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417A - 기기 지지체의 후방으로 장착되는 기기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기기 지지체의 후방으로 장착되는 기기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417A
KR20090060417A KR1020097005690A KR20097005690A KR20090060417A KR 20090060417 A KR20090060417 A KR 20090060417A KR 1020097005690 A KR1020097005690 A KR 1020097005690A KR 20097005690 A KR20097005690 A KR 20097005690A KR 20090060417 A KR20090060417 A KR 2009006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exible tab
support
applianc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771B1 (ko
Inventor
쟝-뽈 구달
쎄드릭 모로
파브리스 나불레
모리스 뻬꾸
Original Assignee
레그랑 프랑스
레그랑 에스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그랑 프랑스, 레그랑 에스엔세 filed Critical 레그랑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9006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장치(19)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기 장치는 전기 접속 요소(38)를 포함하는 박스(20,21)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전기 접속 요소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28)를 구비하는 전방벽(27)과, 상기 전방벽(27)을 둘러싸는 측벽(23)과, 기기 지지체(10)에 걸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33)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박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측벽의 평면에 뻗어있는 가요성 탭(32)에 구비되며, 상기 가요성 탭은 연결 단부(31)를 통해 상기 커버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각각 상기 가요성 탭의 연결 단부와 상기 커버의 전방벽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기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기기 지지체, 커버, 가요성 탭, 돌기, 잠금 부품

Description

기기 지지체의 후방으로 장착되는 기기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INSTALLATION MECHANISM TO BE MOUNTED BEHIND AN INSTALLATION SUPPORT AND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SUCH A MECHANIS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스위치, 투웨이 스위치, 및 전기 콘센트와 같은 전기 기기(electrical equipment)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기 지지체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도록 배열되는 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 접속 요소를 포함하는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는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전기 접속 요소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을 둘러싸는 측벽과, 상기 기기 지지체의 전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박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측벽의 평면에 뻗어있고 연결 단부를 통해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가요성 탭에 형성되는 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기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유형의 기기 장치, 즉 커버가 마주보는 두 측면에 두 개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커버의 전방벽의 에지에 연결되는 가요성 탭의 단부에 제공되는 기기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방식은 외관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전기 기기의 전방부의 높이를 제한하여 벽에 설치될 때 비교적 평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살펴보면, 이러한 기기 장치를 기기 지지체의 중앙 개구에 장착할 때, 가요성 탭은 중앙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이후 가요성 탭은 원위치로 복귀되어 걸림 돌기가 기기 지지체의 전면을 누르게 된다.
이러한 탭의 굽힘성은 커버를 기기 지지체에 장착할 수 있어야 하지만, 커버의 전면에 대한 선택적인 충격을 흡수할 수도 있어야 한다.
상기 가요성 탭은 이와 같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특정한 길이를 갖지만, 상기 커버는 기기 지지체에 장착되었을 때 기기 지지체의 전면에서 비교적 큰 돌출부를 형성한다.
또한, 본 출원인 명의의 유럽공동체특허 EP 1 675 240은 기기 지지체의 전면을 통해 장착되도록 배열되는 기기 장치를 개시한다. 이 기기 장치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에 스냅 고정 돌기를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 쪽을 향하고 상기 기기 지지체 아래에서 기기 지지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비드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돌기의 걸림면을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일단 기기 지지체(equipment support)에 장착되면 상기 기기 지지체의 전면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는 신규한 표준 기기 장치를 제안하며, 상기 신규한 표준 기기 장치는 또한 장치에 대한 전방 충격을 잘 견디면서 기기 조립체에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기기 지지체에 대한 조립 수단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돌기가 각각 상기 가요성 탭의 연결 단부와 상기 커버의 전방벽 사이에 위치되는, 도입부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기기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기 장치에서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상기 가요성 탭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후방(rear)" 영역, 즉 기기 지지체 뒤에 위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전방(front)" 영역, 즉 기기 지지체 앞에 위치되는 영역 쪽으로 뻗어있다.
다만, 걸림 돌기는 상기 커버의 전방벽 가까이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 돌기는 기기 지지체의 전면에 걸릴 수 있다.
외관상 충분히 평평한 전기 기기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전방 영역의 높이는 매우 제한되는 반면 상기 가요성 탭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길다.
이러한 가요성 탭의 길이로 인해 상기 가요성 탭은 쉽게 변형되어, 상기 기기 장치를 기기 지지체에 수월하게 장착할 수 있고, 돌기가 기기 지지체에서 풀리지 않으면서 기기에 대한 전방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장치의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또 다른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상기 커버는 상기 가요성 탭(bendable tab)이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각 가요성 탭의 일부분의 내면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abutment)를 포함한다;
- 상기 가요성 탭은 접촉부에 지지될 때 상기 가요성 탭의 오목한 면이 상기 커버의 바깥쪽을 향해 약간 만곡될 수 있도록 자체적인 가요성을 가져, 상기 돌기가 각각 상기 기기 지지체의 중앙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기기 지지체의 전면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 상기 접촉부는 상기 커버의 측벽에 제공되는 리세스의 단부 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가요성 탭의 자유단을 수용한다;
- 상기 돌기는 결합된 가요성 탭과 각각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 상기 가요성 탭은 각각, 피벗 힌지(pivot hinge)를 형성하는 하나의 연결 단부를 통해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돌기가 위치된 곳에 근접하여 자유단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의 내면에서 상기 피벗 힌지에 근접하여 노치를 갖는다;
-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의 내면에서 상기 가요성 탭의 피벗 힌지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노치를 구비하여, 상기 가요성 탭의 굽힘성이 증가된다;
- 상기 가요성 탭은 각각 상기 커버의 대응하는 측벽 높이의 1/3 이상의 높이에 걸쳐 뻗어있다;
- 상기 돌기는 각각 상기 기기 지지체에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안내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포함한다;
- 상기 커버는 두 개의 가요성 탭에 의해 마주보는 두 측벽에 연결되는 두 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가요성 탭은 각각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측벽의 평면에 뻗어있다;
- 상기 기기 장치(equipment mechanism)는 상기 커버의 각 돌기와 결합되는 잠금 부품(locking accessory)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품은 상기 돌기를 구비하는 가요성 탭과 상호작용할 수 없는 휴지 위치와 상기 가요성 탭을 상기 커버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대응하는 측벽에 장착된다;
- 상기 잠금 부품은 각각 상기 커버와 잠금 부품에 제공되는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 상기 커버에서 상기 돌기를 구비하는 가요성 탭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 상기 잠금 부품은 각각 상기 커버의 측벽의 절취부(cutout)에서 상기 절취부에 수용된 상기 가요성 탭의 양측에 장착되는 U 자형의 스테이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플은 두 개의 평행한 브랜치의 외부 에지면에 각각 슬라이딩 수단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커버의 절취부의 내향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슬라이딩 수단과 상호작용한다;
- 두 개의 잠금 부품은 상기 커버의 마주보는 두 측벽에 배치된 두 개의 가요성 탭에 구비되는 두 개의 돌기와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두 개의 잠금 부품은 상기 두 개의 잠금 부품이 휴지 위치에 놓이게 하고 작동 위치에 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전방벽에 지지되는 접합 플레이트(junction plate)에 파괴가능한 연결부를 통해 부착된다;
- 상기 두 개의 잠금 부품과 접합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소재를 몰딩함으로써 제조되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괴가능한 연결부는 두께가 더 얇은 플라스틱 소재 부품으로 형성된다;
- 상기 잠금 부품은 각각 상기 잠금 부품이 휴지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커버의 상호 접촉부에 지지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 상기 잠금 부품은 각각 상기 잠금 부품이 작동 위치에 배치될 때 대응하는 가요성 탭의 내면에 지지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첫째로 전면, 후면, 및 중앙 개구를 가진 기기 지지체; 둘째로 상기 기기 장치의 커버의 돌기가 각각 상기 기기 지지체의 전면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후면을 통해 상기 기기 지지체의 중앙 개구에 장착될 수 있는 상술한 유형의 기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electrical equipment)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비제한적인 예로 주어진 실시예에 대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실행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제1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 2는 도 1의 전기 기기를 조립하여 도시한 도면;
- 도 3은 도 1의 전기 기기의 장치 커버의 가요성 탭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요성 탭의 외면을 도시한 사시도;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어느 정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 6은 도 5의 기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를 어느 정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 7은 도 5의 기기 장치를 잠그기 위한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 도 8은 도 7의 기구를 평면 A-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 도 9는 도 7의 기구의 평면도;
- 도 10은 도 9의 기구를 평면 B-B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 도 11은 기기 지지체에 잠겨지지 않은 기기 장치를 가진 도 6의 전기 기기를 조립하여 도시한 도면;
- 도 12는 도 11의 조립체를 평면 C-C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 도 13은 기기 지지체에 잠겨진 기기 장치를 가진 도 6의 전기 기기를 조립하여 도시한 도면;
- 도 14는 도 13의 조립체를 평면 C-C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모든 도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들은 가능하다면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참조되지만 매 도면마다 언급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에는 하나의 전기 기기(1)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기기는 기기 장치(19) 및 상기 기기 장치(19)를 플러시 장착 박스(flush-mounting box, 도시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기기 지지체(1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시 장착 박스는 벽(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오리피스에 수용된다.
상기 기기 지지체(10)는 여기서는 정사각형 모양의 평평한 프레임으로서, 네 개의 브랜치(14,15,16,17)와 중앙 개구(13)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는 기기 지지체(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향 에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하향 에지(18)는 선택적으로 또 다른 기기 장치(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박스의 돌기를 걸치도록 사용되는데, 상기 또 다른 기기 장치는 본 발명의 요소를 이루지 않으며, 전면(11)을 통해 상기 기기 지지체(10)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기 지지체(10)는 전면(11)에 트림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하기 위한 스냅 고정 하우징(85)을 포함한다. 마감 플레이트라고도 알려져 있는 상기 트림 플레이트는 기기 지지체의 전면을 덮는데 사용되고, 상기 박스가 플러시 장착(flush-mounted)되는 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트림 플레이트는 선택적으로 기기 장치의 전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콘트롤러(control)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지지체(10)는 기기 지지체(10)를 플러시 장착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브랜치(14,15,16,17)마다 열쇠구멍 모양의 개구(81,82,83,84)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 장치(19)는 내부에 전기 접속 요소(38)를 포함하는 박스(20,21)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접속 요소는 전기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상기 박스(20,21)는 이 박스가 장착되는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사각형 단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는 커버(20)에 의해 폐쇄되는 베이스(2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1)는 뒤쪽 벽을 이루는 박스의 후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뒤쪽 벽은 상기 뒤쪽 벽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뻗어있는 측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베이스(21)의 전방 개구는 박스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커버(20)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커버(20)와 베이스(21)는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상호 조립 수단을 포함한다.
이 상호 조립 수단은 첫째로 상기 베이스(21)의 일면에 두 개의 스냅 고정 돌기(71,72)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냅 고정 돌기는 베이스(21)의 뒤쪽 벽으로부터 뻗어있는 두 개의 포스트의 단부에 제공되고, 베이스의 대응하는 측벽의 자유 에지를 넘어 돌출되며, 둘째로 상기 측벽의 자유 에지에 근접한 커버(20)의 측벽(23)에 제공되는 개구(77,78)를 포함한다.
물론, 돌기가 커버에 형성되고 개구가 베이스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스냅 고정 돌기(71,72) 이외에 내부 안내 포스트(73,74,75,76)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안내 포스트는 상기 커버(20)의 내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수용되는 단부를 가지므로, 상기 베이스(21)와 커버(20)는 적절히 정렬될 수 있고 상기 스냅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는 그 측면에서 네 개의 측벽(23)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전방벽(27)을 갖는다. 마주보는 두 개의 측벽(23)은 상기 기기 지지체(10)를 체결하기 위한 걸림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은 전기 접속 요소(38)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구(28)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접속 요소(38)는 프로그램 가능한 전자 요소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요소는 인쇄 회로에 장착되고, 커버(20)의 전방벽(27)에서 절취된 혀 모양 부분(tongue, 86)으로 형성되는 콘트롤러에 연속적으로 프레스함으로써 프로그램된다.
도 2에서, 상기 접속 요소(38)는 접근용 개구(28)를 통해 전방벽(27)으로부터 빠져나오므로, 기기 장치(19)의 커버(20)의 전방벽(27)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기 접속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장치(19)는 기기 지지체(10)의 후방을 통해 장착되도록 배열된다.
도 2에서 더 상세하게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커버(20)가 기기 지지체(10)에 장착될 때, 상기 커버는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높이가 낮은 전방부(45)와,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후면 아래에 뻗어있고 상기 베 이스(21)에 연결되는 후방부(44)를 갖는다.
상기 기기 장치(19)의 박스(20,21)를 상기 기기 지지체(10)와 조립하기 위해, 상기 커버(20)는 하나 이상의 돌기(33)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박스(20,21)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가요성 탭(32)에 구비된다.
이 예에서는 두 개의 걸림 돌기(33)(도면에서는 하나만 볼 수 있음)가 있으며,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커버(20)의 마주보는 두 개의 측벽(23)으로부터 돌출되고 두 개의 가요성 탭(32)에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의 평면에 뻗어있고, 연결 단부(31)를 통해 상기 커버(20)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오직 연결 단부(31)를 통해서만 커버(20)에 연결되고, 반대쪽에 자유단(37)을 갖는다(도 3 및 도 4). 돌기(33)는 각각 상기 가요성 탭(32)의 자유단(37) 가까이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더 상세히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돌기(33)는 상기 기기 장치(19)의 박스(20,21)의 후방 쪽을 향하는 걸림면(35)을 가지므로, 상기 걸림면(35)은 상기 기기 장치(19)가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지지된다.
특히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연결 단부(31)를 통해 상기 커버(20)의 후방부(44)에 연결되고, 커버의 전방벽(27) 쪽으로 뻗어있다. 돌기(33)를 구비하는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전방벽(27)에 가까운 커버(20)의 측벽(23)에서 절취부(25)에 수용된다.
따라서, 커버(20)의 각 걸림 돌기(33)는 대응하는 가요성 탭(32)의 연결 단부(31)와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 사이에 위치된다.
그 결과,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대해 상기 커버(20)의 전방부(45)로 형성되는 돌출부는 높이가 낮다. 상기 커버(20)의 전방부(45)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각 돌기(33)의 높이에 대응할 뿐이다.
또한, 각 가요성 탭(32)은 커버(20)의 후방부(44)에 연결되므로 상기 가요성 탭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상기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 높이의 약 1/3에 걸쳐 뻗어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상기 측벽(23) 높이의 1/3을 넘어서 뻗어있을 수도 있다.
상기 커버(20)와 베이스(21)는 각각 플라스틱 소재를 단일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가요성 탭(32)과 돌기(33)는 상기 커버(20)의 측벽과 일체형으로 몰딩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더 상세히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에서 절취부(25)에 수용되는 가요성 탭(32)은 각각 커버(20)의 외곽선 내에 놓여있다. 상기 가요성 탭은 첫째로 상기 커버(20)의 외면(61)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박스(20,21)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외면(51)을 가지며, 둘째로 상기 커버(20)의 내면(62)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면(52)을 가진다.
각각의 가요성 탭(32)의 연결 단부(31)는 각각의 가요성 탭(32)이 상기 박 스(20,21)의 안쪽으로 약간 회동할 수 있도록 피벗 힌지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요성 탭(32)을 구비하는 각 측벽(23)의 내면(62)은 가요성 탭(32)의 연결 단부(31)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노치(58,59)를 가진다. 물론 하나의 노치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들 노치(58,59)는 각 가요성 탭(32)의 길이로 인한 가요성 효과를 증가시킨다.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자신을 탄성적으로 만곡시킬 수 있는 자체적인 가요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노치(58,59)는 가요성 탭(32)의 회동축 주위에서 원호형으로 제조되므로, 상기 가요성 탭(32)이 회동하고 구부러질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더 상세히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가요성 탭(32)을 구비하는 각각의 측벽(23)은 가요성 탭(32)의 연결 단부(31)에서 단벽(setback)을 갖는다. 상기 단벽은 커버(20)의 전방벽 쪽을 향하는 외부 림(outside rim, 24)을 형성한다. 이 림(24)은 기기 지지체(10)의 하향 에지(18)의 에지면(12)이 지지되는 스터드(53)를 갖는다. 물론, 상기 스터드(53)는 커버(20)와 함께 일체형으로 몰딩된다.
정해진 크기의 충격이 가해지는 동안 커버(20)가 기기 지지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벽(23)에 연결된 각각의 가요성 탭(32)의 자유단(37)은 바닥이 상기 가요성 탭(32)에 대한 접촉부(42)를 형성하는 리세스(26)에 수용된다.
상기 커버(20)는 이와 같이 각각의 가요성 탭(32)의 일부분의 내면(52)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42)를 가지므로, 가요성 탭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이 커버(20)의 후방부(44) 쪽으로 충격을 받을 때, 돌기(33)를 구비하는 가요성 탭(32)은 서로를 향해 회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돌기(33)는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상기 가요성 탭은 돌기(33)의 걸림면(35)이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계속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42)에 의해 정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기기 장치는 지지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상기 가요성 탭(32)의 내면(52)과 상기 접촉부(42) 사이의 거리는, 돌기(33)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박스(20,21)가 상기 기기 지지체(10)에 장착 및 제거될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진다.
상기 박스(20,21)가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에 뒤쪽으로 장착될 때,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하향 에지(18)는 돌기(33)의 경사부(36)에 지지되어, 상기 가요성 탭(32)이 (피벗 힌지를 형성하는)연결 단부(31)의 회동축 주위에서 상기 박스(20,21)의 안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커버(20)에서 리세스(26)의 바닥을 형성하는 접촉부(42)에 눌려진다. 이후,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를 통해 상기 박스(20,21)에 계속 힘이 가해지면, 접촉부(42)에 지지되는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그 오목한 면이 커버(20)의 바깥쪽(즉, 기기 지지체(10)의 에지 쪽)을 향하도록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각각의 돌기(33)는 상기 중앙 개구(13)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돌기(33)가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를 통과했을 때, 가요성 탭(32)은 자신의 원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돌기(33)는 자신의 걸 림면(35)을 통해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기 장치(19)의 커버(20)는 첫째로 가요성 탭(32)에 구비되는 돌기(33)에 의해, 둘째로 하향 에지(18)의 에지면(12)에 지지되는 스터드(53)에 의해 기기 지지체(10)에 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14는 상술한 기기 장치(19)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기기 장치(19)는 본질적으로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다시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으며, 오직 상이한 특징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한다.
상기 기기 장치(19)의 박스의 커버(20)는 마주보는 두 개의 측벽(23)에 두 개의 절취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부는 전방벽(27)으로 개방되며 각각 돌기(33)를 구비하는 두 개의 가요성 탭(32)을 수용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커버(20)에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가요성 탭에 대한 후방 접촉부가 제공되지 않지만, 상기 기기 장치(19)는 박스의 커버(20)의 각 돌기(33)와 결합되는 잠금 부품(90)을 포함한다(도 11 및 도 13 참조).
각각의 잠금 부품(90)은 상기 돌기(33)를 구비하는 가요성 탭(32)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휴지 위치(도 11 및 도 12)와, 상기 가요성 탭(32)을 상기 커버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작동 위치(도 13 및 도 14)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에 장착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잠금 부품(90)은 상기 커버(20)와 상기 잠금 부품(90)에 제공되는 슬라이딩 수단(25A,91A,92A)을 통해 상기 커버(20)에서 대응하는 가요성 탭(3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각각의 잠금 부품(90)은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의 절취부(25)에서 상기 절취부(25)에 수용된 상기 가요성 탭(32)의 양측에 장착되는 U 자형의 스테이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플(90)은 두 개의 평행한 브랜치(91,92)의 외부 에지면에 슬라이딩 수단(91A,92A)을 가지며, 슬라이딩 수단(91A,92A)은 커버(20)에서 상기 절취부(25)의 내향면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수단(25A)과 상호작용한다.
도 5 내지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 각 잠금 부품(90)의 평행한 브랜치(91,92)의 외부 에지면은 각각 슬라이딩 수단(91A,92A)인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은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에 제공되는 절취부(25)의 각 내향면, 즉 슬라이등 수단(25A)에 제공되는 스플라인(spline)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이루어진다.
각각의 절취부(25)는 상기 스테이플(90)의 너비와 일치하는 너비를 가진 개구(25B)를 통해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스테이플은 절취부(25)에서 가요성 탭(32)의 양측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잠금 부품(90)은 스테이플의 중앙 브랜치의 에지로부터 스테이플 높이의 일부분에 걸쳐 뻗어있는 스러스트 플레이트(93)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두 개의 평행한 브랜치(91,92)는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상호연결된다.
이 스러스트 플레이트(93)는, 상기 잠금 부품이 박스(20,21)의 안쪽으로 회동하거나 구부러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탭을 박스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작동 위치로 놓여질 때 대응하는 가요성 탭(32)의 내면(52)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도 14 참조).
또한, 각각의 잠금 부품(90)은 상기 잠금 부품(90)이 휴지 위치에 놓여질 때 상기 커버(20)의 상호 접촉부(42B)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접촉부(94)를 갖는다.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첫째로 각 스테이플(90)의 평행한 브랜치(91,92)는 각각 커버(20)의 안쪽을 향하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촉부(94)인 돌출부를 가지며, 둘째로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은 각 대응하는 측벽(23)의 절취부(25)의 개구(25B)에서 하향 에지(42A)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 에지는 커버(20)에서 휴지 위치에 있을 때 각 스테이플(90)의 접촉부(94)인 돌출부에 대한 상호 접촉부(42B)를 형성하는 자유 에지면을 갖는다(도 14 참조).
이와 같이, 각 스테이플(90)이 커버(20)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면, 상기 스테이플은 상술한 상호 접촉 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에 보유되므로 상기 스테이플은 속박된 채로 유지된다.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잠금 부품(90)은 커버(20)에 장착되기 전에 파괴가능한 연결부(95)에 의해 접합 플레이트(100)에 상호연결되고, 상기 접합 플레이트는 잠금 부품(90)이 상기 커버(20)의 대응하는 절취부(25)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커버(20)의 전방벽(27)에 지지되어, 두 개의 잠금 부품(90)이 휴지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고 작동 위치에 놓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더 상세히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100)는 단면이 둥글고,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을 향하는 내면에 상기 전방벽에 지지되는 두 개의 접촉부(110)를 갖는다.
상기 두 개의 잠금 부품(90)과 접합 플레이트(100)는 플라스틱 소재를 단일 몰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파괴가능한 연결부(95)는 두께가 더 얇은 플라스틱 소재 부품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기 장치(19)를 기기 지지체(10)에 장착하기 전에, 상기 스테이플(90)은 접합 플레이트(100)에 연결된 채로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의 절취부(25)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후, 상기 접합 플레이트(100)는 접촉부(110)를 통해 커버(20)의 전방벽(27)에 지지되어, 스테이플(90)은 돌기(33)를 가진 가요성 탭(32)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휴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도 12 참조). 이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플(90)의 접촉부(94)인 돌출부는 커버(20)의 하향 에지(42A)의 상호 접촉부(42B)인 자유 에지면과 접촉한다.
접합 플레이트(100)와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플(90)이 구비된 기기 장치(19)의 박스는 이후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에 뒤쪽으로 장착된다.
상기 박스(20,21)가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에 뒤쪽으로 장착되는 동안,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하향 에지(18)는 돌기(33)의 경사부(36)에 지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가요성 탭(32)은 (피벗 힌지를 형성하는)연결 단부(31)의 회동축 주위에서 구부러지고 회동하게 되며, 상기 가요성 탭은 박스(20,21)의 안쪽으로 구부러져 각각의 돌기(33)는 중앙 개구(13)를 통과할 수 있고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돌기(33)가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를 통과하고나면, 가요성 탭(32)은 자신의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어, 돌기(33)는 자신의 걸림면(35)을 통해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지지될 수 있 다.
이 단계에서, 커버(20)의 돌기(33)는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걸리지만 여기에 잠겨지지는 않는데, 이는 스테이플이 상기 접합 플레이트(100)로 인해 휴지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도 12 참조). 상기 가요성 탭(32)은 돌기(33)를 기기 지지체(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박스(20,21)의 안쪽으로 회동되고 구부러질 수 있다.
전기 기기는 이 상태에서 설치장치(installer)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때 기기가 전달되는 동안 스테이플(90)이 커버(20)의 돌기(33)를 기기 지지체(10)에 자동적으로 잠그게 되는 위험성이 없다.
설치장치가 전기 기기를 설치하거나 전기 기기에서 작동될 때, 스테이플(90)을 떼어놓고 가요성 탭(32)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작동 위치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파괴가능한 연결부(95)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각 스테이플(90)의 스러스트 플레이트(93)는 가요성 탭(32)의 내면(52)에 지지되어, 상기 가요성 탭을 커버(20)의 바깥쪽으로 밀 수 있고, 각 돌기(33)의 스러스트가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강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가요성 탭(32)은 이 위치에서 대응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93)에 의해 잠겨지고, 박스의 안쪽으로 회동하거나 구부러질 수 없다. 상기 돌기(33)는 이와 같이 기기 지지체(10)에 잠겨진다.
상기 돌기(33)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설치장치는 각각의 스테이플(90) 을 작동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도구를 사용한다. 이는 가요성 탭(32)을 회동 및 구부러질 수 있는 상태에 놓이도록 하여, 이후 상기 가요성 탭은 돌기(33)를 기기 지지체(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박스(20,21)의 안쪽으로 회동되고 구부러질 수 있다. 다만 이 휴지 위치에서, 각각의 스테이플(90)은 접촉부(94)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20)의 하향 에지(42A)의 상호 접촉부(42B)인 자유 에지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여전히 커버(20)에 부착된 상태로 있다.
특히 다른 기기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전방으로부터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기기 지지체(10)는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기 장치(19)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기 장치(19)는 다양한 기기 지지체(10)에 장착될 수 있는 표준적인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되는 기기 지지체(10)는 두 개 소재의 지지체, 예컨대 금속성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탭은 커버에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다.

Claims (19)

  1. 기기 지지체(1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도록 배열되는 기기 장치(19)로서, 전기 접속 요소(38)를 포함하는 박스(20,21)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20,21)는 커버(20)에 의해 폐쇄되는 베이스(21)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전기 접속 요소(38)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28)를 구비하는 전방벽(27)과, 상기 전방벽(27)을 둘러싸는 측벽(23)과,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돌기(33)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박스(20,2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측벽(23)의 평면에 뻗어있고 연결 단부(31)를 통해 상기 커버(20)에 부착되는 가요성 탭(32)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33)는 각각 상기 가요성 탭(32)의 연결 단부(31)와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 사이에 위치되는 기기 장치(1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가요성 탭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각 가요성 탭(32)의 일부분의 내면(52)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32)은 접촉부(42)에 지지될 때 상기 가요성 탭의 오목한 면 이 상기 커버(20)의 바깥쪽을 향해 약간 만곡될 수 있도록 자체적인 가요성을 가져, 상기 돌기(33)가 각각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2)는 상기 커버(20)의 측벽(23)에 제공되는 리세스(26)의 단부 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26)는 상기 가요성 탭(32)의 자유단(37)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3)는 결합된 가요성 탭(32)과 각각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32)은 각각, 피벗 힌지를 형성하는 하나의 연결 단부(31)를 통해 상기 커버(20)에 연결되고 상기 돌기(33)가 위치된 곳에 근접하여 자유단(37)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3)은 상기 측벽의 내면(62)에서 상기 피벗 힌지에 근접하여 노치(58,5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3)은 상기 측벽의 내면(62)에서 상기 가요성 탭(32)의 피벗 힌지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노치(58,59)를 구비하여, 상기 가요성 탭(32)의 굽힘성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32)은 각각 상기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 높이의 1/3 이상의 높이에 걸쳐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3)는 각각 상기 기기 지지체(10)에 커버(20)를 장착하기 위한 안내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두 개의 가요성 탭(32)에 의해 마주보는 두 측벽(23)에 연 결되는 두 개의 돌기(33)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가요성 탭은 각각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측벽(23)의 평면에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장치는 상기 커버(20)의 각 돌기(33)와 결합되는 잠금 부품(90)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품(90)은 상기 돌기(33)를 구비하는 가요성 탭(32)과 상호작용할 수 없는 휴지 위치와 상기 가요성 탭(32)을 상기 커버(2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0)의 대응하는 측벽(2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품(90)은 각각 상기 커버(20)와 잠금 부품(90)에 제공되는 슬라이딩 수단(25A,91A,92A)을 통해 상기 커버(20)에서 상기 돌기(33)를 구비하는 가요성 탭(3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품(90)은 각각 상기 커버(20)의 측벽(23)의 절취부(25)에서 상기 절취부(25)에 수용된 상기 가요성 탭(32)의 양측에 장착되는 U 자형의 스테이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플은 두 개의 평행한 브랜치(91,92)의 외부 에지면에 각각 슬라이딩 수단(91A,92A)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91A,92A)은 상기 커버(20)의 절취부(25)의 내향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슬라이딩 수단(25A)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잠금 부품(90)은 상기 커버(20)의 마주보는 두 측벽(23)에 배치된 두 개의 가요성 탭(32)에 구비되는 두 개의 돌기(33)와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두 개의 잠금 부품(90)은 상기 두 개의 잠금 부품이 휴지 위치에 놓이게 하고 작동 위치에 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20)의 전방벽(27)에 지지되는 접합 플레이트(100)에 파괴가능한 연결부(95)를 통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잠금 부품(90)과 접합 플레이트(100)는 플라스틱 소재를 몰딩함으로써 제조되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괴가능한 연결부(95)는 두께가 더 얇은 플라스틱 소재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품(90)은 각각 상기 잠금 부품(90)이 휴지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커버(20)의 상호 접촉부(42B)에 지지되는 접촉부(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품(90)은 각각 상기 잠금 부품(90)이 작동 위치에 배치될 때 대응하는 가요성 탭(32)의 내면(52)에 지지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장치(19).
  19. - 전면(11), 후면, 및 중앙 개구(13)를 가진 기기 지지체(10);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기 장치로서, 상기 기기 장치의 커버(20)의 돌기(33)가 각각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전면(11)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후면을 통해 상기 기기 지지체(10)의 중앙 개구(13)에 장착될 수 있는 기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1).
KR1020097005690A 2006-08-23 2007-06-29 기기 지지체의 후방으로 장착되는 기기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KR101310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7464 2006-08-23
FR0607464A FR2905225B1 (fr) 2006-08-23 2006-08-23 Mecanisme d'appareillage a monter par l'arriere d'un support d'appareillage et appareillage electriqu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PCT/FR2007/001106 WO2008023102A1 (fr) 2006-08-23 2007-06-29 Mecanisme d'appareillage a monter par l'arriere d'un support d'appareillage et appareillage electriqu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417A true KR20090060417A (ko) 2009-06-12
KR101310771B1 KR101310771B1 (ko) 2013-09-25

Family

ID=3787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690A KR101310771B1 (ko) 2006-08-23 2007-06-29 기기 지지체의 후방으로 장착되는 기기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059985B1 (ko)
KR (1) KR101310771B1 (ko)
CN (1) CN101507070B (ko)
ES (1) ES2400377T3 (ko)
FR (1) FR2905225B1 (ko)
PL (1) PL2059985T3 (ko)
PT (1) PT2059985E (ko)
WO (1) WO2008023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1266A1 (de) * 2009-10-29 2011-06-01 Abb Ag UP-Installationsschalter mit Tragring
DE102011050048A1 (de) * 2011-05-02 2012-11-08 Dorma Gmbh + Co. Kg Montageteil für aufputz-, unterputz- und/oder hohlraummontagefähige Einsätze
JP5772471B2 (ja) * 2011-10-07 2015-09-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EP2645501B2 (de) * 2012-03-28 2020-08-26 Gira Giersiepen GmbH & Co. Kg Systemanordnung aus einem Systemträger und mehreren Systemmodulen für die Gebäudeelektroinstallationstechnik und Türkommunikationstechnik
FR3000309B1 (fr) * 2012-12-20 2015-01-09 Legrand France Boite electrique d'encastrement a fixation automatique sur une paroi
FR3000308B1 (fr) * 2012-12-20 2015-01-09 Legrand France Module d'appareillage electrique amovible, boite electrique d'accueil d'un tel module d'appareillage et procede de remplacement d'un tel module d'appareillage
EP2852017B1 (de) * 2013-09-19 2020-04-22 Kaiser GmbH & Co. KG Installationsdose für elektrotechnische Zwecke
DE102014103713B3 (de) * 2014-03-19 2015-02-19 Albrecht Jung Gmbh & Co. Kg Elektrisches/elektronisches Installationsgerät
DE102014110652B3 (de) * 2014-07-29 2015-05-21 Albrecht Jung Gmbh & Co. Kg Elektrisches/elektronisches Installationsgerät
DE102014217481A1 (de) * 2014-09-02 2016-03-03 Fränkische Rohrwerke Gebr. Kirchner Gmbh & Co. Kg Anschlusseinheit
BE1022964B1 (nl) * 2015-04-21 2016-10-24 Niko, Nv Elektrisch samenstel voor inbouw in een wand
BE1023222B1 (nl) * 2015-06-26 2017-01-03 Niko Nv Inbouwsamenstel met verbeterde inbouwdoos
IT201700084040A1 (it) * 2017-07-24 2019-01-24 Bticino Spa Placca di copertura composita e gruppo di parti per il montaggio a parete di apparecchi elettrici modulari
FR3077436B1 (fr) * 2018-02-01 2020-02-21 Legrand France Support d'appareillage electrique
CN112640596A (zh) * 2018-08-21 2021-04-09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用于变频驱动器的集成直接安装型分支保护
MX2023007590A (es) * 2020-12-23 2023-09-29 Vimar Spa Dispositivo de cobertura que puede combinarse con un modulo electric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8165B (de) * 1997-09-24 2001-09-25 Legrand Oesterreich Gmbh Elektrisches unterputz-installationseinbaugerät
US6617511B2 (en) * 2000-01-07 2003-09-09 James Douglas Schultz Prewired electrical apparatus having quick connect components
DE20007505U1 (de) * 2000-04-25 2000-07-13 Jung Gmbh Albrecht Abziehschutz für elektronische Installationsgeräte, vorzugsweise für die Gebäudesystemtechnik
FR2880210B1 (fr) * 2004-12-23 2007-03-30 Legrand France Support d'appareillage electrique multipostes a montage indexe des socles de mecanisme d'appareil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05225B1 (fr) 2008-11-07
EP2059985A1 (fr) 2009-05-20
EP2059985B1 (fr) 2012-12-19
KR101310771B1 (ko) 2013-09-25
WO2008023102A8 (fr) 2008-05-15
CN101507070A (zh) 2009-08-12
FR2905225A1 (fr) 2008-02-29
WO2008023102A1 (fr) 2008-02-28
PL2059985T3 (pl) 2013-05-31
ES2400377T3 (es) 2013-04-09
CN101507070B (zh) 2011-08-24
PT2059985E (pt)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771B1 (ko) 기기 지지체의 후방으로 장착되는 기기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US5223673A (en) Modular electrical outlet assembly
US20070050945A1 (en) Hidden hinge
US6062633A (en) Harness assembling structure on vehicle floor
US8789799B2 (en) Cable holder
KR20010090486A (ko) 룸램프 고정구조
JP2004257188A (ja) スイッチ付ラッチ
US10328859B2 (en) Console assembly
US11112166B2 (en) Door rack having a bottom latched on a basic body, and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door rack
JP2010110045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プロテクタを取付けるクリップ及び装置
US6663199B1 (en) Housing for devices to be disposed along trunking, in particular electrical devices
US20110154617A1 (en) Door handle apparatus
JP4522248B2 (ja) 分電盤
KR100894162B1 (ko)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US7099159B2 (en) Motor control housing
CN114830477B (zh) 两部件式电气壳体
JP5065930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355150Y1 (ko)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JP2005019805A (ja) 筐体構造
JP2545883Y2 (ja) 電池蓋構造
JP2009126334A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
JP3962206B2 (ja) 回路遮断器
CA2457572C (en) Hidden hinge
JP2000061108A (ja) パチンコ機
US20060138787A1 (en) Hinged lever 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