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189A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189A
KR20090058189A KR1020070124865A KR20070124865A KR20090058189A KR 20090058189 A KR20090058189 A KR 20090058189A KR 1020070124865 A KR1020070124865 A KR 1020070124865A KR 20070124865 A KR20070124865 A KR 20070124865A KR 20090058189 A KR20090058189 A KR 20090058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auxiliary storage
cradle
storage box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823B1 (ko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KR102007012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8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04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방이 차단되어 내부에 메인수납공간이 형성된 일반적인 포장용상자에 거치대를 구비시키고 상기 거치대 상에 별도의 보조수납함을 거치시켜 상기 메인수납공간 상에 별도의 보조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는 메인물품외에 별도의 부수적인 물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어 기존 포장용 상자에 비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손잡이 형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절개부위를 상기 보조수납함을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절개부위 차단을 위해 별도로 사용되는 비닐시트가 필요없게되어 비용 및 제작공정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부재를 통해 냉각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수납할 경우 물품상부에 냉각부재를 설치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냉각부재 보관함이 상자본체와 분리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냉각부재 보관함에 의한 상자본체의 제작곤란성을 해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70124865
박스본체, 거치대, 보조수납함

Description

포장용 상자{Box for packing}
도 1과 도 2는 종래 포장용상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메인수납공간에 메인물품이 수납되고 상자본체 외부에 부수물품이 부착되어 있으며, 손잡이절개공이 별도의 시트지를 통해 차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메인수납공간 상에 아이스크림케이크가 수용되고 후측에는 별도의 냉각부재 수납함이 직립상태로 위치되어, 내부의 냉각부재로부터 발산된 냉기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 은 상자본체 양 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 거치대가 측벽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거치대 상에 별도의 보조수납함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보조수납함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자본체 및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절개부를 통해 거치대를 형성시키지 않고 별도의 거치대를 측벽 내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보조수납함 내에 냉각부재가 아닌 타 물품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도
도 7 은 보조수납함이 삽입되어 거치대 상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거치대 상에 보조수납함이 거치되고 보조수납함 내부에 냉각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메인물품 상부로 냉기가 분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거치대를 상하 중첩 구비시킴에 따라 보조수납함이 적층형태로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0 은 양측벽의 전후단부에 지지벽을 형성시키되, 상기 지지벽 상단부를 절곡하여 거치대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보조수납함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 은 각 지지벽을 내측으로 접어 상자본체의 전면입구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지지벽의 거치대를 통해 보조수납함을 상자본체상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보조수납함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4 는 상자본체의 상부벽에 함몰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함몰부를 거치대로 사용하여 함몰부에 보조수납함이 매설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 는 함몰부에 보조수납함이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은 보조수납함이 매설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 은 함몰부상에 덮개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0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8 은 상자본체 상부면을 개방시키고 사방의 측벽에 절개부를 통한 거치대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보조수납함을 상자본체 상부에 삽입하여 각 거치대에 의해 메인수납공간 상에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9 는 도 18에서 보조수납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 은 도 19 상태에서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일반적으로 케이크등과 같은 음식물을 구입하여 운반할 때에는 해당 음식을 별도의 포장용 상자 내에 수납한 상태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되는 포장용 상자는 수납되는 물품의 종류등에 따라 그 구조가 다양하지만, 대부분 각 측벽과 상하부벽을 통해 각 면이 차단되어 내부에 하나의 메인공간부가 형성되고 단순히 상기 메인공간부 내에 해당 물품을 수납하게 된다.
이처럼 메인공간부만을 통해 수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은 수용할 수 없다. 다양한 음식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각 음식을 먼저 각각 1차포장하여 메인공간부 내에서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야만 하므로 이때 포장용 상자는 단순히 운반기능만을 할 수밖에 없다.
이 외에 케이크와 같이 별도의 1차포장없이 메인공간부(150) 내에 수납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폭죽이나 양초등의 디스플레이용 물품(900)은 상자본체(100) 외부에 별도로 부착한 상태로 운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부수적인 물품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분실우려가 크고 우천시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수납상 불편함과 더불어 일반적인 케이크용 상자는 손잡이(160) 형성을 위해 상자본체의 상측벽을 절개함으로 상측벽 상에는 손잡이 형상의 절개공(162)이 불가피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물질이 상기 절개공(162)을 통해 메인수납공간(150)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쩔 수없이 별도의 비닐시트(S)를 이용하여 절개공(162)을 차단시키되, 그나마 투명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상자본체 내의 케익을 볼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포장상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별도의 비닐시트(S)가 소요되어 자재 및 비용손실이 발생되고 제작공정 또한 증가되어 결국 상자본체의 단가상승이 불필요하게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최근 제빵케이크와 더불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아이스크림케익과 같이 운반과정에서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이 필요한 음식을 포장할 경우 상자본체(100) 내에 해당음식과 함께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냉각부재도 같이 수용된 상태로 포장되는데,
따라서 이때 사용되는 포장용 상자로는 운반과정에서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스티로폼재 포장 상자가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재질의 특성상 환경오 염문제가 수반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 상자본체의 보관 시 보관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반적인 케이크상자와 같이 종이재의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되, 내부의 메인수납공간(150)에 별도의 냉각부재수납함(300)을 구비시킨 상태로 포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냉각부재수납함(30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공간부(150) 일측에 직립형태로 위치되는데, 냉각부재로 많이 쓰이는 드라이아이스에서 나온 냉기는 특성상 아래로 가라앉게 되므로, 이처럼 냉각부재 수납함(300)이 해당음식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발산된 냉기가 메인수납공간(150) 전체에 분포되는 것이 아니라 냉각부재수납함(300)이 위치된 지점에만 집중되어 해당음식의 냉각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냉기의 손실을 막기위해 상측벽 절개공(162)에 비닐시트(S)가 어쩔 수없이 부착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포장용 상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메인수납공간 상에 별도의 보조수납함을 통한 독립적인 보조수납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나 물품을 하나의 포장용 상자 내에 수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포장용상자의 제공을 목 적으로 한다.
또한 보조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보조수납함을 통해 손잡이 제작을 위해 형성되는 절개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비닐시트가 필요없어 비용이나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는 포장용 상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냉각보관이 필요한 물품의 포장 시 냉각부재로부터 발산된 냉기가 해당음식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하여 냉각유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포장용 상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 포장용 상자는,
각 벽면에 의해 내부에 메인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상자본체 중 각 벽면에 선택적으로 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 상에 별도의 보조수납함이 안착되어 상기 메인수납 공간 상에 보조수납공간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포장용상자(10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상자본체(100)와 거치대(200), 보조수납함(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자본체(100)는 일반적인 포장용상자 형태를 띠되, 양측벽(110) 과 전후면판(120) 상하측판(130)(140)에 의해 내부에 메인수납공간(150)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면판(120)과 후면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하 분리 형성되도록 하여 수납음식을 메인수납공간(150)상에 넣은 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각 체결편(122)과 체결공(124)을 형성시켜 메인수납공간(150)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어 원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자본체(100)의 상측판(130)상에는 손잡이(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손잡이(160)는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 외형을 따라 상측판(130)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부위를 상측으로 접어올림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상측판(130) 상에는 각 손잡이(160)형상의 손잡이절개공(162)이 형성되어 내부의 메인수납공간(150)이 외부와 연통된 상태가 된다. 물론 손잡이를 별도로 제작하거나 상측판(130)의 접이구조를 변형하여 손잡이절개공(162)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자본체(100)의 기본구조 또한 다양하게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후면판이 아닌 상측판(130)을 개폐시키는 구조 등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상자본체(100)에는 후술하는 보조수납함(300)의 설치를 위한 거치대(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거치대(2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양측벽(110)을 일부 절개한 후 각 절개부위를 내측, 즉 메인수납공간(150)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양측벽과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판재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거치대(200)를 형성함에 따라 양측벽(110)상에는 거치대절개공(170)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형성된 거치대(150)는 양측벽(110)의 전후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거치대(200)의 면적은 안착되는 보조수납함(30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확보함으로써 보조수납함(30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거치대(200)의 구현방법은 상기 절개방식 외에 [도 5]와 같이 상자본체(100)와 별도로 제작되어 양 측벽의 내면에 부착고정시키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방식을 통해 구현된 거치대(200)에는 별도의 보조수납합(300)이 안착되는데,
상기 보조수납함(300)은 상자본체(100)의 메인수납공간(150)외에 별도의 보조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좌우상하면이 차단된 사각 박스 형태에 의해 내부에는 보조수납공간(310)이 자체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은 개폐가능하도록 하여 보조수납공간(310)에 수납되는 물품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바닥에는 보조수납공간(310)에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냉각부재가 수납될 경우 냉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수납함(300)의 두께(a)는 상기 거치대(200)와 상측판(130)간의 높이(b)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거치대(200) 상에 안착되었을 때 보조수납 함(300)의 상면이 상측판(13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보조수납함(300)의 좌우폭(c)은 양측벽(110)간의 거리(d)와 동일하게 하며 전후폭(e)은 전면판(120)과 후면판 간의 거리(f)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보조수납함(300)의 사방면이 양측벽(110)과 전면판(120)후면판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배출공(320)은 설명한 것처럼 냉각부재가 사용될 경우에 한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도 6]처럼 접시나 스푼, 포크, 폭죽, 양초와 같은 부수적인 물품을 수납할 경우에는 굳이 형성시킬 필요는 없다.
더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조수납함(300)자체를 접시형태로 제작하여 메인수납공간(150)에 수납되는 음식외에 피자등과 같은 음식이 직접 담긴 상태로 수납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보조수납함(300)이 상자본체 내에 결합되는 구조 및 보조수납함(300)내에 냉각부재(400)가 수납된 실시예에서 발생되는 작용 및 효과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양측벽(110) 내면상에 거치대(200)가 돌출형성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보조수납함(300)을 거치대(200) 상부면상에 밀어넣으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수납함(300)이 거치대(200) 상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되고, 보조수납함(300)의 바닥면을 경계로 하여 상측에는 보조수납공간(31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메인수납공간(150)이 형성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조수납함(300)의 두께(a)와 거치대(200) 및 상측판(b)간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보조수납함(300)의 상부면이 상측판(130)의 하부면 에 밀착되어 상측판(130)상에 형성된 손잡이절개공(162)을 자연스럽게 차단하게 된다.
또한 보조수납함(300)의 양측폭이 양측벽(110)간의 거리와 동일하므로 보조수납함(300)의 양측면이 각 측벽의 내면에 밀착되어, 결국 거치대 절개공(170)도 자연스레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보조수납함(300)이 손잡이절개공(162)과 거치대절개공(170)을 동시에 차단하도록 함에 따라 외부이물질이 각 절개공(162)(170)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손잡이절개공 차단을 위한 비닐시트를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 및 비닐시트 부착에 따른 공정지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수납함(300)내 냉각부재(400)로부터 발산된 냉기는 보조수납함(300) 바닥의 각 배출공(320)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보조수납함(300)이 메인수납공간(150)상부에 위치되므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냉기가 하부, 즉 메인수납공간(150) 내 수용된 음식상으로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된다.
더구나 배출공(320)이 보조수납함(300)의 바닥 전체에 결쳐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수납공간(150) 전체공간에 골고루 분포되어 메인수납공간(150)내 음식 전체에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조수납함(300)이 손잡이절개홈(162)과 거치대절개홈(170)을 차단하므로 냉기가 각 절개홈(162)(170)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보조수납함(300)내에 발열부재를 수납한다면 음식의 자체열기를 최대한 유지한 상태로 포장 및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음식의 포장 시 발열부재나 냉각부재와 같은 온도유지부재를 통한 음식의 온도유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 [도 9]와 같이 거치대(200)를 상하 복수개로 중청 형성시킨다면 각 거치대(200)마다 보조수납함(300)을 각각 설치하여 각 보조수납함(300)이 적층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에 위치한 보조수납함(300)에는 냉각부재를 구비시키고 최 상단에 위치한 보조수납함(300)에는 양초나 접시등과 같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기타 상단의 보조수납함(300)에 냉각이 필요치 않는 음식을 수납하더라도 메인수납공간(150)에 공급된 냉기가 각 보조수납함에 의해 차단되어 최상단 보조수납공간(31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냉기에 의한 음식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거치대(200)를 통해 메인수납공간(150)상에 별도의 보조수납함(300)을 설치하여 보조수납공간(310)이 형성되므로 메인공간부(150)만을 사용하는 기존 포장용 상자에 비해 수납효율을 높여 다양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포장 및 운반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치대와 보조수납함을 통해 온도유지부재를 메인수납공간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향상된 온도유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유지효과와 더불어 보조수납함을 통해 손잡이절개홈을 차단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차단을 위해 별도의 비닐시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재 및 제작비용절감 과 제작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조, 즉 보조수납함(300)의 설치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현이 가능한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형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0]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적으로 상자본체(100)상에 거치대(200)를 형성시키고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별도의 보조수납함(300)을 메인수납공간(150)상에 설치하는 기본 구조는 동일하나,
양측벽을 절개하여 거치대를 구현하는 앞의 실시예와 달리 일반적인 포장 상자에 형성되는 지지판(180)상에 거치대(200)를 형성시키는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180)은 일반적인 상자의 입구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판(130)을 지지하기 위해 거의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며 양측벽(110)의 전후단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각 지지판(180)을 단순히 접음으로써 거치대를 형성시키는데,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각 지지판(180)의 상단부를 각각 내측으로 90도 접은 후, [도 11]과 같이 각측벽(110)과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각 지지판(180)을 메인수납공간(150)쪽을 향하도록 접음으로써 각 지지판(180)의 접혀진 상단부가 거치대(200)역할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와 [도 13]처럼 보조수납함(300)을 삽입하여 보조수납함(300)이 각 지지대(180)의 거치대(200)상에 안착 설치되고 상하 전면판(120)을 접어 메인수납공간(150)을 폐쇄함과 동시에 보조수납함(300)의 원치않는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에도 상기 각 거치대(200)의 상부면과 상측판(130)간의 높이를 보조수납함(300)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조수납함(300)이 상자본체(100)내에 설치되었을 때 보조수납함(300)에 의해 손잡이절개홈(162)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거치대(200)와 상측판(130)과의 거리조절은 단순히 지지판(180)의 접는 위치를 상하 조절하면 되므로 앞의 실시예에 비해 손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상자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지지판(180)을 단순히 접어 거치대(200)를 형성시킴으로써 절개를 통해 구현되는 앞의 실시예에 비해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거치대를 통해 메인수납공간 상에 보조수납함을 구비시키는 기본 개념은 앞의 두 실시예와 동일하되,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상자본체(100)의 상측판(130)상에 일정깊이의 함몰부(500)를 형성시키고 상기 함몰부(500)내에 보조수납함(300)을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함몰부(300)의 바닥를 거치대(200)로 활용한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즉 본 실시예는 앞의 두 실시예와는 보조수납함(30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함몰부(500)바닥, 즉 거치대(200) 중간 지점에 손잡이(160)를 형성시킴으로써 손잡이(160)가 함몰부(500)를 좌우로 구획하게 되어 함몰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별도의 보조수납함(300)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각 거치대(200)상에 통공(210)을 형성시켜 [도 15]와 [도 16]처럼 각 함몰부에 보조수납함(300)이 안착되었을 때 보조수납함(300)바닥에 형성된 배출공(320)을 통해 배출된 냉기가 상기 통공(210)을 통해 메인수납공간(150)내로 원활히 하강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양 함몰부(500)의 각 좌우폭 및 전후길이와 보조수납함(300)의 좌우폭 및 전후길이를 동일하게 제작하여 배출공(320)에서 배출된 냉기가 보조수납함(300)과 함몰부(50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함몰부(500)를 형성시킴에 따라 별도로 보조수납함(30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상기 함몰부(500)내에 음식이나 기타물품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즉 함몰부(500) 자체를 보조수납함으로 대체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만일 [도 17]과 같이 함몰부(500)상에 별도의 덮개(600)를 각각 구비시킨다면, 보조수납함(300)이 안착된 상태에서 밀폐력을 높여 냉기나 열기의 손실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몰부(500)에 직접 수납할 경우 외부로 이 탈되는 것을 차단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8]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역시 기본개념은 앞의 세 실시예와 동일하되, 상자본체(100)의 상부를 개방하고 전후측벽에 상기 제1시예처럼 절개를 통한 거치대(200)를 형성시키고 보조수납함(300)을 상자본체(100)의 상부를 통해 메인수납공간(150)내에 삽입하여 거치대(200)상에 안착시키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거치대(200)는 절개 방식 외에 부착방식을 적용하여도 무관하며(도5참조)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수납공간(150)의 면적과 보조수납함(300)의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보조수납함(300)의 전후좌우면이 각 거치대 절개홈(170)을 차단하여 냉기나 열기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포장용상자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내부에 메인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상자본체 상에 거치대를 형성시키고 상기 거치대를 통해 별도의 보조수납함이 구비되어 보조수납공간이 메인수납공간 상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납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온도유지부재를 통한 온도유지효과을 높이고 아울러 보조수납함을 통해 손잡이 절개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거치대를 통해 메인수납공간상에 별도의 보조수납함을 설치하여 보조수납공간이 형성되므로 메인공간부만을 사용하는 기존 포장용 상자에 비해 수납효율을 높여 다양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포장 및 운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와 보조수납함을 통해 온도유지부재를 메인수납공간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향상된 온도유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유지효과와 더불어 보조수납함을 통해 손잡이절개홈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차단을 위해 별도의 비닐시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재 및 제작비용절감 과 제작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전후좌우측벽에 의해 사방이 차단되어 내부에는 메인수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상자본체를 이루는 포장용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 중 양측판과 전후면판 및 상면판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 상에는 별도의 보조수납함이 안착되어 상기 메인수납공간 상에 보조수납공간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상하 복수개로 구비되어 보조수납함이 적층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양측벽과 상측판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내면 상에 설치되고, 보조수납함은 전후면판 중 어느 하나이상을 개방한 상태에서 거치대 상면 상에 인출 및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상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양측벽을 각각 일부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내부 메인수납공간 쪽으로 접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간의 거리와 보조수납함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보조수납함이 거치대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조수납함의 양측면이 양측벽의 절개부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 중 양측벽의 전후단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지지판이 형성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각 보조판의 상단부를 직각으로 접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의 거치대 및 상측판간의 거리와 보조수납함의 두께는 동일하 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수납함이 거치대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면이 상측판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함은 전후좌우 상하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어느 한면 이상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바닥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보조수납함 내 보조수납공간과 상자본체의 메인수납공간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자본체의 상측판에 일정깊이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의 바닥이 거치대로 사용되고 보조수납함이 상기 함몰부에 삽입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함의 바닥과 함몰부 바닥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보조수납함의 보조수납공간과 상자본체의 메인수납공간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070124865A 2007-12-04 2007-12-04 포장용 상자 KR10093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65A KR100936823B1 (ko) 2007-12-04 2007-12-04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65A KR100936823B1 (ko) 2007-12-04 2007-12-04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189A true KR20090058189A (ko) 2009-06-09
KR100936823B1 KR100936823B1 (ko) 2010-01-14

Family

ID=4098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865A KR100936823B1 (ko) 2007-12-04 2007-12-04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412A1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포장박스
US20210369025A1 (en) * 2020-05-28 2021-12-02 Robert Farrell Protective cake cover for maintaining the sanitary condition of a cake prior to consumption, the protective cake cover having a groove for inserting candles and a recess for storing a box of cand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350B1 (ko) 2012-04-04 2013-12-06 이승현 포장팩용 개폐스티커 및 이를 갖는 포장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831Y1 (ko) * 2001-05-07 2001-10-12 조동휘 드라이아이스 및 소도구를 내장하는 이중 조립식케이크상자
KR200402879Y1 (ko) * 2005-07-14 2005-12-08 현철호 음식물 포장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412A1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포장박스
US20210369025A1 (en) * 2020-05-28 2021-12-02 Robert Farrell Protective cake cover for maintaining the sanitary condition of a cake prior to consumption, the protective cake cover having a groove for inserting candles and a recess for storing a box of cand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823B1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905B2 (en) Ventilated tray for refrigerator beverage packages
US10981714B2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US7464827B2 (en) Shipping unit
US20220315281A1 (en) Vacuum-insulated stacking container for the temperature-controlled transport of food
JP5776960B2 (ja) 保冷容器
KR100936823B1 (ko) 포장용 상자
KR101910860B1 (ko) 보냉용 포장 상자
US10343702B2 (en) Technologies for caddy assemblies
KR101898908B1 (ko) 택배 박스
JP3953436B2 (ja) 冷蔵庫の仕切装置
JP5306630B2 (ja) 保冷容器
KR20190033952A (ko) 받침판이 고정되는 케익 포장용 상자
IE47668B1 (en) Plastics tray
JP2009161237A (ja) 保冷容器
KR20030040842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JP7048290B2 (ja) 釣魚トレイ
JP2017128378A (ja) 保冷・保温運搬容器
KR200448345Y1 (ko) 과일용 포장박스
CN220669931U (zh) 冰箱
USD999024S1 (en) Tray for storage containers
US10465972B2 (en) Container and refrigerator
US20050264145A1 (en) Food storage and serving device
JP3180024U (ja) 積み重ね収納用のトレー
KR20240076067A (ko) 덮개 결합 방향에 따라 다른 냉기 순환 구조를 갖는 보온보냉박스
EP3279106B1 (en) Device with platform for caddy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