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21Y1 -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 Google Patents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821Y1
KR200484821Y1 KR2020170001115U KR20170001115U KR200484821Y1 KR 200484821 Y1 KR200484821 Y1 KR 200484821Y1 KR 2020170001115 U KR2020170001115 U KR 2020170001115U KR 20170001115 U KR20170001115 U KR 20170001115U KR 200484821 Y1 KR200484821 Y1 KR 200484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upper plate
base plate
unit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윤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윤 filed Critical 김세윤
Priority to KR2020170001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8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심벽체와, 상기 중심벽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보다 높게 배치되는 경계벽체를 구비하며, 상호간 측방향으로 연결되되 압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잔디구장 내에 매립되는 다수의 단위 바닥재;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바닥재를 연결하는 바닥재 연결기구; 및 상기 경계벽체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단위 바닥재의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표시구 몸체와, 상기 표시구 몸체 상에 마련되되 상단의 일부구간이 상기 잔디구장의 그라운드 표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다수의 인조잔디를 구비하는 라인 표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DEVICE FOR INDICATING PLAYING GROUND LINE}
본 고안은,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마사토 운동장을 포함하는 잔디구장(천연잔디 혹은 인조단디 포함), 예컨대 축구장의 경우, 골 에어리어(goal area)나 중앙선, 사이드선 등의 표시를 위해 일정한 규격의 라인(line)을 그린다.
이처럼 잔디구장에 라인을 그릴 때는 흰색의 페인트 또는 석회가루가 사용되며, 별도의 라인 메이커(line maker)를 통해 그린다. 즉 라인 커넥터의 본체에 페인트 또는 석회가루를 넣고, 원하는 라인을 따라 라인 메이커를 이동시킴으로써 잔디구장에 라인을 그릴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잔디구장에 라인을 그리는 경우, 페인트 또는 석회가루의 재질 상 쉽게 소멸되기 때문에 수시로 라인을 다시 그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또한 페인트 또는 석회가루가 환경 친화적이지 못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신개념의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2-00109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2944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330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388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심벽체와, 상기 중심벽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보다 높게 배치되는 경계벽체를 구비하며, 상호간 측방향으로 연결되되 압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잔디구장 내에 매립되는 다수의 단위 바닥재;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바닥재를 연결하는 바닥재 연결기구; 및 상기 경계벽체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단위 바닥재의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표시구 몸체와, 상기 표시구 몸체 상에 마련되되 상단의 일부구간이 상기 잔디구장의 그라운드 표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다수의 인조잔디를 구비하는 라인 표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에 의해 달성된다.
상호 접하는 상기 단위 바닥재와 상기 라인 표시구에는 상호간 미끄럼이 저지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논슬립부(non-slip part)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논슬립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홈(groove)으로 적용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면적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다수의 하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재 연결기구는, 상기 한 쌍의 단위 바닥재의 중심벽체에 배치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바닥재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라인 표시구의 표시구 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립용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용 보조돌기가 조립되는 보조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가 적용된 운동장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상면 일부 이미지이다.
도 4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연결을 위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가 적용된 운동장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상면 일부 이미지, 도 4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도 6은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연결을 위한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100)는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단위 바닥재(110), 라인 표시구(130), 그리고 단위 바닥재(110)들을 연결하기 위한 바닥재 연결기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바닥재(110)는 길이 방향으로 단부간 연결되도록 하면서 잔디구장 내의 지면에 매립되는 부재이다. 단위 바닥재(110)는 친환경적인 소재, 특히 친환경적인 폐플라스틱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따라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이 수월해지고,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단위 바닥재(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심벽체(113)와, 중심벽체(113)의 상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라인 표시구(130)가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114)와, 상부 플레이트(114)의 단부에서 상부 플레이트(114)보다 높게 배치되는 경계벽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위 바닥재(110)는 라인폭이 5cm, 높이가 6cm, 각부의 두께가 1cm일 수 있으나 이의 수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도 2처럼 지면의 제일 아래쪽에 매입되는 부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하면에는 다수의 하부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하부 홈(112)으로 인해 압출성형이 용이해지는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매립 시 흙과의 마찰면적이 커져서 흔들림이 저지될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하부 홈(112)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하부 홈(112)이 없는 구조라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상부 플레이트(114)는 중심벽체(113)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14) 상에 라인 표시구(130)가 결합된다.
상부 플레이트(114)의 면적이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많은 인조잔디(133)를 배치하기에 유리하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114)의 상면에는 라인 표시구(130)가 결합될 때, 미끄럼이 저지되도록 하는 제1 논슬립부(115, non-slip part)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논슬립부(115)는 다수의 상부 홈(groove)으로 적용되는데, 이처럼 제1 논슬립부(115)를 매개로 해서 상부 플레이트(114)의 상면에 라인 표시구(130)가 결합되기 때문에 라인 표시구(130)의 미끄럼을 저지시킬 수 있다.
경계벽체(116)는 상부 플레이트(114)의 단부, 즉 외곽에서 상부 플레이트(114)보다 높게 배치되는 일종의 턱이다. 이처럼 단위 바닥재(110)에 경계벽체(116)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14) 상에 라인 표시구(130)가 결합될 때, 가이드되면서 제자리에 잘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것처럼 제1 논슬립부(115)와 제2 논슬립부(132)가 잘 치합될 수 있어서 논슬립 방지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라인 표시구(130)는 단위 바닥재(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라인 표시구(130)는 상부 플레이트(114)의 제1 논슬립부(115)와의 맞춤결합에 의해 미끄럼이 저지되는 제2 논슬립부(132)를 구비하되 단위 바닥재(110)의 경계벽체(116)에 가이드되면서 단위 바닥재(110)의 상부 플레이트(114)에 결합되는 표시구 몸체(131)와, 표시구 몸체(131) 상에 마련되되 상단부가 잔디구장의 표면을 이루는 다수의 인조잔디(13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구 몸체(131)에 제2 논슬립부(132)가 마련되어 상부 플레이트(114)의 제1 논슬립부(115)와 대응됨으로써 라인 표시구(130)의 적용 시 미끄러짐이 저지될 수 있다. 물론, 표시구 몸체(131)의 부착 시 친환경소재의 접착제가 더 적용될 수 있다.
인조잔디(133)는 도 3처럼 백색의 잔디일 수 있다. 이러한 백색의 인조잔디(133)는 도 2처럼 상단의 일부구간(L1)이 잔디구장의 그라운드 표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잔디구장의 그라운드 표면에 녹색의 잔디를 심으면 그 높이가 서로 맞게 되는데, 이때 녹색의 잔디 가운데 백색의 인조잔디(133)가 보이기 때문에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위 바닥재(110)를 압출성형으로 제작함에 있어 무한정 긴 단위 바닥재(110)를 제작할 수는 없다. 즉 단위길이로 단위 바닥재(110)를 만든 후, 이들을 연결시켜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바닥재 연결기구(150)가 마련된다.
바닥재 연결기구(150)는 도 7처럼 이웃된 한 쌍의 단위 바닥재(11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단위 바닥재(110)의 중심벽체(113)에 배치되는 연결 플레이트(151)와, 연결 플레이트(151)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공(15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재 연결기구(150)는 이웃된 한 쌍의 단위 바닥재(110)의 양측에서 이웃된 한 쌍의 단위 바닥재(11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200) 역시, 단위 바닥재(210)와, 라인 표시구(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세부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라인 표시구(230)의 표시구 몸체(131)에는 조립용 보조돌기(238)가 형성되고, 단위 바닥재(210)의 상부 플레이트(114)에는 조립용 보조돌기(238)가 조립되는 보조돌기홈(21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조립용 보조돌기(238)와 보조돌기홈(218)이 형성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보면 라인 표시구(230)에 조립용 보조돌기(238)가, 단위 바닥재(210)에 보조돌기홈(218)이 형성되나 반대의 구조도 충분히 가능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300) 역시, 단위 바닥재(310)와, 라인 표시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바닥재(3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심벽체(113)와, 중심벽체(113)의 상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라인 표시구(330)가 결합되되 제1 논슬립부(315)를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314)와,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단부에 형성되는 경계벽체(3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 표시구(330)는 상부 플레이트(314)의 제1 논슬립부(315)와의 맞춤 결합에 의해 미끄럼이 저지되는 제2 논슬립부(332)를 구비하는 표시구 몸체(331)와, 표시구 몸체(331) 상에 마련되되 상단부가 잔디구장의 표면을 이루는 다수의 인조잔디(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논슬립부(315)와 제2 논슬립부(332)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후크식 구조를 이룬다. 즉 후크 형상의 제2 논슬립부(332)가 홈 형상의 제1 논슬립부(315)에 후크식으로 맞물리는 형태를 이루는데,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 논슬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400) 역시, 단위 바닥재(410)와, 라인 표시구(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대다수 구조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 바닥재(410)에 형성되는 제1 논슬립부(415)가 슬라이딩 홈(415)으로 형성되고, 라인 표시구(430)에 형성되는 제2 논슬립부(432)가 슬라이딩 홈(415)에 슬라이딩 맞물림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432)로 적용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제1 논슬립부(415)와 제2 논슬립부(432)는 슬라이딩 맞물림 결합구조를 이루며, 이와 같은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논슬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500)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511), 제1 및 제2 중심벽체(513a,513b) 및 상부 플레이트(514)를 구비하는 단위 바닥재(510)와, 라인 표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500)의 사용 중 사용 중에 인조잔디(133)의 밟혀서 그 높이가 낮아지면 높이를 올릴 필요가 있고, 또한 인조잔디(133)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그 높이를 내릴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인조잔디(13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 효과가 매우 뛰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중심벽체(513a,513b)를 둘로 나누고 이에 높이조절수단을 부가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중심벽체(513a)에는 탄성핀(P)이 결합되고, 제2 중심벽체(513b)에는 다수의 핀홀(H)이 형성되는데, 다수의 핀홀(H) 중에서 선택된 곳에 탄성핀(P)을 결합시킴으로써 손쉽게 도 14처럼 전체 높이를 높이거나 도 15처럼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600)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611), 중심벽체(613), 상부 플레이트(614) 및 경계벽체(616)를 구비하는 단위 바닥재(610)와, 이에 결합되는 라인 표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611)에는 하방으로 향하는 다수의 앵커부(612)가 형성된다. 이처럼 다수의 앵커부(612)가 베이스 플레이트(611)에 일체로 형성될 경우, 단위 바닥재(610)의 매립이 수월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잔디구장에 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명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110 : 단위 바닥재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하부 홈
113 : 중심벽체 114 : 상부 플레이트
115 : 제1 논슬립부 116 : 경계벽체
130 : 라인 표시구 131 : 표시구 몸체
132 : 제2 논슬립부 133 : 인조잔디
150 : 바닥재 연결기구 151 : 연결 플레이트
152 : 나사공

Claims (4)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심벽체와, 상기 중심벽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부면에는 복수의 상부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논슬립부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보다 높게 배치되는 경계벽체로서 구비하고, 친환경적인 폐플라스틱을 일정 길이의 단위로 압출성형하여 길이 방향으로 단부간 연결되도록 하면서 잔디구장의 라인을 따라 매립되는 다수의 단위 바닥재;
    상기 경계벽체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단위 바닥재의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논슬립부와 슬라이딩 맞물림 결합에 의해 미끄럼이 저지되도록 접합되는 제2 논슬립부를 구비하는 표시구 몸체와, 상단의 일부가 잔디구장의 그라운드 표면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표시구 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백색의 인조잔디를 구비하는 라인표시구; 및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단위 바닥재간 중심벽체들간을 연결하는 바닥재 연결기구;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흙과의 마찰면적이 커져서 흔들림이 저지되도록 다수의 하부 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바닥재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라인 표시구의 표시구 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립용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용 보조돌기가 조립되는 보조돌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KR2020170001115U 2017-03-08 2017-03-08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KR200484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15U KR200484821Y1 (ko) 2017-03-08 2017-03-08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15U KR200484821Y1 (ko) 2017-03-08 2017-03-08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21Y1 true KR200484821Y1 (ko) 2017-10-30

Family

ID=6040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15U KR200484821Y1 (ko) 2017-03-08 2017-03-08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2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801U (ja) * 1985-01-18 1985-09-17 米弥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コース用カートの走行路
JPH0775443A (ja) * 1993-09-06 1995-03-20 Kajima Corp 交換式芝マット
JP2003147714A (ja) * 2001-11-16 2003-05-21 Hidemitsu Kakudo 路側帯ブロック
KR200410314Y1 (ko) 2005-12-01 2006-03-07 이명숙 운동장라인표시구
KR20090056916A (ko) * 2007-11-30 2009-06-03 김형대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
KR20110102573A (ko) * 2010-03-11 2011-09-19 김동현 투수성을 갖는 인조잔디 형태의 집수구 상단 덮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801U (ja) * 1985-01-18 1985-09-17 米弥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コース用カートの走行路
JPH0775443A (ja) * 1993-09-06 1995-03-20 Kajima Corp 交換式芝マット
JP2003147714A (ja) * 2001-11-16 2003-05-21 Hidemitsu Kakudo 路側帯ブロック
KR200410314Y1 (ko) 2005-12-01 2006-03-07 이명숙 운동장라인표시구
KR20090056916A (ko) * 2007-11-30 2009-06-03 김형대 개선된 보차도 블록 및 이를 사용한 보차도 시공방법
KR20110102573A (ko) * 2010-03-11 2011-09-19 김동현 투수성을 갖는 인조잔디 형태의 집수구 상단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65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multi level support system
US8656662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US8397466B2 (en) Tile with multiple-level surface
US7918057B2 (en) Modular floor tile system with sliding lock
CN203891413U (zh) 多用途塑胶拼装地板
CN106758631A (zh) 一种环保型自动升降的草坪砖
CN101505586A (zh) 草皮保护垫
CN104619930B (zh) 具有渠体和盖板的排水渠
KR200484821Y1 (ko) 잔디구장 라인용 플라스틱 바닥재
KR100807329B1 (ko) 잔디 보호 매트
WO2012047513A4 (en) Toy race track system
KR101993519B1 (ko)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
WO2007014665A1 (de) Bodenbelag
KR200484823Y1 (ko) 운동장 라인 표시용 플라스틱 바닥재
US10081948B2 (en) Combination of elements to construct a threshold ramp construction, ramp construction, and method to construct a threshold ramp construction
KR101210447B1 (ko)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판
CN212129782U (zh) 拼装式运动地板单元
KR200465986Y1 (ko) 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
US20190046891A1 (en) Flexible interconnectable brick assembly
CN211229338U (zh) 地板结构
KR200210244Y1 (ko) 운동장 라인표시용 벨트
JP2567953Y2 (ja) スキー滑走路用ブロック構造体
WO2024076238A1 (en) Structure for forming a deck, connecting and alignment method
KR200362997Y1 (ko) 골프티의 구조
KR20190057520A (ko)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