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03B1 -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03B1
KR102414703B1 KR1020200057253A KR20200057253A KR102414703B1 KR 102414703 B1 KR102414703 B1 KR 102414703B1 KR 1020200057253 A KR1020200057253 A KR 1020200057253A KR 20200057253 A KR20200057253 A KR 20200057253A KR 102414703 B1 KR102414703 B1 KR 10241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foreign material
type air
material removal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9028A (ko
Inventor
이병관
이병기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이병관
이병기
이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관, 이병기, 이성주 filed Critical 이병관
Priority to KR102020005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7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공기의 탈취작용과 살균작용을 수행하면서도 정전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연돌; 상기 연돌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연돌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리닝본체; 및 상기 연돌을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크리닝본체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TACK TYPE AIR CLEANING APPARATUS USED STATIC ELECTRICITY}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공기의 탈취작용과 살균작용을 수행하면서도 정전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립지, 정화조, 축사 등에는 악취물질이나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과 같이 유해가스가 다량 발생되어 대기질을 악화시키고 있어 악취물질과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어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8750호로 개시된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용 탈취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90800호로 개시된 '퇴비 바이오필터 및 그를 이용한 악취가스의 제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05004호로 개시된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용 다공성 복합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7845호 '탄화처리기용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장치' 등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각각 독특한 구성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악취물질과 유해가스의 제거작용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대체로 장치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고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7117호로 개시된 바와 같은 '살균 탈취 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57117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처분된 가축 등이 매립된 매립지 상부에 돌출된 환기구(E)를 감싸며 하단이 삽입 고정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볼트(212)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이온화되어 배출되는 악취원들에 직접적인 이온화반응에 의해 무취의 중성 물질 가스로 변화시키는 이온발생부(2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57117호에 따른 '살균 탈취 장치'는 매립지의 환기구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악취가 이오나이저를 통과하게 되면 전기 화학적으로 중화되어 순간적인 탈취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먼저, 종래 살균 탈취장치는 이오나이저(22)에 의해 수행되는 탈취작용으로 악취의 제거효과는 비교적 우수하지만 이오나이저(22)에 의한 살균작용은 단시간 동안 이루어지므로 살균 효율이 낮은 한계점이 있다.
한편, 종래 살균 탈취장치는 오염된 배기물이 격벽(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통과하는 동안 이오나이저(22)에 의한 탈취 및 살균은 가능하지만 미세먼지 등과 같은 고형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살균 탈취장치는 연돌 구조로 형성된 몸체부(10)에 여과필터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지만, 여과필터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잦은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7117호 '살균 탈취 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68750호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용 탈취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490800호 '퇴비 바이오필터 및 그를 이용한 악취가스의 제거방법'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염된 공기의 탈취작용과 살균작용을 수행하면서도 정전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연돌; 상기 연돌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연돌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리닝본체; 및 상기 연돌을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크리닝본체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접촉시에 탄성반발 되도록 탄성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인접하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 구성되되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이 요동되도록 상기 자성체에 자기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이 내장되는 연결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덕트외통, 상기 덕트외통의 내부에 돌출되고 분출홀이 형성된 덕트내통, 이물질수집홈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덕트외통과 상기 덕트내통의 하측에 연결, 배치되는 덕트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덕트외통의 하부에 상기 이물질수집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출노즐; 상기 배출노즐에 설치되는 개폐수단; 낙하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수집홈부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덕트내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이동부; 및 상기 덕트외통의 상부에 설치되고 판상부재에 복수의 통공이 천공된 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고 복수의 이오나이저가 구비된 이오나이저 조립체를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고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 여과부; 및 상기 송풍팬은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는 제1 송풍팬과, 상기 여과부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는 제2 송풍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이물질제거수단을 상하로 반복 요동시켜 생성되는 정전기에 의해 오염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중금속 입자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특별한 에너지원 없이 효과적으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통과한 오염 공기 중에 포함하는 악취를 이오나이저 및 여과부에 의한 탈취작용으로 제거할 수 있고, 바이러스 등의 유해 미생물을 살균한 다음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되므로 공기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종래 광을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도로서 정면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3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요부 분리사시도로서 도3의 A부 분리사시도이다.
도6a는 도5의 B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6b는 도5의 B부 분리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9는 도8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2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도로서 정면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구성을 간략화 하거나 모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오염된 공기의 탈취작용 및 살균작용 뿐만 아니라 이물질 제거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연돌(1), 송풍팬(2), 및 이물질제거수단(3)이 구비되어 있다.
연돌(1)은 정화 대상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 역활을 수행하도록 피설치부(b)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공기의 이동로가 형성된 굴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송풍팬(2)은 공기를 흡인하여 배기하기 위해 연돌에 설치되는 흡인수단으로서, 광발생부(3)의 하부에 해당되는 연돌에 설치되는 제1 송풍팬(21)과, 후술되는 여과부(7)의 상부에 해당되는 연돌(1)에 설치되는 제2 송풍팬(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송풍팬(21)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입측에 이물질을 걸려내는 프리필터(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송풍팬(21) 및 제2 송풍팬(22)은 대기 환경분야나 공조분야에서 이용되는 통상의 송풍팬을 적용하되, 흡입측과 배출측 사이즈가 연돌(1)의 직경에 맞으면서 희망하는 정화 공기량과 시간당 처리량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송풍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3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요부 분리사시도로서 도3의 A부 분리사시도이다. 도6a는 도5의 B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6b는 도5의 B부 분리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b를 참조하면, 이물질제거수단(3)은 연돌(1)의 이동로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크리닝본체(31)와 이물질제거부(32)로 구성되어 있다.
크리닝본체(31)는 연돌(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송풍팬(21)의 송풍동작 시에 풍력을 받아 상승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312)을 갖는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리닝본체(31)는 후술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억지끼움 되어 고정되도록 중앙의 상면 및 하면에 탄성부걸림돌부(314)가 돌출되어 있고, 원활한 상하 요동을 위해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제거부(32)는 연돌(1)을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크리닝본체(31)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물질제거부(32)는 이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는 여과수단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접촉시에 정전기를 유발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직물시트, 부직포시트 등으로 구성된 면상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면상 시트는 마찰시에 정전기가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표면에 다수의 기모(털)가 형성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물질제거수단(3)은 연돌(1)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된 것으로서, 이물질제거수단(3)은 인접하는 이물질제거수단과의 접촉시에 탄성반발 작용에 의해 요동되도록 탄성부(33)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부(33)는 크리닝본체(31)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3)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분리 제거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덕트(5)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덕트(5)는 연돌에 설치되는 통 형상의 덕트외통(51), 덕트외통(51)의 내부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분출홀이 형성된 덕트내통(52), 덕트외통(51)의 내면과 덕트내통(52)의 외면 사이에 이물질수집홈부(54)가 마련되도록 덕트외통(51)과 덕트내통(52)의 하측에 연결되는 덕트연결부(53)로 구성되어 있다.
덕트외통(51)은 원통형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프랜지(58)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랜지(58)에는 덕트외통의 상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판(59)이 설치되어 있다. 이탈방지판(59)은 이물질제거수단(3)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판상부재에 복수의 통공(592)이 천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외통(51)은 이물질수집홈부(54)가 형성되는 부분인 덕트외통(51) 하측 부분에 배출노즐(55)이 연결되고, 이 배출노즐(55)에는 댐퍼 또는 밸브로 구성되는 개폐수단(5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개폐수단(56)은 이물질제거수단(3)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닫힘 상태로 있게 되고, 이물질제거부(32)의 제거작용에 의해 이물질이 뭉쳐져 낙하한 후 이물질수집홈부(54)에 다량 쌓일 경우 개방하여 배출노즐(55)를 통해 외부로 배출,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덕트내통(52)은 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이물질수집홈부(54)로 유도하기 위해 상부에 경사안내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안내부(57)는 상부에 통공이 천공된 갓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연돌(1)에 설치되는 이오나이저박스(61)의 내부에 복수의 이오나이저(2)가 설치된 이오나이저 조립체(6)가 구비되어 있다.
이오나이저(62)는 연돌(1)의 이동로와 연통되게 설치된 설치판(미도시)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공지의 상용 제품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이오나이저(62)는 내설된 악취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악취가 감지될 경우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작동하여 이온중화반응에 의해 무취의 중성물질 가스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한편 유해 바이러스의 살균 작용을 수행한다.
예컨대 이오나이저(6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전극 및 (-)전극, (+)전극 및 (-)전극에 접속되는 이오나이저용 고전압발생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 및 (-)전극은 텅스텐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극보호용 부도체 전극홀더(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다.
이오나이저용 고전압발생부는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은 후 발진, 승압 및 배압 처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오나이저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고전압발생모듈을 적용하되 DC 15KV의 고전압을 발생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3)의 상부에 해당되는 연돌(1)에 설치되는 여과부박스(71)의 내부에 복수의 필터(72)가 다층 구조로 구성된 여과부(7)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72)는 이물질의 여과특성이 우수하다면 구조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활성탄을 포함하여 구성된 탈취필터(721), 카본필터(722) 및 헤파필터(723) 등이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헤파필터는 황사와 같은 미세한 먼지는 물론 세균까지도 걸러내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의 미설명부호 13는 피설치부(b)에 연돌(1)을 고정시키는 위한 연돌설치부재로서 세트 앵커(set anchor)와 같은 체결부재(15)에 의해 피설치부(b)에 고정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14는 연돌(1)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갓 형태의 빗물커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와 악취를 유발하는 한편 바이러스 등의 유해 미생물이 존재하는 오염공기 배출시설과 같은 피설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돌(1)을 설치하되, 하측에서부터 제1 송풍팬(21)을 조립하고, 그 상측에 이물질제거수단(3)이 내장된 연결덕트(5)를 조립하는 한편 연이어 이오나이저 조립체(6), 여과부(7) 및 제2 송풍팬(22) 순으로 조립하여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송풍팬(21)이 작동되면 오염된 공기를 흡인하여 연결덕트(5) 내부로 송풍하게 되고, 이러한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제거수단(3)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이물질제거수단(3)은 서로 충돌하는 한편 탄성부(33)의 반발작용에 의해 요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송풍팬(21)의 송풍력에 의해 다단으로 배열된 이물질제거수단(3)의 크리닝본체(31)가 서로 충돌하고 탄성부(3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때, 크리닝본체(31)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된 이물질제거부(32)의 기모가 서로 접촉되면서 정전기가 발생되면서 음(-)전위를 띄게 되고, 양(+)전위를 띄는 부유 미세먼지, 중금속 입자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면서 제거된다.
이후, 연결덕트(5) 상부로 이동되는 공기는 복수의 이오나이저(62)가 설치된 이오나이저 조립체(6)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게 되면서 주지된 바와 같은 악취 제거작용과 유해 바이러스의 살균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오나이저 조립체(6)를 통과한 공기는 제2 송풍팬(22)의 흡인력을 통해 복수의 필터(72)가 다층 구조로 구성된 여과부(7)로 유입되어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정화된 후 배출된다.
한편, 이물질제거수단(3)에 의한 이물질 제거작용이 일정 시간 이상 수행되면 이물질제거부(32)에 부착된 이물질이 뭉쳐져 크기가 증가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이물질 입자가 하강한 후 경사안내부(57)에 의해 유도되어 이물질수집홈부(54)로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수집홈부(54)에 수집되는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개폐수단(56)을 개방하여 제거함으로써 공기 정화장치를 휴지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공기 정화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3의 A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9는 도8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피설치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연돌(1), 연돌(1)에 설치되는 송풍팬(2), 연돌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3), 이물질제거수단(3)이 내장되는 연결덕트(5)을 포함하고, 이물질제거수단(3)은 연결덕트의 내부에 복수 개로 상하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이물질제거수단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8)이 설치되어 있다.
영구자석(8)은 중공부를 갖는 원판 형상의 영구자석을 크리닝본체(31)의 사출성형 시에 내부에 매입하는 방식(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영구자석(8)은 인접하는 이물질제거수단(3)의 영구자석 N극과 마주하는 또다른 이물질제거수단의 영구자석 극성이 N극이 되도록 배치하고 S극과 마주하는 영구자석은 S극이 위치하도록 배치, 구성한다.
그리고, 이물질제거수단(3)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크리닝본체(31)와 이물질제거부(32)로 구성되되, 크리닝본체(31)는 다수의 통공(312)을 갖는 타공판 형상의 몸체 중앙에 영구자석(8)이 수용되는 자석수용돌부(311)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본 발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3)의 상하 이동동작을 위해 전술한 영구자석(8)을 설치하는 방식 외에도 전자석(미도시)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석은 연결덕트(5)의 상부 및 하부에 이물질제거수단과 이격되게 2개를 상하로 설치하고, 이물질제거수단(3)에 자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의 전자석을 교번적으로 작동시켜 이물질제거수단(3)을 상하 요동시키는 방식으로 크리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은 주지된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송풍팬(21)의 작동에 따라 공기가 연결덕트(5) 내부로 공급되면 이물질제거수단(3)이 상하로 이동되고 이물질제거부(32)에 정전기가 발생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후 복수의 이오나이저(62)가 설치된 이오나이저 조립체(6)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탈취 및 살균작용이 수행되고 여과부(7)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으로 정화된 후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는 전술한 정화과정에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이물질제거수단(3) 내부에 영구자석(8)이 척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근접할 경우 이물질제거수단(3)의 상하 병진운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면서 이물질제거부(32)의 정전기 발생 특성이 향상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연돌 2:송풍팬
21:제1 송풍팬 22:제2 송풍팬
23:프리필터 3:이물질제거수단
31:크리닝본체 32:이물질제거부
33:탄성부 5:연결덕트
51:덕트외통 52:덕트내통
53:덕트연결부 54:이물질수집홈부
55:배출노즐 56:개폐수단
57:경사안내부 58:프랜지
59:이탈방지판 6:이오나이저 조립체
61:이오나이저박스 62:이오나이저
7:여과부 71:여과부박스
72:필터 8:영구자석

Claims (8)

  1.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연돌; 상기 연돌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연돌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리닝본체; 및 상기 연돌을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크리닝본체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돌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이 내장되는 연결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덕트외통, 상기 덕트외통의 내부에 돌출되고 분출홀이 형성된 덕트내통, 이물질수집홈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덕트외통과 상기 덕트내통의 하측에 연결, 배치되는 덕트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접촉시에 탄성반발 되도록 탄성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인접하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에 척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 구성되되,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이 요동되도록 상기 자성체에 자기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덕트외통의 하부에 상기 이물질수집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출노즐;
    상기 배출노즐에 설치되는 개폐수단;
    낙하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수집홈부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덕트내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이동부; 및
    상기 덕트외통의 상부에 설치되고 판상부재에 복수의 통공이 천공된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에 설치되고 복수의 이오나이저가 구비된 이오나이저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고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 여과부; 및
    상기 송풍팬은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는 제1 송풍팬과, 상기 여과부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연돌에 설치되는 제2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KR1020200057253A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KR10241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53A KR102414703B1 (ko)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53A KR102414703B1 (ko)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028A KR20210139028A (ko) 2021-11-22
KR102414703B1 true KR102414703B1 (ko) 2022-06-28

Family

ID=7871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253A KR102414703B1 (ko) 2020-05-13 2020-05-13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309B1 (ko) * 2022-10-20 2023-04-06 (주)맨컴 부식방지 전기 제어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99B1 (ko) * 2007-11-29 2010-03-05 (주)이데아벡스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JP2011078937A (ja) * 2009-10-09 2011-04-21 Fu-Chi Wu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721B1 (ko) * 1996-05-09 1999-03-20 조규향 이동식 표면여과필터에 의한 유황증기제거 및 입자회수장치
KR100490800B1 (ko) 2002-04-30 2005-05-1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퇴비 바이오필터 및 그를 이용한 악취가스의 제거방법
KR200457117Y1 (ko) 2011-06-01 2011-12-06 청해 Env (주) 살균 탈취 장치
KR101168750B1 (ko) 2011-11-17 2012-07-26 (주) 코스텍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용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99B1 (ko) * 2007-11-29 2010-03-05 (주)이데아벡스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JP2011078937A (ja) * 2009-10-09 2011-04-21 Fu-Chi Wu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028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729B2 (en) Air cleaner with improved airflow
JP4251199B2 (ja) 空気清浄機
KR20040056134A (ko) 공기 정화기
WO2005061096A1 (e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to oxidize volatile organic compounds
JPWO2011152016A1 (ja) 微生物・ウイルスの捕捉・不活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05762B1 (ko) 매립형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CA28236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air from non-desired components and for eliminating such components
KR100959634B1 (ko) 유해가스 중화 및 제거장치
CN103272445A (zh) 一种空气净化设备
KR102414703B1 (ko) 정전기를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KR20160101407A (ko) 전기집진장치
KR20100082478A (ko) 복합 플라즈마 집진기
KR102186619B1 (ko) 광을 이용한 연돌형 공기 정화장치
CN104390275A (zh) 一种空气净化器
JP2001096189A (ja) 空気清浄装置
KR100509356B1 (ko)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방법 및 장치
CN114082255A (zh) 净化器装置及相关净化方法
KR102213439B1 (ko) 탈취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180076960A (ko) 수분 제거기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장치
JP2004358363A (ja) 静電霧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JP4734372B2 (ja) 天吊型空気清浄機
KR20030048988A (ko) 공기청정기
JPH11128657A (ja) 浄化装置
TWI646289B (zh) 空氣淨化裝置與空氣淨化方法
KR102065350B1 (ko) 전기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