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395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395A
KR20170141395A KR1020160074377A KR20160074377A KR20170141395A KR 20170141395 A KR20170141395 A KR 20170141395A KR 1020160074377 A KR1020160074377 A KR 1020160074377A KR 20160074377 A KR20160074377 A KR 20160074377A KR 20170141395 A KR20170141395 A KR 2017014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air
fan
guid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807B1 (ko
Inventor
박재균
하현필
정순기
문영철
배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07B1/ko
Priority to CN201621308729.6U priority patent/CN206347652U/zh
Priority to CN201611088561.7A priority patent/CN106813315B/zh
Publication of KR2017014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2011/009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파워 PCB 및 상기 파워 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 PCB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공기 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본체의 내부에는 하나의 송풍팬만이 제공됨으로써, 송풍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의 원주방향으로부터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향하는 흡입유로와, 공기 청정기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흡입유로가 포함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를 중심으로 상방, 전방 및 좌우 방향을 향하여 토출기류가 용이하게 발생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공기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PCB를 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PCB의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청정기를 구성하는 부품에 전선을 가이드 하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제한된 공간내에 전선이 효과적으로 정리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용량이 증가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원심팬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필터의 정화능력을 개선하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도 필터의 설치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파워 PCB 및 상기 파워 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 PCB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청정기에는, 상기 파워 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유동전환 PC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에 연결되어 조명원을 제어하며, 상기 조명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공기 청정도를 표시하는 조명 PC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전환 PCB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의 작동정보를 표시하고 설정된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PCB가 더 포함된다.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 1,2 송풍팬이 포함되며, 상기 제 1,2 송풍팬은 상기 파워 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소켓으로부터 상기 파워 PCB로 연장되는 전원 연결선이 더 포함된다.
상기 파워 PCB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로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PCB연결선이 더 포함된다.
상기 파워 PCB로부터 상기 메인 PCB로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PCB연결선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PCB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PCB의 제어신호를 상기 유동전환 PCB로 전달하는 제 3 PCB연결선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PCB로부터 상기 조명 PCB로 연장되는 제 4 PCB연결선이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서 입력된 명령을 상기 유동전환 PCB로 전달하는 제 5 PCB연결선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팬의 일측에 구비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전원 연결선의 위치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전원 연결선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필터지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팬을 수용하는 제 1 팬하우징 및 상기 제 1 팬하우징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하우징 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전원 연결선이 삽입되는 전선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과, 상기 송풍팬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터지지부 및 상기 필터지지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지지부 커버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이 위치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장치에는, 공기 중 포함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공기 중 포함되는 가스량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공기 중 포함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전환 PCB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 3 팬; 및 상기 제 3 팬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3 팬모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기어모터에는, 상기 제 3 팬의 제 1,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1,2 기어모터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모터 및 상기 제 1,2 기어모터는 상기 유동전환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므로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고, 공기의 흡입과정에서 케이스의 구조적인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흡입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통공은 케이스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향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결국,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에는, 제 1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 제 2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3 흡입부 및 베이스측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가 포함되어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기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흡입용량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제 1,2 송풍장치 및 유동전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PCB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PCB는 상기 제 1,2 송풍장치 및 유동전환 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PCB를 연결하는 전선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전선을 통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PCB의 작동이 신뢰성 있게 구현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기 다수의 PCB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전선 또는 전선뭉치(하네스, harness)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상기 다수의 전선 또는 전선뭉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송풍장치를 통하여 공기의 상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송풍장치의 상측에 구비되는 유동전환 장치에 의하여 공기의 전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전환 장치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좌우방향으로의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결국,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 토출이 가이드 되고, 공기 청정기로부터 먼 거리까지 토출기류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공기청정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토출기류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송풍장치는 제 1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1,2 송풍장치의 사이에는 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구획판에 의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송풍장치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송풍장치가 제공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심팬 및 상기 원심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므로, 원심팬을 통과하여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송풍장치를 통하여 서로 독립된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공기유동 상호간에 서로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유동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필터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는 필터 프레임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재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팬에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터보 팬이 포함되므로, 풍량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보팬의 출구측에, 가이드 리브가 구비되는 에어가이드 장치가 포함되므로, 유동손실을 감소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장치의 일측에 공기유동을 전환시켜 주는 유동전환 장치가 구비되어 공기가 전방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먼 거리까지 토출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과 제 1 에어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PCB 장치와 제 1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의 구성에 대하여, 조명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공기 청정기의 외부를 향하여 전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부 구성과 PCB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결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그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그릴에 PCB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전기적인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배치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전환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101a,101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101a,101b)에는, 제 1 파트(101a) 및 제 2 파트(10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101a,101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2 파트(101a,101b)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101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101c)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파트(101b)의 단부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분리부(101c)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개방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 또는 원추형(끝이 잘린 원뿔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이며,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소정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3 참조)의 제 1 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201a,201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201a,201b)에는, 제 1 파트(201a) 및 제 2 파트(20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201a,201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01)에는, 상기 제 1,2 파트(201a,201b)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201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201c)는 상기 제 1 파트(201a)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파트(201b)의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상기 분리부(201c)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101,201)의 직경은,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흡입부(202)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과 제 1 에어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는 상기 베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11a)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본체(111) 및 테두리부(111a)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테두리부(111a)에 형성되는 흡입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111a)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은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 및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1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흡입부(112)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1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그릴본체(111)에는, 후술할 핸들(144)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114)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홈부(113)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그릴본체(111)의 테두리부 중, 상기 흡입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1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1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본체(143)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레버본체(1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 절개부(145)는 레버본체(14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상기 그릴본체(111)에 지지되면,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에는, 제 2 핸들(144)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제 2 핸들(144)에 결합되는 제 1 핸들(141)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2 핸들(141,1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 및 지지장치(1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14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145)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간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113)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121) 및 상기 필터본체(121)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122)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본체(121)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필터파지부(121a)가 구비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121)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121)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122)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13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함몰부(1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홈부(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와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제 1,2 핸들(141,1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2 핸들(141,144)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13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b)는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 공(132a)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프레임 공(132a)을 통하여 제 1 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제 1 팬(160)의 흡입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상부는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팬유입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유입부(156)는 상기 제 3 본체(153)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에는, 상기 프레임 공(132a)과 연통하는 팬 유입공(15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5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에는,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내벽(133)을 둘러싸는 프레임 외벽(134)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외벽(134)은 각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측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1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137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를 차폐하는 센서커버(137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제 2 프레임(1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에는, 상기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는 센서장착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138)는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 1,2 핸들(141,144)의 조작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의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제 1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1 팬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는, 제 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0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1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후술할 제 2 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의 상측에 놓여진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허브(16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161)에는, 상기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161a)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햐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결합부(161b)가 포함된다.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제 1 팬유입부(151)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162a)가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블레이드결합부(162b)가 포함된다.
상기 블레이드(163)의 일면은 상기 허브(161)의 제 1 블레이드결합부(161b)에 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62)의 제 2 블레이드결합부(162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3)는 상기 허브(16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63)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리딩 에지(163a) 및 공기가 유출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트레일링 에지(163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 1 팬유입부(151)를 통하여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 1 팬(16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리딩 에지(163a)로 유입되며, 상기 블레이드(163)를 거쳐 상기 트레일링 에지(163b)로 유출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17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1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172a)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외벽(171) 및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16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상측에는 모터결합부(1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166)는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임(230), 제 2 팬하우징(250), 제 2 팬(260) 및 제 2 팬모터(265)가 포함된다. 이들 구성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필터부재(120), 제 1 필터프레임(130), 제 1 팬하우징(150), 제 1 팬(160) 및 제 1 팬모터(165)들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특히,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제 2 필터지지부(235) 및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외측을 커버하는 제 2 지지부커버(236)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 및 제 2 지지부커버(236)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 및 제 1 지지부커버(136)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제 3 팬모터(335)가 결합될 수 있다.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디스플레이 PCB(618)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618)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과 상기 제 3 팬(3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PCB 장치와 제 1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의 구성에 대하여, 조명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공기 청정기의 외부를 향하여 전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1 가이드벽(181)과,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 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18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172a)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유로(185)의 상측에는, 제 1 토출부(105)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와 결합되는 체결가이드(18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가이드(183)는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183)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체결리브(17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리브(178)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가이드(183) 및 상기 체결리브(178)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으로 연장되는 벽지지부(18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벽지지부(187)에 의하여, 상기 제 1,2 가이드벽(181,182)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벽지지부(187)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1 공간부(184)가 형성된다. 상기 PCB 장치에는, 전원 공급부(520) 및 메인 PCB(511)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상부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186)가 포함된다. 상기 절곡부(186)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절곡부(186)는 대략 처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의 상측, 즉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기(10)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에는,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공간부(194)를 가지는 제 1 토출본체(19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본체(191)는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에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는 상기 제 1 공간부(184)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부(184)와 함께, 상기 PCB 장치(5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에는, 제 1 토출그릴(19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그릴(195)은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그릴(19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토출그릴(195)의 사이에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제 1 토출부(105)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 개의 제 1 토출그릴(195)은 상기 제 2 공기유로(18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그릴(195) 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제 2 필터부재(220)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상기 지지장치의 하측에 제공되는 레버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장치 및 레버장치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140) 및 레버장치(14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와 관련된 설명은 상기 지지장치(140) 및 레버장치(142)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지지장치 및 레버장치는 레버 지지장치(56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제 2 필터부재(220) 또는 레버장치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PCB 장치(500)가 위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제 3 공간부(564)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공간부(564)는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레버 지지본체(561)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부(5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이동 가이드부(11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턱(566)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는, 구획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의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43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위치하며, 상기 이격공간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 지지장치(5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경유되는 제 1 공간부이며, 상기 상부공간은,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10)를 이동할 때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으로서 제 2 공간부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30)에는, 제 1 플레이트(440)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5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의 상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440)는 상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450)는 하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내벽(441) 및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외벽(443)이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4 공간부(449)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공간부(449)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은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과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 사이의 공간을 규정하는 함몰부(442)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442)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상단부와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449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제 2 결합부(18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188)는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450)와 결합되는 제 1 걸림리브(443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걸림리브(443b)는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30)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46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보에는, 공기 오염도 또는 공기 청정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45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트 장치(460)가 설치되는 장치안착부(445)가 형성된다. 상기 장치안착부(445)는,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에는, 조명원(462)이 포함된다. 상기 조명원(462)은 조명지지부(461)에 설치된다. 상기 조명지지부(461)에는, 상기 조명원(462)이 삽입되는 장착홈(461a)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조명원(462)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원(462)은, 실내공간의 공기 청정도를 레벨화 하여 표시하는 다수의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446)는, 상기 조명원(46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446)의 단면적은 상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명원(46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확산부(446)를 지나면서 점점 확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에는, 상기 확산부(446)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확산부(446)를 통하여 확산되는 빛을 상기 구획판(430)의 외주면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447a,447b)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반사시트(447a,447b)에는, 상기 확산부(446)의 상측에 제공되는 제 1 반사시트(447a) 및 상기 확산부(446)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 2 반사시트(447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반사시트(447a,447b)는 빛을 반사시키기에 용이한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반사시트(447a,447b)는 PET(Polyethylene phthalate), 스테인리스, 황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명원(462)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제 1,2 반사시트(447a,447b)에 의하여 상기 확산부(446)로 집중되고, 상기 확산부(446)를 투과하면서 은은한 빛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에는, 외부를 향하여 소정의 색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63)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63)는, 상기 구획판(4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463)는 상기 제 1,2 플레이트(440,45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63)에는, 상기 확산부(446)의 외주면 영역이 포함된다. 즉, 상기 조명원(462)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상기 확산부(446)를 통과하면서 은은한 빛으로 구현되며, 상기 확산부(446)의 외주면 영역을 통하여 외부를 향하여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에는, 상기 조명원(46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PCB 장치(4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조명원(462)은 상기 조명PCB 장치(470)에 결합되어, 상기 확산부(446)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PCB 장치(470)에는, 상기 조명원(462)이 장착되는 조명PCB(471) 및 상기 조명PCB(471)에 결합되는 PCB케이스(472)가 포함된다. 상기 조명PCB(471)는 상기 PCB케이스(47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원(462)은 상기 조명PCB(471)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명PCB(471)의 일면은 상기 확산부(446)를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상기 PCB케이스(472)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의 플레이트 내벽(4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에는, 상기 PCB 케이스(47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441d)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441d)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에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안착부(441d)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턱(441e)이 더 포함된다. 상기 턱(441e)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상면과 상기 안착부(441d) 사이의 단차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턱(441e)은 상기 안착부(441d)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PCB케이스(472)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PCB케이스(472)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내측에서 상기 안착부(441d)를 향하여 슬라이딩 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PCB케이스(472)가 상기 안착부(441d)에 결합 완료되면, 상기 조명PCB(471)에 구비되는 조명원(462)은 상기 조명지지부(461)의 장착홈(46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PCB(47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조명원(462)은 상기 확산부(446)을 향하여, 즉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빛은 상기 확산부(446)를 통하여 확산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2 반사시트(447a,447b)에 다다르면 반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에 의하여, 빛은 상기 확산부(446)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확산 및 반사 과정에서, 빛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확산부(446)의 얇은 두께 부분으로 집중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상기 조명원(46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확산부(446)를 지나면서 점점 집중되며, 그에 따라 빛의 강도는 강해질 수 있다. 상기 확산부(446)의 제 3 단부(446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63)를 구성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50)에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플레이트 본체(45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450)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안착부(45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455)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5 공간부(459)가 형성된다. 상기 제 5 공간부(459)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5 공간부(459)는 상기 제 4 공간부(564)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5 공간부(184,194,564,449,459)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PCB 장치(5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453)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경사면(453)은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 면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부 구성과 PCB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장치(5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내부 중앙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PCB 장치(500)는, 상기 제 1 내지 5 공간부(449,459,184,194,564)에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의 상면은,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레버 지지장치(560), 구획판(430)의 제 1,2 플레이트(440,450),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 및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므로, 상기 PCB 장치(50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없고 공기 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는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PCB 장치(500)의 상측에는, 레버 장치(2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 장치(242)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장치(242)에는, 레버본체(243) 및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56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245)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장치(242)에 관한 설명은, 제 1 송풍장치(100)의 레버장치(142)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PCB 장치(500)에는, 메인 PCB(511) 및 전원 공급부(5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PCB 장치(50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조립체(5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20)는 전선(하네스, harness)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의 파워 코드(2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코드는 공기 청정기(10)의 소켓(28, 도 24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520)와 상기 메인 PCB(511)는 또 다른 전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520)에는 AC전원용 PCB(파워 PCB, 520a)가 포함되며, 상기 메인 PCB(511)에는 DC전원용 PC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에는, 상기 메인 PCB(511) 및 전원 공급부(520)가 설치되는 PCB지지부(5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511)는 상기 PCB지지부(525)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520)는 상기 PCB지지부(525)의 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CB지지부(525)의 일면 및 타면은 서로 반대면을 형성한다.
상기 PCB 장치에는, 통신모듈(515)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515)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15)은 상기 PCB지지부(525)의 일면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 PCB(5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B지지부(525)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 PCB(511) 및 전원 공급부(520)의 결합면을 제공하는 제 1 지지부(525a) 및 상기 제 1 지지부(525a)의 하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520) 및 케이스 조립체(530)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525b)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20) 및 케이스 조립체(530)를 합한 무게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전원 공급부(520) 및 케이스 조립체(530)는 상기 제 2 지지부(525b)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에는, 상기 PCB 장치(500)를 상기 공기 청정기(1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5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판(540)은 상기 PCB지지부(525)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판(540)에는,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가지는 판 본체(541) 및 상기 판 본체(541)의 대략 중앙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542)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판(540)에는, 상기 판 본체(54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 지지장치(210)의 제 1 홈에 놓여지는 제 1 조립가이드(54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조립가이드(543)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54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립가이드(543)는 상기 판 본체(54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540)에는, 상기 판 본체(54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 지지장치(210)의 제 2 홈에 놓여지는 제 2 조립가이드(544)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제 1,2 조립가이드(543,544)의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는 상기 PCB장치(500)를 상기 레버 지지장치(21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조립체(5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 조립체(53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의 일측방을 커버하는 제 1 케이스(531) 및 상기 전원 공급부(520)의 타측방을 커버하는 제 2 케이스(53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케이스(531,535)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52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531) 및 제 2 케이스(535)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를 보호하며, 전원 공급부(5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른 부품에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연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케이스(531)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535)는 스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조립체(53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와 상기 제 2 케이스(535)의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부재(533)가 포함된다. 상기 절연부재(533)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를 보호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520)에서 누설되는 전류가 다른 부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즉 절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연부재(533)는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결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22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271) 및 상기 외벽(2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2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2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2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2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75)는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내벽(2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2 팬모터(2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2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2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의 일측에는 모터결합부(2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266)는 상기 제 2 팬모터(265)를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276,277)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276,277)에는, 상기 모터수용부(273)에 구비되는 제 1 랙(276) 및 축가이드 홈(277)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제 1 기어(360)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모터수용부(27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곡률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장치(300)는 좌우방향, 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00)의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소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축가이드 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가이드 홈(277)에는, 상기 제 1 기어(360)의 제 1 기어축(36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는 내부가 비어있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외벽(281) 및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내벽(282)이 포함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은 상기 토출내벽(2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과,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토출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가이드 리브(275)가 구비되는 공기유로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유로에 배치되는 제 2 토출그릴(288)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내벽(282)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판(283)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축삽입부(284)가 포함된다. 상기 축삽입부(284)에는, 상기 회전축(354)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삽입부(284)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축삽입부(28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베어링 홈(28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 홈(285)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3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홈(285)은, 상기 제 1 베어링(35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수용되는 제 3 팬하우징(31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은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312)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측에는, 하우징본체(311)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311)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측을 지지하는 커버지지부(311a)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지지부(311a)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지지부(311a)의 외면은 상기 하우징 커버(31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상기 하우징본체(3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본체(311) 및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함께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에는 상기 제 3 팬(330)이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311)이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 3 팬(330)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하우징유로(31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유로(314)는 상기 제 3 팬(330)의 블레이드(333)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상측에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 2 토출부(305)를 형성하는 토출그릴(315)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토출그릴(315)에는, 그릴외벽(316)과, 상기 그릴외벽(316)의 내측에 구비되는 그릴내벽(317) 및 상기 그릴외벽(316)으로부터 상기 그릴내벽(317)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그릴부(315a)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그릴부(315a)의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형성한다.
상기 그릴외벽(316) 및 상기 그릴내벽(317)은 각각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릴외벽(316)은 상기 그릴내벽(317)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하우징유로(314)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유로(31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그릴(315)의 제 2 토출부(305)를 경유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315)에는, 상기 토출그릴(315)의 대략 중앙부에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지지하는 함몰부(318)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318)는 상기 그릴내벽(317)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18)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스플레이PCB(61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318a)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318a)는 상기 함몰부(31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내벽(317)은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조명원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PCB(610)와,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상측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가 다양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등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방을 향하여 집중시켜 주는 리플렉터(620) 및 상기 토출그릴(315)에 지지되며 상기 조명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상면, 즉 디스플레이 화면(602)의 테두리부(650)를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확산판(630)이 포함된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330)은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 모터인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축(336)이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가지는 허브(331) 및 상기 허브(331)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33)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제 3 팬(3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 3 모터하우징(337)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거친 공기를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3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의 공기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325)이 포함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제 2 토출그릴(288)의 형상은, 상기 유입그릴(325)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3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 결합되는 가이드 본체(351)와,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는, 상기 제 1,2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는 하면부(351a) 및 상기 하면부(351a)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테두리부(35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 1 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의 모터 축(363a)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1 기어(360)로부터 하방으로, 즉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또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기어축(36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 1 랙(276)에 기어 결합된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랙(276)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기어(360)는 회전하여, 상기 제 1 랙(276)에 연동한다. 이 때,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1 랙(27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 가이드홈(27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홈(27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회전축(35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랙(276) 및 상기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량 또는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가이드 본체(351)의 하면부(351a)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하면부(35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축 삽입부(284)에 삽입되며,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축(362) 및 제 1 기어(360)는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세로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제 1 방향,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353,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353,355)은,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의 하면부(351a)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353)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베어링(353)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하면부(35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베어링(353)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35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부(354)는 설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베어링(353)이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제 1 베어링(353)이 삽입되는 베어링홈(285)이 포함된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제 1 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 2 회전반경"이라 한다. 상기 제 2 회전반경은, 상기 제 1 회전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354)으로부터 상기 제 1 베어링(353)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354)으로부터 상기 제 1 기어축(362)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면부(351a)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축(362)이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축(362)과 상기 제 1 베어링(35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축가이드 홈(277)의 설정된 곡률과, 상기 베어링 홈(285)의 설정된 곡률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테두리부(351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51b)에는,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부(351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은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 내벽(28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은, 상기 제 2 베어링(355)의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어링(355)이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 부재(352)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하면에, 상기 중심축(3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면(352a)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은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은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을 위하여, 제 2 기어(365)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기어삽입부(35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일측에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365)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기어(365)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기어모터(367)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2 기어모터(367)로부터 상기 제 2 기어(365)로 연장되는 제 2 기어축(3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기어축(366)과 상기 제 2 기어(365)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부(37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71)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면(37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면(372)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은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는 제 2 랙(37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365) 및 상기 제 2 랙(374)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 이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그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그릴에 PCB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어셈블리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화면(602)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토출그릴(31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315)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318)가 구비되며, 상기 함몰부(318)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다수의 그릴부(315a)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함몰부(31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PCB 어셈블리(601)가 포함된다. 상기 PCB 어셈블리(601)에는, 다수의 조명원(651,655)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PCB(610) 및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조명원(651)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02)을 향하여 집중시켜 주는 리플렉터(620)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조명원(651,655)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조명원(6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화면(602)의 테두리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조명원(655)이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02)은 상기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설정된 영역(이하, 표시영역)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22)의 테두리는 상기 표시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에는, 대략 원형의 기판본체(611)가 포함된다. 상기 기판본체(611)에는, 상기 제 1 조명원(651)이 설치되는 본체전면부(611a) 및 상기 제 2 조명원(655)이 설치되는 본체후면부(61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조명원(651)은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전면부(611a)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명원(65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2 조명원(655)은 상기 본체후면부(611b)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제 2 조명원(655)은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620)에는, 리플렉터 본체(621) 및 상기 리플렉터 본체(621)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명원(651)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방으로 집중시키는 관통홀(623)이 포함된다. 상기 리플렉터 본체(621)는 빛의 투과가 제한되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기 불투명한 재질이 코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플렉터(620)의 상측에는, 리플렉터 필름(625)이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 필름(625)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내용, 즉 소정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등이 표시되는 문양표시부(626)가 포함된다. 상기 리플렉터(620)를 통하여 집중된 빛은 상기 문양표시부(625)에 작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문양표시부(626)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원(651)은 상기 문양표시부(626)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조명원(651)은 상기 문양표시부(62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문양표시부(626)는 다수가 구비되어 다양한 문양을 구성하므로, 상기 제 1 조명원(651)은 상기 다수의 문양표시부(626)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원(651)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문양표시부(626)를 투과하여 외부에 드러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 1 조명원(651)의 온/오프 제어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상기 PCB 어셈블리(601)의 외측을 둘러싸는 확산판(630)이 포함된다. 상기 확산판(630)은, 상기 제 2 조명원(655)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22)의 테두리부(65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630)은 상기 함몰부(318)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확산판(63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PCB(6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판 본체(631) 및 상기 판 본체(6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 조명원(655)이 설치되는 조명수용부(635)가 포함된다. 상기 판 본체(631)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토출그릴(315)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 본체(631) 및 조명수용부(635)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 본체(631) 및 상기 조명수용부(635)는 빛의 굴절 또는 확산이 가능한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판 본체(631) 및 조명수용부(635)는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 본체(631)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22)의 테두리부(6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판 본체(631)의 상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 2 조명원(65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조명수용부(635) 및 판 본체(631)를 통하여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된 빛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테두리부(6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판 본체(631) 및 조명수용부(635)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므로, 상기 테두리부(650)는 은은한 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편안한 느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상기 PCB어셈블리(601)의 상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6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는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외측을 지지하고 커버필름(645)를 편평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는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에는, 상기 리플렉터 필름(62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홀(64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641)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리플렉터(620)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가 결합되더라도, 상기 리플렉터 필름(625)는 상방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의 상측에는, 커버필름(645)이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커버필름(645)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645)은, 상기 PCB어셈블리(601)에서 전달되는 빛 중 일부만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반투명 재질에는, 아크릴 또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수지(PMM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64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너무 눈부시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645)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공기 청정기(10)의 다수의 운전정보 중 일부 운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필름표시부(646)가 구비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전기적인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배치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다수의 PCB 장치(511,520,470,390,610)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PCB 장치(520a,511,470,390,610)에는, 파워 PCB(520a), 메인 PCB(511), 조명PCB(471), 유동전환 PCB(390) 및 디스플레이 PCB(610)가 포함된다.
상기 파워 PCB(520a)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세히,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소켓(28)이 포함된다. 상기 소켓(28)은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소켓(28)에는 파워 코드(29)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코드(29)는 상기 소켓(2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상기 공기 청정기(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소켓(28)으로부터 상기 파워 PCB(520a)로 연장되는 전원 연결선(7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파워 PCB(520a)에는, 상기 전원 연결선(700)이 접속되는 제 1 접속부(520b)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 연결선(700)은 상기 소켓(28)으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상기 파워 PCB(520a)에 전달한다.
상기 파워 PCB(520a)에는,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가 연결된다. 상기 파워 PCB(520a)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에 전달되며, 상기 제 1,2 팬모터(165,265)는 상기 전달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PCB(520a)는 상기 제 1,2 팬모터(165,26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파워 PCB(520a)는, 상기 메인 PCB(511) 및 상기 유동전환 PCB(3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파워 PCB(520a)와 상기 유동전환 PCB(390)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PCB연결선(71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파워 PCB(520a)에는, 상기 제 1 PCB연결선(710)이 접속되는 제 2 접속부(520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전환 PCB(390)에는, 상기 제 1 PCB연결선(710)이 접속되는 제 7 접속부(390a)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 PCB연결선(710)은 상기 파워 PCB(520a)의 제 2 접속부(520c)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390)의 제 7 접속부(390a)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파워 PCB(520a)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 1 PCB연결선(710)을 통하여 상기 유동전환 PCB(390)로 전달된다. 상기 유동전환 PCB(390)로 전달되는 전원은 상기 유동전환 PCB(390) 자체의 구동전원 및 다수의 모터(335,363,367)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파워 PCB(520a)와 상기 메인 PCB(511)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PCB연결선(720)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 PCB(520a)에는, 상기 제 2 PCB연결선(720)이 접속되는 제 3 접속부(520d)가 구비된다.
상기 파워 PCB(520a)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 2 PCB연결선(720)을 통하여 상기 메인 PCB(511)로 전달된다. 상기 메인 PCB(511)로 전달되는 전원은 상기 메인 PCB(511) 자체의 구동전원 및 다수의 전기적인 부품(137a,137b,158)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511)에는, 상기 제 2 PCB연결선(720)이 접속되는 제 4 접속부(511a)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PCB연결선(720)은 상기 파워 PCB(520a)의 제 3 접속부(520d)로부터 상기 메인 PCB(511)의 제 4 접속부(511a)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511)에는, 센서(137a,137b) 및 이오나이저(158)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137a,137b)에는,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가 포함되며,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에서 감지된 정보는 상기 메인 PCB(511)로 전달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을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음이온을 발생하여, 공기 청정기(10)로 흡입되어 토출되는 공기 중 포함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158)의 구동은 상기 메인 PCB(51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PCB(511)는 상기 이오나이저(158)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메인 PCB(511)와 상기 유동전환 PCB(390)를 연결하기 위한 제 3 PCB연결선(73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511)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이 접속되는 제 5 접속부(511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전환 PCB(390)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이 접속되는 제 8 접속부(390b)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PCB(511)의 제어 신호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을 통하여 상기 유동전환 PCB(39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PCB(390)에는, 유동전환 장치(300)에 구비되는 다수의 모터(335,363,267)를 제어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모터(335,363,267)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상기 파워 PCB(520a)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390)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모터(335,363,367)에는, 제 3 팬모터(335), 제 1 기어모터(363) 및 제 2 기어모터(36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메인 PCB(511)와 조명PCB(471)를 연결하기 위한 제 4 PCB연결선(7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511)에는, 상기 제 4 PCB연결선(740)이 접속되는 제 6 접속부(511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PCB(471)에는, 상기 제 4 PCB연결선(740)이 접속되는 제 10 접속부(471a)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PCB(511)의 제어 신호는, 상기 제 4 PCB연결선(740)을 통하여 상기 조명PCB(471)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원(462)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유동전환 PCB(390)와 디스플레이 PCB(610)를 연결하기 위한 제 5 PCB연결선(7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전환 PCB(390)에는, 상기 제 5 PCB연결선(750)이 접속되는 제 9 접속부(390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에는, 상기 제 5 PCB연결선(750)이 접속되는 제 11 접속부(610a)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61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는 상기 제 5 PCB연결선(750)을 통하여 상기 유동전환 PCB(390)로 전달되며,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을 통하여 상기 메인 PCB(51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511)는,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다수의 PCB가 서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구동되는 부품의 배치 또는 기능에 따라, 상기 부품이 최적의 PCB에 접속되므로, 공기 청정기(10)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파워 PCB(520a)로부터 상기 메인 PCB(511) 및 유동전환 PCB(390)로 공급되고, 상기 메인 PCB(511)는 상기 조명PCB(471)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유동전환 PCB(390)는 상기 디스플레이 PCB(6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많은 전원이 필요한 제 1,2 팬모터(165,265)는 상기 파워 PCB(520a)에 연결되므로,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0)의 작동을 위하여 감지가 필요한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는 상기 메인 PCB(511)에 직접 연결되므로, 상기 센서(137a,137b)에서 감지된 정보는 상기 메인 PCB(511)로 전달되어 공기 청정기(10)의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공기 청정기(10)의 작동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동전환 장치(300)의 유동전환 PCB(390)와 디스플레이 PCB(610)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유동전환 PCB(390)와 상기 메인 PCB(511)가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PCB(610)에 입력된 정보는 상기 유동전환 PCB(390)를 통하여 상기 메인 PCB(511)에 용이하게 전달되며, 상기 메인 PCB(511)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는 상기 유동전환 PCB(39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PCB(61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배치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PCB(511)와 상기 유동전환 PCB(390)는 제 3 PCB연결선(7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의 내부에는, 다수의 PCB연결선이 구비되고 제한된 공간내에 다수의 부품들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 3 PCB연결선(730)과 같은 전선의 정리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상기 전선이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가이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PCB(390)에 연결된 제 3 PCB연결선(730)은 상기 메인 PCB(511)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이 위치하는 제 1 전선가이드부(279)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전선가이드부(279)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외주면에 함몰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은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은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이 위치하는 제 2 전선가이드부(259)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전선가이드부(259)는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외주면에 함몰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은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일측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필터지지부(23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본체(235a) 및 상기 지지본체(235a)의 양측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절곡부(235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35b)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지지부커버(2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커버(236)에 의하여,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35a), 상기 2개의 절곡부(235b) 및 상기 제 2 지지부커버(236)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이 위치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이 관통하는 관통공(235c)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관통공(235c)은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은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공(235c)을 통하여,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내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PCB연결선(730)은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의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 PCB(511)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PCB연결선(7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PCB연결선(710) 또한 상기 제 1,2 전선가이드부(279,259) 및 제 2 필터지지부(235)에 의하여 위치 가이드 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28)과 상기 파워 PCB(520a)는 전원 연결선(7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선(700)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 중 어느 하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하부에는, 관통공(135c)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 연결선(700)은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공(135c)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연결선(700)은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구성(235a,235b)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에도 원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 1 전선가이드부(279) 및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제 2 전선가이드부(259)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 및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도 원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연결선(700)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형성된 전선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연결선(700)은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위치한 파워 PCB(520a)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 3 PCB연결선(730) 및 전원 연결선(700)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전환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도 25 및 도 26과 같이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도 27과 같이 세워져 있는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공기 청정기 20 : 베이스
100 : 송풍장치 100 : 제 1 송풍장치
101 : 제 1 케이스 110 : 흡입그릴
120 : 제 1 필터부재 130 : 제 1 필터프레임
140 : 지지장치 142 : 레버장치
150 : 제 1 팬하우징 160 : 제 1 팬
170 : 제 1 에어가이드 장치 180 : 제 2 에어가이드 장치
186 : 절곡부 190 : 제 1 토출가이드 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201 : 제 2 케이스
220 : 제 2 필터부재 230 : 제 2 필터프레임
250 : 제 2 팬하우징 260 : 제 2 팬
270 :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280 :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300 : 유동전환 장치 390 : 유동전환 PCB
400 : 구획장치 430 : 구획판
471 : 조명 PCB 511 : 메인 PCB
520a : 파워 PCB 610 : 디스플레이 PCB

Claims (15)

  1. 팬모터에 결합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팬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파워 PCB;
    상기 파워 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 PCB;
    상기 메인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장치;
    상기 파워 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기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동전환 PCB; 및
    상기 파워 PCB, 상기 메인 PCB 또는 상기 유동전환 PCB를 연결하는 다수의 PCB 연결선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B에 연결되어 조명원을 제어하며, 상기 조명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공기 청정도를 표시하는 조명 PCB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 PCB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의 작동정보를 표시하고 설정된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PCB가 더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PCB 연결선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PCB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PCB에서 입력된 명령을 상기 유동전환 PCB로 전달하는 제 5 PCB연결선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 1,2 송풍팬이 포함되며,
    상기 제 1,2 송풍팬은 상기 파워 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CB 연결선에는,
    상기 소켓으로부터 상기 파워 PCB로 연장되는 전원 연결선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팬의 일측에 구비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전원 연결선의 위치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전원 연결선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필터지지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팬을 수용하는 제 1 팬하우징; 및
    상기 제 1 팬하우징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 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 팬하우징 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전원 연결선이 삽입되는 전선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CB연결선에는,
    상기 파워 PCB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로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PCB연결선; 및
    상기 파워 PCB로부터 상기 메인 PCB로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PCB연결선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CB연결선에는,
    상기 메인PCB로부터 상기 유동전환 PCB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PCB의 제어신호를 상기 유동전환 PCB로 전달하는 제 3 PCB연결선이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
    상기 송풍팬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터지지부; 및
    상기 필터지지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지지부 커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제 3 PCB연결선이 위치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에는,
    공기 중 포함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공기 중 포함되는 가스량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공기 중 포함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 PCB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 3 팬; 및 상기 제 3 팬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3 팬모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기어모터에는,
    상기 제 3 팬의 제 1,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1,2 기어모터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팬모터 및 상기 제 1,2 기어모터는 상기 유동전환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청정기.
KR1020160074377A 2016-02-26 2016-06-15 공기 청정기 KR10185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77A KR101858807B1 (ko) 2016-06-15 2016-06-15 공기 청정기
CN201621308729.6U CN206347652U (zh) 2016-02-26 2016-11-30 空气净化器
CN201611088561.7A CN106813315B (zh) 2016-02-26 2016-11-30 空气净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77A KR101858807B1 (ko) 2016-06-15 2016-06-15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395A true KR20170141395A (ko) 2017-12-26
KR101858807B1 KR101858807B1 (ko) 2018-05-17

Family

ID=6093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377A KR101858807B1 (ko) 2016-02-26 2016-06-15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0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453A (ko) * 2018-03-09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76058B1 (ko) * 2018-11-12 2020-02-11 (주)퓨전디자인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KR102134284B1 (ko) * 2019-11-29 2020-07-15 제이와이커스텀(주)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KR20200103972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메이킷올 모듈형 전자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200109789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메이킷올 기능 확장이 가능한 공기 정화 장치
KR20230033510A (ko) * 2021-09-01 202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워
WO2023033477A1 (ko) * 2021-09-01 2023-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워
KR102555718B1 (ko) * 2022-07-25 2023-07-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컴퓨터 거치장치
US11914427B2 (en) 2022-07-25 2024-02-27 Spigen Korea Co., Ltd. Apparatus for standing of compu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876A (ko)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위니아 공기청정기
KR20230029121A (ko) 2021-08-23 2023-03-03 (주)코리아정보통신 공기청정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453A (ko) * 2018-03-09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76058B1 (ko) * 2018-11-12 2020-02-11 (주)퓨전디자인 가습 및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복합형 공조기기
KR20200103972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메이킷올 모듈형 전자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200109789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메이킷올 기능 확장이 가능한 공기 정화 장치
KR102134284B1 (ko) * 2019-11-29 2020-07-15 제이와이커스텀(주) 스마트 멀티형 공기청정기
KR20230033510A (ko) * 2021-09-01 202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워
WO2023033477A1 (ko) * 2021-09-01 2023-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워
KR102555718B1 (ko) * 2022-07-25 2023-07-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컴퓨터 거치장치
US11914427B2 (en) 2022-07-25 2024-02-27 Spigen Korea Co., Ltd. Apparatus for standing of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07B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807B1 (ko) 공기 청정기
EP3211337B1 (en) Air cleaner
KR102011030B1 (ko) 공기 청정기
CN106813315B (zh) 空气净化器
KR102026194B1 (ko) 공기 청정기
KR102021391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11B1 (ko) 공기 청정기
KR102188890B1 (ko) 공기 청정기
KR102067814B1 (ko) 공기 청정기
KR101848001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09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10B1 (ko) 공기 청정기
KR101975054B1 (ko) 공기 청정기
KR102044163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00285A (ko) 공기 청정기
KR102034683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00287A (ko) 공기 청정기
KR101955877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100142A (ko) 공기 청정기
KR20190119565A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9674A (ko) 공기 청정기
KR101809370B1 (ko) 공기 청정기
KR102188884B1 (ko) 공기 청정기
KR102044175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43229A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