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639A - 차량시동스위칭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시동스위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639A
KR20090054639A KR1020070121416A KR20070121416A KR20090054639A KR 20090054639 A KR20090054639 A KR 20090054639A KR 1020070121416 A KR1020070121416 A KR 1020070121416A KR 20070121416 A KR20070121416 A KR 20070121416A KR 20090054639 A KR20090054639 A KR 20090054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knob
starting
enclos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이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규 filed Critical 이창규
Priority to KR102007012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639A/ko
Publication of KR2009005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시동스위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된 함체와, 차량배터리에 연결된 배터리단자와 차량운행장치에 연결된 운행장치단자와 시동보조장치에 연결된 시동보조장치단자와 시동장치에 연결된 시동장치단자를 가지고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단자기판과,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운행장치단자사이,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사이 및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된 시동조작부를 갖는 차량시동스위칭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면에 외함노브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함부와, 상면에 내함노브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 상기 내함노브개구의 대향영역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함노브개구가 상기 외함노브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외함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단자는 상기 차량배터리에 병렬로 연결된 제1배터리단자 및 제2배터리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기판은 상기 제1배터리단자, 상기 운행장치단자 및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함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단자기판과, 상기 제2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터리단자가 상기 외함노브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함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단자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시동조작부는 회전노브바디부와 상기 회전노브바디부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회전접촉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노브바디부가 상기 외함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접촉기둥부가 상기 내함부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노브와, 가압노브 바디부와 상기 가압노브바디부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가압접촉기둥부와 상기 가압접촉기둥부의 종단에 상기 통과공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이탈방지판을 가지고 상기 가압접촉기둥부가 상기 통과공과 상기 회전노브바디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가압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배터리단자와 상기 운행장치단자사이 및 상기 제1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접촉기둥부의 저면에 결합된 제1접촉단자와, 상기 가압노브의 가압 조작시 상기 제2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가압접촉기둥부의 저면에 결합된 제2접촉단자와, 상기 가압노브의 가압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가압노브와 상기 함체사이에 개재하는 가압노브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체에 설치된 구성품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고 시동조작이 용이해 진다.
시동, 노브, 운행장치, 이모빌라이저, 배터리

Description

차량시동스위칭장치{Device for Start Switching Operation for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설치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단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A영역의 상세도,
도5,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동작상태도,
도8은 종래의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함체 11 : 외함부
12 : 내함부 20, 120 : 단자기판
21 : 제1단자기판 22 : 제2단자기판
30, 130 : 시동조작부 31 : 회전노브
32 : 가압노브 33 : 제1접촉단자
34 : 제2접촉단자 35 : 가압노브복귀스프링
131 : 실린더 132 : 회전자
133 : 접촉단자 134 : 핀텀블러
135 : 기계키
본 발명은 차량시동스위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상태에 있는 차량을 시동상태로 전환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차체 운전석의 전면에는 차량시동스위칭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이 차량시동스위칭장치를 조작하여 정지상태에 있는 차량을 시동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도8은 종래의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차량시동스위칭장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된 함체(110)와, 함체(110)에 설치되는 단자기판(120) 및 시동조작부(130)를 갖고 있다.
함체(110)는 원형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기판(120)은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 운행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 시동보조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 및 시동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운행장치라는 용어는 전조등, 오디오, 시거잭, 히터, 에어컨 등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장치를 의미하고, 시동보조장치라는 용어는 연료회로, 점화회로 등 시동을 위해 미리 작동되어야 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시동장치라는 용어는 시동모터 등 시동에 직접 관여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자기판(120)은 함체(1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시동조작부(130)는 실린더(131)에 내장된 회전자(132)와, 회전자(132)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단자(133)와, 회전자(132)에 설치된 핀텀블러(Pin Tumbler, 134)와, 후술하는 회전자(132)의 기계키홈(132a)에 삽입되는 기계키(135)를 갖고 있다.
회전자(132)는 전 길이구간에 걸쳐 기계키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단자(133)는 기계키홈(132a)에 삽입된 기계키(135)가 회전할 때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행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사이,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보조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사이 및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핀텀블러(134)는 기계키홈(132a)에 노출되도록 회전자(132)에 설치된다.
그리고 핀텀블러(134)는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행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접촉단자(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운행장치회전위치에 기계키(135)를 구속하고,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보조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접촉단자(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장치회전위치에 기계키(135)를 구속하며,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접촉단자(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인 시동대기회전위치에 기계키(135)를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핀텀블러(134)는 기계키(135)를 시동대기회전위치를 넘어 회전시키는 동작시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다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동조작부(130)에 따르면 기계키(135)를 회전자(132)의 내부에서 회전조작함에 따라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행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사이,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보조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사이 및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계키(135)를 기계키홈(132a)에 삽입한다.
다음에 기계키(135)를 운행장치회전위치로 회전시키면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행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행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시동제어유니트의 제어에 따라 전조등, 오디오, 시거잭, 히터, 에어컨 등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장치에 전압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다음에 기계키(135)를 보조장치회전위치로 회전시키면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보조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보조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시동제어유니트의 제어에 따라 연료회로, 점화회로 등 시동을 위해 미리 작동되어야 하는 장치에 전압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다음에 기계키(135)를 시동장치회전위치로 회전시키면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시동장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연 결될 때 시동제어유니트의 제어에 따라 시동모터 등 시동에 직접 관여하는 장치에 전압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시동장치에 전압이 공급될 때 시동제어유니트는 보통 운행장치에 대한 전압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한편 차량이 운행이 끝나면 기계키(13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한 후 회전자(132)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차량시동스위칭장치는 2004년 특허출원 제7625호(발명의 명칭 : 엔진 스위칭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시동스위칭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기계키(135)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계키(135)를 갖고 다니는 경우 차량의 도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최근에는 이모빌라이저키로부터 송출되는 키정보를 미리 설정된 키정보와 비교하여 키정보적격성을 판단하는 이모빌라이저유니트를 채용하여 차량의 도난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리고 기계키(135)를 회전자(132)에 삽입한 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시동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동조작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에 설치된 구성품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고 시동조작이 용이한 차량시동스위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체에 설치된 함체와, 차량배터리에 연결된 배터리단자와 차량운행장치에 연결된 운행장치단자와 시동보조장치에 연결된 시동 보조장치단자와 시동장치에 연결된 시동장치단자를 가지고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단자기판과,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운행장치단자사이,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사이 및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된 시동조작부를 갖는 차량시동스위칭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면에 외함노브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함부와, 상면에 내함노브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 상기 내함노브개구의 대향영역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함노브개구가 상기 외함노브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외함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단자는 상기 차량배터리에 병렬로 연결된 제1배터리단자 및 제2배터리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기판은 상기 제1배터리단자, 상기 운행장치단자 및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함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단자기판과, 상기 제2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터리단자가 상기 외함노브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함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단자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시동조작부는 회전노브바디부와 상기 회전노브바디부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회전접촉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노브바디부가 상기 외함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접촉기둥부가 상기 내함부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노브와, 가압노브바디부와 상기 가압노브바디부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가압접촉기둥부와 상기 가압접촉기둥부의 종단에 상기 통과공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이탈방지판을 가지고 상기 가압접촉기둥부가 상기 통과공과 상기 회전노브바디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가압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배터리단자와 상기 운행장치단자사이 및 상기 제1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접촉기둥부의 저면에 결합된 제1접촉단자와, 상기 가압노브의 가압 조작시 상기 제2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가압접촉기둥부의 저면에 결합된 제2접촉단자와, 상기 가압노브의 가압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가압노브와 상기 함체사이에 개재하는 가압노브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동스위칭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회전노브의 회전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함부는 바닥면에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시 상기 회전접촉기둥부를 안내하는 원호상의 안내레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에 도시된 A영역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01)에 설치된 함체(10)와, 함체(10)에 설치되는 단자기판(20) 및 시동조작부(30)를 갖고 있다.
함체(10)는 상면에 외함노브개구(11a)가 형성되어 있는 외함부(11)와, 외함부(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내함부(12)를 갖고 있다.
내함부(12)는 상면에 내함노브개구(12a)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통과공(12b)과 한 쌍의 안내레일(12c)이 형성되어 있다.
통과공(12b)은 내함노브개구(12a)의 대향영역에 형성된다.
안내레일(12c)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안내레일(12c)은 회전노브(31)의 회전조작시 후술하는 회전접촉기둥부(31b)와 안내기둥부(31c)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함부(12)는 내함노브개구(12a)가 외함노브개구(11a)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단자기판(20)은 내함부(1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단자기판(21)과, 외함부(1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단자기판(22)을 갖고 있다.
제1단자기판(21)에는 제1배터리단자(21a), 운행장치단자(21b) 및 시동보조장치단자(2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배터리단자(21a), 운행장치단자(21b) 및 시동보조장치단자(21c)는 각각 요형(凹形)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배터리단자(21a)는 후술하는 제1중간단자(22c)를 통해 차량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운행장치단자(21b)는 후술하는 제2중간단자(22d)를 통해 운행장치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시동보조장치단자(21c)는 후술하는 제3중간단자(22e)를 통해 시동보조장치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단자기판(22)에는 제2배터리단자(22a), 시동장치단자(22b), 제1중간단자(22c), 제2중간단자(22d) 및 제3중간단자(22e)가 형성되어 있다.
제2배터리단자(22a)와 시동장치단자(22b)는 돌기형태로 형성된다.
제2배터리단자(22a)는 제1배터리단자(21a)와 병렬로 차량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시동장치단자(22b)는 시동장치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단자기판(22)은 제2배터리단자(22a)가 외함노브개구(11a)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시동조작부(30)는 함체(10)에 설치되는 회전노브(31) 및 가압노브(32)와, 회전노브(31)에 결합된 제1접촉단자(33)와, 가압노브(32)에 결합된 제2접촉단자(34)와, 가압노브(32)와 함체(10)사이에 개재하는 가압노브복귀스프링(35)과, 회전노브(31)와 외함부(11)의 상면사이에 개재된 회전보조스프링(36)과, 가압노브(32)에 설치된 유동제한스프링(37)을 갖고 있다.
회전노브(31)는 회전노브바디부(31a)와, 회전노브바디부(31a)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원호상의 회전접촉기둥부(31b) 및 안내기둥부(31c)를 갖고 있다.
회전접촉기둥부(31b)는 저면에 단자홈(31d)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기둥부(31c)는 회전접촉기둥부(31b)에 대하여 대략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전노브(31)는 회전노브바디부(31a)가 외함부(11)의 상 면에 지지되고, 회전접촉기둥부(31b) 및 안내기둥부(31c)가 안내레일(12c)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노브(32)는 가압노브바디부(32a)와, 가압노브바디부(32a)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가압접촉기둥부(32b)와, 가압접촉기둥부(32b)의 종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판(32c)을 갖고 있다.
이탈방지판(32c)은 통과공(12b)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노브(32)는 가압접촉기둥부(32b)가 통과공(12b)과 회전노브바디부(31a)를 통과하도록 함체(10)에 설치된다.
제1접촉단자(33)는 원호형상의 접촉판(33a)과, 접촉판(33a)의 저면에 분리 형성된 한 쌍의 제1접촉돌기(33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접촉단자(33)는 홀더스프링(38)을 통해 단자홈(31d)의 바닥면에 탄성지지되는 단자홀더(39)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제1접촉단자(33)는 회전노브(31)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제1배터리단자(21a)와 운행장치단자(21b)사이 및 제1배터리단자(21a)와 시동보조장치단자(21c)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제2접촉단자(34)는 판형태로 제작되어 가압접촉기둥부(32b)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접촉단자(34)는 가압노브(32)의 가압 조작시 제2배터리단자(22a)와 시동장치단자(22b)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가압노브복귀스프링(35)은 고리상의 판스프링형태로 형성되고, 가압노브바디 부(32a)의 저면과 회전노브바디부(31a)의 상면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압노브복귀스프링(35)은 가압노브(32)의 가압 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게 된다.
회전보조스프링(36)은 고리상의 판스프링형태로 형성되고, 회전노브바디부(31a)와 외함부(11)의 상면사이에 설치된다.
유동제한스프링(37)은 코일상의 형성되고, 이탈방지판(32c)의 상면과 내함부(12)의 바닥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동스위칭장치의 동작을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배터리단자(21a)와 운행장치단자(2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전노브(31)를 회전시킨다(도5 참조).
제1배터리단자(21a)와 운행장치단자(2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시동제어유니트의 제어에 따라 전조등, 오디오, 시거잭, 히터, 에어컨 등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장치에 전압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다음에 제1배터리단자(21a)와 시동보조장치단자(21c)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전노브(31)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6 참조).
제1배터리단자(21a)와 시동보조장치단자(21c)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시동제어유니트의 제어에 따라 연료회로, 점화회로 등 시동을 위해 미리 작동되어야 하는 장치에 전압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다음에 제2배터리단자(22a)와 시동장치단자(22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가압노브(32)를 잠시 가압한 후, 가압력을 해제한다(도7 참조).
제2배터리단자(22a)와 시동장치단자(22b)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시동제어유니트의 제어에 따라 시동모터 등 시동에 직접 관여하는 장치에 전압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시동장치에 전압이 공급될 때 시동제어유니트는 보통 운행장치에 대한 전압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한편 차량이 운행이 끝나면 회전노브(31)를 제1배터리단자(21a)와 운행장치단자(2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도록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201)에 설치된 회전노브(31)의 회전조작과 가압노브(32)의 가압조작을 통해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에 설치된 구성품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고 시동조작이 용이해 진다.
그리고 내함부(12)의 바닥면에 회전접촉기둥부(31b)를 안내하는 안내레일(12c)을 형성함으로써, 회전노브(31)의 회전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에 설치된 회전노브의 회전조작과 가압노브의 가압조작을 통해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에 설치된 구성품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고 시동조작이 용이해 진다.

Claims (2)

  1. 차체에 설치된 함체와, 차량배터리에 연결된 배터리단자와 차량운행장치에 연결된 운행장치단자와 시동보조장치에 연결된 시동보조장치단자와 시동장치에 연결된 시동장치단자를 가지고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단자기판과,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운행장치단자사이,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사이 및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된 시동조작부를 갖는 차량시동스위칭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면에 외함노브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함부와, 상면에 내함노브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 상기 내함노브개구의 대향영역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함노브개구가 상기 외함노브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외함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단자는 상기 차량배터리에 병렬로 연결된 제1배터리단자 및 제2배터리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기판은 상기 제1배터리단자, 상기 운행장치단자 및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함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단자기판과, 상기 제2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터리단자가 상기 외함노브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함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단자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시동조작부는 회전노브바디부와 상기 회전노브바디부의 저면에 기립 형 성된 회전접촉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노브바디부가 상기 외함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접촉기둥부가 상기 내함부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노브와, 가압노브바디부와 상기 가압노브바디부의 저면에 기립 형성된 가압접촉기둥부와 상기 가압접촉기둥부의 종단에 상기 통과공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이탈방지판을 가지고 상기 가압접촉기둥부가 상기 통과공과 상기 회전노브바디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가압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배터리단자와 상기 운행장치단자사이 및 상기 제1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보조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접촉기둥부의 저면에 결합된 제1접촉단자와, 상기 가압노브의 가압 조작시 상기 제2배터리단자와 상기 시동장치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가압접촉기둥부의 저면에 결합된 제2접촉단자와, 상기 가압노브의 가압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가압노브와 상기 함체사이에 개재하는 가압노브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동스위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부는 바닥면에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시 상기 회전접촉기둥부를 안내하는 원호상의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동스위칭장치.
KR1020070121416A 2007-11-27 2007-11-27 차량시동스위칭장치 KR20090054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416A KR20090054639A (ko) 2007-11-27 2007-11-27 차량시동스위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416A KR20090054639A (ko) 2007-11-27 2007-11-27 차량시동스위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639A true KR20090054639A (ko) 2009-06-01

Family

ID=4098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416A KR20090054639A (ko) 2007-11-27 2007-11-27 차량시동스위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6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0684A (zh) * 2017-07-14 2017-11-17 余姚市惠美电器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箱体的焊接定位工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0684A (zh) * 2017-07-14 2017-11-17 余姚市惠美电器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箱体的焊接定位工装
CN107350684B (zh) * 2017-07-14 2024-02-06 余姚市惠美电器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箱体的焊接定位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728B1 (ko)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CN101219656B (zh) 转向锁定装置
EP2628621B1 (en)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KR101028455B1 (ko) 차량용 시동버튼장치
KR100943928B1 (ko) 엔진 스위치 장치
JP5491328B2 (ja) プラグロック構造
US882529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system of a motorcycle
EP2048045B1 (en) Electric steering-lock device
JP4126224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4658406B2 (ja) 電子式車両盗難防止装置
KR101783855B1 (ko) 차량용 회전형 콘센트 어셈블리
KR20090054639A (ko) 차량시동스위칭장치
JP5124853B2 (ja) 車両用電動ハンドルロック装置
KR1008182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5379077B2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CN104097608A (zh) 电动转向锁紧装置
JP4199582B2 (ja) 電子式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180907B2 (ja) エンジン駆動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始動用スイッチ
KR101754882B1 (ko)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KR100230185B1 (ko) 도난방지용 브레이크 장치
KR200278965Y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 주입장치
JP2003278629A (ja) エンジン始動・停止用スイッチ
JP2003118413A (ja) 電子式車両盗難防止装置
KR100836693B1 (ko) 차량의 버튼식 시동장치
JP2004176655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及びエンジン始動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