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441A - 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 Google Patents

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441A
KR20090057441A KR1020097007726A KR20097007726A KR20090057441A KR 20090057441 A KR20090057441 A KR 20090057441A KR 1020097007726 A KR1020097007726 A KR 1020097007726A KR 20097007726 A KR20097007726 A KR 20097007726A KR 20090057441 A KR20090057441 A KR 20090057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waste
basicity
furna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7787B1 (en
Inventor
히로유키 호소다
코지 미나카와
타다시 이토
히루 니카이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신코간교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50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15665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416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66743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신코간교오솔루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신코간교오솔루션
Publication of KR2009005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6General arrangement of incineration plant, e.g. flow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20Combustion to temperatures melting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30Cyclonic combustion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40Stationary bed furnace
    • F23G2203/403Stationary bed furnace with substantial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4/0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 F23G2204/1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using auxiliary fuel
    • F23G2204/103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using auxiliary fuel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60Additive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5Controlling; Monitoring or measuring
    • F23G2900/55011Detecting the properties of waste to be incinerated, e.g. heating value, d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700/00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Ash removal means for incinerators
    • F23J2700/001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bstract

[PROBLEMS] 1. To realize high-efficiency operation of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by cessation of an auxiliary burner and, at the same time, to avoid abnormal combustion of unburned gas in reignition of the auxiliary burner. 2. To facilitate the regulation of the basicity to a proper value without the need to use a special analyzer for a slag composition in the operation of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MEANS FOR SOLVING PROBLEMS] 1. In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the operation of a burner of the melting furnace is stopped when the operation state satisfies a predetermined requirement. Thereaft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burner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supply of a waste material from a dust feeder to the gasification furnace is stopped. This burner is reignited when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gas in the outlet of the gasification furnace is increased by stopping the supply of the waste material to the gasification furnace. 2. The basicity of slag discharged from a slag-discharge port in a melting furnace is adjusted by supplying a basicity adjuster from an apparatus for supplying the basicity adjuster. Correlation between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of the waste material per unit weight and the slag basicity is us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the basicity adjuster supplied.

Description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방법 및 운전 제어장치{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도시 쓰레기나 산업 폐기물 등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방법 및 운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화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a gasification furnace for treating waste such as municipal waste or industrial was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slugs discharged from a gasification furnace. .

종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유동상식(流動床式) 가스화 용해로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동상식 가스화 용해로는 유동화 가스에 의해 유동층이 형성되는 유동상식 가스화로와 그의 후단의 용해로를 갖춘다. 상기 유동상식 가스화로는 유동층에 투입된 폐기물을 부분 연소시켜 열분해 가스를 생성한다. 상기 용해로는 유동상식 가스화로에 의해 생성된 열분해 가스를 더욱 더 연소시켜 동일한 가스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일에 따라 슬러그를 생성한다. 상기 용해로의 노정(爐頂)에는 로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조연용 버너가 설치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s a means for treating waste, a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describ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s known. Th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has a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in which a fluidized bed is formed by a fluidized gas and a melting furnace at its rear end. The fluidized bed gasifier partially burns waste introduced into the fluidized bed to produce pyrolysis gas. The furnace further burns the pyrolysis gas produced by the fluidized bed gasifier to produce slugs in accordance with dissolving the ash in the same gas. On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an auxiliary burner for maintaining the furnace temperature is provided.

이러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The operation of such a gasification furna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1) 버너의 운전에 대해서1) Burner operation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대해서, 상기 용해로 내의 온도가 1300℃정도까지 도달하고 있으면, 그 상태에서 조연(助燃)용 버너의 운전을 멈추어도 미연소된 성분의 자기 연소에 의해 노내 온도는 당분간 고온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연료의 절감이나 환경 문제(특히 CO2의 배출 억제)의 관점에서는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적당히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asification furnace, if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reaches about 1300 ° C, the furnac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while due to the self-burning of unburned component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burner for the auxiliary combustion is stopped.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burner appropriately from the viewpoint of fuel sav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suppression of CO 2 emission).

그러나, 이와 같이 버너의 운전을 일단 정지시켜 버리면, 그 후의 재발화시에 양호한 연소를 재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너 운전의 정지 후에 해당 버너 부근의 노내 온도가 어떠한 요인으로 급속히 내려가고 해당 버너의 근방에 존재하는 미연소된 가스의 자연발화 온도 이하가 된 시점에서 버너가 재발화되면, 이상 연소가 생길 우려가 있다.However, once the operation of the burner is stopped in this way, it is sometimes impossible to resume good combustion during subsequent re-ignition. For example, if the burner is re-ignited at a time whe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drops rapidly due to a certain factor after the burner operation stops and becomes below the spontaneous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unburned gas present in the vicinity of the burner, abnormal combustion occurs.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2) 슬러그의 유동성에 대해서2) fluidity of slug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화 용해로에 대해서, 상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슬러그가 안정되게 배출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유동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슬러그의 유동성이 저하된 상태가 계속되면, 이 슬러그가 슬러그 배출구를 폐색시켜 연속 운전을 저해할 우려가 발생된다.In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lug is stably discharged from the slug discharge por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fluidity. If the state in which the slug fluidity is lowered continues, this slug may block the slug outlet and cause continuous operation to be inhibited.

상기 슬러그의 유동성을 지배하는 파라미터로서, 해당 슬러그의 온도 및 염기도(CaO/SiO2)가 존재한다. 상기 슬러그가 그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슬러그의 온도가 용해점보다 높은 것이 조건이 되며, 또한 이 용해점과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사이에는 현저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러그의 염기도가 약 0.7의 값을 초과하면, 그 상승에 수반하여 슬러그의 용해점도 높아지고, 예를 들어 슬러그의 염기도가 1인 경우 그 슬러그의 용해점은 1200℃에까지 도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As parameters that govern the fluidity of the slug, there is a temperature and basicity (CaO / SiO 2 ) of the slug. In order to maintain the fluidity of the slug, it is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lug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lting point and the basicity of the slug. Specifically, when the basicity of the slug exceeds the value of about 0.7, the melting point of the slug also increases with the increase, for example, when the basicity of the slug is 1, the melting point of the slug reaches up to 1200 ° C. have.

따라서,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안정된 연속 운전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 조정이 중요하다. 만일 용해로 내를 거의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운전을 했다고 해도, 실제의 슬러그의 유동성은 그 염기도의 변동에 의해서 좌우되기 때문에, 해당 슬러그의 염기도가 적정한 범위 내로 유지되지 않으면 안정된 운전은 어렵다. 또한, 상기 형태인 염기도의 변동을 예측하여 노내 운전 온도를 조금 높게 설정하면, 운전 효율의 저하는 면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가 1까지 도달했을 경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슬러그가 안정하게 출재(出滓)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 슬러그의 온도가 1200℃이상이 아니면 안된다. 게다가, 이 배출 슬러그의 온도는 용해로의 노내 온도보다 100~150℃만큼 낮은 경향에 있기 때문에, 결국, 상기 슬러그의 출재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용해로 내의 온도를 1350℃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일로 된다. 상기 형태의 고온 운전을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하는 것은, 노내 보온을 위한 외부 연료의 증량의 필요성 나아가서는 운전 비용의 상승을 부를 뿐만 아니라, 환경 부하의 증대나, 내화물 손상을 위한 보수비용의 증대도 초래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stabl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gasification furnace efficiently,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basicity of the slug. Even if the operation of maintaining the inside of the melting furnace at a substantially constant temperature, the actual slug fluidity depends on the fluctuation of the basicity, so that stable operation is difficult unless the basicity of the slug is maintain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In addition, if the operating temperature in the furnace is set a little higher in anticipation of the fluctuation in basicity, which is the above-described form, the decrease in operating efficiency is inevitable. For example, when the basicity of the slug reaches 1, the temperature of the slug must be 1200 ° C or higher in order to allow the slug to be stably exited from the slug outlet.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is discharged slug tends to be lower by 100 to 150 ° C than the furnace temperature of the furnace,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must be 1350 ° C or higher in order to stabilize the output of the slug. Continued high temperature operation of this type for a long time will not only increase the need for an increase in external fuel for insulating the furnace, but also increase the operating cost, but also lead to an increase in environmental load or maintenance cost for damage to the refractory. Can be.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계내(系內)에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염기도를 내리는 경우 에는 계내에 규사(SiO2) 등이 공급되고, 반대로 염기도를 올리는 경우에는 소석회(Ca(OH)2) 등이 공급된다. 상기 형태의 염기도 조정제가 적당량만 계내에 공급되는 것으로, 슬러그의 염기도가 바람직한 범위 내로 유지된다. 즉, 이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적정한 양으로 결정하는 것이, 해당 슬러그의 염기도 조정을 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 된다.Therefore, conventionally, in order to adjust the basicity of the said slug, 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to a system is performe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lowering the basicity, silica sand (SiO 2 ) or the like is supplied into the system, and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basicity, slaked lime (Ca (OH) 2 ) or the like is supplied. Only a suitable amount of the basicity regulator of the above form is supplied into the system, so that the basicity of the slug is maintained within a preferable range. That is, determining the supply amount of this basicity regulator to an appropriate amount becomes an essential condition for optimally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2는,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를 분석 장치에 의해서 측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상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실제로 노내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조성을 간이 형광 X선분석장치 등을 이용해 분석하는 단계와, 그 분석결과에 근거로 하여 염기도 조정제의 첨가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upply amount of the basicity regulator, Patent Document 2 proposes to measure the basicity of actual slug by an analyzer. The method disclosed in this document includes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slug actually discharged from the furnace using a simple fluorescence X-ray analyzer or the like, and determining the addition amount of the basicity modifi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그러나,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운전 관리가 복잡하다. 구체적으로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특별한 분석계의 설치와 정기적인 분석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분석계는, 현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문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경우에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를 포함한 처리 설비로부터 상기 전문 기관으로 슬러그 샘플의 수송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슬러그의 샘플링 시기와 그 염기도가 판명되는 시기와의 사이에 큰 시간적 차이를 준다.However, operation management is complicated in this method. Specifically, in order to calculate the basicity of the slug,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pecial analyzer and perform regular analysis. In addition, the analytical system is often installed in a specialized institution far from the field, and in this case, transportation of slug samples from the processing facility including the gasification furnace to the specialized institution is necessary. This gives a large temporal difference between when the slug is sampled and when the basicity is found.

또한, 상기 방법에서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의 판별이 어렵다.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형태의 설비 외부에 설치되는 분석계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해당 분석계에 의한 분석은 비교적 긴 인터벌을 두고 주기적으로 실시하지 않 을 수 없게 된다. 상기 형태의 낮은 빈도로 얻을 수 있던 만큼 분석결과가 채용에 적합한 것인지, 혹은 돌발적으로 생긴 특이적인 값으로 해서 제외해야 하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리고, 이 판별을 잘못하면, 적정한 염기도 조정제의 조정량을 결정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metho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 In this method, in order for an analytical system installed outside the facility of the above-described type to be generally used, analysis by the analytical system must be periodically performed at a relatively long interval. The low frequency of the above forms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analytical results are suitable for adoption or should be excluded as unexpected values. And if this discrimination is made incorrectly, it will not be possibl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amount of adjustment of basicity regulator.

특허 문헌 1: 특개 2006-29678호 공보Patent document 1: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6-29678

특허 문헌 2: 특개 2001-182924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82924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가스화 용해로의 버너를 적당하게 휴지시키는 일에 따라 효율이 높은 운전을 실시하면서, 그 버너의 재발화 시에 양호한 연소를 확실히 재개하는 것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1st invention of this invention provides the technique for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resume good combustion at the time of reignition of the burner, while carrying out a high efficiency operation by appropriately stopping the burner of a gasification furnace. For the purpose 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용해로의 조연용 버너의 운전 정지 후, 용해로 온도가 어느 정도 강하했을 경우에 폐기물 투입을 정지시켜서 가스화로로부터 용해로에 보내지는 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높이고 나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켜, 또는, 용해로 온도가 어느 정도 높을 때 상기 버너를 재발화 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상기의 방법은, 상기 버너의 휴지를 통해 효율이 높은 운전을 실시하면서, 재발화에 적합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미연소된 가스의 자연발화가 곤란한 상태)로 버너가 재발화되는 것을 미리 막고, 해당 버너를 적절히 재발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for burning of the furnace, when the furnace temperature drops to a certain degree, the waste is stopped and the oxygen burner is increased after increas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gas sent from the gasifier to the furnace. Or re-ignite the burner when the furnace temperature is somewhat high. The above method prevents the burner from re-igniting in a state that is not suitable for re-ignition (e.g., a state where spontaneous combustion of unburned gas is difficult) while carrying out a high-efficiency operation through the stop of the burn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perly reignite the burner.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할 때 즈음, 슬러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한 특별한 분석계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적정한 염기도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상기 염기도 조정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단위중량 부근의 발열량과 해당 가스화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사이에 현저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상기와 같은 상관관계의 이용은, 특별한 분석 장치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실제 슬러그의 염기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Moreover, the 2nd invention of this invention aims at providing the technique which makes it easy to perform appropriate basicity adjustment, without requiring a special analyzer for analyzing a slug composition at the time of operating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do.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repeatedly studied the basicity adjustment, and as a result, between the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gasification furnace,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he correlation as described above made it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basicity of the actual slug without using a special analysis device or the like.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투입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고, 그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중의 회분을 용해하는 것과 동시에, 그 용해에 의해 발생된 슬러그를 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그 배출구를 가지는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할 때에,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방법은, 상기 슬러그 배출구보다 상류측의 위치에서 상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단위시간 쯤에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폐기물의 단위중량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서 발생되는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여, 해당 슬러그의 염기도를 미리 설정된 염기도의 목표치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sification system having a slug outlet for pyrolyzing the waste introduced, dissolving ash in the pyrolysis gas generated by the pyrolysis and discharging the slug generated by the dissolution out of the furnace. When operating the furnace, a method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slug outlet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slug outlet, and detecting the weight of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about a unit time. And det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a calorific value near a unit weight of the waste, calculating an estimated value of slug basicity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and calculating the calculated value. Based on the expected value of basicity, adjusting the amount of supply of said basicity regulator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basicity of said slug to the target value of predetermined basicity.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폐기물의 단위중량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와 실제의 슬러그 염기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것이, 슬러그 조성의 복잡한 분석을 실시하지 않아도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와 상기 상관관계 등에 근거하여,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일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여 염기도 조정제의 적정한 첨가량이 결정된다.In the above method,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and the actual slug basicity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n expected value of the actual slug basicity without performing a complicated analysis of the slug composition. do.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xpected value of the basicity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the correlation, and the like. Therefore, the appropriate addition amount of a basicity regulator is determined based on the estimated value of the slug basicity.

상기 방법은, 슬러그 염기도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슬러그 배출구보다도 상류측의 위치에 상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는 염기도 조정제 공급수단과, 단위시간 쯤에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폐기물 투입량 검출수단과, 상기 폐기물의 단위중량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파라미터 검출수단과,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 생기는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염기도 예상치 연산수단과, 상기 염기도 예상치에 근거하여, 해당 염기도를 미리 설정된 염기도의 목표치에 접근할 방향으로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염기도 조정제공급량 조절 수단을 갖추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The method is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lug basicity, the basicity regulator supplying means for 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slug outlet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slug outlet, and unit time Waste inpu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parameter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and the gasification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A basicity predicting means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estimated value of slug basicity generated in the melting furnace, and a basicity adjusting agent supplying amoun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supplying amount of the basicity adjusting ag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icity is approached to a target value of a predetermined basicity based on the basicity expected value. Equipped device Is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발명 실시의 형태에 따른 가스화 용해로를 갖춘 폐기물 처리 설비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ste treatment facility equipped with a gasification furn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도 3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있어서의 온도계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 thermometer in the gasification furnace.

도 4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에 있어서 가스 산소 농도에 근거하여 버너 재발화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control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burner re-ignition based on the gas oxygen concentration in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gasification furnace.

도 5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에 있어서 노정온도에 근거하여 버너 재발화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trol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burner re-ignition based on the top temperature in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FIG.

도 6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에 있어서 공기 공급량의 적산치에 근거하여 버너 재발화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설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a facility for performing control which determines the timing of burner reignition based on the integrated value of the air supply amount in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said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도 7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에 있어서 공기 공급량의 적산치에 근거하여 버너 재발화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control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burner re-ignition based on the integrated value of the air supply amount in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발명 실시의 형태에 따른 폐기물 처리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2nd inventi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9는 쓰레기 발열량 및 슬러그 염기도의 연간 추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nual trends in waste calorific value and slug basicity.

도 10은 쓰레기 발열량과 슬러그 염기도와의 상관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correlation between waste calorific value and slug basicity.

도 11은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는 염기도 조정제공급량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example of setting the basicity regulator supply amount based on the estimated value of slug basicity.

본 발명의 제1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바탕으로 하여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 of 1st invention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도 1은, 유동상식 가스화 용해로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 설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화로 및 용해로를 구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에 넓게 적용될 수 있다. 해당 가스화 용해로가 도입되는 폐기물 처리 설비의 전체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1 shows an example of a waste treatment facility equipped with a fluidized bed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operation of a gasification furnace having a gasifier and a melting furnac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y into which the gasification furnace is introduc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로서의 쓰레기가 우선적으로 쓰레기 피트(1)에 저장되어 크레인(미도시)에 의해서 폐기물 투입기인 급인기(2)의 호퍼(2a)에 투입된다. 상기 급인기(2)는 쓰레기를 정량적으로 유동상식의 가스화로(3)에 공급한다. As shown in Fig. 1, waste as waste is preferentially stored in the waste pit 1 and fed into the hopper 2a of the feeder 2, which is a waste feeder, by a crane (not shown). The feeder 2 quantitatively supplies waste to the gasifier 3 of the fluidized bed type.

상기 가스화로(3)에서는, 예를 들어 공기비 0.2 내지 0.4의 조건으로 부분 연소를 행하고, 모래층(砂層) 등으로 되는 유동층의 온도를 450℃ 내지 650℃로 유지하여 열분해 즉 일차 연소를 행한다. 상기 급인기(2)에 의해 투입된 쓰레기 중 불연물은 노상 하부로 나와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 5) 및 진동체(6) 그리고 자선기(磁選機, 미도시)를 거쳐 불연물, 비철금속, 철분, 유동모래로 각각 분리되고, 그 중의 유동모래가 가스화로(3)의 모래층에 되돌려져 재이용된다.In the gasifier 3, for example, partial combus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an air ratio of 0.2 to 0.4, and pyrolysis, that is, primary combustion, i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ized bed, which is a sand layer or the like, at 450 ° C to 650 ° C. Non-combustibles in the waste introduced by the feeder (2) come out of the bottom of the road through a screw conveyor (5) and vibrating body (6) and charity (磁選 機, not shown) incombustibles, nonferrous metals, iron, flow Each is separated into sand, and the flow sand therein is returned to the sand layer of the gasifier 3 and reused.

상기 가스화로(3)에서 발생된 열분해 가스는 용해로(4)로 유도되고, 이 용해로(4) 내에서 예를 들어 전체 공기비 1.3의 조건 하에서 한번 더 연소된다. 상기 용해로(4) 내에서는 선회류가 형성되면서 약 1300℃의 고온 연소를 행한다. 상기의 고온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상기 열분해 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하고, 해당 열분해 가스 중으로부터 슬러그로서 분리하는 것과 동시에, 다이옥신 등의 가스 중에 있는 유해 물질을 분해한다. 상기 용해 슬러그는 용해로(4)의 저부로부터 나와 컨베이어등을 포함한 슬러그 반출 장치(7)에 의해 반출되어 그 하부의 슬러그 냉각 장치(8)로 냉각되어 회수된다.The pyroly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3 is led to the melting furnace 4 and is burned once more in the melting furnace 4 under, for example, a total air ratio of 1.3. In the melting furnace 4, high-temperature combustion of about 1300 ° C is performed while swirl flow is formed. The heat generated by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dissolves the ash in the pyrolysis gas, separates it as slug from the pyrolysis gas, and decomposes harmful substances in gases such as dioxins. The molten slug comes out of the bottom of the melting furnace 4 and is taken out by the slug discharging device 7 including a conveyor or the like and cooled by the slug cooling device 8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recovered.

상기 선회류 용해로(4)로부터 배출되는 용해로 배기가스는, 공기 가열기(9) 및 폐열 보일러(10)를 통과하는데, 여기서 동일한 가스 중의 열이 회수된다. 열회수 후의 배기가스는 한번 더 가스 냉각기(11)로 냉각되어 버그 필터(12)로 제진(除塵)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정화된 배기가스는 유인 팬(13)을 거쳐 탈초장치(14)를 지나, 굴뚝(15)으로부터 배출된다.The melting furnac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swirl flow melting furnace 4 passes through the air heater 9 and the waste heat boiler 10, where heat in the same gas is recovered. The exhaust gas after the heat recovery is once again cooled by the gas cooler 11 and is damped by the bug filter 12. The exhaust gas purified as mentioned above is discharged from the chimney 15 via the decoction fan 13 through the denitration apparatus 14.

도 2는, 상기 가스화로(3) 및 용해로(4)에 의해 구성되는 가스화 용해로의 구조를 상세히 보이고 있다.FIG.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comprised by the said gasifier 3 and the melting furnace 4 in detail.

동일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로(3)의 저부에는, 다수 개의 가스 분사구(22)를 가지는 분산판(20)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풍상(風箱, 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풍상(24)으로부터 분산판(20)의 가스 분사구(22)를 통해서 예를 들어 상향된 유동화 가스가 분사되는 일에 따라, 분산판(20)의 상측에 있는 모래 입자로 이루어진 유동층(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산판(20)의 중앙에는 불연물배출구(28)가 설치된다. 상기 불연물 배출구(28)로부터 불연물이 뽑아 내어져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5) 및 진동체(6)로 유도된다.In the same figure, the distribution plate 20 which has many gas injection ports 22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gasifier 3, and the wind phase 24 is formed in the lower part. Fluidized bed 26 consisting of sand particles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ersion plate 20, for example, as the upwardly fluidized gas is injected from the wind-phase 24 through the gas injection port 22 of the dispersion plate 20. Is formed. In addition, a non-combustible discharge port 28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ispersion plate 20. The incombustibles are extracted from the incombustibles outlet 28 and guided to the screw conveyor 5 and the vibrating body 6.

상기 유동층(26)의 상측에는, 상기 급인기(2)에 접속되는 폐기물 투입구(30) 가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 투입구(30)로 상기 급인기(2)를 묶는 경로 안에 동경로를 개폐하는 댐퍼(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폐기물 투입구(30)로 대략 동등한 높이 위치에는 가스화로 승온 버너(34)가 설치된다. 그의 상측에는 2차 연소용 프리 보드(36)가 형성되고, 노정부(爐頂部)에는 열분해 가스 출구(38)가 설치되어 있다.Above the fluidized bed 26, a waste inlet 30 connected to the feeder 2 is provided, and a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a copper path in a path for binding the feeder 2 to the waste inlet 30. (32) is provided. A gas burner 34 is installed at a height approximately equal to the waste inlet 30. A secondary combustion free board 36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a pyrolysis gas outlet 38 is provided on the furnace part.

상기 열분해 가스 출구(38)로부터 배출되는 열분해 가스는 상기 선회식 용해로(4)의 상부로 공급된다. 상기 선회식 용해로(4)의 적소(도면 예에서는 노정)에는, 조연용의 버너(40)가 하향 설치되고, 그 바로 하부에 열분해 가스 입구(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열분해 가스 도입구(42)가 열분해 가스 통로인 덕트(44)를 개입시켜 상기 가스화로(3)의 열분해 가스 출구(3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버너(40)는 상기 용해로(4)의 승온 및 온도 유지(예를 들어 1300℃이상의 온도 상태 확보)에 사용된다. 상기 버너(40)의 운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pyrolysis gas discharged from the pyrolysis gas outlet 38 is supplied to the top of the swing furnace 4. In the place of the swinging melting furnace 4 (the top of the drawing example), the burner 40 for supporting is installed downward, and the pyrolysis gas inlet 42 is provided directly underneath, and this pyrolysis gas inlet ( 42 is connected to the pyrolysis gas outlet 38 of the gasifier 3 via a duct 44 which is a pyrolysis gas passage. The burner 40 is used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melting furnace 4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for example, securing a temperature state of 1300 ° C or higher). Operation of the burner 40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용해로(4)의 저부에는 슬러그 배출구(43)가 설치되고, 상기 슬러그 배출구(43)에 상기 슬러그 반출 장치(7)가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a slug discharge port 4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elting furnace 4, and the slug discharge device 7 is connected to the slug discharge port 43.

상기 덕트(44)에는, 산소 농도계(45)가 설치된다. 상기 산소 농도계(45)는, 상기 덕트(44) 내를 흐르는 가스, 즉, 상기 가스화로(3)로부터 상기 용해로(4)에 보내지는 가스 중의 산소의 농도를 검출한다. 상기 버너(40)의 근방 부위(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회식 용해로(4)의 노정근방 부위)에는, 그 부위에 있어서의 로내 온도(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노정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46)가 설치되어 있다.An oxygen concentration meter 45 is provided in the duct 44.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45 detects the gas flowing in the duct 44,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gas sent from the gasifier 3 to the melting furnace 4. In the vicinity of the burner 4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vicinity of the route of the swing melting furnace 4), the thermometer 46 which detects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furnace (in this embodiment, the landing temperature). Is installed.

상기 산소 농도계(45)로는,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산화 지르코늄식 산소 농도계가 매우 적합하다.As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45, on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is preferable. Specifically, a zirconium oxide type oxygen concentration meter is very suitable, for example.

상기 온도계(46)로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한편, 고온 영역에서의 검출 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방사 온도계(특히 적외선식 방사 온도계) 등이 매우 적합하다. 상기 온도계(46)의 설치 위치는, 노정온도가 검출 가능한 범위에 적당하게 설정 가능하지만, 가능한 한 안정되게 감시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용해로(4)의 열분해 가스 입구(42)의 부근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해로용 연소 공기 공급 노즐(48)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온도계(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48)의 상류측의 위치로부터 동 노즐(48)을 통해 용해로(4)의 노정 내를 감시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계(46)의 배치는, 상기 노즐(48)로부터 상기 용해로(4) 내부로 향하는 연소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고, 상기 온도계(46)의 검지창이 용해로(4) 내부의 회분등으로 폐색되는 것을 유효하게 막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것에 의해 안정된 온도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meter 46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excellent in the degree of detection in a high temperature region, and a radiation thermometer (especially an infrared radiation thermometer) and the like are particularly suitable. Althoug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aid thermometer 46 can be set suitably in the range which a peak temperature can be detected, the position which can monitor as stably as possible is preferable. For example, when a combustion air supply nozzle 48 as shown in FIG. 3 is installed near the pyrolysis gas inlet 42 of the furnace 4, the thermometer 46 is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nozzle 48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capable of monitoring the inside of the furnace 4 through the nozzle 48 from the posi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nozzle 48. The arrangement of the thermometer 46 uses the flow of combustion air from the nozzle 48 to the inside of the melting furnace 4, and the detection window of the thermometer 46 is blocked by ash in the melting furnace 4.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thing, thereby enabling stable temperature monitoring.

상기 온도계(46)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버너(40) 근방의 영역 내에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버너(40)의 발화에 의해 미연소된 가스의 연소가 생길 수 있는 정도로 해당 버너(40)에 가까운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The position at which the thermometer 46 is installed can be appropriately set in the region near the burner 40. Specifically, the burner 40 can be appropriately set in a range close to the burner 40 to the extent that combustion of unburned gas may occur due to the ignition of the burner 40.

또한,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는, 도 2에 나타난 형태인 제어계(50)가 구비되며, 이 제어계(50)에 상기 산소 농도계(45) 및 상기 온도계(46)의 출력 신호(검출 신호)가 각각 입력된다.In addition,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is provided with a control system 50 having the form shown in FIG. 2, and output signals (detection signals) of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45 and the thermometer 46 are input to the control system 50, respectively. .

상기 제어계(50)는 컴퓨터등에 의해 구성되며 그 기능으로서 버너 제어 부(52)로 급인제어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버너 제어부(52)는, 상기 버너(40)의 운전 정지 및 재발화를 실시하게 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상기 급인제어부(54)는, 상기 급인기(2)의 운전 정지 및 재기동을 실시하게 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system 50 is constituted by a computer or the like and has a feed control unit 54 as a burner control unit 52 as a function thereof. The burner control unit 52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causing the burner 40 to stop operation and re-ignition, respectively. The feed control unit 54 stops and restarts the feeder 2. Outputs a command signal to execute.

다음에, 이 가스화 용해로의 작용 및 상기 제어계(50)가 행하는 운전 제어의 내용을 도 4의 플로차트(flow chart)를 아울러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control performed by the control system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통상 운전 상태」(S1 단계)에서는, 급인기(2)가 구동되어서 용해로(4)의 버너(40)가 발화된다. 상기 통상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급인기(2)가 도시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상기 가스화로(3)의 폐기물 투입구(30)로부터 가스화로(3) 내에 투입한다. 상기 폐기물은, 가스화로(3) 내의 유동층(26)으로 일차 연소하고, 이것에 의해 열분해 가스가 발생한다. 상기 열분해 가스는 노정의 열분해 가스 출구(38)로부터 덕트(44)를 통해서 용해로(4)의 열분해 가스 입구(42)에 보내지고, 이 입구(42)로부터 용해로(4) 내의 상부로 도입된다. 상기 용해로(4) 내에서는 상기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이 한층 더 고온 연소하고,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켜 슬러그로 만든다. 상기 슬러그는 노벽에 부착되고, 한층 더 노저의 슬러그 배출구(43)로 하류하여 노 외부로 도출된다.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S1 step) as shown in FIG. 4, the feeder 2 is driven and the burner 40 of the melting furnace 4 is ignited.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the feeder 2 feeds waste such as municipal waste into the gasifier 3 from the waste inlet 30 of the gasifier 3. The waste is first burned into the fluidized bed 26 in the gasifier 3, whereby pyrolysis gas is generated. The pyrolysis gas is sent from the pyrolysis gas outlet 38 of the furnace through the duct 44 to the pyrolysis gas inlet 42 of the melting furnace 4, and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42 into the upper part of the melting furnace 4. In the melting furnace 4, the combustible component in the pyrolysis gas is further burned at a higher temperature,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dissolves the ash in the gas into slugs. The slug is attached to the furnace wall, and further downstream to the slug outlet 43 of the furnace, leading out of the furnace.

상기 용해로(4)의 노정 온도는, 상기 버너(40)의 발화에 의해서 고온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해당 노정온도가 1300℃정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그 상태로 조연용의 버너의 운전을 멈추어도, 미연소 성분의 자기 연소에 의해서 노내 온도는 당 분간 고온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연료의 절감이나 환경 문제(특히 CO2의 배출 억제)의 관점에서는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적당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p temperature of the melting furnace 4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by the ignition of the burner 40. However, when the top temperature reaches about 1300 ° C, the furnac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while due to the self-combustion of unburned components even when the burner for the burning operation is stopp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burner appropriately from the viewpoint of fuel sav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suppression of CO 2 emission).

그리고, 상기 제어계(50)는, 현재의 운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버너 정지 조건과 일치된 시점에서(S2 단계), 상기 버너(40)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너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S3 단계).Then, the control system 50 outputs a burner stop command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40 at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current operating state matches the preset burner stop condition (step S2). ).

상기 버너 정지 조건은 여러 가지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매우 적합하다.The burner stop condition can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very suitable.

1) 상기 온도계(46)에 의해 검출되는 노정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정지 온도(예를 들면 1100℃) 이상인 상태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 ) 이상 유지되는 일. 상기의「노정 온도」의 판정은, 적당한 샘플링 주기에서 순간치를 확인하는 일에 따라 행해지는 것도 괜찮고, 적당한 시간(예를 들면 상기의 소정 시간) 내에서 상기 노정 온도의 이동 평균치를 바탕으로 행해져도 괜찮다. 상기 1)의 조건을 설정했을 경우에는, 해당 조건의 충족을 확인하기 위한 온도계(46)를 후술의 급인정지의 타이밍이나 버너 재발화의 타이밍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겸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1) The state where the top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aid thermometer 46 is more than predetermined burner stop temperature (for example, 1100 degreeC) is maintained more than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minutes). The determ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performed by confirming an instantaneous value in a suitable sampling period, and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moving average value of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in a suitable time (for example, said predetermined time). Okay. When the condition of 1) is s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ermometer 46 for confirming the fulfillment of the condition can be used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timing of sudden stop and burner re-ignition described later.

2) 쓰레기 저위(低位) 발열량의 이동 평균치가 미리 설정된 발열량(예를 들면 2000kcal/kg) 이상인 일. 여기서 말하는 「쓰레기 저위 발열량」이란, 상기 급인기(2)에 의해 상기 가스화로(3)에 대해서 단위시간당 투입되는 쓰레기가 보유하는 열량을 의미하며, 폐기물의 열량에 상당한다.2) The moving average value of the low calorific value of waste is more than a preset calorific value (for example, 2000 kcal / kg). The term "low-level waste heat generation amount" as used herein means a calorie value held by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gasifier 3 by the feeder 2 per unit time, and corresponds to the calorific value of the waste.

상기 쓰레기의 보유 열량은, 예를 들면 특개 2004-37049호 공보에 개시된 형태로서, 폐기물 처리 설비의 열수지로부터 연산 가능한데, 대체로, 상기 버그 필터(12)의 하류측의 위치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유량계에 의해 검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량 Fe(Nm3/h)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Te(℃)와를 근거로 하여 산출되는 배기가스지출열량 Q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도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가스지출열량 Q(kcal/h)는, 배기가스의 비열을 cE로 하면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The waste heat retention amount of the waste is, for exampl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37049, and can be calculated from a heat balance of a waste treatment facility. In general, a waste gas flow meter installed at a position downstream of the bug filter 12 is provided. To be regarded as the same as the exhaust gas discharge heat quantity Q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temperature Te (° C.) of the exhaust gas detected by the exhaust gas thermometer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low rate Fe (Nm 3 / h) detected by the exhaust gas. Also good. Specifically, the exhaust gas discharge heat quantity Q (kcal / h)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hen the specific heat of the exhaust gas is cE.

Q = cE × Fe × TeQ = cE × Fe × Te

보다 정밀도가 높은 칼로리 산출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기가스지출열량 Q에 더하여, 그 외의 매체(예를 들면 공기, 물, 버너(40)의 보조 연료)에 의한 지입 열량과, 해당 매체에 의한 지출열량 등이 상기 발열량의 산출에 가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은 상기 공보에 기재되었던 대로이다.In order to perform a more accurate calorie calculation, in addition to the said exhaust gas discharge heat quantity Q, the amount of heat input by the other medium (for example, air, water, and auxiliary fuel of the burner 40), and the expenditure by the said medium It is preferable that calorie | heat amount etc. add to calculation of the said calorific value. This point is as described in the above publication.

상기 버너 정지 조건으로서, 상기 1) 및 2)의 어느 쪽이든 한쪽만이 채용되어도 괜찮고, 쌍방이 채용되어도 괜찮다. 즉, 상기 1) 및 2)의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을 만족할 경우에 버너(40)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도 괜찮고, 쌍방을 만족하는 경우에게만 버너(40)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도 괜찮다.As said burner stop condition, only one of the said 1) and 2) may be employ | adopted, and both may be employ | adopt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burner 40 may be stopped when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1) and 2) is satisfied, or the operation of the burner 40 may be stopped only when both of the conditions are satisfied.

상기 S3 단계에 대해 출력되는 버너 정지 지령 신호는, 그대로 제어 신호로서 이용되어도 괜찮고, 작동자에게 보내는 알림 신호로서 이용되어도 괜찮다. 전자의 경우에서는, 상기 버너 정지 지령 신호가 버너(40)의 액츄에이터에 입력되는 일에 따라 상기 버너(40)의 자동 정지 제어가 실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서는, 상 기 버너 정지 지령 신호가 예를 들면 조작반에 입력되어 해당 조작반의 표시부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작동자에게 적정한 버너 정지 타이밍이 알림되어 해당 작동자에 의해 버너(40)의 운전이 수동으로 되면서 적정한 타이밍에 정지되도록 조작된다.The burner stop command signal output in step S3 may be used as a control signal as it is, or may be used as a notification signal to an operator. In the former case, automatic stop control of the burner 40 can be realized by inputting the burner stop command signal to the actuator of the burner 40. In the latter case, the burner stop command signal is input to, for example, the operation panel to light up the display of the operation panel, so that an appropriate burner stop timing is notified to the operator and the operation of the burner 40 is stopped by the operator. It is operated manually and stopped at an appropriate timing.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하여 버너(40)의 운전이 정지되게 한 후, 적당한 타이밍에 버너(40)가 재발화되면 좋다. 그러나, 해당 버너(40)의 운전 정지 후에 어떠한 요인으로 인하여 노정 온도가 미연소 가스의 자연발화 온도 이하가 된 후에 해당 자연발화 온도 이하의 온도로 버너(40)를 재발화 시켰을 경우, 상기의 미연소 가스의 농도에 따라서는, 상기 버너(40)의 재발화가 폭발을 유인할 우려도 생각할 수 있다.The burner 40 may be re-ignited at an appropriate timing after the burner 40 is stopped in the above manner. However, when the burner 40 is re-ignit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after the burner temperature becomes lower than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of the unburned gas due to some factor after the operation of the burner 40 stop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combustion gas,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re-ignition of the burner 40 may cause an explosion.

따라서, 상기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어계(50)는, 상기 온도계(46)에 의해 검출되는 노정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900℃)까지 강하한 시점에서(S4 단계로 YES), 상기 급인기(2)에 의한 급인을 정지시키기 위한 급인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S5 단계). 상기 급인 정지 지령 신호도, 상기 버너 정지 지령 신호와 같이, 예를 들면 급인기(2)의 구동부에 그대로 입력되면, 해당 급인기(2)에 의한 급인을 자동 정지시키는 신호로서 기능할 수 있고, 또 상기 조작반 등에 그 표시부를 점등시키도록 입력되면, 작동자에게 적정한 급인정지 타이밍을 전달하는 신호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the control system 5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at the time when the top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aid thermometer 46 dropped to pre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900 degreeC in this embodiment) (in step S4). YES), a feed stop command signal for stopping feed by the feeder 2 is output (step S5). Like the burner stop command signal, the feed stop command signal can also function as a signal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feed by the feeder 2 when it is input as it is to the drive unit of the feeder 2, for example.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input to turn on the display unit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function as a signal for transmitting an appropriate sudden stop timing to the operator.

상기 S4 단계에서는, 노정 온도가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한 순간에 즉시 급인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어도 괜찮다. 그러나, 해당 노정 온도가 어떠한 요인으로 돌발적으로 하강하였을 경우에 재발화되는 일을 제외하기 위해서는 상기 노정 온도가 상기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한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예를 들면 2~20초) 계속 되었을 때에 상기 급인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S4, a sudden stop command signal may be output immediately at the moment when the top temperature drops to the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However, in order to exclude re-ignition when the corresponding top temperature suddenly drops due to any factor, the state where the top temperature has dropped to the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for example, 2 to 20 seco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emergency stop command signal is output when it is made.

상기의 형태인 급인의 정지는, 가스화로(3)로부터 배출되어 용해로(4)에 보내지는 가스 안의 산소의 농도를 상승시켜, 용해로(4) 내를 안전하게 버너(40)를 재발화시킬 수 있는 상태로 한다. 거기서, 제어계(50)는, 상기 산소 농도계(45)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감시하여, 그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농도(버너 재발화 농도;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10%)에 이른 시점에서(S6 단계로 YES), 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S8 단계).The stopping of the feed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3 and sent to the melting furnace 4, so that the burner 40 can be safely reignified in the melting furnace 4. It is in a state. The control system 50 monitors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gas detected by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45, and the burner re-ignition concentration (burner re-ignition concentration;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whose oxygen concentration is preset. At step S6, the burner re-ignition command signal (burner re-ignition command signal) is output (step S8).

또한, 해당 제어계(50)는 상기 산소 농도가 상기 버너 재발화 농도까지 상승하고 있지 않아도, 어떠한 요인으로 노정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버너 재발화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온도(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950℃)에 이른 시점에서(S7 단계로 YES) 상기 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의 신호도, 상기 버너 정지 신호와 같이, 그대로 버너(40)의 액츄에이터에 입력되어 이 버너(40)의 자동 재발화를 실시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조작반에 입력되어 작동자에게 적정한 버너 재발화 타이밍을 표시하는 것이어도 괜찮다.In addition, even if the said oxygen concentration does not rise to the burner re-ignition concentration, the said control system 50 rais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igher by some factor than the burner re-ignition temperature (950 degreeC in this embodiment). At the point of arrival (YES in step S7), the burner re-ignition command signal is output. Like the burner stop signal, the above signal is also input to the actuator of the burner 40 as it is, so that the burner 40 is automatically fired, and the burner recursively input to the operation panel is appropriate for the operator. It may be a display of the timing of the conversation.

그 후, 제어계(50)는, 급인기(2)가 기동(起動) 가능한 것을 확인한 후(S9 단계로 YES), 급인기(2)에 재기동 지령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급인기(2)를 재기동시 킨다(S10 단계). 상기 재기동도 작동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After that, the control system 50 confirms that the feeder 2 can be started (YES in step S9), and outputs a restart command signal to the feeder 2 to restart the feeder 2. (Step S10).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estart is performed manually by the operator.

상기와 같은 형태의 운전은, 버너(40)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정지시키는 일에 따라 연료의 절감이나 CO2 배출의 억제를 도모하면서, 버너(40)의 재발화 시에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orm ensures high safety during the re-ignition of the burner 40 while saving the fuel and suppressing CO 2 emission by stopping the burner 40 at an appropriate timing. Make it possible.

상기 형태의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운전의 다른 일례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운전 제어 동작 가운데, 버너 정지 지령 신호 출력(S3 단계)까지의 동작은 상기의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등하다. 그 출력 후, 제어계(50)는, 노정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온도(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1000℃)까지 강하한 시점에서(S11 단계로 YES), 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S12 단계).Another example of operation for ensuring high safety of the above form is as shown in FIG. Among the operation control operation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ration up to the burner stop command signal output (step S3) is equivalent to that shown in FIG. 4 above. After the output, the control system 50 outputs the burner re-ignition command signal at the time when the top temperature drops to the preset burner re-ignition temperature (1000 ° C in this embodiment) (YES in step S11) (S12). step).

상기 버너 재발화 온도는, 그 온도로 버너(40)를 재발화했을 때에 해당 재발화에 기인해 미연소 가스의 이상 연소가 생기는 것이 확실히 회피되어 높은 안전성이 확보되는 정도까지 높은 온도로 설정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미연소 가스의 자연발화 온도(예를 들면 천연가스의 경우는 약 680℃)에 충분한 안전율을 배가 시킨 온도이며, 테스트 등에 의해 안전이 확인된 온도가 채용되는게 바람직하다.The burner re-ignition temperature is set to a high temperature to such an extent that when the burner 40 is re-ignited at that temperature, abnormal combustion of unburned gas due to the re-ignition is certainly avoided and high safety is ensured. Generally, it is the temperature which doubled the safety factor sufficient to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680 degreeC in the case of natural gas) of the said unburned gas, and it is preferable to employ | adopt the temperature confirmed safety by test etc.

상기 형태의 운전도, 버너(40)의 운전 정지 후, 노정 온도가 너무 내려가기 전에 해당 버너(40)를 재발화시키는 것으로, 용해로(4) 내의 과잉인 냉각을 미리 막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버너 재발화시의 높은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In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ode, after the burner 40 is stopped, the burner 40 is re-ignited before the top temperature is too low,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cooling in the melting furnace 4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burner recurrence. High security of fire can be ensured.

또한, 상기 운전에 대해서, S12 단계에 대해 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를 출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버너(40)의 운전이 정지되지 않았던 경우 혹은 해당 신호의 출력 자체가 불능이 되었을 경우의 우발 방지를 위해서, 상기의 도 4에 나타낸 운전, 즉, 급인을 멈추어 가스화로 출구 가스의 산소 농도를 높이는 운전이 아울러 행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for the above 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ccid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burner 40 is not stopped even when the burner re-ignition command signal is output in step S12 or when the output of the corresponding signal is disabl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shown in Fig. 4, that is,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feeding and increas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outlet gas by gasification is also performed.

상기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운전 제어는, 급인 정지 후, 가스 산소 농도에 따라 버너의 재발화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이지만, 해당 가스 산소 농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로서 급인이 정지되는 것으로부터 용해로(4)의 상류 측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의 적산치를 감시하고, 이 적산치에 따라 버너의 재발화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control as shown in FIG. 4 above determines the timing of the reignition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gas oxygen concentration after stopping the feeding, but from the stopping of the feeding as a parameter directly affecting the gas oxygen concentra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monitor the integrated value of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upstream side of (4), and to determine the timing of reignition of the burner in accordance with this integrated value. 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에 나타낸 설비는, 송풍기(60) 및 유량계(62)를 갖춘다. 상기 송풍기(60)는, 유동상식 가스화로(3)에 대해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공기는 해당 가스화로(3)의 풍상(24) 내에 유동화 가스로서 공급되는 것과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프리 보드(free board, 36) 내에 퍼지(purge) 공기로서 공급된다. 그리고, 노정부에는 열분해 가스 출구(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계(62)는, 상기 송풍기(6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이 송풍기(60)로부터 상기 가스화로(3)에 대해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검출하고, 상기 유량에 대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검출 신호는 제어계(50)에 입력된다.The facility shown in FIG. 6 is equipped with the blower 60 and the flowmeter 62. As shown in FIG. The blower 60 is for supplying air to the fluidized-bed gasifier 3, which is supplied as a fluidizing gas into the wind-bed 24 of the gasifier 3, and in some cases, It is supplied as purge air in the free board 36. The furnace section is provided with a pyrolysis gas outlet 38. The flow meter 62 is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blower 60 to detect the flow rate of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60 to the gasifier 3,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for the flow rate. .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system 50.

상기 제어계(50)의 제어 동작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의 도 7에 대 해서, 급인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의 동작(S1~S5 단계)은 상기 도 4에 나타낸 제어로 행해지는 동작과 동등하다. 해당 급인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된 후, 버너 제어부(52)는, 상기 검출 신호에 따르고, 급인이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가스화로(3)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적산하고(S6A 단계), 그 적산치가 미리 설정된 일정치에 이른 시점에서(S6B 단계로 YES) 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S8 단계).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50 is as shown in FIG. In FIG. 7, the operation (steps S1 to S5) until the output of the sudden stop command signal is output is equivalent to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shown in FIG. After the sudden stop command signal is output, the burner control unit 52 accumulates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gasifier 3 from the point where the feeding stops,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step S6A). When the integrated value reaches a preset value (YES in step S6B), the burner re-ignition command signal is output (step S8).

상기 제어(制御)도, 버너(40)의 운전 정지 후, 송풍기(60)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에 의해서 버너(40) 근방의 산소 농도가 어느 정도 높아졌다고 예측할 수 있는 타이밍에 해당 버너(40)를 재발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버너 재발화시의 높은 안전성이 보장된다.The control also controls the burner 40 at a timing at which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burner 40 is increased to some extent by the supply of air from the blower 60 after the burner 40 is stopped. Makes it possible to reignite. This ensures high safety at burner re-ignition.

상기 적산의 대상이 되는 공기로서는, 상기 용해로(4)의 상류 측에 공급되어 해당 용해로(4) 내에서의 산소 농도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모두 포함된다. 따라서, 이 공기는, 가스화로(3) 내에 공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스화로(3)와 용해로(4)의 사이에 설치되는 덕트(44)에 퍼지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이 퍼지 가스도 상기 적산의 대상에 포함된다.As the air to be accumulated, all of those that can be suppli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melting furnace 4 and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melting furnace 4 are included. Therefore, this air is not limited to what is supplied in the gasifier 3. For example, when a purge gas is supplied to the duct 44 provided between the gasifier 3 and the melting furnace 4, this purge gas is also included in the said accumulation object.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어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조연용의 버너를 갖춘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하기 위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운전 방법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의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조작과,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한 시점에서 상기 가스화로에의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조작과, 상기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용해로에 보내지는 가스 안의 산소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농도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 시키는 조작을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an introduced waste and a pyrolysis gas generated by the gasification furnace are introduced to burn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Provided is an ope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having a melting furnace and a burning burner installed in the melting furnace. The operation method includes an operation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and adding waste in which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is preset after the operation of the burner is stopped.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at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falls to the stop temperature, and the burner re-ignition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gas sent from the gasifier to the melting furnace after the input of the waste is stopped is preset. And re-igniting the burner at the time point up to the concentration.

여기서,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를 검출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해당 버너의 근방에 있어서 해당 버너의 재발화에 의해 미연소 가스의 연소를 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적당히 설정하는 일이 가능하다.Here, about the position which detects "the melting furnace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a burner", it is possible to set suitably in the area | region which can burn unburned gas by reignition of the said burner in the vicinity of the said burner.

또한,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한 시점에서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킨다」는형태에 대해서는, 해당 용해로내 온도가 해당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한 순간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형태 외, 해당 용해로내 온도가 돌발적으로 강하했을 경우를 제외하기 위해서, 해당 용해로내 온도가 해당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만 경과했을 경우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형태도 포함된다.In addition, about the form of "stopping the said injection of the said waste into the said gasifier at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fell to the pre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n the said furnace reaches the said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In addition to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at the moment of the drop,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suddenly drops, only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has dropped to the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In this case, the form of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s also included.

이 운전 방법에 의하면,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 상기 버너의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했을 경우(예를 들면 미연소 가스의 자연발화가 곤란해지는 온도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우선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켜 해당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용해로에 보 내지는 가스 중의 산소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고, 그 후, 이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농도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는 일에 따라, 이 재발화에 의한 상기 미연소 가스의 이상 연소를 확실히 회피하여 양호한 연소를 재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operation method,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melting furnace near the burner drops to a predetermined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for example, it becomes a temperature state where spontaneous combustion of unburned gas becomes difficult). In this case,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can be stoppe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gas sent from the gasifier to the melting furnace, and then the concentration is increased to the preset burner reignition concentration. By re-igniting the burner at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reliably avoid abnormal combustion of the unburned gas due to the re-ignition and to resume good combustion.

또한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그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이며 상기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보다 높은 온도(예를 들면 미연소 가스의 이상(異常) 연소를 회피할 수 있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까지 상승했을 때에는, 상기 산소 농도에 관계없이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burner operation is stopped,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is a preset temperature and is high enough to avoid abnormal combustion of unburned gas (eg, unburned gas). Temperature), it is also preferable to re-ignite the burner regardless of the oxygen concentration.

상기 운전 방법에서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의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조작을 실시한 후, 상기 버너의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온도까지 강하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는 조작을 실시해도 좋다. 이 방법도, 상기 버너가 과도하게 낮은 온도영역(예를 들면 미연소 가스의 자연발화가 곤란해지는 온도영역)으로 재발화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양호한 연소를 보장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operation method, after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drops to a preset burner re-ignition temperature. You may perform the operation which reignites the said burner at one point in time. This method also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burner from reignition in an excessively low temperature region (for example, a temperature region in which spontaneous combustion of unburned gas becomes difficult) and to ensure good combustion.

상기 버너 정지 조건은 적당하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버너 정지 조건이,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 또는 그 이동 평균치가 미리 설정된 버너 정지 온도 이상인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된다고 하는 조건이면, 상기 폐기물 투입의 정지의 타이밍이나 상기 버너의 재발화의 타이밍을 도모하기 위해서 상기 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이용해 상기 버너 정지 조건의 판정도 실시하는 일이 가능 하게 된다.The burner stop condition can be appropriately set. However, if the burner stop condition is a condition that the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or the moving averag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burner stop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timing of stopping the waste input or re-ignition of the burner In order to achieve the timing, the burner stop condition can also be determined using the means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또한, 이 운전 방법에서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의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조작과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했을 경우에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조작 등이 행해진 후, 그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용해로의 상류 측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의 적산치가 일정치에 이른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는 조작을 해도 좋다. 상기 조작은, 상기 버너의 연소 영역의 산소 농도를 충분히 확보하고 나서 재발화하는 일을 가능하게 하며, 양호한 연소를 보장한다.Moreover, in this operation method,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stops the operation of the said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aid gasification furnace meet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said burner are stopped,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advances beforehand. After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when the temperature is dropped to the 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or the like is performed, the integrated value of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melting furnace is changed from the time when the input of the waste is stopped. The burner may be re-ignited when a certain value is reached. This operation makes it possible to re-ignite after sufficiently sec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combustion region of the burner, and ensures good combustion.

상기의 운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장치로서,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기와,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와, 상기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용해로에 보내지는 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산소 농도계와, 상기 온도계 및 상기 산소 농도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를 갖추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계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의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너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버너 제어부와,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한 시점에서,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기 위한 폐기물 투입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폐기물 투입 제어부를 포함하고, 한편, 상기 버너 제어 부는,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된 후, 상기 산소 농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농도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기 위한 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A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a gasification furnace for carrying out the above operation method, comprising: a waste injector for introducing the waste into the gasifier, a thermomete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and a gasifier from the gasifier to the melting furnace. Is provided with an oxygen concentration meter for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gas, and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sification furnac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hermometer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The control system includes a burner control unit that outputs a burner stop command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burner is stopped, the thermometer And a waste in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waste input stop command signal for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furnace by the waste injector when the temperature drops to a predetermined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by The burner control unit, after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by the waste injector, burner reignition for reburning the burner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rises to a preset burner reignition concentration. Output the command signal.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너 제어부는,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이고 상기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했을 때에는, 상기 산소 농도에 관계없이 상기 버너 재발화 신호를 출력해도 괜찮다.In the apparatus, the burner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of the burner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detected by the thermometer i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rises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The burner reignition signal may be output regardless of the oxygen concentration.

또한, 상기 운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운전 제어장치로서,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기와,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와, 상기 온도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를 구비하며, 이 제어계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의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너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버너의 운전 정지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온도까지 강하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의 운전을 재개시키기 위한 버너 재발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제공된다.In addition, as a separate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xecuting the operation method, a waste injector for injecting the waste into the gasifier, a thermomete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hermometer And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ich outputs a burner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After the burner stops operating, it is provided to output a burner re-ignition signal for resum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temperature drops by the thermometer to a preset burner re-ignition temperature.

상술된 바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의 버너 정지 조건에는,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또는 그 이동 평균치가 미리 설정된 버너 정지 온도 이상인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된다고 하는 조건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rner stop condition in th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includes a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ometer or the moving average valu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set burner stop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운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운전 제어장치로서,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의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 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너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버너 제어부와,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했을 경우에,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기 위한 폐기물 투입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폐기물 투입 제어부를 포함하고, 한편, 상기 버너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공기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공기의 양을 적산하여, 그 적산치가 미리 설정된 일정치에 이른 시점에서 상기 버너의 운전을 재개시키기 위한 버너 재발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s a separate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xecuting the operation method, a burner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burner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meet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And after the burner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ometer falls to a pre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waste input stop for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by the waste input machine. And a waste in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mmand signal, wherein the burner control unit accumulates the amount of air detected by the air quantity detecting unit from the time when the input of the waste by the waste injector is stopped, and the integrated value is increased. When the burner reaches a preset value, the burner operation is resumed. A device for outputting a signal is provided for a burner recurrence screen.

또한, 상술된 운전 제어장치는,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에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기와, 상기 가스화로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어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연소용의 버너와 함께, 우수한 가스화 용해로를 구성하는 일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the introduced waste, a waste injector for introducing waste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pyroly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wher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are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n excellent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together with a melting furnace for burning ash to dissolve ash in copper gas and a burner for combustion provided in the melting furnace.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상기 제2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가스화 용해로를 포함한 폐기물 처리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설비는, 가스화 용해로(110)와, 이 가스화 용해로(110)에 대해서 폐기물인 쓰레기를 공급하는 쓰레기 공급부(112)와, 상기 가스화 용해로(11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가스 처리부(114)를 구비한다.8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aste treatment facility including a gasification furnace, to which the second invention is applied. The facility includes a gasification furnace 110, a waste supply unit 112 for supplying waste to the gasification furnace 110, and a gas treatment unit 114 for processing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cation furnace 110. ).

상기 쓰레기 공급부(112)는, 쓰레기 피트(116)와, 쓰레기 반송 장치(118)와, 급인기(120)를 갖춘다. 상기 쓰레기 피트(116)는, 설비 외부에서 반입되는 처리 대상인 쓰레기를 받아들여 이것을 일단 저장한다. 상기 쓰레기 반송 장치(118)는 크레인을 구비하여, 상기 쓰레기 피트(116) 내의 쓰레기를 잡아 상기 급인기(120)로 반송한다. 상기 급인기(120)는 호퍼(122)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122)는 상기 쓰레기 반송 장치(118)로부터 투입되는 쓰레기를 받아들인다. 상기 투입량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110) 내의 쓰레기 투입량에 상당한다. 상기 급인기(120)는, 쓰레기 반송용의 스크류 컨베이어를 내장하여, 상기 호퍼(122) 내에 투입된 쓰레기를 상기 가스화 용해로(110)에 공급한다.The said garbage supply part 112 is equipped with the garbage pit 116, the garbage conveying apparatus 118, and the feeder 120. As shown in FIG. The said waste pit 116 receives the waste which is the process object carried in from the exterior of a facility, and stores it once. The waste conveying apparatus 118 is equipped with a crane, and catches the waste in the said waste pit 116, and conveys it to the said feeder 120. FIG. The feeder 120 includes a hopper 122, and the hopper 122 receives waste input from the waste conveying apparatus 118. The input amount corresponds to the garbage input amount in the gasification furnace 110. The feeder 120 has a built-in screw conveyor for conveying waste, and supplies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hopper 122 to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110.

상기 가스화 용해로(110)는 가스화로(124)와 용해로(126)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화로(124)는 상기 급인기(120)로부터 공급되는 쓰레기를 열분해하고, 이것에 의해서 열분해 가스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스화로(124)에는, 예를 들면, 주지의 유동상로나 킬른(kiln)노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용해로(126)는, 상기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고온 연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하고 슬러그를 생성시킨다. 상기 슬러그는 용해로(126)의 예를 들면 노벽에 부착된다. 상기 용해로(126)의 노저에는 슬러그 배출구(128)가 설치된다. 상기 슬러그 배출구(128)는, 상기 노벽에 부착되어 하류하는 슬러그를 노외로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용해로(126)에서는, 그 노내 온도의 조절을 위해서 필요에 따라 미도시된 버너에 의한 보조 연료의 연소를 행한다.The gasification furnace 110 includes a gasification furnace 124 and a melting furnace 126. The gasifier 124 pyrolyzes the waste supplied from the feeder 120, thereby generating pyrolysis gas. For the gasifier 124, for example, a well-known fluidized bed furnace or kiln furnace can be applied as it is. The melting furnace 126 burns th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pyrolysis gas at a high temperature, and simultaneously dissolves ash in the copper gas and generates slugs. The slug is attached to the furnace wall, for example in the furnace 126. The slug outlet 128 is installed in the furnace of the melting furnace 126. The slug outlet 128 serves to discharge the slug attached to the furnace wall and out of the furnace. In addition, in the melting furnace 126, the auxiliary fuel is burned by a burner not shown in order to adjust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상기 가스 처리부(114)는, 폐열 보일러(130)와, 감온탑(132)과 집인기(134)와, 유인 송풍기(136)와, 굴뚝(138)을 갖춘다.The gas processing unit 114 includes a waste heat boiler 130, a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32, a dust collector 134, a manned blower 136, and a chimney 138.

상기 폐열 보일러(130)는 상기 용해로(126)로부터 나온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기가스의 보유하는 열을 이용해 증기를 생성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배출 증기 유량, 즉, 이 폐열 보일러(130)에 대해서 단위시간당 발생하는 증기의 양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110)에 대해서 단위시간당 투입되는 쓰레기의 발열량에 상당하는 파라미터로 된다.The waste heat boiler 130 serves to recover heat from the high-temperature exhaust gas from the melting furnace 126, specifically, serves to generate and discharge steam by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gas. . The discharge steam flow rate, that is,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per unit time for the waste heat boiler 130, is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of the waste injected per unit time for the gasification furnace 110.

상기 감온탑(132)은, 상기 폐열 보일러(13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도입되는 탑본체와, 상기 탑본체 내에 냉각수를 분무하는 분무 장치와, 해당 탑본체의 출구에서의 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출구 가스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분무 장치에 의한 냉각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The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32 includes a tower main body into which gas discharged from the waste heat boiler 130 is introduced, a spraying device for spraying cooling water into the tower main body, and a temperature for detecting a gas temperature at an outlet of the tower main body. A sensor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cooling water supply flow rate by the spraying device to maintain a constant outlet gas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상기 집인기(134)는 상기 감온탑(132)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중의 티끌 등을 포획한다. 상기 집인기(134)에 의해 제진된 가스는, 상기 유인 송풍기(136)를 거치고, 상기 굴뚝(138)으로부터 배출된다.The dust collector 134 captures dust and the like i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thermal tower 132. The gas damped by the dust collector 134 passes through the manned blower 136 and is discharged from the chimney 138.

또한, 상기의 설비에는, 염기도 조정 장치(140)가 포함된다. 상기 염기도 조정 장치(140)는, 상기 용해로(126)의 슬러그 배출구(128)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염기도 조정제 공급장치(142)와, 증기 유량계(144)와, 쓰레기 투입량 출력부(146)와 콘트롤러(150)를 갖춘다.In addition, the above facilities include a basicity adjusting device 140. The basicity adjusting device 140 is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slug outlet 128 of the melting furnace 126, the basicity regulator supply device 142, the steam flow meter 144, and the waste input amount It has an output unit 146 and a controller 150.

상기 염기도 조정제 공급장치(142)는, 상기 가스화로(124)에 투입되는 쓰레기 안에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그 공급용의 반송 수단인 스크류 컨베이어(147)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47)를 회전시키는 모터(148)를 구비한다. 상기 염기도 조정제는 적절히 선정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만이 상정(想定)되고 있고, 따라서 상기 염기도 조정제로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내리기 위한 규사(SiO2)가 선정되dj 있다.The basicity regulator supply device 142 is for 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into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er 124, and the screw conveyor 147, which is a conveying means for the supply, and the screw conveyor 147 The motor 148 which rotates is provided. The said basicity regulator is suitably selected. In the above embodiment, only when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is excessively high, it is assumed, and therefore, as the basicity regulator, silica sand (SiO 2 ) for lowering the basicity of the slug is selected.

상기 증기 유량계(144)는, 상기 폐열 보일러(130)의 배출 증기 유량, 즉, 해당 폐열 보일러(130)에 대해서 단위시간 쯤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양을 측정한다.The steam flow meter 144 measures the discharge steam flow rate of the waste heat boiler 130, that is,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at a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waste heat boiler 130.

상기 쓰레기 투입량 출력부(146)는 단위시간 쯤에서 상기 가스화로(124)에 투입되는 쓰레기의 중량에 대한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쓰레기 투입량 출력부(146)는, 상기 쓰레기 반송 장치(118)에 부설되어 이 쓰레기 반송 장치(118)에 걸리는 중량 부하와 반송 회수라든지 쓰레기 반송량을 연산하고, 이것을 상기 가스화로(124)에 쓰레기 투입량에 상당하는 정보로서 상기 콘트롤러(150)에 제공한다.The waste input amount output unit 146 outputs an information signal about the weight of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er 124 at a unit time. Specifically, the waste input amount output unit 146 is installed in the waste conveying apparatus 118 to calculate the weight load and the number of conveyances or the waste conveying quantity applied to the waste conveying apparatus 118,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the waste gas from the gasifier ( 124)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50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garbage input.

상기 콘트롤러(150)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설비 전체의 통괄 제어를 실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정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염기도 예상치 연산부(152)와 염기도 조정제 공급량 조절부(154)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150 is configured by a microcomputer or the like and has a function of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entire facility. In addition, a function of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includes a basicity predicting value calculating unit 152 and a basicity adjusting agent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54.

상기 염기도 예상치 연산부(152)는, 상기 쓰레기 투입량 출력부(146)로부터 출력되고, 단위시간 쯤에 가스화로(124)에 투입되는 쓰레기의 중량에 대한 정보 신호와 상기 증기 유량계(144)에 의해 측정되는 증기 유량에 따르고, 상기 슬러그 배 출구(128)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 염기도의 예측치를 연산한다. 상기 예상치의 연산은, 단위시간 당의 상기 쓰레기의 투입량과 상기 배출 증기 유량에 근거하여 단위무게 당의 쓰레기의 발열량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무게 당의 쓰레기의 발생량에 근거하여 상기 염기도의 예측치를 연산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The basicity predicted value calculating unit 152 is output from the waste input amount output unit 146 and measured by the steam flow meter 144 and an information signal about the weight of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er 124 about a unit time. The estimated value of the slug basicity discharged from the slug discharge outlet 128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vapor flow rate to be obtained. The calculation of the estimated value may include calculating a calorific value of the rubbish per unit weight based on the input amount of the rubbish per unit time and the discharge steam flow rate and calculating an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based on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rubbish per unit weight. Is achieved by.

단위 쓰레기 중량당의 배출 증기 유량 혹은 쓰레기 발열량과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상기의 상관관계는 미리 실측에 의해 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기간, 상기 증기 유량에 대응하는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를 분석계에 의해서 계측하는 일에 따라, 상기 상관관계의 추산이 가능하다. 해당 상관관계는 예를 들면 일차식(직선식)에 근사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steam flow rate or waste calorific value per unit waste weight and the slug basicity. Said correlation can be calculated | required beforehand by actual measurement. Specifically, as shown through the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the correlation can be estimated by measuring the basicity of the actual slug corresponding to the steam flow rate by a analyz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rrelation can be approximated to, for example, a linear equation.

상기 염기도 예상치 연산부(152)는, 상기 상관관계를 기억하고, 해당 관계와 상기 증기 유량계(144)에 의해 실측되는 증기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를 산정한다.The basicity predicting value calculating unit 152 stores the correlation and calculates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based on the relation and the steam flow rate measured by the steam flow meter 144.

또한, 상기 염기도 예상치의 산정의 기초가 되는 배출 증기 유량의 값으로는, 상기 증기 유량계(144)의 지시값의 특정 기간 내에서 평균치가 채용된다. 그 특정 기간은 적당히 설정 가능하고, 일반적으로는 6 내지 24시간 정도가 매우 적합하다.In addition, as a value of the discharge | emission steam flow volume which is the basis of calculation of the said basicity anticipated value, the average value is employ | adopted within the specific period of the indication value of the said steam flowmeter 144. As shown in FIG. The specific period can be appropriately set, and generally about 6 to 24 hours are very suitable.

상기 염기도 조정제 공급량 조절부(154)는, 상기 염기도 예상치 연산부(152)에 의해 연산되는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와, 상기 쓰레기 투입량 출력부(146)로부터 입력되는 쓰레기 투입량에 대한 정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염기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치(예를 들면, 0.5)에 접근하기 위한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공급량을 얻을 수 있는 형태에서, 상기 염기도 조정제 공급장치(142)의 모터(148)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그 구동 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예상치와 실제의 염기도 조정제 공급량의 관계는, 이론상, 혹은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The basicity regulator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54, based on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the slug calculated by the basicity predicting value calculating unit 152, and the information signal for the waste input amount input from the waste input amount output unit 146, The basicity is determined to supply a basicity adjuster for approaching a predetermined target value (for example, 0.5). Then, in the form in which the determined supply amount can be obtained, 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motor 148 of the basicity regulator supply device 142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value and the actual amount of basicity regulator supply can be prepared in advance by theory or by simulation.

이상 나타내 보인 장치 및 이 장치에 대해 행해지는 슬러그 염기도의 조정 방법에서는, 해당 염기도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는 쓰레기 발열량에 대한 파라미터(여기에서는 폐열 보일러(130)의 배출 증기 유량)가 주목되고, 그 파라미터의 검출치와 상기의 관계 등에 근거하여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가 연산된다. 이것은, 실제의 슬러그 염기도를 분석계에서 실측하면서 운전을 진행시키는 종래법과 달리, 기존의 설비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서, 공급해야 할 염기도 조정제의 양을 적정하게 그리고 신속히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apparatus shown above and the adjustment method of the slug basicit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is apparatus, the parameter about the waste calorific value (here discharge steam flow rate of the waste heat boiler 130)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basicity is paying attention, and the parameter The expected value of the basici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above and the above relationship. This is unlike a conventional method of advancing operation while actually measuring slug basicity in an analytical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basicity regulator to be supplied appropriately and quickly as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existing equipment.

상기 방법은, 상기 폐열 보일러(130)가 생략된 설비에 대해서도,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쓰레기 발열량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면 상기 감온탑(132)에 있어서의 냉각수 공급 유량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감온탑(132)은, 상술된 바와 같이, 해당 탑본체의 출구에서의 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출구 가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분무 장치에 의한 냉각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이므로, 그 냉각수 공급 유량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110)에 단위시간당 투입되는 쓰레기의 발열량에 대응하게 된다.The method allows the waste heat boiler 130 to be carried out even for equipment in which it is omitted. In this case, the cooling water supply flow rate in the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32 can be selected as a parameter for the waste heat generation amount, for example. The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32, 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gas temperature at the outlet of the tower body, and the cooling water by the spray device to maintain the outlet gas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onstant Since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supply flow rate, the cooling water supply flow rate corresponds to the calorific value of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110 per unit time.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 위치는 상기 가스화로(124)의 입구 측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공급 위치는, 상기 슬러그 배출구(128)보다 상류측의 영역 내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위치는, 상기 가스화로(124)와 상기 용해로(126)의 사이의 영역 내에서 설정되어도 괜찮고, 상기 용해로(126) 내에서 상기 슬러그 배출구(128)보다 상류측의 연소실 내에서 설정되어도 괜찮다.The supply position of the basicity regulator is not limited to the inlet side of the gasifier 124. The supply position can be arbitrarily set in the region upstream of the slug outlet 128. For example, the position may be set in an area between the gasifier 124 and the melting furnace 126, and in the combustion chamber upstream of the slug outlet 128 in the melting furnace 126. It may be set.

실시예Example

이하, 상기의 도 8에 나타내어진 폐기물 처리 설비에서의 슬러그 염기도의 조절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ample regarding adjustment of the slug basicity in the said waste processing facility shown in FIG. 8 is demonstrated.

1) 단위무게 당 쓰레기 발열량과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1) Correlation between waste calorific value per unit weight and basicity of slug

단위무게 당 쓰레기 발열량과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사이에는 일차 함수에 근사치로 얻어질 수 있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alorific value per unit weight and the slug basicity that can be obtained as an approximation of the linear function.

도 9는 임의의 폐기물 처리 설비에서의 단위무게 부근의 쓰레기 발열량(kcal/kg) 및 슬러그의 염기도의 연간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은, 상기 쓰레기 발열량 및 상기 염기도가 서로 근사한 변화를 하는 일을 명확하게 나타내 보이고 있다.9 shows the annual trend of waste calorific value (kcal / kg) and basicity of slugs near unit weight in any waste treatment facility. The figure clearly shows that the waste calorific value and the basicity change approximately.

도 10은, 2개의 폐기물 처리 설비(설비 A 및 설비 B)에 대해서 실측에 의해 구할 수 있던 쓰레기 발열량과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비 A 및 설비 B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쓰레 기 발열량과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사이에 소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한다. 양설비 A, B에서는 그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쓰레기의 성분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 상기 쓰레기 발열량과 상기 염기도와의 관계는 설비 A, B간에 상위하지만, 어느 설비 A, B에 대해서도, 앞에서 본 상관관계는 일차 함수에 의해서 근사치로 될 수 있다. 따라서, 그 관계식이 미리 상기 염기도 예상치 연산부(52)에 입력되어 기억되면, 해당 연산부(52)는 상기 쓰레기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폐열 보일러(30)의 배출 증기 유량)에 근거하여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를 신속하게 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FIG. 10 graphicall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ste calorific value and the basicity of the slug obtained by actual measurement for two waste treatment facilities (facilities A and B). As shown in the figure, in any of the facilities A and B, a predetermined correl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amount of waste heat generated and the basicity of the slug. In both equipments A and 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ste calorific value and the basicity differs between equipments A and B in order to change the components of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Can be approximated by a linear function. Therefore, when the relational expression is previously inputted and stored in the basicity predicting value calculating unit 52, the calculating unit 52 may slug based on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waste heat generation amount (for example, the discharge steam flow rate of the waste heat boiler 30). It is possible to quickly estimate the estimate of basicity.

2)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와 염기도 조정제공급량과의 관계에 대해서2) Relationship between the estimated basicity of slug and the amount of basicity regulator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와 염기도 조정제 공급량과의 관계는, 이론상, 혹은 시뮬레이션에 근거하고, 미리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슬러그 염기도를 내리는 조정만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위한 염기도 조정제(예를 들면 규사)의 공급량(단위시간 당 쓰레기의 투입량에 상당하는 공급량)과 염기도 예상치와의 관계에 대해 도 11에 나타낸 설정과 같이 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에 의하면, 염기도 예상치가 목표치(예를 들면 0.5)를 상회하였을 경우에 그 초과분에 상당하는 양의 염기도 조정제가 공급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imated value of slug basicity and the basicity regulator supply amount can b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theory or simul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only the adjustment for lowering the slug basicity is assu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amount of the basicity regulator (for example, silica sand) (for example, the supply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amount of garbage per unit time) and basicity expected value is shown in FIG. 11. It is preferable if the settings are as shown. According to the above setting, when the basicity expected value exceeds the target value (for example, 0.5), an amount of basicity regulator corresponding to the excess is suppli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투입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고, 그 열분해에 의해 생기는 열분해 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하는 것과 동시에, 그 용해에 의해 생긴 슬러그를 노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그 배출구를 가지는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할 때에,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염 기도 조정 방법은, 상기 슬러그 배출구보다 상류측의 위치에 상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단위시간 쯤에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폐기물의 단위무게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 생기는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한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여 해당 슬러그의 염기도를 미리 설정된 염기도의 목표치에 접근할 방향으로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mentioned above, the 2nd invention of this invention pyrolyzes the waste thrown in, dissolves the ash in the pyrolysis gas produced by the pyrolysis, and discharges the slug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lug produced by the dissolution to the outside of a furnace. Eggplant provides a method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when operating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The salt airway adjustment method, the step of 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slug outlet at a position upstream than the slug outlet, and the weight of the waste put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about a unit time Det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calculating an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slug generated in the gasifier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and calculating And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basicity modifi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icity of the corresponding slug approaches the target value of the predetermined basicity based on the expected value of basicity.

상기 염기도 조정 방법에서는, 상기 폐기물의 단위무게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와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슬러그 조성의 복잡한 분석을 실시하지 않아도,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와, 상기 상관관계에 근거하여서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여 염기도 조정제의 적정한 첨가량이 결정된다.In the basicity adjustment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and the actual degree of slug basicity is used, so that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the actual slug can be estimated without complex analysis of the slug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get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xpected value of the basicity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and the correlation. And the appropriate addition amount of a basicity regulator is determined based on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the said slug.

구체적으로, 상기 폐기물의 단위무게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로서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열을 이용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 보일러로의 단위시간 쯤의 증기 발생량을 검출하는 것이 유효하다. 상기 증기 발생량은 검출이 용이하다. 게다가, 상기 증기 발생량과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단위시간당 폐기물의 투입량에 근거하여, 단위무게 당의 폐기물의 발열량을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it is effective to detect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per unit time in a waste heat boiler that generates steam by using the heat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cation furnace. The steam generation amount is easy to detect. In addition, the calorific value of the waste per unit weight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and the amount of waste input per unit tim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 생기는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단계 전에 미리 상기 파라미터와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관계를 실측에 의해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관계와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따라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 생기는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 방법에서는, 미리 구할 수 있던 상기 파라미터와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슬러그의 염기도의 적정한 예상치가 신속히 연산된다.As a specific means for calculating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for example, befor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the slug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the actual step of requ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 and the basicity of the actual slug by actual measurement It is effective to calculate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the slug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said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based on this relationship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said parameter. In this method, an appropriat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the slug is quickly calcul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 previously obtained and the basicity of the slug.

또한, 이러한 염기도 조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염기도 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슬러그 배출구보다 상류측의 위치에 상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는 염기도 조정제 공급수단과, 단위시간 쯤에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폐기물 투입량 검출수단과, 상기 폐기물의 단위무게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파라미터 검출 수단과,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 생기는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염기도 예상치 연산수단과,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여 해당 염기도를 미리 설정된 염기도의 목표치에 접근할 방향으로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염기도 조정제 공급량 조절수단을 갖춘다.Moreover, the basicity adjustment apparatus of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for implementing such a basicity adjustment method is provided. The apparatus includes a basicity regulator supplying means for 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slug outlet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slug outlet, and the weight of waste introduced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about a unit time. A waste inpu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gas, a parameter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a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and an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slug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A basicity predicting means calculating means and a basicity adjusting agent supplying amoun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supplying amount of the basicity adjusting ag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icity approaches a target value of a predetermined basicity based on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상기 장치의 파라미터 검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가스화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 보일러에서의 단위시간 당 증기 발생량을 검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이 경우, 상기 염기도 예상치 연산수단은, 상기 파라미터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파라미터와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서의 단위시간 당 폐기물의 투입량에 근거하여 단위무게 당 폐기물의 발열량을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parameter detecting means of the apparatus, for example, it is very suitable to detect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per unit time in a waste heat boiler that generates steam by using the heat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cation furna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ity predicting value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calorific value of the waste per unit weight based on the parameter detected by the parameter detecting means and the amount of the waste input per unit time in the gasification furnace.

또한, 상기 염기도 조정제 공급량 조절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리 실측에 의해 구할 수 있는 상기 파라미터와 실제의 슬러그 염기도와의 관계를 기억하고, 그 기억한 관계와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이 아주 적합하다.In addition, as said basicity regulato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 obtained by actual measurement and the actual slug basicity is stored, and the basicity is based on the stored relationship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It is very appropriate to determine the supply of modifiers.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방법 및 운전 제어장치를 통해서, 가스화 용해로의 버너를 적당하게 휴지시키는 일에 따라 효율이 높은 운전을 실시하면서, 그 버너의 재발화 시에 양호한 연소를 확실히 재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할 때 즈음, 슬러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한 특별한 분석계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적정한 염기도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gasification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sume good combustion during the re-ignition of the burner while carrying out a high-efficiency operation by appropriately stopping the burner of the gasification furnace. When the gasification furnace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ppropriate basicity adjustment without requiring a special analyzer for analyzing slug composition.

Claims (18)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에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고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조연용의 버너를 갖춘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the introduced waste, a melting furnace for introducing the pyroly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burning th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In a method of operating a gasification furnace for driving a gasification furnace equipped with a burner,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의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조작과,An operation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 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했을 경우에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조작과,An operation of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melting furnace near the burner drops to a pre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after the burner operation is stopped; 상기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용해로에 보내지는 가스 안의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농도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는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방법.Operating the gasification furnace, wherein the burner is re-ignited when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gas sent from the gasifier to the melting furnace rises to a preset burner reignition concentration after the input of the waste is stopped.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 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이며 상기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했을 때에는, 상기 산소 농도에 관계없이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방법.The bur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fter the burner operation is stopped, the burner is restarted regardless of the oxygen concentration when the temperature in the melting furnace near the burner rises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waste inlet stop temperature at a preset temperature. A method of operating a gasification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ification furnace.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에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고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조연용의 버너를 갖춘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the introduced waste, a melting furnace for introducing the pyroly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burning th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In a method of operating a gasification furnace for driving a gasification furnace equipped with a burner,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조작과,An operation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온도까지 강하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는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방법.And re-ignition the burn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drops to a preset burner re-ignition temperature after the burner operation is stopped.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에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고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조연용의 버너를 갖춘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the introduced waste, a melting furnace for introducing the pyroly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burning th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In a method of operating a gasification furnace for driving a gasification furnace equipped with a burner,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조작과,An operation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했을 경우에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조작과,An operation of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melting furnace near the burner drops to a pre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after the burner operation is stopped; 상기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용해로의 상류 측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의 적산치가 일정치에 이른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는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방법.And re-igniting the burner when the integrated value of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melting furnace reaches a constant value from the time when the waste is stopp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정지 조건에는,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 또는 상기 온도의 이동 평균치가 미리 설정된 버너 정지 온도 이상인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방법.The said burner stop condition includes the conditions in which the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near the said burner or the moving average value of the said temperature is more than preset burner stop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 method of operating a gasification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에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고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조연용의 버너를 갖춘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장치에 있어서,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the introduced waste, a melting furnace for introducing the pyroly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burning th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In th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gasification furn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sification furnace equipped with a burner,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기와,A waste injector for injecting the waste into the gasifier;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와,A thermomete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상기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용해로에 보내지는 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산소 농도계와,An oxygen concentration meter for detecting an oxygen concentration in the gas sent from the gasifier to the melting furnace; 상기 온도계 및 상기 산소 농도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를 구비하고,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sification furnace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thermometer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상기 제어계는, The control system,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너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버너 제어부와,A burner controller for outputting a burner stop command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했을 경우에,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가스화로에의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기 위한 폐기물 투입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폐기물 투입 제어부를 포함하며,After the operation of the burner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ometer falls to a pre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waste input stop for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by the waste input machine. Waste in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mmand signal, 상기 버너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된 후, 상기 산소 농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농도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를 재발화시키기 위한 버너 재발화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제어장치.The burner control unit burns the burner for reignition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rises to a preset burner reignition concentration after the input of the waste by the waste injector is stopped. A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a gas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command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제어부는,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이고 상기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했을 때에는, 상기 산소 농도에 관계없이 상기 버너 재발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제어장치.The said burner control part is related with the said oxygen concentration, when the temperature which is detected by the said thermometer after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said burner is a preset temperature and rose to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aid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is carried out. And a burner re-ignition signal to output the gas control furnac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정지 조건에는,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또는 상기 온도의 이동 평균치가 미리 설정된 버너 정지 온도 이상인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된다고 하는 조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제어장치.The burner stop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ometer or the moving average value of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burner stop conditio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고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조연용의 버너를 갖춘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장치에 있어서, 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the injected waste, a pyrolysis gas generated by the gasification furnace is introduced, a melting furnace for burning th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and a supporting tank installed in the melting furnace. In th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gasification furn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sification furnace equipped with a burner,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기와,A waste injector for injecting the waste into the gasifier; 상기 버너 근방의 용해로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와,A thermomete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near the burner; 상기 온도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를 구비하고,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thermometer, 상기 제어계는,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에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너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과 함께,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버너 재발화 온도까지 강하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의 운전을 재개시키기 위한 버너 재발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제어장치.The control system outputs a burner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and is detected by the thermometer after the burner operation is stopped. And a burner re-ignition signal for resum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a preset burner re-ignition tempera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정지 조건에는,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또는 상기 온도의 이동 평균치가 미리 설정된 버너 정지 온도 이상인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된다고 하는 조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제어장치.The gas burn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urner stop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that a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ometer or a moving average value of the temperat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burner stop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peration control device.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고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 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 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의 상류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과,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조연용의 버너를 갖춘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장치에 있어서, A gasification furnace for gasifying the injected waste, a pyrolysis gas generated by the gasification furnace is introduced, a melting furnace for burning the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and air upstream of the melting furnace. In th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equipped with the air supply means to supply and the burner for a tank provided in the said melting furnace,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기와, A waste injector for injecting the waste into the gasifier; 상기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검출하는 공기량 검출수단과,Air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amount of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means;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를 구비하고,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rner, 상기 제어계는, The control system, 상기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상태가 특정 버너 정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버너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너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버너 제어부와,A burner control unit which outputs a burner stop signal for stopping operation of the burne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satisfies a specific burner stop condition; 상기 버너의 운전이 정지된 후, 상기 온도계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폐기물 투입 정지 온도까지 강하했을 경우에,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가스화로에 상기 폐기물의 투입을 정지시키기 위한 폐기물 투입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폐기물 투입 제어부를 포함하며,A waste input stop instruction for stopping the input of the waste into the gasifier by the waste feeder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ometer drops to a preset waste input stop temperature after the burner operation is stopped; Waste in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상기 버너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 투입기에 의한 상기 폐기물의 투입이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공기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공기의 양을 적산하고, 그 적산치가 미리 설정된 일정치에 이른 시점에서 상기 버너의 운전을 재개시키기 위한 버너 재발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제어장치.The burner control unit accumulates the amount of air detected by the air quantity detecting means from the time when the input of the waste by the waste injector is stopped, and operates the burner when the integrated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value. And a burner reignition signal for restarting. 투입되는 폐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로와,A gasifier for gasifying the injected waste, 상기 가스화로에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기와,A waste injector for injecting waste into the gasifier, 상기 가스화로로 생성된 열분해 가스가 도입되어 그 도입된 열분해 가스중의 가연 성분을 연소시켜 동가스중의 회분을 용해시키는 용해로와,A melting furnace for introducing pyrolysis gas generated by the gasification furnace to burn combustible components in the introduced pyrolysis gas to dissolve ash in the copper gas; 상기 용해로에 설치되는 연소용의 버너와,A burner for combustion installed in the melting furnace,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가스화 용해로의 운전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of Claim 5 thru | or 11 provided with th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투입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고, 그 열분해에 의해 생기는 열분해 가스중의 회분을 용해하는 것과 함께, 그 용해에 의해 생긴 슬러그를 노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그 배출구를 가지는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할 때에,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 조정방법에 있어서,The sludge basicity when operating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having a slug discharge port for pyrolyzing the waste to be introduced, dissolving ash in the pyrolysis gas generated by the pyrolysis and discharging the slug produced by the dissolution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I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slug basicity of the gasification furnace to control the 상기 슬러그 배출구보다 상류측의 위치에 상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는 단계와,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slug outlet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slug outlet; 단위시간 쯤에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단계와,Detecting a weight of waste introduced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about a unit time; 상기 폐기물의 단위무게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 계와,Det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 생기는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단계와,Calculating an estimated value of slug basicity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furnace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연산된 상기 슬러그의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여, 해당 슬러그 염기도를 미리 설정된 염기도의 목표치에 접근할 방향으로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의 조정방법.And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basicity regulator in a direction to approach the target slug basicity based on the calculated basicity of the slug based on the estimated value of the basicity of the slug.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로서,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s the parameter, 상기 가스화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 보일러로의 단위시간 쯤의 증기 발생량이 검출되고,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per unit time to a waste heat boiler that generates steam by using the heat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cation furnace, is detected, 상기 증기 발열량과 단위시간 당의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폐기물의 투입량에 근거하여, 단위무게 당의 폐기물의 발열량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의 조정방법.And calorific value of waste per unit weight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steam calorific value and the amount of waste injected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per unit time.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서 발생하는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단계 전에 미리 상기 파라미터와 실제의 슬러그 염기도와의 상관관계를 실측에 의해 요구해 두는 단계를 포함하고, 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comprising the step of actually reques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 and the actual slug basicity in advance before calculating the expected value of the slug basicity occurring in the gasification furnace, 상기 예상치를 연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관관계와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따라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서 발생하는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가 연산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의 조정방법.And in the calculating of the expected value, an estimated value of the slug basicity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투입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고, 그 열분해에 의해 생기는 열분해 가스중의 회분을 용해하는 것과 함께, 그 용해에 의해 생긴 슬러그를 노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그 배출구를 가지는 가스화 용해로를 운전할 때에, 상기 슬러그 염기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 조정장치에 있어서,The slug basicity is decomposed at the time of operating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having a slug discharge port for pyrolyzing the introduced waste, dissolving ash in the pyrolysis gas generated by the pyrolysis, and discharging the slug produced by the dissolution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In the slug basicity adjusting device of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for adjusting, 상기 슬러그 배출구보다 상류측의 위치에 상기 슬러그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그의 염기도를 조절하기 위한 염기도 조정제를 공급하는 염기도 조정제 공급수단과,Basicity regulato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basicity regulator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slug discharged from the slug outlet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slug outlet; 단위시간 쯤에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폐기물 투입량 검출수단과,Waste inpu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weight of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about a unit time; 상기 폐기물의 단위무게 부근의 발열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파라미터 검출수단과,Parameter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a calorific value near the unit weight of the waste;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화 용해로 내에서 발생하는 슬러그 염기도의 예상치를 연산하는 염기도 예상치 연산수단과,Basicity predicting means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expected value of slug basicity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arameter; 상기 염기도의 예상치에 근거하여, 해당 염기도를 미리 설정된 염기도의 목표치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염기도 조정제공급량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 조정장치.And a basicity regulato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basicity of the basicity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target value of the basicity set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ed value of basicit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검출 수단은, 상기 가스화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 보일러로의 증기 발생량을 검출하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parameter detecting means detects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in the waste heat boiler that generates steam by using the heat of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cation furnace, 상기 염기도 예상치 연산 수단은, 상기 파라미터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증기 발생량과 상기 가스화 용해로에 단위시간 당의 폐기물의 투입량에 근거하여 단위무게 당의 폐기물의 발열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 조정장치.The basicity predicting unit calculates the calorific value of the waste per unit weight based on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by the parameter detecting unit and the amount of waste per unit time input to the gasification furnace.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도 조정제 공급량 조절수단은, 미리 실측에 의해 구할 수 있는 상기 파라미터와 실제의 슬러그의 염기도와의 관계를 기억하고, 그 기억한 관계와 상기 파라미터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상기 염기도 조정제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해로의 슬러그 염기도 조정장치.The said basicity regulato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memorize | st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id parameter calculated | required previously by actual measurement, and the basicity of an actual slug, The stored relationship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said parameter are a thing of Claim 16 or 17. A slug basicity adjusting device for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amount of the basicity adjusting agent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KR1020097007726A 2006-09-26 2007-08-31 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KR1011077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60083 2006-09-26
JP2006260083 2006-09-26
JP2007050892A JP2008215665A (en) 2007-03-01 2007-03-01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basicity of slag in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JPJP-P-2007-050892 2007-03-01
JP2007141664A JP4966743B2 (en) 2006-09-26 2007-05-29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JPJP-P-2007-141664 2007-05-29
PCT/JP2007/067003 WO2008038492A1 (en) 2006-09-26 2007-08-31 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198A Division KR20110048557A (en) 2006-09-26 2007-08-31 Method for controling basicity of slag in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and controling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441A true KR20090057441A (en) 2009-06-05
KR101107787B1 KR101107787B1 (en) 2012-01-20

Family

ID=3922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726A KR101107787B1 (en) 2006-09-26 2007-08-31 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2068081B1 (en)
KR (1) KR101107787B1 (en)
ES (1) ES2461769T3 (en)
PL (2) PL2068081T3 (en)
WO (1) WO200803849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0062B2 (en) * 2009-10-28 2015-01-27 Ih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combustion furnace in gasification equipment
JP5425983B2 (en) * 2012-08-02 2014-02-26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Gas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gas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FR3009977B1 (en) * 2013-09-02 2018-07-06 Savoie Dechets METHOD FOR VITRIFICATION BY GASIFYING A CARBONACEOUS MATERIAL
JP5826954B1 (en) * 2015-01-19 2015-12-02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Waste treatment system and NOx treatment method in the system
CN108954364A (en) * 2018-05-19 2018-12-07 潘礼斌 A kind of excrement gasification cleaning heating system
CN110094725B (en) * 2019-05-10 2020-04-28 东北电力大学 Ultralow nitrogen combustion method for coal-fired power generat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3023A (en) * 1975-12-29 1977-03-22 Envirotech Corporation Incineration method and system
JPH06159640A (en) * 1992-11-26 1994-06-07 Ebara Infilco Co Ltd Basicity adjusting apparatus and adjusting method therefor
JP2001182924A (en) 1999-12-28 2001-07-06 Nkk Corp Method of operating melting furnace
KR100763531B1 (en) * 2000-08-11 2007-10-05 가부시키가이샤 긴세이 산교 Method for incineration disposal of waste
JP2003302023A (en) * 2002-04-10 2003-10-24 Ebara Corp Operation method for melting furnace,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gasification melting system
JP4009151B2 (en) 2002-07-08 2007-11-14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US20040137390A1 (en) * 2003-01-09 2004-07-15 Arnold Kenny M.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percent stoichiometric oxidant in an incinerator
JP2004353944A (en) * 2003-05-29 2004-12-16 Hitachi Zosen Corp Combustion control method in refuse disposal facility and refuse disposal facility
JP4154371B2 (en) 2004-07-15 2008-09-24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Thermal insulation method at the time of waste supply stop of fluidized bed type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JP4361890B2 (en) * 2005-06-14 2009-11-11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lag basicity of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8492A1 (en) 2008-04-03
EP2068081A4 (en) 2011-05-11
EP2322855B1 (en) 2016-04-13
PL2322855T3 (en) 2016-09-30
EP2068081A1 (en) 2009-06-10
ES2461769T3 (en) 2014-05-21
PL2068081T3 (en) 2014-09-30
EP2068081B1 (en) 2014-04-16
EP2322855A3 (en) 2011-08-31
KR101107787B1 (en) 2012-01-20
EP2322855A2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787B1 (en) Operating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EP0543480B1 (en)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
KR100852507B1 (en)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apparatus for combustible gas in waste melting furnace
JP4701140B2 (en) Stoker-type incinerator and its combustion control method
KR20110048557A (en) Method for controling basicity of slag in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and controling apparatus thereof
JP4474429B2 (en) Waste incinerator and incineration method
US3745941A (en) Slagging refuse incinerators
JP3963925B2 (en) Secondary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in incineration system
JP5611418B2 (en) Combustion control method for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nd system
JP4966743B2 (en)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JP3944389B2 (en) Combustion air volume control system in pyrolysis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JP3902454B2 (en)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waste treatment apparatus
JP41111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orrosion of melting furnac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dust discharger
TWI338111B (en)
JP4108624B2 (en)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waste treatment apparatus
JP5021543B2 (en)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waste treatment apparatus
JP2002181319A (en)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nd process therefor
JP2004132648A (en)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combustion control device for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JP4233212B2 (en) High-temperature swirl combustion method and waste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