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509A - 밸런스 샤프트 유닛 - Google Patents

밸런스 샤프트 유닛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509A
KR20090055509A KR1020080119508A KR20080119508A KR20090055509A KR 20090055509 A KR20090055509 A KR 20090055509A KR 1020080119508 A KR1020080119508 A KR 1020080119508A KR 20080119508 A KR20080119508 A KR 20080119508A KR 20090055509 A KR20090055509 A KR 20090055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shaft
housing element
gears
gear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755B1 (ko
Inventor
마이클 쇼베르
안드레아스 횔쯜
롤란트 마르지
Original Assignee
마그나 파워트레인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나 파워트레인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마그나 파워트레인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5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2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 F16F15/26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of crankshaft systems using solid masses, other than the ordinary pistons, moving with the system, i.e. masses connected through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 F16F15/264Rotating balance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2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 F16F15/26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of crankshaft systems using solid masses, other than the ordinary pistons, moving with the system, i.e. masses connected through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6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31I.C. [internal combustion] engin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73Cranks and wrist pins
    • Y10T74/2183Counterbalanc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73Cranks and wrist pins
    • Y10T74/2183Counterbalanced
    • Y10T74/2184Vibration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tary Pump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밸런스 웨이트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밸런스 샤프트와, 이 밸런스 샤프트가 저널링되는 하우징 요소를 구비하는 차량 내연 기관의 질량 균형을 위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제1 기어는 밸런스 샤프트에 결합되어 제2 기어와 맞물린다. 하우징 요소에는 조립 개구로부터 시작하여 2개의 기어 중 하나 이상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는 도입 통로가 형성되고, 도입 통로는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도입 통로의 연장 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하우징 요소는 조립 개구의 둘레를 하나의 부재로 둘러싸며,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대한 법평면에서 하우징 요소의 외측에 있는 조립 개구의 길이는 2개의 기어의 직경의 합보다 작다. 이에 의해, 특히 높은 안정성이 달성된다.

Description

밸런스 샤프트 유닛{BALANCE SHAFT UNI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연 기관의 관성력 및/또는 관성 모멘트의 균형을 위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밸런스 샤프트의 목적은 내연 기관에서 발생하는 관성력 및/또는 관성 모멘트의 균형을 잡는 것(소위, 질량 균형)이다. 특정한 엔진 타입, 예컨대 실린더가 4개인 직렬 엔진의 경우에, 그러한 밸런스 샤프트는 쌍별로 사용되고, 밸런스 샤프트는 크랭크샤프트 속도의 2배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밸런스 샤프트 뿐만 아니라 이 샤프트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들은 고속으로 인해 고부하를 받기 때문에,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하우징과 그러한 밸런스 샤프트 또는 밸런스 샤프트 쌍을 갖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부하를 견디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관성력 및 관성 에너지를 신뢰성 있게 보정하는 공지된 밸런스 샤프트 유닛은 바람직하지 않게 복잡하고/복잡하거나 제조 비용이 비싸며/비싸거나 조립될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다.
비용에 대한 압박 증가와 엔진 영역에서 유효한 구조 공간에 대해 끊임없이 커지는 제한을 고려하기 위하여, 공지된 밸런스 샤프트 유닛에 밸런스 샤프트와 함께 작동하도록 추가 조립체를 통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밸런스 샤프트 샤프트 유닛에 오일 펌프가 통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 펌프 밸런스 샤프트 모듈은 여전히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아서 조립시에 매우 노동 집약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안정성과 간단한 조립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신뢰성 있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안정성과 간단한 조립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신뢰성 있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밸런스 샤프트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도입 통로를 통과하는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밸런스 샤프트 유닛 12: 엔진
14, 14': 밸런스 샤프트 16: 구동 연결부
18: 밸런스 웨이트 19: 입력 기어
20; 구동 샤프트 22: 펌프
24: 트랜스미션 스테이지 26: 밸런스 샤프트 기어
28: 구동 샤프트 기어 30: 하우징 요소
32: 조립 슬릿 33: 도입 통로
34: 도입 방향 36: 회전축
37: 도입 개구 38: 회전축
39: 도입 개구 40, 42: 조립 운동
44: 조립 윈도우 46; 베어링
47: 베어링 플레이트 48, 50: 기능 유닛
52: 하우징 커버 54, 54': 기어 55: 동기 스테이지
내연 기관의 질량 균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웨이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샤프트와, 이 밸런스 샤프트가 저널링되는 하우징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기어는 밸런스 샤프트에 관련되어 제2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구동 스테이지를 구성한다. 예컨대, 제1 기어는 밸런스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는 반면에, 제2 기어는 펌프의 구동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거나(트랜스미션 스테이지 구성)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동기 스테이지의 구성). 예컨대, 밸런스 샤프트와 펌프 구동 샤프트 사이의 트랜스미션 스테이지와 밸런스 샤프트와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 사이의 동기 스테이지를 모두 실현하기 위하여 추가의 기어가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 요소는 그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개구를 갖는다. 하우징 요소에는 조립 개구로부터 시작하여 2개의 기어 중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는 도입 통로가 형성된다. 도입 통로는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수직으로, 즉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기어와, 이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는 도입 통로의 연장 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조립 개구는 종축에 대해 하우징 요소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의 축방향 단부면측들 중 하나에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2개의 기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밸런스 샤프트의 조립을 위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다.
하우징 요소는 조립 개구의 둘레를 하나의 부재로 둘러싼다. 달리 말해서, 하우징 요소는 조립 개구의 주위에서 그 외측이 주변과 폐쇄되고 조립 개구에서 어떠한 결합면을 갖지 않는다. 또한,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대한 법평면에서(즉, 밸런스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수직 방향을 따라) 하우징 요소의 외측에 있는 조립 개구의 길이는 조립 목적을 위해 조립 개구를 통해 도입 통로를 따라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되는 2개의 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직경보다 명백히 크다. 그러나, 조립 개구의 길이는 2개의 기어(구동 스테이지의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직경들의 합보다는 작다. 따라서,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가 특히 안정적이도록 하우징 요소의 표면에서 작은 연장부를 갖는다. 조립 개구의 영역에서 하우징 요소의 하나의 부재 구성에 의해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높은 안정성이 보장되고, 또한 하우징 요소가 얇은 벽으로 제조되며 이에 따라 가볍고 자체가 복수 개의 조립 단계를 통해 복잡하고/복잡하거나 값비싼 방식으로 조립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2개의 기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관련된 샤프트와 별개로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각 기어는 조립 개구를 통해 도입 통로를 따라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되고, 거기에서, 즉 하우징 요소의 내측에서 밸런스 샤프트에 또는 구동 샤프트에 또는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에 연결된다.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기어 또는 기어들을 위한 별개의 조립 개구의 특별한 이점은 기어가 미리 조립된 완벽한 밸런스 샤프트의 도입을 위한 조립 개구에 비해서 조립 개구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어, 밸런스 샤프트의 축방향 도입을 위한 추가의 도입 개구가 제공되더라도 하우징 요소가 매우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적은 개수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은 적고 간단한 단계로 조립될 수 있고, 그 결과 추가로 비용이 절감된다.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개수와 필요한 조립 단계의 감소는 또한 제조시에 공정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의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슬릿에 의해 형성되고, 슬릿의 종방향 연장부는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대한 법평면에서(즉,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하우징 요소의 표면에서 슬릿의 종방향 연장부는 하우징 요소의 내측에서 각 기어의 구조에 대응한다. 슬릿형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의 벽에 불필요한 큰 개구를 동시에 제공하는 일없이 구동 스테이지의 기어 또는 기어들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크다. "슬릿형"이라는 용어는 조립 개구가 반드시 좁고 직사각형인 윤곽을 갖는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조립 개구는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태, 또한 불규칙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직사각형 윤곽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조립 개구는 기어들 중 가장 큰 기어의 윤곽에 적어도 대응하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에, 보다 작은 모든 기어는 마찬가지로 이 조립 개구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다. 기어들의 구성에 따라, 조립 개구의 기하학적 형태는 모든 기어들이 조립 개구를 통해 끼워지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조립 개구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요소의 외측에 있는 조립 개구의 폭은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즉,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도입 통로를 통해 도입될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기어의 두께에 대응하고, 조립 개구를 통해 각각의 기어를 접촉 없이 또는 적어도 마찰 없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필요한 간극이 마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의 안정성에 관하여 유리한 효과로서 최소로 필요한 폭을 갖는다. 여러 구동 스테이지들의 복수 개의 기어가 조립 개구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가정하면(예컨대, 트래스미션 스테이지의 기어와 동기 스테이지의 기어), 조립 개구의 폭은 (다시 필요한 간극을 고려하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기어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도입 통로가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사용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고,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하우징 요소는 내연 기관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그러한 수직 도입 통로는 기어들을 위한 윤활유 공급 수단 또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추가 윤활 지점을 동시에 형성하는 목적을 추가로 담당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사용 위치에서, 윤활유는 내연 기관으로부터 하방으로 조립 개구를 통해 도입 통로를 따라 여러 윤활 지점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요소는 조립 개구의 주위에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하우징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부재가 저널링되는 베어링 섹션과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달리 말해서, 베어링 섹션(예컨대, 베어링 플레이트)은 하우징 요소와 일체로 제조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 요소의 안정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다른 개량에 따르면, 펌프의 구동 샤프트가 하우징 요소 내에 더 저널링되고, 제2 기어는 구동 샤프트와 결합되고 펌프의 구동 샤프트에 연결, 특히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밸런스 샤프트와 펌프의 구동 샤프트를 서로 구동-동작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를 구성한다. 달리 말해서, 펌프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하우징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된다. 펌프와 밸런스 샤프트는 함께 구동되고, 트랜스미션 스테이지에 의해 구동-동작하는 커플링이 달성된다. 이 펌프와 밸런스 샤프트의 커플링은 별개의 구동 경로가 밸런스 샤프트와 펌프에 마련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콤팩트한 구조를 허용하고 구성요소들의 효율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유리한 양태는 하우징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펌프의 하우징을 구성한다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형태로 밸런스 샤프트 유닛에 펌프를 일체화하면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기능성이 손상되는 일 없이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감소가 가능하다.
펌프와 밸런스 샤프트가 밸런스 샤프트의 종축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특히 콤팩트한 방식의 구조가 생기고,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는 펌프와 밸런스 샤프트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점에서, 펌프의 구동 샤프트와 밸런스 샤프트는 공축상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단,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미션 스테이지가 펌프와 밸런스 샤프트 사이에서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시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결정적이다. 그러나, 특정한 용례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는 펌프와 밸런스 샤프트가 트랜스미션 스테이지의 측부에 함께 배치되도록 밸런스 샤프트의 단부면측들 중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밸런스 샤프트는 펌프가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작동 중에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를 통해 밸런스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내연 기관으로부터 구동 토크를 받는 입력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펌프의 구동 샤프트는 밸런스 샤프트가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작동 중에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를 통해 펌프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내연 기관으로부터 구동 토크를 받는 입력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내연 기관은 먼저 밸런스 샤프트를 구동시키고, 이어서 전술한 제1 변형예에서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를 통해 펌프가 구동된다. 제2 변형예는 구동 순서의 역전을 설명하고 있다. 구동 순서에 상관없이, 밸런스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 사이의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는 펌프의 구동 샤프트가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작동시에 밸런스 샤프트보다 더 느리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변형예에서, 펌프의 구동 샤프트의 회전이 감소된다. 제2 변형예에서는, 밸런스 샤프트의 회전 속도가 증가된다.
펌프용의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를 구비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구성과 달리또는 그 구성에 추가하여, 밸런스 샤프트 유닛은 하우징 요소 내에 저널링되는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어는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에 관련되고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에 연결, 특히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밸런스 샤프트와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를 서로 구동-동작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동기 스테이지를 구성한다. 펌프용 트랜스미션 스테이지와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용 동기 스테이지가 모두 제공된다면, 밸런스 샤프트 유닛은 2개보다 많은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제2 기어들" 중 하나는 실제로 제3 기어나 제4 기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 샤프트 유닛 중 적어도 일부가 압입, 특히 수축 결합에 의해 관련 샤프트(예컨대, 구동 샤프트나 밸런스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특히 콤팩트하고 견고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미션 스테이지 또는 동기 스테이지는 스퍼 기어이다.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도입을 위한 전술한 조립 개구와 유사하게, 밸런스 웨이트가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을 위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립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조립 개구를 통해 도입 경로를 따라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2개의 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입과 조립 위치에서 각 기어의 위치 결정을 포함하고, 이후에 각 기어에 결합되는 샤프트는 하우징 요소 내측에서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기어에 결합되는 샤프트는 예컨대 관련된 도입 개구를 통해 하우징 요소 내로 축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다.
관련 샤프트를 각 기어에 연결하는 특히 효율적인 방법은 수축 공정을 포함한다. 각 기어에 대한 샤프트의 연결 전에 샤프트가 냉각되고/냉각되거나 기어가 가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조립 개구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외에, 이 기어 부근에서 축방향으로 조립 개구와 도입 통로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기어가 도입되어 조립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고, 이후에 추가의 기어에 결합되는 샤프트가 하우징 요소 내에서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이에 의해, 기어와 추가의 기어는 하우징 요소의 내측에서 서로 인접하게 축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고, 조립 개구는 하우징 요소가 높은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도록 최소의 윤곽을 갖는다.
조립 순서에 관해서는, 특히 이하의 3개의 변형예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가능하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조립 개구와 도입 통로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고, 동시에 각 조립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이후에 밸런스 샤프트는 단지 제1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제2 기어에 결합되는 샤프트는 제2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평행 조립). 이 변형예는 2개의 기어가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의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효율적이다.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도입 및 유지는 각각의 파지 장치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예컨대 하나의 파지 장치는 다른 파지 장치의 주위에서 연동한다. 이 목적을 위해 조립 개구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제1 기어는 제1 조립 단계에서 조립 개구와 도입 통로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고, 이후에 밸런스 샤프트가 제1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립 단계에서, 제2 기어가 조립 개구 및 도입 통로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고, 이후에 제2 기어에 결합되는 샤프트가 제2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 제1 조립 단계는 제2 조립 단계 전에 또는 후에 수행된다. 따라서, 2개의 조립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된다(순차 조립). 이는 기어의 취급을 간소화시킨다. 이 경우에, 조립 개구의 길이는 도입될 기어들 중 가장 큰 기어의 직경과 파지 장치에 필요한 자유 공간의 합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변형예에 따르면, 2개의 기어들 중 단하나가 조립 개구및 도입 통로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되고, 2개의 기어들 중 다른 하나는 하우징 요소의 관련 도입 개구를 통해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구동 스테이지의 단하나의 단일 기어가 조립 개구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하우징 요소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단순히 일례로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의 엔진(12)에 연결되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을 도시하고 있다.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은 개략적으로만 도시한 구동 연결부(16)를 통해 엔진(12)의 크랭크 샤프트(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밸런스 샤프트(14)를 포함한다. 밸런스 샤프트(14)에는 이 밸런스 샤프트(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 밸런스 웨이트(18)가 마련되어 있다. 밸런스 웨이트(18)에 의해 유발되는 밸런스 샤프트(14)의 불균형은 엔진(12)의 자유로운 관성력/관성 모멘트에 대항하여 엔진의 작동 소음 및 진동을 경감시킨다. 구동 연결부(16)는, 예컨대 기어, 체인 및/또는 치형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밸런스 샤프트(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 입력 기어(19)가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밸런스 샤프트(14)는 펌프(22)의 구동 샤프트(20)에 구동-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연결은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에 의해 달성된다.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는 밸런스 샤프트(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 밸런스 샤프트 기어(26)와 구동 샤프트(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 구동 샤프트 기어(28)를 포함한다.
엔진(12)의 작동 중에, 밸런스 샤프트(14)가 먼저 구동되고, 이어서 펌프(22)를 구동시키는데, 이 펌프는, 예컨대 윤활유의 운반을 책임진다. 변형예에 있어서, 밸런스 샤프트(14)의 구동은 또한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22)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구동 순서가 바뀐다.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은 일체로 이루어지고 밸런스 샤프트(14)와 구동 샤프트(20)가 내부에 저널링되는 하우징 요소(30)를 구비하는데, 도 1에는 저널링에 대해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는다. 하우징 요소(30)는 또한 펌프(22)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복수 개의 기능(질량 균형 및 윤활유 운반)을 충족시키고 효율적인 구동 개념을 갖는 콤팩트한 조립체가 생긴다. 하우징 요소(30)의 1 부품 구성은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그 조립에 필요한 단계를 감소시킨다.
조립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하우징 요소(30)는 도입 통로(33; 점선으로 도시됨)로서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연속되는 조립 슬릿(32; 마찬가지로 점선으로 도시됨)의 형태로 외측에 측방향 조립 개구를 가지며, 이 조립 개구를 통해 밸런스 샤프트 기어(26)와 밸런스 샤프트 기어(28)가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도입 통로(33)는 밸런스 샤프트(14) 또는 구동 샤프트(20)의 회전축(36, 38)에 대해 수직으로, 즉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어(26, 28)는 도입 통로(33)의 반경 방향 연장 방향에 대해 하우징 요소(30) 내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도입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34)에 의해 나타내는 하우징 요소(30) 내로의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의 기어(26, 28)의 도입 후에, 밸런스 샤프트(14)와 구동 샤프트(20)는 기어(26, 28)와 각각 결합할 때까지 각각의 도입 개구(37, 39)를 통해 각자의 회전축(36, 38)을 따라 하우징 요소(30) 내로 삽입된다[대응하는 조립 운동을 유형화하는 화살표(40, 42)로 각각 나타냄]. 이를 위한 요건은 기어(26, 28)가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기어들과 각각 결합되는 샤프트(14, 20)가 기어(16, 28)의 대응하는 보어(도시 생략) 내로 압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밸런스 웨이트(18)가 또한 밸런스 샤프트(14)에 결합되도록 측방향 조립 윈도우(44)를 통해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밸런스 웨이트(18)의 보어를 통해 밸런스 샤프트(14)를 "억지로 밀어넣음"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18)는 수축 결합, 나사 결합, 용접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밸런스 샤프트(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기어(26, 28)와 샤프트(14 또는 20) 간의 바람직한 결합은, 예컨대 열수축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압입이 대표적이다. 이를 위해, 기어(26, 28)가 조립을 위해 가열되고/가열되거나 샤프트(14, 20)가 냉각되어 샤프트(14, 20)가 기어(26, 28)의 보어 내로 실질적으로 저항 없이 삽입될 수 있다. 온도 수준을 조절하면, 샤프트(14, 20)가 팽창하는 반면에, 기어(26, 28)의 보어 직경이 감소된다. 달리 말해서, 기어(26, 28)가 샤프트(14, 20) 상에서 "수축"되어, 지정된 구성요소들이 매우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결합된다. 밸런스 웨이트(18)는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밸런스 샤프트(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실시예에서,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또는 달리 말해서, 샤프트(14, 20)의 회전축(36, 38)에 평행한 방향으로] 밸런스 샤프트(14)와 펌프(22)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축(36, 38)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오프셋된다. 이 기하학적 구조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슬림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밸런스 샤프트(14)와 펌프(22)를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의 측부에 배치하는 것이 대체로 가능하고, 그 결과 구성이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연속적인" 구조의 결과로, 조립 슬릿(32)은 하우징 요소(30)의 단부면측 중 하나가 아니라 하우징 요소(30)에서 측방향으로 배치된다.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조립시에 단부면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샤프트(14, 20)가 대응하는 개구를 통해 도입된다.
조립 슬릿(32)의 신장형 윤곽은 도 1에 도시한 도면에서는 인식할 수 없지만,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축(36, 38)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하측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어(28)의 윤곽보다 약간 큰 윤곽의 치수는 기어(26, 28)의 도입에 대체로 충분하다. 기어(26, 28)의 상이한 길이/폭 비율과 관련하여, 조립 슬릿은 간단한 직사각형 형태와 다른 윤곽을 가질 수 있고, 예컨대 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요소(30)는 조립 슬릿의 둘레에서 하나의 부재로 된다. 종합적으로, 이들 조치에 의해 높은 안정성의 하우징 요소(30)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다른 이점은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이 간단한 방식으로 미리 조립될 수 있고, 이어서 엔진(12)에 고정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샤프트(14, 20)를 지지하는 하우징 요소(30)의 일체식 구조에 의해 구성요소들의 신뢰성 있고 정확하게 정렬된 저널링이 자동적으로 보장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다른 실시예의 보다 상세한 묘사를 그 사용 위치에서 도시하고 있다. 밸런스 샤프트 유닛은 밸런스 웨이트(18)를 각각 갖는 2개의 밸런스 샤프트(14, 14')를 포함한다. (도 2의 상부에 있는) 밸런스 샤프트(14)는 (도 2의 하부에 있는) 밸런스 샤프트(14')보다 종방향으로 크게 연장된다. 밸런스 샤프트(14)는 도 2의 우측 단부에서 엔진(12)[도 3의 입력 기어(19)와 비교됨]에 구동 연결된다. 상이한 종방향 연장에도 불구하고, 2개의 밸런스 샤프트(14, 14')는 그 밸런스 웨이트(18)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진동 및 소음 감쇠 효과를 생성한다.
밸런스 샤프트(14, 14')는 하우징 요소(30)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베어링 플레이트(47) 내로 삽입된 베어링(46) 내에 저널링된다.
밸런스 샤프트(14, 14')와 밸런스 웨이트(18)의 저널링을 포함하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일부는 질량 균형을 위한 기능 유닛(48)을 구성한다. 다른 기능 유닛(50)은 구동 샤프트(20)가, 예컨대 엔진(12)을 위한 윤활유의 제공을 책임지는 펌프(22)를 포함한다. 펌프(22)(예컨대, 베인 펌프)의 구성은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펌프(22)는 그 자체의 하우징을 갖지 않는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하우징 요소(30)의 섹션은 펌프(22)의 구동 샤프트(20)와 다른 구성요소들만이 조립체에서 하우징 요소(30)의 대응하게 형성된 절취부 내로 도입되도록 펌프(22)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따라서, 도 2의 좌측에서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단부면측은 하우징 커버(52)에 의해 폐쇄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 유닛(48, 50) 사이에는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가 배치된다. 트랜스미션 스테이지는 밸런스 샤프트 기어(26)와 구동 샤프트 기어(28) 외에, 밸런스 샤프트(14, 14') 사이에 구동-동작 연결을 달성하도록 동기 스테이지(55)를 구성하는 2개의 추가적인 기어(54, 5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어(54)는 밸런스 샤프트 기어(26)의 중공 샤프트 섹션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식으로 배치되어 함께 하나의 유닛을 구성한다. 이 유닛은 미리 조립되거나 단지 하우징 요소(30) 내측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이 유닛은 대체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동기 스테이지(55)의 기어(54)는 밸런스 샤프트 기어(26)와 별개로 밸런스 샤프트(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밸런스 샤프트(14, 14')는 동일한 속도로 그러나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동기 스테이지(55)의 기어(54, 54')는 밸런스 샤프트(14)의 회전 운동에 대해 밸런스 샤프트(14')의 회전 운동의 스텝다운 또는 스텝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펌프(22)는 밸런스 샤프트(14, 14')보다 낮은 속도로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어(26, 28)[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를 통한 밸런스 샤프트(14)와 펌프(22)의 구동 샤프트(20)의 구동-동작 연결은 밸런스 샤프트(14)의 회전 운동의 속도 경감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조립 슬릿(32)은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사용 위치에서 엔진의 하부측에 인접하는 밸런스 샤프트 유닛(10)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도입 통로(33)는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 요소(30)는 또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립 슬릿(32)의 둘레를 하나의 부재로 둘러싼다. 하우징 요소(30)의 표면에서, 조립 슬릿(32)은 길이가 [기어(26, 28, 54, 54') 중 가장 큰 직경을 갖는] 구동 샤프트 기어(28)의 직경에 대략 대응하고 폭이 중공 샤프트 섹션을 포함하는 밸런스 샤프트 기어(26)의 축방향 두께에 대응하는 거의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다[밸런스 샤프트 기어(26)는 기어(26, 28, 54, 54')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짐]. 동시에, 이 폭은 구동 샤프트 기어(28)의 축방향 두께와 기어(54')의 축방향 두께의 합에 대응한다. 조립 슬릿(32)의 윤곽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샤프트 기어(28)의 직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구동 샤프트 기어(28)는 구동 샤프트(20)에 대한 결합 중에 정렬을 목적으로 2개의 로봇 그립 또는 다른 파지 장치에 의해 측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기어(26, 28) 중에 큰 기어(28)가 조립 슬릿(32)의 도입 방향(34)에 대하여 2개의 기어(26, 28) 중에 작은 기어(26)의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조립은 대체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절차에 따라 발생한다. 특히, 기어(26, 28, 54, 54') 중 적어도 하나(또는 그 이상 또는 전부)가 각자의 파지 장치에 의해 조립 개구(32)를 통해 그리고 도입 통로(33)를 따라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되고 거기서 조립 위치에서 유지되며, 이후에 샤프트(14, 14', 20)가 하우징 요소(30) 내로 축방향으로 도입되어 수축 공정을 기초로 하여 하우징 요소(30) 내에서 각각의 기어(26, 28, 54, 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이 점에서, 모든 기어(26, 28, 54, 54')가 먼저 하우징 요소(30) 내로 도입되고 기어들이 단지 이후에 샤프트[14, 14', 20]에 결합되는 것(평행 조립)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각 하나의 기어가 도입되어 관련 샤프트에 결합된 후에, 다음의 기어가 도입되어 관련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순차 조립). 또한, 2개의 기어(28과 54'또는 26과 54)가 하우징 요소(30) 내로 동시에 도입되고 각자의 조립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음으로써, 예컨대 4개의 기어(26, 28, 54, 54')가 관련 샤프트(14, 14', 20)에 쌍별로 도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더욱이, 기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예컨대, 구동 샤프트 기어(28)]가 적절한 도입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하우징 요소(30) 내에 도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4)

  1. 차량 내연 기관의 질량 균형을 위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밸런스 웨이트(18)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밸런스 샤프트(14) 및 이 밸런스 샤프트(14)가 저널링되는 하우징 요소(30)를 포함하고, 제1 기어(26, 54)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에 결합되어 제2 기어(28, 54')와 맞물리며, 상기 하우징 요소(30)는 하나 이상의 조립 개구(32)를 갖고,
    상기 하우징 요소(30)에는 상기 조립 개구(32)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 가능한 도입 통로(33)가 형성되고, 상기 도입 통로(33)는 밸런스 샤프트(14)의 종축(36)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기어(26, 54)와 상기 제2 기어(28, 54')는 상기 도입 통로(33)의 연장 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요소(30)는 상기 조립 개구(32)의 둘레를 하나의 부재로 둘러싸며,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의 종축(36)에 대한 법평면(normal plane)에서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외측에 있는 상기 조립 개구(32)의 길이는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 중 적어도 하나의 직경보다 크지만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의 직경의 합보다는 작은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외측에 있는 상기 조립 개구(32)는 종방향 연장부가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의 종축(36)에 대한 법평면에서 연장되는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의 종축(36)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외측에 있는 상기 조립 개구(32)의 폭은 상기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한 기어(26, 28, 54, 54')의 두께 또는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개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통로(33)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사용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립 개구(32)는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 중 큰 기어는 상기 도입 통로(33)의 연장 방향에 대해 상기 2개의 기어 중 작은 기어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요소(30)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가 저널링되는 베어링 섹션(47)과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요소(30) 내에는 펌프(22)의 구동 샤프트(20)가 저널링되고, 상기 제2 기어(28)는 상기 구동 샤프트(2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26)와 제2 기어(38)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와 상기 펌프(22)의 구동 샤프트(20)를 서로 구동-동작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를 구성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요소(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펌프(22)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2)와 상기 밸런스 샤프트(14)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의 종축(36)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는 상기 펌프(22)와 상기 밸런스 샤프트(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요소(30)는 도입 개구(39)를 갖고, 이 도입 개구를 통해 상기 펌프(22)의 구동 샤프트(20)가 상기 제2 기어(28)와 별개로 상기 하우징 요소(30) 내로 축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어(26)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와 별개로 상기 조립 개구(32)를 통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 가능한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샤프트(14)는 상기 펌프(22)가 상기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작동 중에 상기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를 통해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내연 기관으로부터 구동 토크를 받는 입력 부재(19)를 갖고, 상기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는 상기 구동 샤프트(2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2)의 밸런스 샤프트(20)는 상기 출력 샤프트(14)가 상기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작동 중에 상기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를 통해 상기 펌프(22)의 밸런스 샤프트(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내연 기관으로부터 구동 토크를 받는 입력 부재를 갖고, 상기 트랜스미션 스테이지(24)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샤프트 유닛은 하상기 우징 요소(30) 내에 저널링되는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54')는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14')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54)와 제2 기어(54')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와 상기 추가의 밸런스 샤프트(14')를 서로 구동-동작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동기 스테이지(55)를 구성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26, 28, 54, 54')는 압입에 의해 관련된 샤프트(14, 14', 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요소(30)는 하나 이상의 제2 조립 개구(44)를 갖고, 이 제2 조립 개구를 통해 상기 밸런스 웨이트(18)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을 위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 가능한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요소(30)는 도입 개구(37)를 갖고, 이 도입 개구를 통해 상기 구동 샤프트(14)는 상기 제1 기어(26, 54)와 별개로 상기 하우징 요소(30) 내로 축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어(26, 54)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14)와 별개로 상기 조립 개구(32)를 통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 가능한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내연 기관의 질량 균형을 위한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조립 개구(32)를 통해 상기 도입 통로(33)를 따라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하고 조립 위치에서 유지하며, 이후에 기어와 결합되는 샤프트(14, 14', 20)를 상기 하우징 요소(30) 내에서 상기 기어(26, 28, 54, 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26, 28, 54, 54')와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14, 14', 20)는 상기 하우징 요소(30) 내로 축방향으로 도입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26, 28, 54, 54') 및 이 기어(26, 28, 54, 54')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14, 14', 20)는 수축 공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26, 28, 54, 54')와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14, 14', 20)에 대한 상기 기어(26, 28, 54, 54')의 결합 전에, 상기 샤프트(14, 14', 20)가 냉각되거나, 상기 기어(26, 28, 54, 54')가 가열되거나, 상기 샤프트(14, 14', 20)의 냉각과 상기 기어(26, 28, 54, 54')의 가열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26, 28) 부근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조립 개구(32)를 통해 상기 도입 통로(33)를 따라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의 기어(54, 54')를 도입하고 조립 위치에서 유지하며, 이후에 상기 추가의 기어와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14')를 상기 하우징 요소(30) 내에서 상기 기어(54, 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26, 54)와 제2 기어(28, 54')는 상기 조립 개구(32)와 상기 도입 통로(33)를 통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되고 각각의 조립 위치에서 동시에 유지되며, 이후에 상기 밸런스 샤프트(14)는 상기 제1 기어(26, 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28, 54')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14', 20)는 상기 제2 기어(28, 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26, 54)는 제1 조립 단계에서 상기 조립 개구(32)와 상기 도입 통로(33)를 통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되고, 이후에 상기 밸런스 샤프트(14)가 상기 제1 기어(26, 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2 기어(28, 54')는 제2 조립 단계에서 상기 조립 개구(32)와 상기 도입 통로(33)를 통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되고, 이후에 상기 제2 기어(28, 54')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14', 20)는 상기 제2 기어(28, 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 조립 단계는 상기 제2 조립 단계 전에 또는 후에 수행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 중 단 하나가 상기 조립 개구(32)와 상기 도입 통로(33)를 통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도입되고, 상기 2개의 기어(26, 28, 54, 54')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관련된 도입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요소(30)의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도입되는 것인 밸런스 샤프트 유닛의 조립 방법.
KR1020080119508A 2007-11-28 2008-11-28 밸런스 샤프트 유닛 KR101514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7338.5 2007-11-28
DE102007057338 200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509A true KR20090055509A (ko) 2009-06-02
KR101514755B1 KR101514755B1 (ko) 2015-04-23

Family

ID=4058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508A KR101514755B1 (ko) 2007-11-28 2008-11-28 밸런스 샤프트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0105B2 (ko)
KR (1) KR101514755B1 (ko)
DE (1) DE102008058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4589A1 (de) * 2010-01-14 2011-07-21 Audi Ag, 85057 Reihen-Brenndraftmaschine mit Mehrgelenkskurbeltrieb sowie einer einzigen Ausgleichswelle zur Tilgung von Massenkräften zweiter Ordnung
DE102010011859A1 (de) * 2010-03-18 2013-01-17 Eduard Hilberer Verbrennungsmotor für ein Hybridfahrzeug mit einer Zusatzwelle durchgehend durch den Motorblock für einen Nebenverbraucherantrieb
DE102010022134A1 (de) * 2010-05-20 2011-1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Ölpumpenmodul mit einem Ölpumpenmodulgehäuse
US9217489B2 (en) 2013-02-15 2015-12-22 Cummins Ip, Inc. Nutating balanc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078445B2 (ja) * 2013-09-26 2017-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6516213B2 (ja) * 2015-03-03 2019-05-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US10119464B2 (en) * 2016-03-11 2018-11-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ngine assembly having a cover
JP6706690B2 (ja) 2016-12-28 2020-06-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オイルポンプ及びオイルポンプ一体型のバランサ装置
JP7075783B2 (ja) * 2018-03-07 2022-05-26 日立Astemo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バランサ装置
JP2023156661A (ja) * 2022-04-13 2023-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ランサ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5321B2 (ja) 2002-03-11 2006-1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バランサー装置
CA2430025C (en) * 2002-05-31 2008-10-28 Tesma International Inc. Dual balance pump shaft assembly
DE20217472U1 (de) 2002-11-11 2003-03-13 Com Engineering Gmbh Modulares Massenausgleichs- und aggregatantriebssystem
ATE495388T1 (de) 2006-02-25 2011-01-15 Pierburg Gmbh Vorrichtung zum kräfte- und/oder momentenausgleich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2006029554A1 (de) 2006-06-26 2007-12-27 Pierburg Gmbh Vorrichtung zum Kräfte- und/oder Momentenausgleich für Brennkraftmaschinen
DE202006003027U1 (de) 2006-02-25 2006-08-03 Com Engineering Gmbh Ausgleichswellen- und Ölpumpen-Monoblockmodul mit integrierten Ausgleichswellen- und Ölpumpengetrie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58629A1 (de) 2009-06-04
KR101514755B1 (ko) 2015-04-23
US8100105B2 (en) 2012-01-24
US20090133661A1 (en)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509A (ko) 밸런스 샤프트 유닛
JP2006503213A (ja) 電気的な駆動部を備えたカム軸調節装置
EP2034219A1 (en) Reduction gear
CN108474296B (zh) 配备有改变压缩比的系统的热力发动机
US7270097B2 (en) Camshaft drive system and engine assembly
CN107690534B (zh) 内部行星减速齿轮
CN107435731B (zh) 动力传递系统
JP2006200409A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US9618079B2 (en) Balanc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ts assembly method
US7703429B2 (en) Balancing shaft unit
US20080009376A1 (en) Engine balancer
CN109653828A (zh) 轴承跨距缩小的偏心齿轮
US20060005799A1 (en) Engine having centralized mass
JPH07113424A (ja) 無段変速機のベアリング固定構造
KR101495688B1 (ko) 오일팬
CN109844365B (zh) 用于超高速减速的行星齿轮减速装置
US6283888B1 (en) Infinite speed ratio transmission device
JP2724737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軸駆動装置
JP5478599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JP6140020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WO2021187033A1 (ja) バランサ装置およびオイルポンプ付きバランサ装置
JP3762681B2 (ja) エンジン用つり合い装置のハウジング
JP2002349222A (ja) 内燃機関用バランスシャフト
RU2212552C1 (ru) Бесшатунный модульный поршнево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силовым механизмом эксцентрикового типа
JPH04321862A (ja) 変速歯車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