단한다. 이때, 제4 전자기기(340)의 전원상태가 온(on)으로 판단된 경우, 제4 제어부(341)는 USB 기기(350)를 자신이 바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4 스위치부(343)를 제어한다. 즉, 제4 전자기기(340)의 전원상태가 온인 상태에서 USB 기기(350)가 USB 인터페이스부(347)를 통해 연결되면, 제4 제어부(341)는 USB 인터페이스부(347)와 제어부(34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4 스위치부(343)를 제어한다.
반면, 제4 전자기기(340)의 전원상태가 오프(off)로 판단된 경우, 제4 제어부(341)는 외부기기(310,320,330)가 USB 기기(350)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4 전자기기(340)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USB 기기(350)가 USB 인터페이스부(347)를 통해 연결되면, 제4 제어부(341)는 USB 인터페이스부(347)와 제4 인터페이스부(345)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4 스위치부(343)를 제어한다.
제4 전자기기(340)는 외부기기(310,320,330)에 USB 기기(350)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제4 인터페이스(345)를 통해 통지한다. 이때, 제4 전자기기(340)의 전원 상태는 오프이나, 제4 전자기기의 제4 인터페이스부(345)는 전원 상태가 온인 외부기기로부터 HDMI-C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활성화된다.
제4 전자기기의 제4인터페이스부(345)는 연결된 외부기기(310,320,330)에게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연결 사실을 통지한다.
외부기기(310,320,330)에 각각의 인터페이스(315,325,335)를 통해 USB 기기(350)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이 통지되면, 외부기기(310,320,330)는 이에 대응되는 알림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USB 기기(350) 사용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이때, 각 외부 외부기기(310,320,330)에서 직접 OSD 형태로 표시하거나, UI 창을 생성하여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기기(310,320,330) 중 제1 전자기기(310)에 USB 기기(350)를 사용하고자하는 선택 명령을 사용자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입력하면, 제4 전자기기(340)의 제4 인터페이스부(345)는 USB 데이터 패킷을 제1 전자기기(310)에 전송한다.
이때, 제4 전자기기(340)는 USB 기기(350)에서 출력되는 USB 패킷 포맷을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 신호에 포함시켜 제1 전자기기(31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기기(310)에 USB 기기(350)를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제1 전자기기(310)가 USB 기기(350)의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제4 전자기기(340)의 전원상태가 온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4 제어부(341)는 외부기기(310,320,330)가 USB 기기(350)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기기(310,320,330)에서 USB 기기(350)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어되면, 제4 제어부(341)는 USB 기기(350)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외부기기(310,320,330)에 통지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USB 기기(350)가 액세스될 외부기기가 결정되면, 제4 제어부(341)는 USB 링크를 생성하고 USB 기기(350)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패킷화(pecketizing)한다. 그리고 제4 제어부(341)는 생성된 USB 데이터 패킷을 결정된 외부기기에 전송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예와 달리, USB 기기(350)를 사용하고자 하는 단말 장치에서 먼저 USB 기기(350)가 연결된 단말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쿼리(query)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4 전자기기(340)는 USB 기기(350)가 연결된 사실을 주변 기기들로 통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기기(310)에서 사용자가 USB 기기(350)를 탐색하고자 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제1 전자기기(310)는 주변 기기들로 쿼리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USB 기기(350)가 연결되지 않은 제2 전자기기(320)나 제4 전자기기(330)가 쿼리를 수신하게 되면, 각 외부기기는 쿼리를 폐기한다.
반면,USB 기기(350)가 연결된 제4 전자기기(340)가 쿼리를 수신한 경우, 그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USB 기기(35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USB 기기(350)가 연결된 제4 전자기기(340)는 USB 기기(350)가 연결된 사실을 제1 전자기기(310)에 통지하고, USB 기기(350)의 데이터를 페킷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HDMI-C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한다. 이에 따라, 제1 전자기기(310)가 USB 기기(350)의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USB 기기를 연결된 전자기기의 USB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USB 기기(350)가 연결되면(S410), 전자기기(340)는 전원 상태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전자기기(340)의 전원 상태가 온인 경우(S420-Y), USB 기기(350)가 연결된 전자기기(340)의 제어부(343)는 스위치부(343)를 전자기기(340)에 USB 기기(350)가 액세스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S430). 즉, 전자기기(340)는 USB 인터페이스부(347)와 제4 제어부(341)가 통신가능하도록 스위치부(343)를 제어한다.
이 경우, 외부기기가 USB기기(350)를 액세스시킬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외부기기에서 USB 기기(350)를 액세스시키는 조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S440-N), 전자기기(340)는 USB 기기(350)를 실행시킨다.
반면, 전자기기(340)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경우(S420-N), 전자기기(340)의 제어부(343)는 USB 기기를 외부전자기기에 액세스시키기 위해 인터페이스부(345)로 스위칭되도록 스위치부(343)를 제어한다(S460). 이때, 전자기기(340)의 인터페이스부(345)는 USB 기기가 연결되었다는 신호를 외부기기(310,320,330)에 통지하고(S461), USB 기기가 액세스될 외부기기를 결정한다. 이때,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340)의 전원 상태는 오프이나,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부(345)는 전원 상태가 온인 외부기기로부터 HDMI-CE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활성화된다.
이후, USB 링크는 생성되며, USB 데이터는 패킷화되고(S463),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부(345)는 USB 데이터 패킷을 외부기기에 전송(S465)한다. 그후 외부기기에서 USB 기기(350)가 실행된다(S467).
이때, USB가 연결된 전자기기(340)는 USB 기기(350)에서 출력되는 USB 패킷 포맷을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 신호에 포함시켜 결정된 외부기기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USB 기기(350)가 연결된 전자기기(340)에서 USB 기기(350)가 액세스된 상태에서, 외부기기에서 USB 기기(350)를 액세스시키는 조작 명령이 입력된다면(S445), 제어부(343)는 외부전자기기에 통지할 USB 연결 신호를 생성한다(S445). 이 후에는 상술한 S460 내지 S467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343)는 외부기기에 USB 기기(350)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USB 기기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와 상관없이 외부기기에서 USB 기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전자기기가 TV, BDP, 셋탑박스, 게임기, HTS인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PC, 전자 액자, 노트북 PC, 오디오 플레이어, VCR,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USB기기가 DSC인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USB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USB 메모리, 전자 책, 넷북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기들이 USB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HDMI-CE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USB 기기가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블럭도,
도 3은 HDMI-CE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자세히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USB 기기를 연결된 전자기기의 USB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제1 외부기기 및 제2 외부기기와 연결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access)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및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외부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액세스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된 경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규격에 따른 포맷의 데이터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온(ON)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OFF)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특정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된 상태로 변경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기기는,
    USB 기기이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는,
    USB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HDMI-CEC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외부기기 및 제2 외부기기와 연결가능한 전자기기의 제1 외부기기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외부기기를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제2 외부기기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시키기 위해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외부기기를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 시키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부 규격에 따른 포맷의 데이터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온(ON)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OFF)인 경우,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되도록 스위칭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특정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외부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에 액세스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부기기에 액세스된 상태로 변경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기기는,
    USB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HDMI-CEC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 방법.
KR1020090128205A 2009-12-21 2009-12-21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KR101586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05A KR101586734B1 (ko) 2009-12-21 2009-12-21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05A KR101586734B1 (ko) 2009-12-21 2009-12-21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92A KR20110071592A (ko) 2011-06-29
KR101586734B1 true KR101586734B1 (ko) 2016-01-20

Family

ID=4440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205A KR101586734B1 (ko) 2009-12-21 2009-12-21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51B1 (ko) * 2012-12-14 2014-09-22 전자부품연구원 대기모드에서 전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70061489A (ko) * 2015-11-26 2017-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이의 운송 기기 제어 방법
KR20240093248A (ko) * 2022-12-15 202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허브 기기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321A (ja) * 2001-11-01 2003-05-16 Nec Corp Usb電話機のデータ転送制御方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321A (ja) * 2001-11-01 2003-05-16 Nec Corp Usb電話機のデータ転送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92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2262B2 (en) Dual function device
US8330878B2 (en) Remotely controllable media distribution device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89144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716497B2 (en) Control system for playing a data stream on a receiving device
JP2006227843A (ja) コンテンツ情報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情報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014184A1 (en) Network device for a home entertainment network
JP2010098699A (ja) 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646992A (zh) 内容再现系统、内容再现控制装置以及计算机程序
US8612634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apparatus thereof
JP2011142392A (ja) 携帯情報処理装置
US20170230710A1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1176526A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06088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823373B2 (ja) 映像・音声処理装置および映像・音声処理方法
US1026431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P-based HDMI device
CN101998093A (zh) 传输系统、再现设备、传输方法和程序
KR101586734B1 (ko) 전원 상태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200900442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Startup Control Method
JP2013211767A (ja) 映像記録装置、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4578831B2 (ja) 映像信号及び/または音声信号を記録/再生でき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KR20160000534A (ko) 홈 네트워크 자동 연결형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2172850A1 (ja) 機器操作システム、表示機器、及び操作機器
JP200913584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