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507A -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507A
KR20090059507A KR1020070126389A KR20070126389A KR20090059507A KR 20090059507 A KR20090059507 A KR 20090059507A KR 1020070126389 A KR1020070126389 A KR 1020070126389A KR 20070126389 A KR20070126389 A KR 20070126389A KR 20090059507 A KR20090059507 A KR 2009005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state
charge
contact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975B1 (ko
Inventor
지동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75B1/ko
Priority to JP2008307623A priority patent/JP4838294B2/ja
Priority to US12/315,826 priority patent/US20090146608A1/en
Priority to EP08021288A priority patent/EP2068418A3/en
Publication of KR2009005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5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같은 충전지와 충전유닛간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충전의 차이, 즉 충전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 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접촉 충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현재 충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무 접점 충전, 충전상태, 충전유닛, 충전지

Description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CONTACT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CHARGING STATE DISPLAY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 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통해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대용량의 밧데리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만족할 정도의 용량을 갖는 밧데리가 개발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밧데리 잔량을 근거로 충전시기 및 충전방법을 적절히 판단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충전장치 및 관련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일반 전원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의 밧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유닛(또는 충전모체, 충전장치)이 필요하다. 상기 충전 유닛과 밧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두 접촉단자를 서로 접속시켜 선택적으로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충전 유닛과 밧데리에 접촉단자를 구비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분만 아니라 습기에 노출되어 충전 에너지가 소실되거나 접촉불량에 의해 충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전유닛과 밧데리(또는 충전지)에 각각 접촉단자를 구성하지 않고 비접점(또는 비접촉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일부 응용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무접점(또는 비접촉식)식 충전방식의 일 예로서 유도결합에 의한 무접점 충전방식과 용량결합에 의한 무접점 충전방식이 알려지고 있다. 그 중에서 유도결합에 의한 무접점 충전방식은 충전유닛에 1차코일을 구비하고 단말기와 같은 충전 대상에 2차코일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가 충전 유닛에 접근할 경우 상기 1차코일과 2차코일간의 유도결합에 의해 단말기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또한, 용량결합에 의한 충전방식은 단말기에 부하측 평판형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유닛에 전원측 평판형 도체를 구비하여, 전원측 평판형 도체와 부하측 평판형 도체의 용량결합에 의해 단말기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무접점 충전방식에서는 충전지의 충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정확이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충전지의 무 접점 충전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는, 무접점 충전을 위한 전류 또는 전압을 제공하는 충전유닛과; 상기 제공된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상기 충전유닛간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시청적 또는 청각적으로 충전의 차이를 알려 주기 위한 충전상태 알림유닛과; 상기 무접점 충전을 위한 제어와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유닛은 충전지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패드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무 접점충전은 유도결합 또는 용량결합에 의한 충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은 상기 충전지와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른 충전효율 또는 충전시간에 근거한 충전상태를 알려준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은 충전유닛에 설치되거나 이동 단말기 또는 밧데리와 같은 충전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차이는 소정의 모양, 색, 소리, 문자 중의 하나의 형태로 출력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방법은, 충전지와 충전유닛간의 거리 또는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충전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충전의 차이에 해당하는 충전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 차이는 상기 충전지의 위치를 따른 충전효율 또는 충전시간을 근거로 파악하며, 상기 충전상태는 소정의 모양, 색, 소리, 문자중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된다.
본 발명은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게 이동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비접촉 충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현재 충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 (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 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그리고, 폴더폰의 경우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 (152), 카메라(121) 또는 제1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 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 (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 (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 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은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 (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 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충전장치는 충전되는 대상인 충전지(400)와, 상기 충전지(400)를 무 접점 충전방식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전류(또는 전압)을 제공하며, 충전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충전유닛(410)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유닛(411)은 충전지(400)과 충전유닛(411)간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충전상태 (=충전의 차이)를 측정하는 제어부(420)와, 상기 측정된 충전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아려주기 위한 충전상태 알림유닛(43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지(400)는 충전 대상으로서, 도1~ 도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배터리(전원 공급부, 190)를 나타낸다.
상기 충전 유닛(410)은 충전지(400)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패드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20)는 충전지(400)가 놓여진 위치의 충전효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효율 과 충전시간을 이용하여 충전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430)은 제어부(420)에서 측정된 충전상태를 색, 문자 및 소리등과 같은 각종 시각 및 청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430)는 스펙트럼 LED(Light Emitter Diode)와 같은 발광소자,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타 음성 출력장치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430)은 상기 충전유닛(410)에 설치될 수 있고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유닛(410)에 충전지(400)(또는 충전지가 체결된 이동단말기)를 올려놓고 충전을 하거나, 상기 충전유닛(400)은 다른 곳에 위치(가령 기지국 또는 집안의 어느 곳)하고 충전지는 책상앞에 두고 충전하는 경우(이 경우는 충전유닛에 안테나가 있고 이 안테나를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실시례가 될 것임)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거리에 따라서도 충전상태를 달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무 접점 충전방식의 충전은 유도결합방식, 용량결합방식은 몰론이고 무선에 의한 충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유도결합방식의 무접점 충전장치를 나타낸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충전지(400)는 이동 단말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 접점 충전이 유도결합방식의 경우 이동 단말기(400)는 2차코일(유도코일) (101)을 구비하고, 충전유닛(410)은 1차코일 (자계발생코일)(401)을 구비한다.
이동 단말기(400)가 충전유닛(410)의 위에 놓일 때 각 위치에서의 충전효율은 다르다. 그 중에서 도 6과 같이 이동 단말기(400)가 중앙에 위치할 때 1차코일(401)과 2차코일 (101)의 유도결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충전효율이 가장 좋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충전이 시작되면 제어부(440)는 충전지(400)과 충전유닛(411)간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충전의 차이(충전상태)를 파악한다. 즉, 상기 충전유닛(410)에 놓여지는 이동 단말기(400)의 충전효율을 측정한 후 충전시간을 카운트하여 충전상태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상태는 충전효율 × 충전시간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충전상태 알림유닛(450)은 상기 제어부(410)로부터 충전상태를 입력하여, 색, 소리, 문자 등과 같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용량결합방식의 무접점 충전장치를 나타낸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충전지(400)는 이동 단말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 접점 충전방식이 용량결합방식의 경우 충전지(400)는 부하측 평판형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유닛(410)은 전원측 평판형 도체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측 평판형 도체와 부하측 평판형 도체의 용량결합에 의해 상기 충전지 (400)가 충전된다.
용량 결합방식의 무접점 충전장치의 경우 충전유닛(410)에 전원측 평판형 도체(402)가 어떻게 분포하느냐에 충전효율이 결정된다. 즉, 상기 전원측 평판형 도 체(402)가 충전유닛(410)의 모든 부분에 고르게 분포하면 충전효율은 일정하지만, 고르게 분포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 위치마다 충전효율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유도결합방식의 무점접 충전과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400)가 전원측 평판형 도체(402)가 고르게 분포하거나 전원측 평판형 도체(402)에 일치하도록 위치한다면 충전효율이 더욱 좋아 질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60)는 충전유닛(410)에 이동 단말기(400)가 놓이면, 이동 단말기(400)의 부하측 평판형 도체(102)와 충전유닛(410)의 전원측 평판형 도체(402)간의 용량결합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충전효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충전상태를 파악(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470)은 상기 제어부(460)에서 파악된 충전상태를 색, 소리, 문자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하 무접점 충전시의 충전상태 표시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충전지(400)는 이동 단말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무 접점 충전하기 위해 유도결합 또는 용량결합의 경우 이동 단말기(400)를 충전유닛(410)에 올려놓거나 근접시키고, 무선충전의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충전동작을 개시한다.
제어부(420)는 이동 단말기(400)와 충전유닛(410)간의 거리 또는 위치를 파악하고(S10), 그 파악한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충전의 차이를 파악하여, 그 충전의 차이에 해당하는 충전상태를 출력한다(S11). 이때 충전효율은 전술한 바와같이, 유도결합방식의 경우는 충전유닛(410)과 이동 단말기 (400)간에 발생된 전자기 에너지(또는 충전지에 유도된 전류의 세기)에 의해 충전효율이 측정되고, 용량결합의 경우에는 충전유닛(410)과 이동 단말기(400)간의 임피던스(또는 충전지에 유도된 교류전원의 세기)를 이용하여 충전효율이 측정된다.
따라서, 충전상태 알림유닛(430)은 상기 제어부(420)에서 출력된 충전상태에 해당하는 소정의 모양, 색, 소리, 문자 등을 이용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400)의 충전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12). 예를들면, 충전상태는 예를들면 "충전중(charging)", 충전완료(charged)" 및 "20%충전"등과 같이 문자로 나타낼 수 있으며, 모양을 달리하여 충전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충전중일 때는 "□"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에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전상태 알림유닛(430)은 서로 다른 색으로 충전상태를 표시하거나 소리의 크기나 종류를 달리하여 충전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펙트럼 LED를 통하여 충전상태를 디스프레이할 수 있으며, 충전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 또는 소리를 크기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충전 정도를 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유닛(410)내에 구비된 충전상태 알림유닛(430)를 통하여 충전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충전상태를 보고, 비접촉 충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현재 충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충전유닛(410)과 일체로 구비되는 충전상태 알림 유닛(430)을 통해 충전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충전상태는 이동 단말기(40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 단말기(400)의 출력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및 알람부(153)을 통해 충전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충전상태를 직접 측정하거나 상기 무접점 충전장치의 제어부(4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충전효율을 제공하고, 각 위치에서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동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비접촉 충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현재 충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유도결합방식의 무접점 충전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용량결합방식의 무접점 충전장치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장치의 충전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에서 스펙트럼 LED를 이용하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무접점 충전시 충전상태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충전지, 이동 단말기 101 : 2차코일(유도코일)
102 : 부하측 평판형 도체 400 : 충전유닛
401 : 1차코일(자계발생코일) 402 : 전원측 평판형 도체
410 : 충전유닛 420, 440, 460 : 제어부
430, 450, 470 : 충전상태 알림유닛

Claims (13)

  1. 무접점 충전을 위한 전류 또는 전압을 제공하는 충전유닛과;
    충전지와 상기 충전유닛간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시청적 또는 청각적으로 충전의 차이를 알려주기 위한 충전상태 알림유닛과;
    상기 무접점 충전을 위한 제어와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기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유닛은 충전지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패드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유닛으로부터의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 접점충전은
    유도결합 또는 용량결합에 의한 충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은
    상기 충전지와의 거리나 위치에 따른 충전효율 또는 충전시간에 따른 충전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은
    상기 충전유닛에 설치되거나 이동 단말기 또는 밧데리와 같은 충전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차이는
    소정의 모양, 색, 소리 및 문자 중의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 알림유닛은
    스펙트럼 LED(Light Emitter Diode)와 같은 발광소자,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타 음성 출력장치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9. 충전될 대상인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를 무 접점 방식으로 충전시키는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지의 거리나 위치를 따른 충전효율 또는 충전시간을 근거로 충전상 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되는 충전상태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충전상태 알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는
    소정의 모양, 색, 소리, 문자 중의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11. 충전지와 충전유닛간의 거리 또는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충전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충전의 차이에 해당하는 충전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의 차이는
    상기 충전지의 위치에 따른 충전효율 또는 충전시간을 근거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는
    소정의 모양, 색, 소리 및 문자중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KR1020070126389A 2007-12-06 2007-12-06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KR101437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89A KR101437975B1 (ko) 2007-12-06 2007-12-06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JP2008307623A JP4838294B2 (ja) 2007-12-06 2008-12-02 充電情報表示機能を有する無接点充電装置及びその充電方法
US12/315,826 US20090146608A1 (en) 2007-12-06 2008-12-05 Non-contact charging apparatus having charging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method thereof
EP08021288A EP2068418A3 (en) 2007-12-06 2008-12-08 Non-contact charging apparatus having charging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89A KR101437975B1 (ko) 2007-12-06 2007-12-06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507A true KR20090059507A (ko) 2009-06-11
KR101437975B1 KR101437975B1 (ko) 2014-09-05

Family

ID=4034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389A KR101437975B1 (ko) 2007-12-06 2007-12-06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46608A1 (ko)
EP (1) EP2068418A3 (ko)
JP (1) JP4838294B2 (ko)
KR (1) KR1014379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865A (ko) * 2010-01-15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방법
WO2013062253A1 (ko) 2011-10-25 2013-05-02 Kim Seon Seob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무접점충전방법
WO2013141620A1 (ko) 2012-03-23 2013-09-26 Kim Seon Seob 무접점충전시스템용 수신부의 2차 코일
KR200488550Y1 (ko) * 2017-12-01 2019-05-21 재단법인 한국엘피지배관망사업단 태양광 시스템이 탑재된 경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76799C (en) 2007-01-29 2016-07-12 Powermat Ltd. Pinless power coupling
EP2140535A2 (en) 2007-03-22 2010-01-06 Powermat Ltd Signal transfer system
US10068701B2 (en) 2007-09-25 2018-09-04 Powermat Technologies Ltd. Adjustable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platform
MX2010003273A (es) 2007-09-25 2010-05-13 Powermat Ltd Plataforma de transmision de potencia inductiva de control central.
US8283812B2 (en) 2007-10-09 2012-10-09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having moving outlets
US8193769B2 (en) 2007-10-18 2012-06-05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ly chargeable audio devices
US8536737B2 (en) 2007-11-19 2013-09-1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for inductive power provision in wet environments
US9960640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US9337902B2 (en) 2008-03-17 2016-05-10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to an electrical device
US9960642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Embedded interfa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to electrical devices
US9331750B2 (en) 2008-03-17 2016-05-03 Powermat Technologies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host control interface thereof
CN102084442B (zh) 2008-03-17 2013-12-04 鲍尔马特技术有限公司 感应传输系统
US8320143B2 (en) 2008-04-15 2012-11-27 Powermat Technologies, Ltd. Bridge synchronous rectifier
JP4661900B2 (ja) * 2008-04-17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力供給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10044734A (ko) 2008-06-02 2011-04-29 파우워매트 엘티디. 전기기기에 설치된 파워아울렛
US8188619B2 (en) 2008-07-02 2012-05-29 Powermat Technologies Ltd Non resona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11979201B2 (en) 2008-07-02 2024-05-0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ded communication signals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s
US8981598B2 (en) 2008-07-02 2015-03-17 Powermat Technologies Ltd. Energy efficie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AU2009269574A1 (en) 2008-07-08 2010-01-14 Powermat Technologies Ltd. Display device
AU2009297963A1 (en) 2008-09-23 2010-04-01 Powermat Technologies Ltd.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US8850045B2 (en) * 2008-09-26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sharing resources amongst devices
US8868939B2 (en) 2008-09-26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with outlet connector
DK2357715T3 (en) 2008-12-12 2018-10-01 Ge Hybrid Tech Llc CONTACTLESS CHARGING STATION EQUIPPED WITH A PTPS CORE WITH A PLANAR SPIRAL NUCLEAR STRUCTURE, CONTACTless POWER RECEIVER, AND PROCEDURE TO CONTROL TOGETHER
US8427330B2 (en) * 2009-02-06 2013-04-23 Broadcom Corporation Efficiency indicator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fer
US8427100B2 (en) 2009-02-06 2013-04-23 Broadcom Corporation Increasing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fer
US20100201310A1 (en) * 2009-02-06 2010-08-12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D611898S1 (en) 2009-07-17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JP2011030318A (ja) * 2009-07-23 2011-02-10 Sony Corp 非接触給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非接触給電装置における優先度表示方法および非接触受電装置における優先度表示方法
USD611899S1 (en) 2009-07-31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USD611900S1 (en) 2009-07-31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US9590444B2 (en) * 2009-11-30 2017-03-07 Broadcom Corporation Device with integrated wireless power receiver configured to make a charging determination based on a level of battery life and charging efficiency
US8320961B2 (en) 2009-12-30 2012-11-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a tangible interface
EP2530813A4 (en) * 2010-01-29 2017-05-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494130B2 (ja) * 2010-03-31 2014-05-1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充電支援装置、車両用充電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102010015510A1 (de) * 2010-04-20 2011-10-20 Gira Giersiepen Gmbh & Co. Kg System aus einer mobilen Einheit und einer Vorrichtung zum berührungslosen Laden der mobilen Einheit mit elektrischer Energie
JP5539068B2 (ja) * 2010-06-3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
US8866495B2 (en) * 2010-06-30 2014-10-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patial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5539069B2 (ja) * 2010-06-3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
KR20120020661A (ko) * 2010-08-30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EP2635229B1 (en) * 2010-11-05 2018-01-24 Ethicon LLC Medical device packaging with charging interface
KR101660747B1 (ko) * 2010-11-09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BR112013015095B1 (pt) * 2010-12-27 2021-08-10 Nissan Motor Co., Ltd. Dispositivo de carregamento sem contato
KR101727495B1 (ko) 2010-12-28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525688B2 (en) * 2011-01-10 2013-09-03 Palm, Inc. Proximity detection alarm for an inductively charged mobile computing device
EP2677628B1 (en) * 2011-02-18 2018-05-02 LG Electronics Inc.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JP5749524B2 (ja) 2011-03-09 2015-07-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KR101830737B1 (ko) * 2011-05-17 201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718417B (zh) 2011-08-16 2016-10-1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电容性非接触供电系统
DE102011086826A1 (de) * 2011-11-22 2013-05-23 Robert Bosch Gmbh System mit einem Handwerkzeugakku und zumindest einer Handwerkzeugakkuladevorrichtung
JP6060516B2 (ja) 2011-11-30 2017-01-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20130098521A (ko) * 2012-02-28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8163B1 (ko) * 2012-05-25 2014-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단말기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치 및 방법
US9184620B2 (en) * 2012-06-28 2015-11-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US9632969B2 (en) * 2012-08-07 2017-04-25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peripheral module
US9455596B2 (en) 2012-10-16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charging and amplitude modulation reception
US9124124B2 (en) 2012-10-16 2015-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during wireless charging
US9148033B2 (en) 2012-12-21 2015-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of securing a wide-range of devices during wireless charging
JP6120576B2 (ja) * 2013-01-11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US9197095B2 (en) * 2013-01-24 2015-11-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the apparatus
US9472963B2 (en) 2013-02-06 2016-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protocols
EP2806527A1 (de) * 2013-05-22 2014-11-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mit einem mobilen elektronischen Gerät und mit einer Ladestation
US9301259B2 (en) * 2013-06-05 2016-03-2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charging information
GB2518128B (en) * 2013-06-20 2021-02-10 Nokia Technologies Oy Charging rechargeable apparatus
JP6127777B2 (ja) * 2013-06-28 2017-05-17 ソニー株式会社 給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US20150028805A1 (en) * 2013-07-29 2015-01-29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Implant charging field control through radio link
US9537353B1 (en) 2014-06-03 2017-01-03 Apple Inc. Methods for detecting mated coils
US9685814B1 (en) 2014-06-13 2017-06-20 Apple Inc. Detection of coil coupling in an inductive charging system
CN114115460A (zh) 2014-08-06 2022-03-01 苹果公司 用于电池管理的减小尺寸的用户界面
US10014733B2 (en) 2014-08-28 2018-07-03 Apple Inc. Temperature management in a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US10193372B2 (en) 2014-09-02 2019-01-29 Apple Inc. Operating an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
CN105529759A (zh) * 2014-12-05 2016-04-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器及其充电方法
WO2016144059A1 (ko) 2015-03-06 2016-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전원 센서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66084B2 (en) * 2015-07-10 2020-05-26 Apple Inc.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
KR102469570B1 (ko) * 2015-09-08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44531B1 (en) 2016-09-22 2020-05-05 Apple Inc. Adaptable power rectifier for wireless charger system
US10523063B2 (en) 2017-04-07 2019-12-31 Apple Inc.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US10389274B2 (en) 2017-04-07 2019-08-20 Apple Inc. Boosted output inverter for electronic devices
US10951043B2 (en) * 2017-06-04 2021-03-16 Apple Inc. Multi-device charging user interface
US10461566B2 (en) * 2017-10-06 2019-10-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apacitive wireless charging
US20190165595A1 (en) * 2017-11-29 2019-05-30 Hubbel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harging
KR102257048B1 (ko) 2018-08-21 2021-05-28 (주)링크일렉트로닉스 무선충전시스템의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 간 최적거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WO2020185902A1 (en) 2019-03-11 2020-09-17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Charging device with off-center coil
US11646591B2 (en) 2019-05-09 2023-05-09 Apple Inc. Indication for protective charging mod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9855A (en) * 1994-09-06 1999-08-17 Cruising Equipment, Inc. Power conversion equipment monitor/controller method and apparatus
DE69714879T2 (de) * 1996-01-30 2003-05-08 Sumitomo Wiring Systems Verbindungssystem mit zugehörigem Verfahren
US5994880A (en) * 1998-04-07 1999-11-30 Angeion Corporation Giant magnetroresistive ratio sensing system
US6803744B1 (en) * 1999-11-01 2004-10-12 Anthony Sabo Alignment independent and self align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JP4240748B2 (ja) 2000-04-25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無接点給電装置
JP3731881B2 (ja) * 2002-05-23 2006-01-05 有限会社ティーエム 人工臓器用非侵襲式充電システム、並びに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蓄電装置、および給電装置
US6930403B2 (en) * 2002-08-21 2005-08-16 High Tide Associates, Inc. Mobile electrical power source
DE102004039651A1 (de) * 2004-08-16 2006-03-09 Giesecke & Devrient Gmbh Gesteuertes kontaktloses Aufladen eines Akkumulators
US7271569B2 (en) 2004-09-21 2007-09-18 Motorola Inc. Contact less charger with alignment indicator
US7414380B2 (en) * 2004-09-21 2008-08-19 Lear Corporation Apparatus for inductively recharging batteries of a portable convenience device
JP2006203997A (ja) 2005-01-19 2006-08-03 Fuji Photo Film Co Ltd 充電システム
US7511452B2 (en) * 2005-12-05 2009-03-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pacitive charger providing data transfer and associated methods
US7948208B2 (en) * 2006-06-01 2011-05-24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7772802B2 (en) * 2007-03-01 2010-08-10 Eastman Kodak Company Charging display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865A (ko) * 2010-01-15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방법
WO2013062253A1 (ko) 2011-10-25 2013-05-02 Kim Seon Seob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무접점충전방법
WO2013141620A1 (ko) 2012-03-23 2013-09-26 Kim Seon Seob 무접점충전시스템용 수신부의 2차 코일
KR200488550Y1 (ko) * 2017-12-01 2019-05-21 재단법인 한국엘피지배관망사업단 태양광 시스템이 탑재된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8418A3 (en) 2013-03-13
KR101437975B1 (ko) 2014-09-05
EP2068418A2 (en) 2009-06-10
JP4838294B2 (ja) 2011-12-14
JP2009142149A (ja) 2009-06-25
US20090146608A1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9507A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KR101474421B1 (ko)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KR101432590B1 (ko) 무선 충전용 메뉴 제공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충전방법
KR20090043373A (ko) 태양광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KR20090097461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KR200900661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방법
KR2009006610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KR20140040975A (ko) 이동단말기
KR2010002269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지오태깅 방법
KR200900807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 모터 제어 방법
KR2009011941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콘텐츠 구매 제어 방법
KR20090063903A (ko) 가상 키보드 변환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변환방법
KR200900700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KR200901207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위한 근접 터치의 인식률교정방법
KR101404750B1 (ko)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368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20110078051A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 및 그의 충전방법
KR20090041634A (ko) 이동 단말기
KR10160468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51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충전 알람 방법
KR200900974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노이즈 소거 방법
KR2009005471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20090062640A (ko) 통신 기기 및 이것의 데이터 출력 방법
KR200900745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송신전력 제어 방법
KR2010007476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