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916A -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916A
KR20090056916A KR1020080120150A KR20080120150A KR20090056916A KR 20090056916 A KR20090056916 A KR 20090056916A KR 1020080120150 A KR1020080120150 A KR 1020080120150A KR 20080120150 A KR20080120150 A KR 20080120150A KR 20090056916 A KR20090056916 A KR 20090056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lock
sidewalk
filling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대
Original Assignee
김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대 filed Critical 김형대
Publication of KR2009005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면에 한개 이상의 메꿈재 충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선된 보차도 블록과,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차도 시공방법은 지반층 시공단계와, 투수관 매립단계와, 동결방지층 시공단계와, 제1메쉬층 시공단계와, 보조기층 시공단계와, 필터 부직포층 시공단계와, 상부기층 시공단계와, 보차도 블록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시공방법을 통해 보차도 블록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차도 블록, 메쉬, 충전홈, 메꿈재, 지반층, 부직포층, 동결방지층

Description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IMPROVED PEDESTRIAN-VEHICLE PASSAGE BLOCK AND METHOD CONSTRUCTING PEDESTRIAN-VEHICLE PASSAGE USING THIS}
본 발명은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측면에 메꿈재 충전홈을 갖는 보차도 블록을 통해 보차도간의 유동성을 방지하는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과 동시에, 보행인의 보행을 위해 시공되는 보차도는 일반적으로 지반층과, 자갈 및 모래의 혼합층과, 모래로 시공된 층과, 시멘트 또는 보차도 블록을 사용한 층으로 시공된다. 최근에는 심미적인 효과를 위해 시멘트보다는 보차도 블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보차도 블록은 그 블록 사이사이에 충전되는 메꿈재에 의해 고정되는 정도가 약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블록이 파손되거나 블록간의 유격 이 심해지거나, 그로 인해 블록이 보차도로부터 이탈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블록간에 틈이 벌어지면 그 틈으로 물이 장시간 고여있는 경우가 발생하여,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보차도 블록과는 달리 양측면에 한개 이상의 메꿈재 충전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차도 블록을 사용하여, 블록간의 유동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차도를 시공할 때 지반층으로 투수관을 매립하여, 보차도로 흡수되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개선된 보차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메쉬층을 더 설치하여 보차도의 지반층에 매립된 투수관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투수성 및 지반침하방지를 향상시키는 개선된 보차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측면에 한개 이상의 메꿈재 충전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차도 블록과, 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직패널 및 틈막이부재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차도 시공방법은 지반층 시공단계와, 동결방지층 시공단계와, 제1메쉬층 시공단계와, 보조기층 시공단계와, 필터 부직포층 시공단계와, 상부기층 시공단계와, 보차도 블록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투수관을 상기 시공된 지반층에 매립하는 투수관 매립단계와, 상기 지반층 상면에 격자 형태의 메쉬층을 시공하는 제2메쉬층 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시공방법은 양측에 메꿈재 충전홈이 있는 보차도 블록을 사용하여 그 블록들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차도 블록이 견고히 포설되고 그로 인해 블록이 보차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블록은 그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비나 눈 등의 기후 변화로 인해 노면이 미끄러울 경우, 보행자나 차량운전자가 안전하게 보행 및 운행을 할 수 있고, 미관상으로 수려하기 때문에 심미적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블록은 복사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가능하기 때문에, 보행자나 운전자가 더운 날씨에도 아스팔트나 시멘트로 포설된 도로에서보다 더 쾌적한 조건하에서 보행이나 주행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시공방법은 지반층에 투수관을 설치하여 투수성을 증대시키는 구성을 통해 보다 견고한 보차도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시공방법은 지반층 상면에 제2메쉬층을 설치하여, 지반층에 매립된 투수관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투수관으로의 투수율을 높이고 보차도 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 완화시키고 지반침하방지 역할 또한 기능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도1b, 도1c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보차도 블록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보차도 블록과 이의 메꿈재 충전홈에 설치되는 수직패널 및 틈막이부재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보차도 블록(10)은 그 양측면에 한 개의 메꿈재 충전홈(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꿈재 충전홈(10a)은 보차도의 최상층에 포설되는 보차도 블록(10)이 상호간에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써, 그 충전홈(10a)에는 조골재 및 세골재가 혼합된 메꿈재(10f)가 충전된다. 이러한 메꿈재 충전홈(10a)은 보차도 블록(10)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보차도 블록(10)의 양측면에는 메꿈재 충전홈(10a) 및 연결홈(10d)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메꿈재 충전홈(10a)은 상기된 바와 같은 이유로 사용되며 연결홈(10d)은 보차도 블록(10) 사이에 연결부재(10e)를 설치하여 보차도 블록(10)의 유동성을 더욱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홈(10d) 사이에 메꿈재(10f)가 충전될 수 있고 연결홈(10d)에 연결부재(10e)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설치된 연결홈(10d)과 연결부재(10e) 사이에 여분의 공간이 남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e)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형성된 고강도 수지로써, 연결부재 자체의 투수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홀을 갖는다.
도 1c는 상기된 메꿈재 충전홈(10a)과 더불어, 고정용 쐐기(10c)를 갖는 보차도 블록(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고정용 쐐기(10c)는 이하 설명되는 상부기층(70)에 보차도 블록(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중이 큰 차량의 운행 방향이나 메꿈재 충전홈(10a)을 갖는 보차도 블록(10)의 포설 방향에 따라, 메꿈재 충전홈(10a)과 동일한 방향이나 그와 직각 방향으로 하여 보차도 블록(10)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고정용 쐐기(10c)가 메꿈재 충전홈(10a)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쐐기가 형성된 직각 방향으로 내압성이 증가하게 되고, 메꿈재 충전홈(10a)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충전홈(10e)에 따른 방향으로 내압성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큰 내압을 받는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차도 블록을 포설할 수 있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차도 블록(10)과 이의 메꿈재 충전홈(10a)에 설치되는 수직패널 및 틈막이부재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수직패널(100)에는 메꿈재 충전홈(10a)에 끼움되는 돌출부가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보차도 블록(1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보차도 블록(1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데, 수직패널(100)의 관통홀에는 이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하부에 형성된 + 형상의 틈막이부재(110)가 설치된다. 수직패널(100)은 설치될 복수개의 보차도 블록(10)간의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틈막이부재(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4개의 보차도 블록(10)이 인접하여 배치됨에 따라 형성되는 열십자 형태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3a, 도3b, 및 도3c는 본 발명의 보차도 시공방법에 따른 보차도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수직패널 및 틈막이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의 보차도 시공방법에 따른 보차도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3a에 따른 보차도 시공방법은 원지반을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지반층(20)을 시공하는 지반층 시공단계와, 상기 지반층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65~75mm인 조골재를 280~320mm 두께로 채운 후에, 롤러로 다짐도 95% 이상이 되도록 수평하게 다져서 동결방지층(30)을 시공하는 동결방지층 시공단계와, 격자 형태로 형성된 메쉬(mesh)를 동결방지층(30)의 상면에 고정시켜 제1메쉬층(40)을 시공하는 제1 메쉬층 시공단계와, 제1메쉬층(40)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35~45mm인 조골재를 180~220mm의 두께로 채운 후에, 롤러로 다짐도 95% 이상이 되도록 수평하게 다져서 보조기층(50)을 시공하는 보조기층 시공단계와, 보조기층(50)의 상면에 필터 부직포층(60)을 시공하는 필터 부직포층 시공단계와, 도 1a 내지 도 1c 중 어느 하나의 보차도 블록(10)을 상부기층(70)의 상면에 격자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하고 보차도 블록(10)과 보차도 블록(10) 사이에 메꿈재(10f)를 채운 다음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보차도 블록층(80)을 시공하거나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은 수직패널(100) 및 틈막이부재(110)를 사용하여 보차도 블록(10)을 상부기층(70)의 상면에 수직패널(100)과 체결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배치한 다음에 틈막이부재(110)를 설치한 후, 복수개의 보차도 블록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메꿈재(10f)를 채우고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보차도 블록층(80)을 시공하는 보차도 블록층 시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메쉬층(4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섬유사의 표면에 폴리염화비닐(PVC)이 코팅된 메쉬를 직조하여 격자형태로 형성된 것이며, 8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격자 내부 크기가 가로 x 세로 2.2cm x 2cm이고 그 두께가 0.8~1.0mm이다.
상기 필터 부직포층(60)은 보조기층(50)의 쇄석과 상부기층(70)의 세석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격 흡수가 가능하고 무게가 가볍도록 일정 두께가 유지되 는 인장력과 투수 능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형성된 것이며, 그 두께가 4~8mm, 중량이 400~700g/m2이고, 투수계수는 a x 10-1~a x 10-3 cm/sec(단, a=1~9)이다.
또한, 상기 혼합골재는 그 입자 크기가 13~15mm를 갖는 조골재 20중량%와, 그 입자 크기가 0.5~5mm를 갖는 세골재 80중량%로 혼합하여 형성하고, 메꿈재(10f)는 그 입자 크기가 8~13mm를 갖는 조골재 80중량%와, 그 입자 크기가 0.5~5mm를 갖는 세골재 20중량%로 혼합하여 형성한다.
한편으로, 보차도 블록층(80)간에는 세석에 의해 보차도 블록이 유동되는 것을 막고, 세석의 공극 사이로 모래가 유입되어 세석이 유동되는 것을 막도록 그 입자 크기가 8~13mm를 갖는 조골재 80중량%와, 그 입자 크기가 0.5~5mm를 갖는 세골재 20중량%로 혼합된 메꿈재(10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차도 블록(10)과 보차도 블록(10) 사이는 세석과 모래가 충분히 충전될 수 있도록 그 간격을 1~1.5mm가 되도록 유지한다. 수직패널(100)에 설치되는 틈막이부재(110)는 차량 통행이 많은 곳에서 그 상면이 보차도 블록(10)의 상면과 수평하게 되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이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공원 등과 같이 보행자가 많은 곳에 설치될 때에는 보차도 블록(10)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3b는 도1b의 메꿈재 충전홈(10a) 및 연결홈(10d)을 갖는 보차도 블록(10)을 사용하여 보차도 블록층(80)을 시공한 도면으로, 도3a의 시공단계와 동일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러한 블록층(80)은 연결부재(10e)를 통해 각 블록이 연결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블록층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c는 도1c의 메꿈재 충전홈(10a) 및 고정용 쐐기(10c)를 갖는 보차도 블록(10)이 포설된 보차도 블록층(80)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3a의 시공단계와 동일하다.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상부기층(70)에 보차도 블록층(80)이 고정용 쐐기(10c)가 매립되기 때문에, 내압에 강한 보차도 블록층(80)이 형성된다.
도4a, 도4b, 및 도4c는 본 발명의 보차도 시공방법에 따른 보차도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a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 시공방법은 원지반을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지반층(20)을 시공하는 지반층 시공단계와, 상단에 복수의 후크(80a)를 갖는 투수관(80)을 지반층(20)에 매립하는 투수관 매립단계와, 지판층(20) 상면에 시공되어 투수관(80) 상단의 후크(80a)에 걸리는 격자 형태의 제2메쉬층(90)을 시공하는 제2메쉬층 시공단계와, 상기 제2메쉬층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65~75mm인 조골재를 280~320mm 두께로 채운 후에, 롤러로 다짐도 95% 이상이 되도록 수평하게 다져서 동결방지층(30)을 시공하는 동결방지층 시공단계와, 격자 형태로 형성된 메쉬 를 동결방지층(30)의 상면에 고정시켜 제1메쉬층(40)을 시공하는 제1메쉬층 시공단계와, 제1메쉬층(40)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35~45mm인 조골재를 180~220mm의 두께로 채운 후에, 롤러로 다짐도 95% 이상이 되도록 수평하게 다져서 보조기층(50)을 시공하는 보조기층 시공단계와, 보조기층(50)의 상면에 필터 부직포층(60)을 시공하는 필터 부직포층 시공단계와, 도 1a 내지 도 1c 중 어느 하나의 보차도 블록(10)을 상부기층(70)의 상면에 격자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하고 보차도 블록(10)과 보차도 블록(10) 사이에 메꿈재(10f)를 채운 다음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보차도 블록층(80)을 시공하거나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은 수직패널(100) 및 틈막이부재(110)를 사용하여 보차도 블록(10)을 상부기층(70)의 상면에 수직패널(100)과 체결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배치한 다음에 틈막이부재(110)를 설치한 후, 복수개의 보차도 블록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메꿈재(10f)를 채우고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보차도 블록층(80)을 시공하는 보차도 블록층 시공단계를 포함한다.
투수관(80)을 지반층(20)에 매립하는 이유는 비나 눈 등의 기후변화로 인해 보차도 내에 흡수된 물을 기능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으로, 제1메쉬층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섬유사의 표면에 폴리염화비닐(PVC)이 코팅되어 있는 메쉬로 형성된 제2메쉬층(90)은 투수관(80)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와, 지반층(20) 및 동결방지층(30) 사이에 미세한 공극 간격을 생성하여 투수관(80)으로 물이 응집되는 효과를 얻기 위한 용도와, 지반층(20) 및 동결방지층(30)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와, 보차도에 가중되는 하중을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2메쉬층(80)은 투수관(80)의 후크를 제2메쉬층(90)에 설치하기에 보다 편리하도록 제1메쉬층(40)을 구성하는 메쉬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제1메쉬층(40)의 격자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제2메쉬층(90)의 상면에 위치되는 동결방지층(30)의 조골재 입자 크기가 제1메쉬층(40)의 상면에 위치하는 보조기층(50)을 구성하는 조골재의 입자 크기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도4b는 도1b의 메꿈재 충전홈(10a) 및 연결홈(10d)을 갖는 보차도 블록(10)을 사용하여 보차도 블록층(80)을 시공한 도면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러한 블록층(80)은 연결부재(10e)를 통해 각 블록이 연결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블록층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투수관(80) 및 제2메쉬층(90)을 사용하여 보차도의 투수성과, 투수관으로의 투수율과, 보차도에 가해지는 충격완화와, 지반침하방지 기능을 추가로 향상시킨다.
도4c는 도1c의 메꿈재 충전홈(10a) 및 고정용 쐐기(10c)를 갖는 보차도 블록(10)이 포설된 보차도 블록층(80)을 도시한 도면으로,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상부기층(70)으로 고정용 쐐기(10c)를 매립하여 내압에 강한 보차도 블록층(80)을 형성하며, 투수관(80) 및 제2메쉬층(90)을 사용하여 보차도의 투수성과, 투수관으로의 투수율과, 보차도에 가해지는 충격완화와, 지반침하방지 기능을 추가로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보차도 블록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보차도 블록과 이의 메꿈재 충전홈에 설치되는 수직패널 및 틈막이부재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보차도 시공방법에 따른 보차도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보차도 시공방법에 따른 보차도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수직패널 및 틈막이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의 보차도 시공방법에 따른 보차도를 도시한 정단면도.

Claims (7)

  1. 양측면에 각각 한개 이상의 메꿈재 충전홈(1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차도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면에는 요철부(10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차도 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보차도 블록에는 이의 메꿈재 충전홈(10a)에 끼움되는 돌출부가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보차도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의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수직패널(100)이 상기 보차도 블록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에는 이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하부에 형성된 + 형상의 틈막이부재(1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차도 블록.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면에는 고정용 쐐기(10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차도 블록.
  5. 원지반을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지반층(20)을 시공하는 지반층 시공단계와;
    상기 지반층(20)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65~75㎜인 조골재를 280~320㎜의 두께로 채운 후에, 롤러로 다짐도 95% 이상이 되도록 수평하게 다져서 동결방지층(30)을 시공하는 동결방지층 시공단계와;
    격자 형태로 형성된 메쉬(mesh)를 상기 동결방지층의 상면에 고정시켜 제1메쉬층(40)을 시공하는 제1메쉬층 시공단계와;
    상기 제1메쉬층(40)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35~45㎜인 조골재를 180~220㎜의 두께로 채운 후에, 롤러로 다짐도 95% 이상이 되도록 수평하게 다져서 보조기층(50)을 시공하는 보조기층 시공단계와;
    상기 보조기층(50)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의 재질로 형성되고, 두께 10~20㎜, 중량 500~700g/㎡, 투수계수 a x 10-1~a x 10-3 cm/sec(단, α=1~9)인 필터 부직포를 사용하여 필터부직포층(60)을 시공하는 필터 부직포층 시공단계와;
    상기 필터 부직포층(60)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13~15㎜를 갖는 조골재 20중량%와 입자 크기가 0.5~5㎜를 갖는 세골재 80중량%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혼합골재를 50~80㎜의 두께로 채운 다음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상부기층(70)을 시공하는 상부기층 시공단계와;
    청구항 3에 따른 보차도 블록을 상기 상부기층(70)의 상면에 수직패널(100)과 체결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배치한 다음에 상기 틈막이부재(110)를 설치한 후, 복수개의 상기 보차도 블록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메꿈재(10f)를 채우고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보차도 블록층(80)을 시공하는 보차도 블록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차도 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반층 시공단계와 상기 동결방지층 시공단계 사이에는 상단에 복수의 후크(80a)를 갖는 투수관(80)을 상기 지반층(20)에 매립하는 투수관 매립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투수관 매립단계와 상기 동결방지층 시공단계 사이에는 상기 지반층(20)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투수관(80) 상단의 후크(80a)에 걸리는 격자 형태의 제2메쉬층(90)을 시공하는 제2메쉬층 시공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차도 시공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쉬층(40, 9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섬유사의 표면에 폴리염화비닐(PVC)이 코팅된 메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차도 시공방법.
KR1020080120150A 2007-11-30 2008-11-28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 KR20090056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824 2007-11-30
KR20070123824 2007-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916A true KR20090056916A (ko) 2009-06-03

Family

ID=4098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150A KR20090056916A (ko) 2007-11-30 2008-11-28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69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21Y1 (ko) * 2017-03-08 2017-10-30 김세윤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KR200484823Y1 (ko) * 2017-03-08 2017-11-20 김세윤 운동장 라인 표시용 플라스틱 바닥재
CN111455771A (zh) * 2020-04-13 2020-07-28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透水砖路面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21Y1 (ko) * 2017-03-08 2017-10-30 김세윤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KR200484823Y1 (ko) * 2017-03-08 2017-11-20 김세윤 운동장 라인 표시용 플라스틱 바닥재
WO2018164315A1 (ko) * 2017-03-08 2018-09-13 김세윤 운동장 라인 표시용 플라스틱 바닥재
CN111455771A (zh) * 2020-04-13 2020-07-28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透水砖路面结构
CN111455771B (zh) * 2020-04-13 2021-09-14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透水砖路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164B1 (ko) 도로용 다기능 합성수지블록
KR101225072B1 (ko) 투수 포장 구조체
KR101438035B1 (ko) 빗물 저류형 포장용 블록
CN107386047B (zh) 一种透水砖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570900B (zh) 一种排蓄水混凝土路面结构及施工方法
KR20130064192A (ko) 스톤 바스켓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CN210262555U (zh) 一种轻质土道路结构
KR20090056916A (ko)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
KR101256341B1 (ko) 길어깨 보호수단을 갖는 도로 경계 이음부 설치 구조 및 그 시공방법과, 도로 경계 이음부 설치용 콘크리트 도로포장장치의 사이드 폼 성형장치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82914B1 (ko) 비투수성 도로의 배수시스템
CN210975426U (zh) 预制装配式卵形槽暗排水沟系统
EP3519631B1 (en) Process of flash floods drainage from gravel roads
KR20140022334A (ko) 보도 블록 시공용 지오그리드
CN211079810U (zh) 一种避免积水的沥青公路
CN210826961U (zh) 适用于住宅小区楼宇单元门前的路面结构
KR102285538B1 (ko) 배수기능을 가지는 화강석 보도블록
JP2022094642A (ja) 舗装構造物および舗装構造物構築方法
CN210341520U (zh) 一种防滑排水兼加固作用的陡坡路基结构
CN210031383U (zh) 一种地面透水砖
KR100710629B1 (ko) 알피에스 보차도 시공방법
CN113073546A (zh) 高速公路工程的桥梁引道防滑安全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448335B1 (ko) 조립식블록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구비하는 도로의 시공방법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CN218989765U (zh) 一种透水沥青路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