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149A -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149A
KR20090057149A KR1020097009637A KR20097009637A KR20090057149A KR 20090057149 A KR20090057149 A KR 20090057149A KR 1020097009637 A KR1020097009637 A KR 1020097009637A KR 20097009637 A KR20097009637 A KR 20097009637A KR 20090057149 A KR20090057149 A KR 2009005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inner zone
out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도다
신고 조코
다쿠 나카야마
겐타 오키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0Special cell shapes, e.g. doughnuts or ring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에서 채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2개로 분할하여 내측 존 및 외측 존을 설정하는 단계와, 사전 결정된 기준에 근거해서, 이동국이 내측 존 또는 외측 존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채널 할당 및 통신 방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단계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는 빔 포밍에 의한 전용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과, 이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서, 주파수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적응형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는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알려져 있다. 적응형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의해 지향성 빔을 적응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특정 방향에 위치하는 통신 상대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SDMA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IEEE802.16e(Mobile WiMAX(등록상표))가 알려져 있다. IEEE802.16e의 표준 사양에서는, 다운링크 프레임(이하 「DL 프레임」이라고 칭함) 내에서 AAS(Adaptive Array antenna System) 다이버시티 맵이 옵션으로서 제공된다(비특허 문헌 1 및 2 참조).
도 1은, 비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AAS 다이버시티 맵 옵션을 포함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다. 브로드캐스트 맵은 DL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 내에 제공된다.
브로드캐스트 맵은,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용되는 채널, 즉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이동국으로 통지되는 제어 정보이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맵은, 다운링크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인 DL 맵과, 업링크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인 UL 맵을 포함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AAS 다이버시티 맵은, 기지국의 AAS 기능에 의해 임의의 이동국으로 빔 포밍 송신 또는 다이버시티 송신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동국이 셀 에지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맵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이동국은 동일 프레임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맵에 후속하는 AAS 다이버시티 맵을 스캔한다.
AAS 다이버시티 맵에는 다른 채널로 빔 포밍에 의해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맵의 할당 정보가 포함된다. 이동국은, AAS 다이버시티 맵에 포함되는 할당 정보에 근거해서, 빔 포밍에 의해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맵을 수신한다.
비특허 문헌 1 : IEEE Std 802.16e-2005
비특허 문헌 2 : IEEE Std 802.16-2004/Corl-2005
(발명의 개시)
상기한 바와 같이, AAS 다이버시티 맵은, 기지국의 AAS 기능에 의해, 임의의 이동국으로 빔 포밍 송신 또는 다이버시티 송신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 때문에, 이동국이 AAS 다이버시티 맵을 스캔하더라도, AAS 다이버시티 맵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표 1은, AAS 다이버시티 맵의 송신시의 공간 상관 특성(빔 폭)과 AAS 다이버시티 맵의 수신 용량성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공간 상관 특성과 커버리지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28074453-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 상관이 브로드한 경우, 이동국이 AAS 다이버시티 맵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의 비율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이동국은 공간 상관이 샤프한 경우보다 AAS 다이버시티 맵을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공간 상관이 샤프한 경우, 이동국이 AAS 다이버시티 맵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의 비율이 비교적 낮다. 따라서, 이동국이 AAS 다이버시티 맵을 수신하기가, 공간 상관이 브로드한 경우보다 어렵다.
또한, 공간 상관이 브로드한 경우, 빔 포밍/다이버시티 이득이 비교적 낮다. 따라서, 공간 상관이 샤프한 경우보다, AAS 다이버시티 맵의 커버리지가 좁아지고 셀간 간섭이 커진다. 반대로, 공간 상관이 샤프한 경우, 빔 포밍/다이버시티 이득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공간 상관이 브로드한 경우보다, AAS 다이버시티 맵의 커버리지가 넓어지고 셀간 간섭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AAS 다이버시티 맵의 수신 용량성과 커버리지는 기본적으로 상반되는 관계를 갖는다. 셀 에지의 강화 및 불감지 영역(out of service area)의 감소를 위해서, 어느 정도 공간 상관 특성을 샤프하게 하고, 신호 대 간섭·잡음비(SINR : signal-to-interference-puls-noise ratio)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 상관 특성을 샤프하게 할수록 AAS 다이버시티 맵의 수신 용량성은 낮아진다.
맵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 이동국은 업링크에서의 할당 정보를 취득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기지국으로 신호를 반송할 수 없다. 따라서, 통신이 불안정해진다. 그러므로, AAS 다이버시티 맵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여전히 셀 에지에서 이동국이 안정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것은 스트리밍 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의 실시간 통신이 요구되는 트래픽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의 셀 에지에서 이동국이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요약된다. 그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내측 존 및 외측 존의 2개로 나눠 설정하는 단계와, 사전 결정된 기준에 근거해서, 이동국이 내측 존 또는 외측 존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에 대하여, 채널 할당 및 통신 방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통지하는 단계와,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에 대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는 빔 포밍에 의해서, 전용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이 내측 존과 외측 존으로 분할되고,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통지되고,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는 빔 포밍에 의한 전용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통지된다. 따라서,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이더라도 제어 정보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은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기지국의 셀 에지에서 이동국은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판정하는 단계에서는,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이 외측 존을 향해서 이동하여 내측 존의 단부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전용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에서는, 내측 존의 단부에 도달한 이동국에 전용 채널이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이동국이 내측 존으로부터 외측 존으로 이동할 때, 이동국이 통지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해 통신이 불안정해지기 전에, 그 이동국으로 제어 정보를 통지한다. 결과적으로, 내측 존으로부터 외측 존으로 이동한 이동국은, 제어 정보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은 셀 에지 및 외측 존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판정하는 단계에서는, 이동국과의 통신중에 검출되는 경로 손실, 수신 신호 강도, 신호 대 간섭·잡음비, 및 간섭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사전 결정된 기준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경로 손실, 수신 신호 강도, 신호 대 간섭·잡음비, 또는 간섭량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서, 각 이동국이 내측 존 또는 외측 존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검출된다. 따라서, 이동국이 내측 존 또는 외측 존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수에 따라 산출되는 빔 포밍 이득에 근거해서, 외측 존의 존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빔 포밍 이득에 근거해서 외측 존의 존 크기가 설정되기 때문에, 외측 존의 존 크기를 양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SDMA 방식에 의한 최대 공간 다중수가 이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빔 포밍 이득에 근거해서 상기 외측 존의 존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SDMA 방식의 경우에는 공간 다중수에 따라 빔 포밍 이득이 변화되기 때문에, SDMA 방식에 의한 공간 다중수가 최대인 경우의 빔 포밍 이득에 근거해서 외측 존의 존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SDMA 방식의 경우에도 외측 존의 존 크기를 성공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내측 존의 일부와 인접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존의 일부가 겹치고, 또한, 내측 존과 인접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존이 겹치지 않도록, 내측 존과 외측 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간섭을 받아 이동국이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영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셀 에지에 위치하는 이동국이더라도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과 통신을 하는 제 1 기간과,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과 통신을 하는 제 2 기간을 시 분할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무선 통신 방법에서, 제 1 기간은 인접 기지국에서의 상기 제 1 기간과 동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기간은 인접 기지국에서의 제 2 기간과 동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내측 존의 일부와, 인접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외측 존의 일부가 겹쳐서 야기되는 간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프레임마다, 제 1 기간과 상기 제 2 기간 사이의 시 분할비를 기지국의 통신 상태에 따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매 프레임마다, 기지국의 통신 상태에 따라, 제 1 기간과 제 2 기간의 시 분할비가 최적화된다. 따라서, 시 분할비를 보다 엄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2개로 분할하여 내측 존과 외측 존을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사전 결정된 기준에 근거해서, 이동국이 상기 내측 존 또는 외측 존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상기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에 대하여, 채널 할당 및 통신 방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통지하는 통신 제어기를 구비하는 기지국으로서 요약된다. 이 기지국에서, 통신 제어기는,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에 대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는 빔 포밍에 의해서, 전용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통지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의 셀 에지에서, 이동국이 안정적인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TDD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L 프레임의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존 크기 설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인접 셀의 배치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L 프레임의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 셀 사이에서의 DL 프레임의 프레임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용되는 존 시 분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1 및 2에 대한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예 1)
(셀 존 구성예)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 존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EEE802.16e(Mobile WiMAX(등록상표))에 근거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 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예에서는, 기지국(BS)과, 3개의 이동국(MS1∼MS3)(이하에서 적절히 「이동국(MS)」이라고 칭함)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BS)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기지국(BS)은, 빔 포밍, SDMA, 다이버시티, 또는 MIM0(Multiple Input Multiple 0utput) 등의 멀티 안테나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을, QoS(Quality of Service)/GoS(Grade of Service), 무선 전파 환경, 네트워크 부하, 및 인접 셀의 간섭량 등에 따라 동적으로 선택한다.
기지국(BS)에 의해서 형성되는 셀(C1)은, 동심원으로 배열된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으로 분할된다. 기지국(BS)은, 외측 존(12)에 위치하는 이동국(MS3)과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항상 빔 포밍 전용의 전용 채널(이하, 「빔 포밍 전용 채널」이라고 칭함)을 이용한다.
또한, 기지국(BS)은, 외측 존(12)에 위치하는 이동국(MS3)에 대하여,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통해 이동국 개별의 제어 정보(이하「프라이비트 맵」이라고 칭함)를 통지한다. 또한, 전용 채널은 각 이동국에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채널이라는 의미이다.
반대로, 기지국(BS)은, 내측 존(11)에 위치하는 이동국(MS1, MS2)과 통신을 하는 경우, 빔 포밍만이 아니라, 다이버시티 또는 MIM0 등의 빔 포밍 이외의 멀티 안테나 기술도 이용한다.
기지국(BS)은 내측 존(11)에 위치하는 이동국(MS1, MS2)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맵을 통지한다. 내측 존(11)에서의 신호 대 간섭·잡음비(SINR)는 브로드캐스트 맵이 통지되기에 충분히 높다. 이 때문에, 내측 존(11)에서는 반드시 빔 포밍이나 SDMA 방식이 사용될 필요는 없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맵은, DL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에 제공되어 복수의 이동국으로 통지되는 제어 정보이다. 브로드캐스트 맵은, 다운링크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인 DL 맵과, 업링크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인 UL 맵을 포함한다.
기지국(BS)은 내측 존(11)에 위치하는 이동국(MS)이 내측 존(11)의 단부로 이동한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기지국(BS)은 내측 존(11)의 단부로 이동한 이동국(MS)에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할당하고, 할당한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통해 프라이비트 맵을 통지한다.
이와 같이, 내측 존(11)의 단부로 이동한 이동국(MS)이 브로드캐스트 맵을 수신하는 데 실패하여 통신이 불안정해지기 전에, 빔 포밍 전용 채널을 이동국(MS)에 할당한다. 따라서, 이동국(MS)은 외측 존(12)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기지국의 구성예)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BS)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B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BS)은, 안테나 유닛(101), 무선 통신 유닛(102), 존 설정 유닛(103), 판정 유닛(104), 통신 제어기(105)를 구비한다. 안테나 유닛(101)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1, #2, …)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유닛(102)은, 무선 신호의 증폭 및 주파수 변환 등을 수행하는 파워 증폭기/고주파 유닛이나, 무선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기 등을 포함한다.
존 설정 유닛(103)은, 기지국(BS)에 의해서 형성되는 셀을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의 2개로 분할하여, 동심원 형상인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을 설정한다. 존 설정 유닛(103)은,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의 존 크기의 설정 등도 수행한다.
판정 유닛(104)은, 사전 결정된 기준에 근거해서 이동국(MS)이 내측 존(11) 또는 외측 존(12)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 유닛(104)은, 이동국(MS)과의 통신중에 추정되는, 경로 손실, 수신 신호 강도(RSSI), 신호 대 간섭·잡음비(SINR), 또는 간섭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국(MS)이 내측 존(11) 또는 외측 존(12)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경로 손실, RSSI, SINR, 간섭량 등의 값은, 순간 페이딩 변동치를 이동 평균하고, 장구간 변동(long section variation) 및 쉐도잉 변동(shadowing variation)을 고려한 값이다.
통신 제어기(105)는 셀(C1)(내측 존(11) 및 외측 존(12)) 내의 이동국(MS)과의 통신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기(105)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내측 존(11)에 위치하는 이동국(MS)으로 브로드캐스트 맵을 통지한다.
한편, 기지국(BS)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1, #2, …)를 이용하여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통해 외측 존(12)에 위치하는 이동국(MS)으로 프라이비트 맵을 개별적으로 통지한다. 또한, 통신 제어기(105)는 네트워크측,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와도 통신한다.
또한, 판정 유닛(104)은, 내측 존(11)에 위치하는 이동국(MS)이 외측 존(12)을 향해서 이동하여 내측 존(11)의 단부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제어기(105)는 내측 존(11)의 단부에 도달한 이동국(MS)에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할당한다.
(프레임 구성의 일례)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L 프레임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L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DL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 다운링크 데이터 버스트, 프라이비트 맵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 헤더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내측 존(11) 내에 위치한 이동국(MS)으로 송신된다. 또한, 다운 데이터 버스트는 노멀 채널을 통해 내측 존(11) 내에 위치한 이동국(MS)으로 송신된다. 한편, 프라이비트 맵(및 데이터)은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통해 외측 존(12) 내에 위치한 이동국(MS)으로 송신된다.
(존 크기 설정 방법의 일례)
이하, 도 5를 참조하면서, 기지국(BS)에 의한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의 존 크기의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내측 존(11)의 존 크기의 설계는, 종래대로, 등가 등방 방사 전력(EIRP : equivalent isotropically radiated power)에 기초한 허용 전파 손실에 근거하여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국(MS)이 브로드캐스트 맵을 어느 정도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내측 존(11)의 단부에서 내측 존(11)의 존 크기가 설정된다.
외측 존(12)의 설계는 EIRP에 더하여 빔 포밍 이득을 고려하여 행한다. 외측 존(12)의 설계는 빔 포밍을 이용하는 경우와 SDMA를 이용하는 경우에 다르다. 빔 포밍의 경우에는 빔 포밍 이득을 고려하여 산출된 허용 전파 손실 또는, 그와 반대로 SDMA의 최대 수가 이용될 때 얻어지는 빔 포밍 이득을 고려하여 산출된 허용 전파 손실에 근거하여 존 크기를 구한다. 이하에, (1) 빔 포밍의 경우, (2) SDMA의 경우에 대하여, 외측 존(12)의 존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빔 포밍의 경우)
빔 포밍 이득 BGain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된다.
BGain=10*log10(안테나 소자의 수)…(1)
경로 손실모델을 이용하면, 식(1)에 의해 산출되는 빔 포밍 이득에 상당하는 경로 손실을 끼치는 전파 거리를 역산하여, 그 산출된 전파 거리를 외측 존(12)의 존 크기로서 설정한다. 도 5(a)는 12 소자 등간격 원형 어레이의 공간 상관 특성(소자 간격=3.5λ)을 나타낸다.
(SDMA의 경우)
산출은 빔 포밍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SDMA의 경우, SDMA의 수(공간 다중수)에 따라 빔 이득이 변화된다. 그 때문에, 그 빔 이득이 최소로 되는 경우, 즉 SDMA의 최대 공간 다중수에서의 빔 포밍 이득에 상당하는 경로 손실을 끼치는 전파 거리를 경로 손실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그 산출한 전파 거리를 존 크기로서 설정한다. SDMA의 최대 공간 다중수에서의 빔 포밍 이득 BGain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BGain=10*log10(안테나 소자수)-10*log10(SDMA의 최대 공간 다중수)…(2)
도 5(b)에 구체적인 설계예를 나타낸다. 경로 손실 모델은 Extended COST231-Hata Model for metropolitan, 캐리어 주파수=2.5G㎐, 기지국/이동국의 안테나 높이=32/1.5m를 상정한다.
빔 포밍 이득을 고려하지 않는 종래의 EIRP에서의 최대 허용 경로 손실이 -130㏈일 때, 내측 존(11)의 존 크기는 약 400m가 된다. 12개 안테나의 빔 이득은 10*logl0(12)=10[㏈]로 되기 때문에, 빔 포밍에 의한 최대 허용 경로 손실은 140㏈ 로 산출되고, 중심으로부터의 크기는 약 780m로 된다. 따라서, 외측 존(12)의 폭은 780-400=380m로 설계된다.
(접속 제어 흐름예)
이하, 기지국(BS) 및 이동국(MS) 사이에서의 접속 제어 흐름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기지국(BS) 및 이동국(MS) 사이에서의 접속 제어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 이동국(MS)이 배치되는 존에 대한 판단 기준으로서, 기지국(BS)에 의해 측정되는 추정 경로 손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기지국(BS)과 이동국(MS) 사이에서의 동기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02에서, 이동국(MS)은 기지국(BS)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맵을 수신한다. 단계 S103에서, 기지국(BS)과 이동국(MS) 사이에서 레인징 처리(ranging process)가 실행된다. 단계 S104에서, 이동국(MS)은 기지국(BS)에 접속한다.
단계 S105에서, 기지국(BS)은 경로 손실을 추정한다. 단계 S106에서, 기지국(BS)은 단계 S105에서 추정한 경로 손실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 Lossth과 비교한다. 단계 S105에서 추정한 경로 손실이 임계값 Lossth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단계 S105에서 추정한 경로 손실이 임계값 Lossth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108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107에서, 기지국(BS)은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통해 이동국(MS)으로 프라이비트 맵을 송신한다.
단계 S108에서, 기지국(BS)은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이동국(MS)으로 맵을 송신한다.
(기지국 및 이동국의 동작 시퀀스 예)
다음으로 기지국(BS) 및 이동국(MS)의 동작 시퀀스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0에서 내측 존(11)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MS)이 외측 존(12)을 향해서 이동하여, 시각 t1에서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의 경계에 도달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b)는 기지국(BS) 및 이동국(MS)의 동작 시퀀스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단, 이동국(MS)이 내측 존(11) 또는 외측 존(12)에 존재하는지의 판단 기준으로서, SINR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1에서, 기지국(BS)과 이동국(MS) 사이에서 동기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202에서, 기지국(BS)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맵을 이동국(MS)에 통지한다.
단계 S203에서, 기지국(BS)은 SINR의 보고 요구를 이동국(MS)에 통지한다.
단계 S204에서, 이동국(MS)은, 기지국(BS)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SINR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보고 응답으로서 기지국(BS)에 통지한다.
단계 S205에서, 기지국(BS)은 단계 S204에서 통지된 보고 응답(SINR)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 SINRth와 비교한다. 여기에서, 단계 S204에서 통지된 보고 응 답(SINR)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SINRth 이상이다. 이 경우, 기지국(BS)은 이동국(MS)이 내측 존(11)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단계 S206에서, 기지국(BS)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맵을 이동국(MS)에 통지한다. 단계 S207에서, 기지국(BS)과 이동국(MS) 사이에서 접속이 확립된다.
단계 S208에서, 기지국(BS)은 SINR의 보고 요구를 이동국(MS)에 통지한다.
단계 S209에서, 이동국(MS)은, 기지국(BS)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SINR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보고 응답으로서 기지국(BS)에 통지한다.
단계 S210에서, 기지국(BS)은 단계 S209에서 통지된 보고 응답(SINR)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 SINRth와 비교한다. 여기에서, 단계 S204에서 통지된 보고 응답(SINR)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SINRth보다 작다. 이 경우, 기지국(BS)은 이동국(MS)이 내측 존(11)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단계 S211에서, 기지국(BS)은, 빔 포밍 전용 채널을 이동국(MS)에 할당하고, 그 할당한 빔 포밍 전용 채널을 통해 프라이비트 맵 및 데이터를 이동국(MS)에 송신한다.
(작용 및 효과)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BS)은, 기지국(BS)과 접속중인 이동국(MS)이 브로드캐스트 맵의 커버리지(내측 존(11))의 단 부로 이동하여 브로드캐스트 맵을 수신할 수 없어 통신이 불안정해지기 전에, 빔 포밍을 이용하여 이동국(MS)의 각각에 제어 정보를 개별적으로 통지한다.
이 결과, 내측 존(11)으로부터 외측 존(12)으로 이동한 이동국(MS)은, 외측 존(12)에서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셀 에지에서의 강화 및 불감지 영역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셀 존 구성 방법을 셀룰러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며,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셀 존 구성예)
도 8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 존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8의 예에서는, 3개의 기지국(BS1∼BS3)(이하, 적절히 「기지국(BS)」이라고 통칭함)에 의해서 3개의 셀(C1∼C3)이 각각 형성된다. 셀(C1)은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으로 이루어진다. 셀(C2)는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내측 존(21)과 외측 존(22)으로 이루어진다. 셀(C3)은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내측 존(31)과 외측 존(32)으로 이루어진다.
기지국(BS1)은, 내측 존(11)의 일부가 인접 기지국(BS2, BS3)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존(22) 및 외측 존(32) 각각의 일부와 겹치고, 또한, 내측 존(11)이 인접 기지국(BS2, BS3)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존(21) 및 내측 존(31)과 겹치지 않도록 설정된, 내측 존(11)과 외측 존(12)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BS2)은, 내측 존(21)의 일부가 인접 기지국(BS1, BS3)에 의해 형성된 외측 존(12)과 외측 존(32) 각각의 일부와 겹치고, 또한, 내측 존(21)이 인접 기지국(BS1, BS3)에 의해 형성된 내측 존(11, 31)과 겹치지 않도록 설정된, 내측 존(21)과 외측 존(22)을 구비한다.
기지국(BS3)은, 내측 존(31)의 일부가 인접 기지국(BS1, BS2)에 의해 각기 형성된 외측 존(12) 및 외측 존(22)의 일부와 겹치고, 또한, 내측 존(31)이 인접 기지국(BS1, BS2)에 의해 각기 형성된 내측 존(11) 및 내측 존(21)과 겹치지 않도록, 내측 존(31) 및 외측 존(32)을 설정한다.
(존 시 분할 방법의 일례)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상기 셀 존 구성예에서 내측 존과 외측 존을 시 분할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셀 존 구성예에서는, 셀 중 하나의 내측 존의 일부가 셀 중 다른 하나의 외측 존의 일부와 겹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한 셀간에 간섭이 발생한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C1)의 내측 존(11)과 셀(C2)의 외측 존(22)이 겹치는 거리 D1의 증가에 따라, 셀간 간섭에 의해서 통신이 불안정해지는 영역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존과 외측 존을 시 분할로 할당한다. 즉, 기지국(BS)은 내측 존 내의 이동국(MS)과 통신을 행하는 기간과 외측 존 내의 이동국(MS)과 통신을 행하는 기간을 시 분할에 의해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 셀 사이(셀(C1)∼셀(CN)(N; 2 이상의 정수))에서, 내측 존의 기간이 동기되고, 외측 존의 기간이 동기된다. 이 결과, 내측 존과 외측 존의 중복 영역에서, 셀간 간섭에 의해서 통신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존 시 분할비의 설정 방법의 일례)
이하, 도 12를 참조하면서, 시 분할에 의해 내측 존과 외측 존을 할당할 때, 존 시 분할비를 설정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셀 존 구성에서는, 내측 존의 존 크기가 "Rl"이고, 외측 존의 존 크기가 "R2"이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L 프레임에서 노멀 채널에 대한 기간이 "T1"이고, 빔 포밍 전용 채널에 대한 기간이 "T2"이다.
일반적으로, 셀 내의 유저 분포는 셀 내에서 균일하다고 상정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내측 존과 외측 존의 면적비에 따라 "Tl"과 "T2"를 조정한다. 그러나, 거리 감쇠 및 인접 셀 간섭의 증가로 인해, 외측 존에서의 SINR은 내측 존에서의 SINR보다 낮다.
따라서, 외측 존(12)에서는, SINR에 의존하는, 변조 방식, 부호화율, SDMA의 다중수 등이 내측 존과 다르다. 이에 근거하여, 빔 포밍 전용 채널에 대한 시 분할비는 다음 식으로 조정된다.
Figure 112009028074453-PCT00002
여기서 "A"는, 무선 전파 환경, 인접 셀의 간섭량, 네트워크 부하(예컨대 접속 이동국의 수, 변조 방식 또는 부호화율), SDMA의 다중수 등에 따라 적어도 프레임마다 동적으로 조절되는 파라미터이다.
(작용 및 효과)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인접 기지국 사이에서 셀간 간섭을 억제하고, 이동국이 안정적인 통신을 실현하기 어려운 영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셀 에지에서 이동국(MS)이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기타 실시예)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 1 및 2를 통해 개시했다. 그러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설명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는 다양한 대체 실시예, 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질 것이다.
예컨대, 기지국(BS)은, 트래픽 부하 또는 기지국(BS)에 접속되는 이동국의 수 중 적어도 한쪽에 따라, 내측 존 및 외측 존의 존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및 2에서는, IEEE802.16e(Mobile WiMAX(등록상표))에 근거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IEEE802.16e(Mobile WiMAX(등록상표))에 근거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면, 상술한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셀 존 구성예나 빔 포밍 전용 채널의 할당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이 외측 존을 향해서 이동한 경우의 제어 정보의 통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통지 방법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통지 방법을 기지국이 실행할 수도 있다.
즉, 실시예 1에서, 이동국이 외측 존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이 내측 존으로 이동한 경우에, 기지국이 빔 포밍에 의한 전용 채널을 통해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 제어 정보를 통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동국이 내측 존으로 이동할 때,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통지하고, 빔 포밍에 의한 전용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통지 제어 정보)의 통지를 멈춘다.
이것은, 이동국 각각의 전용 정보 채널의 전송율에 대한 오버헤드의 크기가 복수의 이동국이 공유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전송율에 대한 오버레드보다 크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쪽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적인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6-294995호(2006년 10월 30일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셀 에지에서 이동국이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은 이동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서 유용하다.

Claims (9)

  1.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2개로 분할하여 내측 존과 외측 존을 설정하는 단계와,
    사전 결정된 기준에 근거해서, 이동국이 상기 내측 존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외측 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채널 할당 및 통신 방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는 빔 포밍에 의한 전용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측 존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외측 존을 향해서 이동하여 상기 내측 존의 단부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용 채널을 상기 내측 존의 단부에 도달한 이동국에 할당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중에 검출되는, 경로 손실, 수신 신호 강도, 신호 대 간섭·잡음비, 및 간섭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전 결정된 기준으로서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측 존의 존 크기는 상기 안테나 소자의 수에 따라 산출되는 빔 포밍 이득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측 존의 존 크기는 SDMA 방식에 의해 최대 공간 다중수가 이용될 때 얻어진 상기 빔 포밍 이득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측 존의 일부가 인접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외측 존의 일부와 겹치고, 또한, 상기 내측 존이 상기 인접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내측 존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 존 및 상기 외측 존이 설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과 통신을 하는 제 1 기간과, 상기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과 통신을 하는 제 2 기간을 시 분할에 의해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인접 기지국에 대한 상기 제 1 기간과 동기되고,
    상기 제 2 기간은 상기 인접 기지국에 대한 상기 제 2 기간과 동기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적어도 매 프레임마다 상기 제 1 기간과 상기 제 2 기간 사이의 시 분할비가 상기 기지국의 통신 상태에 따라 최적화되는 무선 통신 방법.
  9.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2개로 분할하여 내측 존과 외측 존을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사전 결정된 기준에 근거해서, 이동국이 상기 내측 존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외측 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채널 할당 및 통신 방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내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통신 제어기
    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는 빔 포밍에 의한 전용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외측 존에 위치하는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기지국.
KR1020097009637A 2006-10-30 2007-10-23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KR200900571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94995 2006-10-30
JP2006294995A JP4958515B2 (ja) 2006-10-30 2006-10-30 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149A true KR20090057149A (ko) 2009-06-03

Family

ID=3934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637A KR20090057149A (ko) 2006-10-30 2007-10-23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3836B2 (ko)
EP (1) EP2086126A4 (ko)
JP (1) JP4958515B2 (ko)
KR (1) KR20090057149A (ko)
WO (1) WO2008053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8379B2 (ja) * 2007-02-23 2012-08-0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チャネル割当情報送信方法
WO2008105300A1 (ja) * 2007-02-23 2008-09-04 Kyocera Corporation 無線基地局及びチャネル割当情報送信方法
JP4988393B2 (ja) * 2007-03-15 2012-08-0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チャネル割当情報送信方法
JP5033731B2 (ja) 2008-07-29 2012-09-2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462765B2 (en) 2008-08-20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ranging operations for wireless stations
JP5020923B2 (ja) * 2008-11-19 2012-09-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帯域割り当て方法
WO2010060467A1 (en) * 2008-11-26 2010-06-03 Nokia Siemens Networks Oy Transmission mode selection based on radio link quality and radio load on the air interface
CN101998650B (zh) * 2009-08-31 2014-11-05 上海交通大学 无线通信系统中的信道分配方法和系统
US20110103240A1 (en) * 2009-10-29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forwarding in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s
JP7297173B1 (ja) * 2023-01-26 2023-06-23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プログラム、飛行体、及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824B (fi) 1993-07-05 2001-04-12 Nokia Networks Oy Tukiasema
US5839071A (en) * 1993-09-21 1998-11-17 Telstra Corporation Limited Base station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FI101032B (fi) 1995-06-22 1998-03-3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Laajennettu solujärjestelmä
JP3816162B2 (ja) * 1996-10-18 2006-08-30 株式会社東芝 アダプティブアンテナにおけるビーム幅制御方法
US5953661A (en) * 1997-05-16 1999-09-14 Nextel Communications Method of maximizing spectral efficiency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167035A (en) * 1997-12-09 2000-12-26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 apparatus for designing soft handoff reg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4053265B2 (ja) * 2001-08-24 2008-02-2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用アダプティブアレイ及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713435B1 (ko) * 2002-05-03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중 데이터 전송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E10233172B4 (de) * 2002-07-22 2006-05-18 E-Plus Mobilfunk Gmbh & Co. Kg Telekommunikationssystem zur UMTS-Funkversorgung
US7046655B2 (en) * 2002-08-15 2006-05-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y determining mobile station zone locations and potential conflicts between cell zones
US7742788B2 (en) * 2002-10-01 2010-06-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witched multibeam antennas in a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51532B1 (ko) 2004-08-14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연동을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랜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060209876A1 (en) * 2005-02-10 2006-09-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ccess point using directional antennas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WLAN
US8144658B2 (en) * 2005-02-11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017795B2 (ja) 2005-04-13 2012-09-0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GB2425440B (en) * 2005-04-22 2008-05-21 Toshiba Res Europ Lt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397292B1 (ko) * 2007-08-31 2014-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43836B2 (en) 2014-06-03
JP2008113252A (ja) 2008-05-15
JP4958515B2 (ja) 2012-06-20
EP2086126A1 (en) 2009-08-05
EP2086126A4 (en) 2013-05-08
WO2008053754A1 (fr) 2008-05-08
US20100142441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637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high-power base station, low-power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090057149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Xu et al. Opportunistic coexistence of LTE and WiFi for future 5G system: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analysis
KR102009743B1 (ko) 빔포밍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582194B1 (en) Wireless access method, equipment and system
US9060290B2 (en) Mobile network, corresponding access node, processing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network
KR10179127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공동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498048B1 (ko) 협력적 mimo를 사용하는 셀 경계 사용자를 위한 자원할당 방법
US9848392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high-power base station, low-power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756646B2 (en) D2D communications system and allocation method of resources and power using the same
KR20130132339A (ko) 빔포밍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913555B2 (en) Radio relay station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7236789B2 (en) Channel rate and physical channel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Kelif et al. A 3D beamforming analytical model for 5G wireless networks
KR102027413B1 (ko)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791046B1 (ko) 밀리미터파 백홀에 기반한 이종 네트워크에서 이중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81089B1 (ko) 이종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Giuliano et al. Planning optimization for TDMA-based Radio Mobile Systems with power consumption constraints
Jiang et al. Cooperative geographic load balancing in hybrid cellular networks
Xu et al. Adaptive base station cooperation and subchannel reallocation at cell edge in cellular networks with fractional frequency reuse
Yaacoub et al. Distributed probabilistic scheduling in OFDMA uplink using subcarrier sensing
Blogh et al. Dynamic channel allocation using adaptive antennas and power control
Meko Optimal relay placement schemes in OFDMA cellula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