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875A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875A
KR20090055875A KR1020070122733A KR20070122733A KR20090055875A KR 20090055875 A KR20090055875 A KR 20090055875A KR 1020070122733 A KR1020070122733 A KR 1020070122733A KR 20070122733 A KR20070122733 A KR 20070122733A KR 20090055875 A KR20090055875 A KR 2009005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processing
power
receiv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414B1 (ko
Inventor
양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14B1/ko
Priority to DE602008004067T priority patent/DE602008004067D1/de
Priority to EP08167644A priority patent/EP2068560B1/en
Priority to US12/273,848 priority patent/US9100626B2/en
Publication of KR2009005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영상처리장치는,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신호수신부에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대응하여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턴온/턴오프 제어 구조에 관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로서, 그 주요 기능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처리장치는 LCD, PDP 등으로 마련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공급하는 셋탑박스와,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DVD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등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기능의 영상처리장치가 복수 개 설치되어 영상신호를 상호 전달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 이러한 각각의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모든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복수 영상처리장치 중 제1영상처리장치의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면,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2영상처리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제2영상처리장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영상처리장치는 제2영상처리장치에 전달하는 신호에 제1영상처리장치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여부의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영상신호에 합성하여 전달한 후 제2영상처리장치에서 디코딩되어 처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별도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해야 한다.
또한 모든 영상처리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영상처리장치의 전원을 공급시킨 경우, 제2영상처리장치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2영상처리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에는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영상처리장치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길 경우 전달되는 신호에 왜곡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물리적 거리는 예를 들면 20여 미터 이내의 짧은 거리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영상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상태 전환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전원 상태가 전환되게 하는 구조에 있어서, 이러한 전원 상태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적용하지 않고 상기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영상처리장치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긴 경우에 상기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처리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신호를 수신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기 설정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설정을 지정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가 영상정보를 포함하면 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더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신호수신부는 복수의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신호를 수신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
또한 상기 신호는 광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신호를 광신호로 처리하거나, 또는 수신된 광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신호수신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처리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외부영상처리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단계의 이전 시점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차단하지 않도록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신호가 영상정보를 포함하면 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복수의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는 광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적용하지 않고, 종래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별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소정 신호에 의해 복수 영상처 리장치 사이의 전원 상태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장거리 전송 시에도 왜곡이 적은 광신호를 적용함으로써, 영상처리장치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에도 상기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 200, 3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100, 200, 300)가 셋탑박스(set-top box)(100), 디스플레이장치(200) 및 영상공급장치(300)를 포함하며, 상호 영상신호가 송수신됨으로써 영상이 표시되는 구성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와 같은 영상처리장치(100, 200, 3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 2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셋탑박스(100)와, 이 셋탑박스(100)로부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포함한다.
셋탑박스(100)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120)와, 처리된 이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제1신호송신부(130)와,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신호수신부(140)와, 셋탑박스(100)의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셋탑박스(100)에 수신된 영상신호 를 처리한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영상신호, 예를 들면 방송국에서 송출된 공중파 신호,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공급된 VCR신호, 또는 DVD 플레이어에서 공급된 DVD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 특성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가진다.
제1신호송신부(130)는 제1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함으로써, 이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신호송신부(130)는 이 영상신호를 광신호로 처리하여 송신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광신호 처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렇게 셋탑박스(1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광신호를 적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달되는 영상 정보의 왜곡을 최소화시키며,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거리를 장거리, 예를 들면 200미터 이상 이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신호송신부(130)로부터 광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달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 파이버(fiber) 케이블을 통해 광신호의 송수신을 달성할 수 있다.
제1신호수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송신된 광신호가 수신된다. 여기서 제1신호송신부(130)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 및 제1신호수신부(140)에 수신되는 광신호는 서로 상이한 광신호이다. 전자는 셋탑박스(100), 자세하게는 제1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인 것에 비해, 후자는 이러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신호송신부(130)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는 제1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광신호일 수도 있다
제1신호수신부(140)는 셋탑박스(100)의 전원이 턴오프된 경우에도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의 광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차단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러한 광신호의 수신 또는 차단 감지는 제1제어부(150)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제1제어부(150)는 셋탑박스(100)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제1제어부(150)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며, 이러한 전원 상태의 전환은 두 가지 경우에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사용자에 의해 셋탑박스(100)의 전원 상태가 입력되는 경우이다. 셋탑박스(10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마련된 입력부(미도시), 예를 들면 셋탑박스(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미도시)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킨다.
두 번째는 제1신호수신부(140)에 광신호가 수신 또는 차단되는 것을 모니터링하여, 이를 기초로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경우이다. 제1제어부(150)는 제1신호수신부(140)에 광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고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턴온시킨다. 반면 제1제어부(150)는 제1신호수신부(140)로 수신되는 광신호가 차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오프된 것으로 판단하고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
제1제어부(150)는 셋탑박스(100)의 전원의 턴오프, 자세하게는 제1영상처리 부(120) 및 제1신호송신부(13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제1신호수신부(140)에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제1신호수신부(140)에 광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셋탑박스(100)로부터 광신호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0)는 LCD, CRT 및 PDP 등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셋탑박스(100)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2영상처리부(220)와, 셋탑박스(100)에 광신호를 송신하는 제2신호송신부(230)와, 셋탑박스(100)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2신호수신부(240)와,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신호수신부(240)에 수신된 광신호가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신호송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광신호가 제2영상처리부(220)가 처리할 수 있는 영상신호로 디코딩되면, 제2영상처리부(22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제2신호송신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온되어 있을 때, 소정의 광신호를 셋탑박스(100)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광신호에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 상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제2신호송신부(230)가 광신호를 셋탑박스(100)로 송신할 수 있는 경우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턴온될 때, 자세하게는 제2신호송신부(230)에 전원이 공급될 때이므로, 셋탑박스(100)에서는 제1신호수신부(140)에 광신호가 수신 또는 차단됨에 따라서 제1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 상태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신호송신부(230)로부터 광신호를 셋탑박스(100)에 전달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 파이버(fiber) 케이블을 통해 광신호의 송수신을 달성할 수 있다.
제2신호수신부(240)는 제1신호송신부(130)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제2영상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오프 시에도 제2신호수신부(240)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이로써 제2신호수신부(240)는 셋탑박스(100)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 가능하며, 이는 제2제어부(250)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제2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하부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제2제어부(25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미도시)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등을 통해 전원 상태의 전환을 지정하면,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킨다.
또한 제2제어부(250)는 제2신호수신부(240)에 광신호가 수신 또는 차단되는 것을 모니터링하여, 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2제어부(250)의 제어 방법은 제1제어부(150)와 유사한 것으로, 즉 제2신호수신부(240)에 광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온시키며, 광신 호의 수신이 차단되면 셋탑박스(100)의 전원이 턴오프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200) 전원을 턴오프시키는 경우에, 제2제어부(250)는 제2신호수신부(2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오프되어 있을 때에도 셋탑박스(100)의 전원이 턴온됨에 따라서 송신되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 200)의 전원 상태 제어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켰을 때, 이에 대응하여 셋탑박스(100)의 전원 상태가 전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이와 반대의 경우, 즉 셋탑박스(100)의 전원 상태 전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 상태가 전환되는 과정은 이러한 실시예를 준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첫째로,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턴온시키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가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오프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온시킨다(S100). 제2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10), 제2영상처리부(220) 및 제2신호송신부(230)에 전원 공급을 개시하며, 제2신호송신부(230)를 통해 광신호가 송신 된다(S110).
이 광신호는 제1신호수신부(140)에 수신된다(S120). 제1신호수신부(140)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광신호를 수신 가능하며, 제1제어부(150)는 제1신호수신부(140)에 광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모니터링한다. 제1제어부(150)는 이러한 광신호의 수신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대응하여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턴온시킨다(S130). 제1제어부(150)는 제1영상처리부(120) 및 제1신호송신부(130)에 전원을 공급한다.
둘째로,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턴오프시키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가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온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S200). 제2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10), 제2영상처리부(220) 및 제2신호송신부(2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50)는 제2신호수신부(240)에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S210).
제2신호송신부(230)에 전원이 차단되면 셋탑박스(100)에 대한 광신호의 송신이 중단되며(S220), 이에 제1신호수신부(140)에 광신호의 수신이 차단된다(S230). 제1제어부(150)는 제1신호수신부(140)에 수신되던 광신호가 차단된 것을 감지하며, 이에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오프된 것으로 판단하고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S240). 여기서 제1제어부(150)는 제1신호수신부(14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광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 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25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상태를 사용자가 전환시킬 때, 이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전원 상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광신호의 접속 및 차단에 기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 200, 300)는 셋탑박스(100)에 접속되어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영상공급장치(300)는 영상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는 DVD 플레이어 등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탑박스(100)는 영상공급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 외에도 다른 영상신호 공급원(미도시)을 통해 영상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탑박스(100)는 공중파 안테나(미도시) 또는 유선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며, 이로부터 방송국에서 송출된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하다.
영상공급장치(300)는 셋탑박스(100)에 로컬로 접속되며, DVD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셋탑박스(100)에 공급한다. 여기서 영상공급장치(300) 및 셋탑박스(100)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호 광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준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이 경우에 셋탑박스(100)는 영상공급장치(300)와의 광신호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공급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제1영상신호로, 이 제1영상신호와 상이한 영상신호를 제2영상신호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영상신호는 DVD 영상신호이고, 제2영상신호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이며, 셋탑박스(100)에서 제2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로 표시되는 모드(mode)를 방송 모드인 것으로 표현하나, 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지칭된 것으로, 이러한 명칭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 200, 300)에서, 사용자가 영상공급장치(3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킬 때,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오프되거나 또는 방송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공급장치(300),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모두 턴온되어 있으며, 셋탑박스(100)는 영상공급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제1영상신호 및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초기상태로 한다. 이 초기상태에서 제1제어부(150)는 제1영상처리부(120)에서 제1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영상공급장치(300)의 전원을 턴오프시켰을 때의 동작 상태를 사전에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셋탑박스(100)에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키도록 하거나 아니면 상기 전원을 턴오프시키지 않고 방송 모드로 이행하도록 지정하기 위한 입력부(1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입력부(16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접속된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셋탑박스(100)에 접속되어 지정된 설정정보를 제1제어부(150)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제어부(250)는 입력부(160)로 입력되는 설정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설정부(미도시)를 더 가질 수 있으며, 입력부(160)로부터 상술한 두 가지 설정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이를 셋탑박스(100)로 전달한다. 제1제어부(150)는 전달받은 지정값을 저장한다.
사용자는 영상공급장치(3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S300). 제1제어부(150)는 이에 대응하여 방송 모드로 이행할 것인지(S310) 아니면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오프할 것인지(S320)를 판단한다. 이 판단 기준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60)를 통해 사전에 지정되거나, 또는 제1제어부(150)에 기 설정될 수 있다.
전원을 턴오프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320), 제1제어부(150)는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S330). 여기서 영상공급장치(300)의 전원이 턴오프되는 것을 감지하여 셋탑박스(1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키는 구성 및 방법은, 당업자라면 상술한 실시예를 준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제1신호송신부(13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광신호 송신이 중단된다(S340). 이에 따라서 제2신호수신부(240)에 광신호의 수신이 차단되며(S350), 제2제어부(250)는 이러한 광신호의 차단을 감지하여 셋탑박스(100)의 전원이 턴오프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S360).
한편, 방송 모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310), 제1제어부(150)는 셋탑박스(100)에 수신된 복수의 영상신호 중 제2영상신호를 처리한다(S370). 그리고 이 처리된 제2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달되면, 제2제어부(250)는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게 한다(S380).
이로써, 영상공급장치(300)의 전원 상태를 전환함에 대응하여,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 상태가 전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공급장치(3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킬 때에, 셋탑박스(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을 턴오프시키거나 또는 영상공급장치(300)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아닌 다른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제1신호송신부(130)와 제2신호수신부(240), 제2신호송신부(230)와 제1신호수신부(140)가 직접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표현했으나, 어느 하나의 영상처리장치(100, 200)가 광신호를 직접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제2실시예로 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셋탑박스(100a)에 설치된 제1신호송신부(130a) 및 제1신호수신부(140a)는, 각각 광신호를 직접 송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마련된 제2신호수신부(240) 및 제2신호송신부(230)와의 사이에 광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이 광신호를 변환시키는 인터페이스유닛(400)이 마련된다.
인터페이스유닛(400)은 제1신호송신부(130a)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제2신호수신부(240)로 전달하며, 제2신호송신부(230)로부터 송신 된 광신호를 제1신호수신부(140a)가 수신할 수 있는 신호 특성으로 변환 처리하여 제1신호수신부(140a)로 전달한다. 인터페이스유닛(400)은 셋탑박스(100a)에 내장 설치되거나 또는 동글(dongle)의 형태로 셋탑박스(100a)로부터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유닛(400)이 셋탑박스(100a)에 대응하여 설치된 것으로 표현했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으며, 인터페이스유닛(400)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셋탑박스(10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 및 복수의 외부기기(미도시)가 셋탑박스(100)와 광신호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마련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턴온/턴오프될 때에만 셋탑박스(100)의 전원이 그에 대응하여 턴온/턴오프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셋탑박스(100)로 송신하는 광신호에는, 상기 광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송신된 것임을 제1제어부(150)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제2제어부(250)가 생성하여 셋탑박스(100)로 송신하며, 제1제어부(150)는 수신한 광신호로부터 이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광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것임을 판단한다.
여타 외부기기(미도시)가 송신하는 광신호에는 상기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외부기기(미도시)의 전원이 전환되더라도 셋탑박스(100)의 전원은 전환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제어부(150)는 상기 식별정보가 포함된 광신호가 수신 또는 차단됨에 따라서 셋탑박스(1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원이 전환됨에 대응하여 셋탑박스(100)의 전원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 전원의 턴온에 대응하여 셋탑박스의 전원이 턴온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1의 영상처리장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 전원의 턴오프에 대응하여 셋탑박스의 전원이 턴오프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공급장치 전원의 턴오프에 대응하여 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셋탑박스 120 : 제1영상처리부
130 : 제1신호송신부 140 : 제1신호수신부
150 : 제1제어부 200 : 디스플레이장치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제2영상처리부
230 : 제2신호송신부 240 : 제2신호수신부
250 : 제2제어부 300 : 영상공급장치

Claims (15)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처리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신호를 수신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기 설정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설정을 지정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영상정보를 포함하면 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복수의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신호를 수신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신호를 광신호로 처리하거나, 또는 수신된 광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신호수신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처리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외부영상처리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단계의 이전 시점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영상처리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차단하지 않도록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신호가 영상정보를 포함하면 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복수의 상기 외부 영상처리장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122733A 2007-11-29 2007-11-2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1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733A KR101315414B1 (ko) 2007-11-29 2007-11-2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602008004067T DE602008004067D1 (de) 2007-11-29 2008-10-27 Videoverarbeitungs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dafür
EP08167644A EP2068560B1 (en) 2007-11-29 2008-10-27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2/273,848 US9100626B2 (en) 2007-11-29 2008-11-19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733A KR101315414B1 (ko) 2007-11-29 2007-11-2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75A true KR20090055875A (ko) 2009-06-03
KR101315414B1 KR101315414B1 (ko) 2013-10-07

Family

ID=4046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733A KR101315414B1 (ko) 2007-11-29 2007-11-2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0626B2 (ko)
EP (1) EP2068560B1 (ko)
KR (1) KR101315414B1 (ko)
DE (1) DE60200800406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245A1 (ko) * 2019-02-18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7022B (en) 1997-02-19 2001-08-01 Sanyo Electric Co Television receiver
JP2001008130A (ja) 1999-06-23 2001-01-12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の制御装置
KR20010011565A (ko) * 1999-07-29 2001-02-15 윤종용 절전기능을 갖춘 tv시스템
US6591314B1 (en) * 1999-08-30 2003-07-08 Gateway, Inc. Video input selection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050073518A1 (en) * 2003-10-02 2005-04-07 Raymond Bontempi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power status of a display device
KR100681627B1 (ko) * 2004-06-04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재생기기의 비디오 출력 자동 제어 방법
KR101111913B1 (ko) * 2006-01-05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080019445A (ko) * 2006-08-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8418194B2 (en) * 2007-08-31 2013-04-09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8560B1 (en) 2010-12-22
KR101315414B1 (ko) 2013-10-07
US9100626B2 (en) 2015-08-04
US20090141181A1 (en) 2009-06-04
DE602008004067D1 (de) 2011-02-03
EP2068560A1 (en)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955B1 (ko) 대기전력 최소화를 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5683790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EP2178295B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US7554614B2 (en) Remote control system
EP2381678B1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pairing method thereof
US89652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357029A (ja) 信号選択装置及び信号選択方法
US20080297655A1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device control method
JP2009141537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リピータ機器
US20090054003A1 (en) Wireless video system controlled according to control command of external device, wireless video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video system
JP5609010B2 (ja) Av機器制御装置
KR101315414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10391A (ja) 放送受信機
JP5171428B2 (ja) 電子機器
JP2018074505A (ja) 受信システム、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操作方法
JP5878559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KR101018483B1 (ko) 디지털 기기 시스템
JP5996929B2 (ja) 映像無線伝送装置
KR101463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상태에 연동한 소스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09188727A (ja) 表示装置
JP2012156728A (ja) 映像表示装置
JP2022188890A (ja) 映像信号出力装置
JP2002247479A (ja) ビデオ無線送受信システム
KR100693595B1 (ko) 무선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1071664A (ja) 機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