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284B1 -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284B1
KR102134284B1 KR1020190157563A KR20190157563A KR102134284B1 KR 102134284 B1 KR102134284 B1 KR 102134284B1 KR 1020190157563 A KR1020190157563 A KR 1020190157563A KR 20190157563 A KR20190157563 A KR 20190157563A KR 102134284 B1 KR102134284 B1 KR 10213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cartridge
smart multi
tuye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금
Original Assignee
제이와이커스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와이커스텀(주) filed Critical 제이와이커스텀(주)
Priority to KR102019015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F24F2003/1614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가정, 매장 등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시킨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벽에 외부공기 흡입구가 천공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카트리지;
상기 본체 상부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 내부에 복수개 배치되고, 회전시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 및 측면 송풍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해 청정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측면 송풍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순환 정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측면 송풍구 및 상부 송풍구의 에어벤트를 통해 청정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청정 및 공기 순환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a air purifier of multi type}
본 명세서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정, 매장 등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시킨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밀폐된 실내에서는 미생물이나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계속적으로 누적되고 있다. 호흡기 계통(알레르기나 천식)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공기 중에 떠 있는 부유 물질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게 된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0.3미크론 이하의 미세한 입자들은 그 크기가 아주 작기 때문에 인체의 허파 속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우리의 면역체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가정 등에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유해균, 새집 증후군, 황사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 청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구동시 흡입되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된 공기를 분진 제거장치, 즉 여과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포집하거나, 분진제거 기능과 함께 이산화탄소 등의 악취, 유해가스 등의 탈취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11743호에 용량 가변형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실내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시킨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 청정 기능 및 측면 송풍구를 활용하여 공기 순환 정화 기능(선풍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여과필터 모듈 및 본체 모듈을 블록화시켜 장소 및 사용자 필요에 의해 여과필터 용량을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외부공기 흡입구 및 청정공기 토출구에 장착된 자외선 램프(UV-C LED)에 의해 여과필터를 살균, 제균시켜 살균처리된 청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양방향 통신으로 외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통신모듈 및 듀얼 스피커를 활용하여 통화하거나, 음악, 라디어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벽에 외부공기 흡입구가 천공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카트리지;
상기 본체 상부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 내부에 복수개 배치되고, 회전시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 및 측면 송풍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해 청정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측면 송풍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순환 정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측면 송풍구 및 상부 송풍구의 에어벤트를 통해 청정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청정 및 공기 순환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등을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시킨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정화 기능 및 측면 송풍구(송풍구가 3개 형성됨)를 통해 서라운드 풍량을 토출시켜 공기 순환 정화 기능(선풍기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실용성 및 상품성을 갖게 된다.
또한, 여과필터 모듈 및 본체 모듈을 블록화시켜 사용장소(평수) 및 사용자 필요에 의해 여과필터 용량을 가변 조정함에 따라 편의성 및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공기 흡입구 및 청정공기 토출구에 장착된 자외선 램프에 의해 여과필터 및 오염된 실내공기를 살균, 제균시킨 후 청정상태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양방향 통신으로 외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사용자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모듈 및 듀얼 스피커(측면의 메인스피커 및 바닥면의 우퍼 스피커가 장착됨)를 활용하여 통화하거나, 음악, 라디어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a,b)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필터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측면 송풍구를 이루는 복수개의 송풍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측면 송풍구의 정역 방향으로 회전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b,c)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공기 청정 기능, 공기 순환 정화 기능, 에어솔루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베이스에 장착되는 듀얼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대용 사진,
도 8(a,b,c)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측면 송풍구의 틸팅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a,b,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10);
베이스(10)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벽에 외부공기 흡입구(11)가 천공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12);
본체(12)에 내설되고,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필터(13)에 의해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카트리지(14);
본체(12) 상부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15);
회전체(15) 내부에 복수개 배치되고, 회전시 외부공기를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2)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하는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16) 및 측면 송풍구(17)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18);을 포함하되,
송풍팬(18) 회전시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를 통과시킨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배출시켜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고(도 6a 참조),
측면 송풍구(17)의 제1,2,3송풍팬(34,35,36) 회전시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측면 송풍구(17)를 통해 배출시켜 공기 순환 정화 기능(선풍기역할을 수행함)을 수행하며(도 6b 참조)(이때, 하부팬(18) 및 필터카트리지(14)는 오프모드(OFF MODE)임),
송풍팬(18) 회전시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를 통과시킨 청정공기를 측면 송풍구(17) 및 상부 송풍구(16)의 에어벤트(19)를 통해 배출시켜 공기 청정 및 공기 순환 정화 기능을 수행(도 6c 참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b)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카트리지(14)는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2)에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 즉 비교적 큰 사이즈의 먼지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프리필터(prefilter), 프리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의 미세입자의 유해물질을 여과시켜 제거하거나,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방사상 물질 등을 제거하는 헤파필터(hapa filter)로 구성된다.
다만, 필터카트리지(14)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과필터(13)의 종류와 개수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장소 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2) 상부 외측면에 장착되고,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한 청정공기의 이동통로(도면부호 미 도시)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정화밸브용 레버(37);
상부 케이스(22)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한 청정공기가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공기가 회전체(15)에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 송풍구(16)의 에어벤트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정화밸브용 레버(38);
측면 송풍구(17)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한 청정공기 가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회전체(15)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측면 송풍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 송풍구(17)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3정화밸브용 레버(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측면 송풍구(17)는
측면 송풍구(17)의 중앙에 형성되고,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하는 청정공기 또는 상부 송풍구(16)를 통과하여 회전체(15)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1송풍팬(34)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송풍구(24);
제1송풍구(24)의 일측으로 임의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하는 청정공기 또는 상부 송풍구(16)를 통과하여 회전체(15)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2송풍팬(35)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송풍구(25);
제1송풍구(24)의 타측으로 임의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하는 청정공기 또는 상부 송풍구(16)를 통과하여 회전체(15)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3송풍팬(36)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송풍구(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도 6a에서와 같이, 전술한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헤드 공기 청정형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제1정화밸브용 레버(37)의 온(on) 작동으로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한 청정공기의 이동통로(도면부호 미 도시)를 개방하고, 측면 송풍구(17) 일측에 장착된 제3정화밸브용 레버(39) 오프(off) 작동으로 측면 송풍구(17)를 닫게 되고, 상부 송풍구(16) 일측에 장착된 제2정화밸브용 레버(38)의 온(on) 작동으로 상부 송풍구(16)를 개방시킨다.
이로 인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송풍팬(18) 회전시 실내공기는 본체(12) 측벽에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서 본체(12) 내부로 흡입된 후,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킨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공기청정기 모드를 수행함)(이때, 중간 케이스(21)는 구동모터(40) 구동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됨).
한편, 도 6b에서와 같이, 전술한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공기 순환 정화 기능(선풍기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제1정화밸브용 레버(37)의 오프(off) 작동으로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한 청정공기의 이동통로를 닫게 되고, 측면 송풍구(17) 일측에 장착된 제3정화밸브용 레버(39) 온(on) 작동으로 측면 송풍구(17)를 개방하고, 상부 송풍구(16) 일측에 장착된 제2정화밸브용 레버(38)의 온(on) 작동으로 상부 송풍구(16)를 개방시킨다.
이로 인해, 측면 송풍구(17)에 장착된 제1,2,3송풍팬(34,35,36)의 회전시 실내공기는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회전체(15)에 흡입된 후, 측면 송풍구(17)의 제1,2,3송풍구(24,25,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이때, 송풍팬(18) 및 필터카트리지(14)의 작동은 오프모드(OFF MODE)임).
따라서, 공기청정기에 의해 공기 순환 정화 기능(선풍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미 도시됨)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를 공기청정기의 측면 송풍구(17)의 제1,2,3송풍팬(34,35,36)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더 멀리 보낼 수 있게 되므로 실내의 사각지대로 강한 바람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이때, 중간 케이스(21)는 구동모터(40) 구동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됨).
이때, 송풍팬(18)이 오프(off) 상태이므로 필터카트리지(14)에 의해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공기 청정기능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c에서와 같이, 공기 청정기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 및 공기 순환 정화 기능(에어솔루션형)을 수행할 경우, 제1정화밸브용 레버(37)의 온(on) 작동으로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한 청정공기의 이동통로를 개방하고, 측면 송풍구(17) 일측에 장착된 제3정화밸브용 레버(39) 온(on) 작동으로 측면 송풍구(17)를 개방하고, 상부 송풍구(16) 일측에 장착된 제2정화밸브용 레버(38)의 온(on) 작동으로 상부 송풍구(16)를 개방시킨다.
이로 인해, 전술한 송풍팬(18) 회전으로 인해 실내공기는 본체(12)에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2)에 흡입됨에 따라,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이물질을 여과시킨 청정공기 일부를 측면 송풍구(17)에 장착된 제1,2,3송풍팬(34,35,36) 회전으로 측면 송풍구(17)의 제1,2,3송풍구(24,25,26)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본체(12)에 흡입된 후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이물질을 여과시킨 청정공기 일부를 상부 송풍구(16)의 에어벤트(19)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회전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시키는 하부 송풍팬(23)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b)의 용량은, 측면 송풍구(17)의 제1,2,3송풍팬(34,35,36)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4a,35a,36a) 각각의 용량과 같거나 큰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a,b)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카트리지(14) 용량을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장소(평수)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필터카트리지(14)와 본체(12)를 하나 이상의 원통형태의 블록으로 형성하되,
본체(12)에 내설되는 필터카트리지(14)에 따라 블록으로 형성된 본체(12)를 필요한 갯수만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본체(12)에 필터카트리지(14)가 1개 내설되는 경우, 본체(12)는 2개의 블록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고,
본체(12)에 필터카트리지(14)가 2개 내설되는 경우, 본체(12)는 3개의 블록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장소가 협소한 경우(평수가 작은 경우) 본체(12)에 내설되는 여과필터(13)를 포함한 필터카트리지(14)를 1개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장소가 상대적으로 넓을 경우 본체(12)에 내설되는 여과필터(13)를 포함한 필터카트리지(14)를 2개 사용할 수 있다.
즉, 외형이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는 필터카트리지(14) 및 본체(12)가 하나 이상의 블록으로 형성됨에 따라 필터카트리지(14) 용량을 가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b에서와 같이,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장소가 소형 평수일 경우, 베이스(10) 상부에 결합된 블록화된 하부의 본체(12)에 하나의 필터카트리지(14)를 내설시킨 후 필터카트리지(14)에 대응되도록 블록화된 상부의 본체(12)를 결합한다.
한편, 도 2a에서와 같이,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장소가 대형 평수일 경우, 베이스(10) 상부에 결합된 블록화된 하부의 본체(12)에 두개의 필터카트리지(14)를 내설시킨 후 필터카트리지(14)에 대응되도록 블록화된 상부의 본체(12)를 결합한다.
이때, 낱개로 블록화된 하나 이상의 필터카트리지(14)를 본체(12)에 내설시키거나, 낱개로 블록화된 본체(12)와 본체(12)를 결합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의 용량을 가변 조절할 경우, 필터카트리지(14) 일측에 장착되어 여과필터(13) 용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여과필터(13)의 용량 증가됨이 감지될 경우, 증가된 여과필터(13) 용량에 대응되게 구동모터(23b)를 제어하여 하부 송풍팬(23)의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높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 제작사 홈페이지를 통해 구동모터(23b)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USB 등으로 다운 받아 하부 송풍팬(23)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도 2(a,b),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회전체(15)는
본체(12)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20);
하부 케이스(20)의 상부에 구동모터(40) 구동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임의각도 범위(일 예로서, 270도 범위를 말함)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측면 송풍구(17)가 형성되는 중간 케이스(21);
중간 케이스(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송풍구(16)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측면 송풍구(17)는
중간 케이스(21)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핀(미 도시됨)을 중심축으로 하여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액츄에이터(41)에 의한 자동, 또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또는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2)에 흡입된 후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청정공기를 측면 송풍구(17)를 통해 배출시킬 경우, 측면 송풍구(17)를 회전체(15)의 중간 케이스(21) 상부에 형성된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액츄에이터(41) 구동에 의해 임의각도 범위(일 예로서, 0∼15도 범위를 말함)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측면 송풍구(17)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 또는 청정공기의 토출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중간 케이스(21)를 구동모터(40)(일 예로서, 스텝모터가 사용될 수 있음) 구동에 의해 임의각도 범윔내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측면 송풍구(17)를 액츄에이터(41)(일 예로서,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캠이 사용될 수 있음) 구동에 의해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중간 케이스(21)가 구동모터(40) 구동에 의해 회전될 경우 하부 케이스(20) 및 상부 케이스(22)는 회전되지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필터카트리지(14) 상부로 본체(12) 내측면과, 상부 송풍구(16) 및 측면 송풍구(17)의 일측(필터카트리지(14)를 통과한 청정공기 이동통로 일측을 말함)에 장착되고, 필터카트리지(14)에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필터카트리지(14)와,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배출되는 청정공기와, 측면 송풍구(17)를 통해 배출되는 청정공기 또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균을 살균, 제균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27)(일 예로서, UV-C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송풍팬(18) 회전으로 인해 본체(12)에 흡입된 실내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여과시킨 후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경우, 필터카트리지(14)에 잔류된 인체에 유해한 세균, 곰팡이균 등을 본체(12) 내측면에 장착된 자외선 램프(27)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 제균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필터카트리지(14) 및 실내공기 중에 잔류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자외선 램프(27)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 제균처리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의 측벽(10a) 내부 및 바닥면에 장착되는 듀얼 스피커(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10)의 측벽(10a)에 장착된 메인 스피커와, 베이스(10)의 바닥면에 장착된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의 출력에 의해 음악을 감상하거나, 라디오방송을 청취하거나, 스마트폰을 통해 통화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내부에 충전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송풍팬(18), 자외선 램프(2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 도시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어부는
자외선 램프(27) 및 송풍팬(18)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검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따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의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미 도시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2(a,b),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상부 송풍구(16) 중앙에 형성되고, 배터리 잔량표시부,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표시부, 전원 온/오프 버튼, 송풍팬의 동작 표시부, 음이온 토출 표시부, 취침모드 표시부, 송풍팬에 이상 발생시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신호로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2(a,b),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29) 일측에 형성되고, 휴대단말기를 안착시 무선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충전모듈(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충전잭이 없을 경우에 스마트폰(미 도시됨)을 무선충전모듈(30) 위에 안착시킬 경우 무선으로 고속충전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는
베이스(10)의 측벽(10a) 일측에 형성되고, 본체(12)에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먼지 측정센서(미 도시됨)에 의해 측정하여 측정된 먼지 량에 대응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먼지 감지부(31);
베이스(10)의 측벽(10a) 타측에 형성되고, 본체(12)에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 및 이산화탄소를 가스 측정센서(미 도시됨)에 의해 측정하여 측정된 가스 량에 대응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가스 감지부(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체(12) 상부에 띠 형태로 형성되고, 먼지 측정센서 및 가스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 량 및 가스 량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는 LED 표시창(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어부는 먼지 감지부(31) 및 가스 감지부(32)에 의해 검출된 검출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먼지가 많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경우에, 송풍팬(18) 및 자외선 램프(27)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미세먼지를 여과하거나, 자외선 램프(27)의 조사에 의해 실내공기 또는 여과필터(13)를 살균, 소독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 감지부(31) 및 가스 감지부(32)에 의해 검출된 먼지 량 또는 가스 량에 대응되는 색상, 즉 먼지 량 및 가스 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적색 led로 표시하고, 먼지 량 및 가스 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 녹색 led로 표시하고, 먼지 량 및 가스 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청색 led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에 낱개의 블록형태로 형성된 본체(12)를 결합하고, 본체(12)에 회전체(15)를 결합시킨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본체(12)에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여과시킬 수 있어 공기 청정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본체(12)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송풍팬(18)을 구동모터(23b,23c)에 의해 회전시킴에 따라 실내공기를 본체(12)의 측벽에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2)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 구동시 송풍팬(18)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공기 흡입구(11)를 통해 실내공기를 본체(12) 내부로 흡입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체(12) 내부에 흡입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카트리지(14)의 여과필터(13)에 의해 여과시킨 후, 여과된 청정상태의 공기를 본체(12) 상부에 형성된 상부 송풍구(16), 또는 본체(12) 측면에 형성된 측면 송풍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
11; 외부공기 흡입구
12; 본체
13; 여과필터
14; 필터카트리지
15; 회전체
16; 상부 송풍구
17; 측면 송풍구
18; 송풍팬
19; 에어벤트(air vent)
20; 하부 케이스
21; 중간 케이스
22; 상부 케이스
23; 하부 송풍팬
24; 제1송풍구
25; 제2송풍구
26; 제3송풍구
27; 자외선 램프
28; 듀얼 스피커
29; 디스플레이부
30; 무선충전모듈
31; 먼지 감지부
32; 가스 감지부
33; LED 표시창
34; 제1송풍팬
35; 제2송풍팬
36; 제3송풍팬
37; 제1정화밸브용 레버
38; 제2정화밸브용 레버
39; 제3정화밸브용 레버
40; 구동모터
41; 액츄에이터

Claims (15)

  1.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벽에 외부공기 흡입구가 천공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카트리지;
    상기 본체 상부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 내부에 복수개 배치되고, 회전시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청정공기를 상부 송풍구 및 측면 송풍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해 청정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측면 송풍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순환 정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측면 송풍구 및 상부 송풍구의 에어벤트를 통해 청정공기를 배출시켜 공기 청정 및 공기 순환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용량을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본체를 하나 이상의 원통형태의 블록으로 형성하되,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따라 블록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를 필요한 갯수만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 송풍구가 형성되는 중간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송풍구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청정공기 의 이동통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정화밸브;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청정공기가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공기가 상기 회전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송풍구의 에어벤트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정화밸브;
    상기 측면 송풍구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청정공기가 상부 송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해 상기 회전체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측면 송풍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송풍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3정화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송풍구는
    상기 중간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송풍구는
    상기 측면 송풍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청정공기 또는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과하는 외부공기를 제1송풍팬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송풍구;
    상기 제1송풍구의 일측으로 임의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청정공기 또는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과하는 외부공기를 제2송풍팬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송풍구;
    상기 제1송풍구의 타측으로 임의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청정공기 또는 상기 상부 송풍구를 통과하는 외부공기를 제3송풍팬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송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 상부로 상기 본체 내측면과, 상기 상부 송풍구 및 측면 송풍구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기 필터카트리지 및 토출되는 청정공기에 포함되는 유해균을 살균, 제균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벽 내부 및 바닥면에 장착되는 듀얼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송풍구 중앙에 형성되고, 배터리 잔량표시부,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표시부, 전원 온/오프 버튼, 송풍팬의 동작 표시부, 음이온 토출 표시부, 취침모드 표시부, 상기 송풍팬에 이상 발생시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신호로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형성되고, 휴대단말기를 안착시 무선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내부에 충전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송풍팬, 자외선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외선 램프 및 송풍팬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검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따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의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측벽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먼지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하여 측정된 먼지 량에 대응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먼지 감지부;
    상기 베이스의 측벽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 및 이산화탄소를 가스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하여 측정된 가스 량에 대응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가스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에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먼지 측정센서 및 가스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 량 및 가스 량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는 LED 표시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용량은 상기 측면 송풍구의 상기 제1,2,3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각각의 용량과 같거나 큰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KR1020190157563A 2019-11-29 2019-11-29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KR10213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63A KR102134284B1 (ko) 2019-11-29 2019-11-29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63A KR102134284B1 (ko) 2019-11-29 2019-11-29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284B1 true KR102134284B1 (ko) 2020-07-15

Family

ID=7160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563A KR102134284B1 (ko) 2019-11-29 2019-11-29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28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4277A (zh) * 2020-10-26 2021-01-22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音乐空调及其控制方法
KR102236520B1 (ko) * 2020-09-11 2021-04-08 제이와이커스텀(주)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멀티형 공기청정기
CN112696773A (zh) * 2020-12-31 2021-04-23 武汉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空气消杀装置与方法
CN113251484A (zh) * 2021-05-28 2021-08-13 江西汇恒盛世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空调双向出风口自动转向导风装置
KR20220048687A (ko) * 2020-10-13 2022-04-20 김병남 휴대용 살균 및 먼지 제거기
US20220329964A1 (en) * 2021-04-08 2022-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by air purifier
KR20230028611A (ko) 2021-08-19 2023-03-02 안승일 스마트 광촉매 공기 청정기
KR20230054983A (ko) * 2021-10-18 2023-04-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내부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WO2023149638A1 (ko) * 2022-02-03 2023-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05A (ko) * 2007-11-29 2009-06-03 (주)이데아벡스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170141395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JP2018516754A (ja) * 2015-05-11 2018-06-28 オ,ムン−ソブ 湿式型空気清浄器
JP2018532975A (ja) * 2015-09-14 2018-11-08 ハタ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小型空気清浄機
KR20190059721A (ko) * 2017-11-23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05A (ko) * 2007-11-29 2009-06-03 (주)이데아벡스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JP2018516754A (ja) * 2015-05-11 2018-06-28 オ,ムン−ソブ 湿式型空気清浄器
JP2018532975A (ja) * 2015-09-14 2018-11-08 ハタ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小型空気清浄機
KR20170141395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90059721A (ko) * 2017-11-23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20B1 (ko) * 2020-09-11 2021-04-08 제이와이커스텀(주)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멀티형 공기청정기
KR20220048687A (ko) * 2020-10-13 2022-04-20 김병남 휴대용 살균 및 먼지 제거기
KR102452336B1 (ko) * 2020-10-13 2022-10-06 김병남 휴대용 살균 및 먼지 제거기
CN112254277A (zh) * 2020-10-26 2021-01-22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音乐空调及其控制方法
CN112696773A (zh) * 2020-12-31 2021-04-23 武汉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空气消杀装置与方法
US20220329964A1 (en) * 2021-04-08 2022-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by air purifier
CN113251484A (zh) * 2021-05-28 2021-08-13 江西汇恒盛世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空调双向出风口自动转向导风装置
KR20230028611A (ko) 2021-08-19 2023-03-02 안승일 스마트 광촉매 공기 청정기
KR20230054983A (ko) * 2021-10-18 2023-04-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내부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654527B1 (ko) * 2021-10-18 2024-04-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내부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WO2023149638A1 (ko) * 2022-02-03 2023-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284B1 (ko)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US10888811B2 (en) Air purify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same
KR102132193B1 (ko) 이동 및 거치 가능한 멀티형 공기청정기
KR101705286B1 (ko) 공기 청정 장치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2236520B1 (ko)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멀티형 공기청정기
KR101948003B1 (ko) 공기청정 환기 장치
KR10189757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035741B1 (ko) 전열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20040056151A (ko) 공기청정기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CN107076437A (zh) 换气净化器
KR20160045563A (ko) 환기 청정기
KR20170081946A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364961B1 (ko) 공기청정기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210093643A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US20210278096A1 (en) Air purifier including bidirectional discharge flow pat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00112589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20190055863A (ko) 인체 스캔형 공기청정기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102441392B1 (ko) 휴대용 공기살균장치
KR20200128912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2460287B1 (ko) 소형환기장치
CN107953743A (zh) 用于房车的超薄新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