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105A -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105A
KR20090056105A KR1020070123103A KR20070123103A KR20090056105A KR 20090056105 A KR20090056105 A KR 20090056105A KR 1020070123103 A KR1020070123103 A KR 1020070123103A KR 20070123103 A KR20070123103 A KR 20070123103A KR 20090056105 A KR20090056105 A KR 20090056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s
filter
ring portion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999B1 (ko
Inventor
최영록
Original Assignee
(주)이데아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데아벡스 filed Critical (주)이데아벡스
Priority to KR102007012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9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되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와, 상기 복수의 필터의 최상면 및 최하면을 커버하여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필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필터, 고정 프레임 및 기밀 프레임의 중심을 관통하여 이들이 적층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필터의 권취 횟수를 늘리거나 또는 필터의 적층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필터 용량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공기 정화 장치가 설치되는 정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필터 용량을 가변할 수 있다.
대기, 적층, 필터, 정화기, 청정기.

Description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FILTER ASSEMBLY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용량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기거하는 공간 예를 들어 주택, 공장의 작업실, 자동차 등에서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환기는 필수적인 것이고, 상기 환기는 대기를 환기 공간에 유입하는 것이다.
한편, 산업 사회의 변화에 따른 화석 연료의 과도한 사용에 의하여 자동차 또는 산업 설비 등에서 배출 가스가 다량 발생되고, 도시 기반 시설의 확충 등에 따라 분진, 꽃가루, 타르, 미생물 등의 유기 고형물의 발생으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오늘날의 대기 상태는 직접 환기에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 정화 장치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기 정화 장치에는 공기 정화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마련 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필터는 정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정화 처리 용량 을 갖게 되는데, 상기 필터가 처리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용량 즉, 필터 용량은 공기 정화 장치의 설계 규격에 의해 종속적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필터 용량을 가변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따라서, 정화 공간이 달라지면 정화 공간의 크기에 적합한 공기 정화 장치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는 일정 시간 사용하면 오염되어 정화 성능이 저하되므로, 새로운 필터로 교체해줘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정화 장치는 필터의 조립 및 교체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권취형 필터를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필터의 권취 회수 및 필터의 적층 개수에 따라 필터 용량이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는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격 부재를 이용하여 적층형 필터가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적층함으로써, 필터 용량이 증가되더라도 증가된 필터 하중으로 인해 필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권취되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의 최상면 및 최하면을 커버하여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복수의 필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필터, 고정 프레임 및 기밀 프레임의 중심을 관통하여 이들이 적층 결합되는 샤프트; 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필름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기밀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ABS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제 1 링부와, 상기 제 1 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빗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링부와, 상기 제 2 링부의 외연에서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제 3 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링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링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모두 연장되며, 상기 수평 방향의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 프레임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의 수직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 이격 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이격 부재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중공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공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중공 내부에 강제적인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권취되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의 최상면 및 최하면을 커버하여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복수의 필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필터, 고정 프레임 및 기밀 프레임의 중심을 관통하여 이들이 적층 결합되는 샤프트;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기밀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ABS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 프레임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 프레임의 직경은 상기 케이스의 중공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제 1 링부와, 상기 제 1 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빗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링부와, 상기 제 2 링부의 외연에서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제 3 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의 수직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 이격 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이격 부재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 수단은 상기 필터 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필터의 권취 횟수를 늘리거나 또는 필터의 적층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필터 용량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공기 정화 장치가 설치되는 정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필터 용량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형 필터가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적층함으로써, 필터 용량이 증가되더라도 증가된 필터 하중으로 인해 필터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필터 용량 증가에 따른 정화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조립 및 교환이 용이하여, 조립 및 교환 작업에 어려움을 느끼는 일반인이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필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중공(101)을 갖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중공(101) 내부를 가로막아 설치되는 필터 유닛(200)과, 상기 케이스(100)의 중공(101) 내부에 강제적인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풍 유닛(300)은 케이스(100)의 중 공(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케이스(100)의 중공(101)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별도의 모듈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원통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의 단면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방부가 형성된다. 이때, 일측의 개방부는 정화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로 사용되고, 타측의 개방부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케이스(100)는 상부 개방부가 공기 유입구로 사용되고 하부 개방부가 공기 배출구로 사용되어 케이스(100)의 중공 상부에서 중공 하부로 공기가 유통된다. 물론, 상기 케이스(100)의 형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 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통기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개방부 및 하부 개방부에는 내부 설치물의 보호 및 외관 디자인을 위해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이때,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구(111,121)가 형성되어, 이곳(111,121)을 통해 케이스(100)의 내외부 공간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필터 유닛(200)은 권취되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210)와, 상기 복수의 필터(210) 최상면 및 최하면에 마련된 고정 프레임(220)과, 상기 복수의 필터(21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프레임(230) 및 이들(210,220,230)의 중심을 관통하여 이들이 결합되는 샤프트(shaft)(240)를 포함한다.
각각의 필터(210)는 중공이 형성된 중공 부재(214)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이러한 필터(21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표면에 복수의 돌기(212)가 형성된 필름(211)을 통 형상으로 권취하여 필름(211) 사이에 미세한 통기로(2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름(211)의 두께는 0.1 내지 1㎜로 형성하여 강성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기(212)의 높이는 0.1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정화하려는 외기의 조건, 통기량(또는 흡입 공기량) 또는 송풍 유닛(300)의 송풍량에 따라서 조절하며, 또한 돌기(212)는 그 높낮이를 필름(211)의 폭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 손실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필름(211)의 폭을 작게 할 경우에는 돌기(212)의 높이를 작게 형성하고, 필름(211)의 폭을 크게 할 경우에는 돌기(212)의 높이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212)는 불규칙하게 형성하여 정화하려는 공기가 통기로(213)를 통과할 때 돌기(212)에 부딪쳐 우회 통로를 형성하면서 상호 마찰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정화하려는 공기가 통기로(213)에 그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유입되어 미세 분진까지 집진되어 미세 분진에 포함된 가스의 냄새도 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필름(211)의 압출시에 활성탄, 제오라이트 등의 다공성 탈취제를 분산하면 가스 등의 냄새 정화를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하여 은 또는 산화티타늄 등의 살균제를 분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필터는 광폭의 필름으로 제조하여 통 형상으로 권취한 후 일정 길이로 절단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름(211)은 하전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하전되어 일면이 양극성(+), 타면이 음극성(-)을 갖게 됨으로써 일정량의 정전기를 보유하여 더욱 집 진 효율이 증대된다. 이러한 필터(210)은 케이스(100)의 축 방향과 동일 방향(정화하려는 외기의 흐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프레임(220)은 상하로 적층된 필터들(210)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상하로 적층된 필터들(210)의 최상면과 최하면을 커버하여 이들을 샤프트(24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220)에 의해 필터(21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프레임(220)은 샤프트(240)에 끼워지는 제 1 링부(221)와, 상기 제 1 링부(22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빗살(223)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링부(2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마치 자전거 바퀴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됨으로써,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면적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220)은 복수로 적층된 필터들(210)의 최상면과 최하면을 양측에서 압박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 프레임(230)은 케이스(100)의 중공(101) 내벽과 필터 유닛(2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폐쇄하여 기밀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즉, 기밀 프레임(230)의 외연은 케이스(100)의 중공(101) 내벽에 완전히 밀착되게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 유닛(200)을 통과하여서만 케이스(100)의 하부 개방부로 배출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상기 기밀 프레임(230)의 직경은 케이스(100)의 중공(101)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밀 프레임(230)은 어느 정도의 연성과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폴리에 틸렌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밀 프레임(230)은 필터(21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고정 프레임(220)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밀 프레임(230)은 샤프트(240)에 끼워지는 제 1 링부(231)와, 상기 제 1 링부(2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빗살(234)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링부(2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 2 링부(232)의 외연에서 수평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는 제 3 링부(233)를 더 마련되어, 상기 제 3 링부(233)가 케이스(100)의 중공(101)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한 기밀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링부(233)는 연장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되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비교적 연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240)는 각각의 필터(210), 고정 프레임(220) 및 기밀 프레임(230)이 적층된 구조물의 중심을 관통하는 길다란 봉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240)의 적어도 일단에는 나사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이곳에 상기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을 갖는 고정 나사(24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적층 구조물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고, 수명이 다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40)에 결합된 각각의 필터(210)는 서로의 하중에 의해 눌릴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240)에는 각각의 필터(210)를 소정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중공형의 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필터(210)의 수직 높 이에 해당하는 높이의 이격 부재(241)가 필터(210)의 설치 개수만큼 마련되고, 각각의 이격 부재(241)의 외측에 전술한 각각의 필터(210)가 끼워진다. 이로 인해, 서로의 하중에 의한 필터(21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더욱 많은 개수 또는 더욱 많은 하중의 필터(210)를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송풍 유닛(300)은 팬(fan)(310)과 팬(310)을 회전시키는 모터(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송풍 유닛(300)의 송풍 방향은 정화하려는 외부 공기를 필터 유닛(200)의 설치 공간으로 보내주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필터 유닛(200)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주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송풍 유닛(300)은 필터 유닛(200)의 하부 공간에 마련되어, 케이스(100)의 하부 개방부를 향하도록 송풍 방향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100)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강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필터 유닛(20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케이스(10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해 다시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한편, 송풍 유닛(300)과 필터 유닛(200)의 사이에는 상호간의 기계적 간섭을 방지하고, 일정한 송풍 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망(40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풍 유닛(300)의 상부에 지지망(400)이 이격 설치되고, 지지망(400)에는 지지 돌기(41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돌기(410)에 의해 필터 유닛(200)이 이격 설치된다. 이로 인해, 송풍 유닛(300)과 필터 유닛(200)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케이스(100) 중공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흐름 경로에 필터 유닛(200)이 기밀하게 설치됨으로써, 필터 유닛(200)과 케이스(100) 중공(101) 내벽 사이에 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기의 우 회 경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공기는 필터 유닛(200)을 관통하여 배출되므로, 정화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닛(200)은 요구되는 정화 공간의 크기에 따라 필터 용량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 즉, 정화 공간이 보다 커진다면 도 5와 같이, 각 필터(210)의 권취 횟수를 늘리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각 필터(210)의 적층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필터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필터(210)는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하중이 커지므로, 하부에 적층된 필터가 눌려 변형될 우려가 있으나, 각각의 필터는 이격 부재(241)에 의해 수직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부피 증가에 따른 필터 변형의 문제는 발생 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닛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가능성의 일예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필터 유닛에 관해 설명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500)은 권취되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210)와, 상기 복수의 필터(210) 최상면 및 최하면에 마련된 고정 프레임(220)과, 상기 복수의 필터(210)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밀 프레 임(510) 및 이들(210,220,510)의 중심을 관통하여 이들이 결합되는 샤프트(240)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기밀 프레임(510)은 샤프트(240)에 끼워지는 제 1 링부(231)와, 상기 제 1 링부(2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빗살(234)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링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부(232)의 외연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는 제 3 링부(235)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3 링부(235)는 직경 방향에 해당하는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샤프트(240)에 결합되는 결합 방향에 해당하는 수직 방향으로도 연장된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 3 링부(235)는 상하로 적층되어 이웃하는 두 필터(210)의 결합면 외측 둘레를 일정 부분 커버함으로써, 필터들(21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각 필터(210)의 결합면에 형성될 수 있는 미세한 틈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더욱 높여준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필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상부 커버
120: 하부 커버 200: 필터 유닛
210: 필터 220: 고정 프레임
230: 기밀 프레임 204: 샤프트
241: 이격 부재 242: 고정 나사
300: 송풍 유닛

Claims (17)

  1. 권취되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의 최상면 및 최하면을 커버하여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복수의 필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필터, 고정 프레임 및 기밀 프레임의 중심을 관통하여 이들이 적층 결합되는 샤프트; 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필름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필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된 필터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기밀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필터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ABS 수지로 형성된 필터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밀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제 1 링부와,
    상기 제 1 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빗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링부와,
    상기 제 2 링부의 외연에서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제 3 링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 링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필터 조립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 링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모두 연장되며, 상기 수평 방향의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필터 조립체.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밀 프레임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된 필터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의 수직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 이격 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이격 부재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이 끼워지는 필터 조립체.
  11. 중공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공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중공 내부에 강제적인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권취되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의 최상면 및 최하면을 커버하여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복수의 필터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필터, 고정 프레임 및 기밀 프레임의 중심을 관통하여 이들이 적층 결합되는 샤프트;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기밀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공기 정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ABS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기밀 프레임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된 공기 정화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기밀 프레임의 직경은 상기 케이스의 중공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 공기 정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기밀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제 1 링부와,
    상기 제 1 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빗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링부와,
    상기 제 2 링부의 외연에서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제 3 링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의 수직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 이격 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이격 부재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이 끼워지는 공기 정화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상기 필터 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20070123103A 2007-11-29 2007-11-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094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103A KR100944999B1 (ko) 2007-11-29 2007-11-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103A KR100944999B1 (ko) 2007-11-29 2007-11-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105A true KR20090056105A (ko) 2009-06-03
KR100944999B1 KR100944999B1 (ko) 2010-03-05

Family

ID=4098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103A KR100944999B1 (ko) 2007-11-29 2007-11-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84B1 (ko) * 2019-11-29 2020-07-15 제이와이커스텀(주)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72B1 (ko) * 2019-05-21 2020-01-03 주식회사 카파테크놀러지 압축공기를 이용한 불소수지 용접장치
KR102414703B1 (ko) * 2020-05-13 2022-06-28 이병관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913A (ja) * 1989-09-01 1991-04-15 Osaka Gas Co Ltd 積層吸着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
JP2000107534A (ja) * 1998-09-30 2000-04-18 Fujitsu General Ltd 空気清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84B1 (ko) * 2019-11-29 2020-07-15 제이와이커스텀(주)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999B1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289B1 (ko) 공기 청정 필터
US7323146B2 (en) Air purifier
CN201361510Y (zh) 三段组合式过滤器
KR101386187B1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CN201394408Y (zh) 多段式静电过滤器
KR100944999B1 (ko)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EP2570169A2 (en) Air-cleaning filter
KR100528847B1 (ko) 공기 청정 필터장치
CN203379752U (zh) 空气净化器
CN210211976U (zh) 车载空气净化器的风道结构
CN212179088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1602112B1 (ko) 공기 청정기
CN113048603A (zh) 一种空气净化设备
KR100634844B1 (ko) 공기 청정기
KR20070075047A (ko) 정전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CN108981009B (zh) 一种智能新风净化系统及新风净化处理控制方法
CN108931023B (zh) 一种等离子新风净化器
CN108954599B (zh) 一种双出风道的空气净化器
KR100618464B1 (ko) 공기 청정 필터
CN107243201B (zh) 空气净化模组和空气净化器
CN208075116U (zh) 新型净化腔和室内净化器
KR20110008368A (ko) 공기청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KR200369783Y1 (ko) 공기 청정 필터
CN111298545A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110008367A (ko) 압축공기 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