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852A - 무선 voip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재송신 표시를 갖는 자동 반복 요구 시그널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voip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재송신 표시를 갖는 자동 반복 요구 시그널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852A
KR20090053852A KR1020097007070A KR20097007070A KR20090053852A KR 20090053852 A KR20090053852 A KR 20090053852A KR 1020097007070 A KR1020097007070 A KR 1020097007070A KR 20097007070 A KR20097007070 A KR 20097007070A KR 20090053852 A KR20090053852 A KR 2009005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resource
base station
subgroup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잭 에이. 스미스
하오 비
씬 엠. 맥베스
제임스 엠. 오'코너
대니 티. 핑크켈리
존 디. 리드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5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103)은 이동국(101)의 세트를 그룹에 할당하고, 여기에서 그룹은 무선 리소스의 세트를 공유할 것이다. 공유 제어 채널 정보 요소(501)는 이동국(101)의 그룹에 송신되고, 제어 헤더(502), 사용된 리소스(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530)을 위한 필드를 갖는 비트맵을 제공한다. HARQ 서브그룹은 슈퍼프레임 상에서 이동국의 서브그룹을 특정 HARQ 송신 기회와 연관시키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동국(101)은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되는 슈퍼프레임의 각 롱 프레임에서 지속적인 방식으로 리소스가 할당된다.
기지국, 이동국, 롱 프레임, 제어 헤더, 서브그룹

Description

무선 VOIP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재송신 표시를 갖는 자동 반복 요구 시그널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PEAT REQUEST SIGNALLING WITH REDUCED RETRANSMISSION INDICATIONS IN A WIRELESS VOIP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VoIP(Voice-over-Internet-Protocol)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이용하는 그러한 네트워크, 및 HARQ 메카니즘들을 이용하는 VoIP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가지는 방법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패킷 기반 통신 시스템은 VoIP를 이용하여 음성 전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패킷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와 "음성"간의 임의의 역사적인 경계 구분이 흐려져서, 용어 "데이터"는 통상 인터넷으로부터의 다운로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음성 또는 데이터에 관계없이 임의의 서비스에 대한 페이로드 정보를 의미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음성은 예를 들면, 지연 민감도로 인해, 전통적인 소위 데이터보다는 더 작은 패킷 크기들을 사용할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비-음성 데이터 패킷은 1 킬로-바이트보다는 더 클 수 있는데 대해, 음 성 패킷은 사용되는 보코더 레이트에 따라 단지 대략 15 내지 50 바이트일 수 있다.
음성 세션들에 의해 이용되는 더 작은 패킷 크기들로 인해, 크게 증가된 개수의 음성 사용자들이 서빙될 수 있어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메카니즘 및 리소스에 부담을 줄 수 있다.
HARQ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재송신을 위해 지속적인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지속적인 채널은 이동국이 각 HARQ 재송신에 대한 제어 채널 정보를 디코딩할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제어 채널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패킷이 승인되면, 하나의 이동국에 대해 지속적인 채널을 재할당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추가적인 오버헤드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지속적인 할당을 가지는 HARQ 재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이동국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각각이 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의 시퀀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각각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롱 프레임의 시퀀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공유 리소스 세트의 논리적 도면이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리소스 할당 목적을 위해 공유 제어 채널에서 송신되는 비트맵의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서브그룹에 대해 롱 프레임 번호들과 HARQ 송신 기회의 시퀀스의 연관을 예시하고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리소스 할당 및 순서화 패턴의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후속 롱 프레임에서 도 7의 일례의 리소스 할당 및 순서화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례의 리소스 할당 및 순서화 패턴의 도면이다.
도 10은 섹터화된 기지국 커버리지 영역에서의 서브그룹 할당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례의 리소스 할당 및 순서화 패턴의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례의 요구 메시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 및 기지국 아키텍쳐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제, 유사한 참조부호들이 유사한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각 기지국(103)이 대응 커버리지 영역(107)을 가지는 다양한 기지국(103)을 구비하는 통신 네트워크(100)를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커버리지 영역은 중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전체 네트워크 커버지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술에 따라 기지국 트랜시버(BTS), "노드 B" 및 액세스 노드(AN)와 같은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 기지국 커버리지 영역(107)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연속적인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연속적인 무선 커버리지를 가지는 것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고, 다르게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이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 이동국(101)을 가질 수 있다. 이동국은 기술에 따라 액세스 단말기(AT), 사용자 장비(UE),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수의 기지국(103)은 백홀 커넥션(111)을 통해 기지국 컨트롤러(109)에 접속될 것이다. 기지국 컨트롤러(109) 및 기지국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형성한다. 전체 네트워크는 각각이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임의의 개수의 기지국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기지국 컨트롤러(109)가 다르게는 기지국(103) 중에 분산된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정 구현에 관계없이, 기지국 컨트롤러(109)는 패킷 스케줄러, 패킷 세그먼테이션 및 리어셈블리 등과 같은 패킷화된 통신을 위한 다양한 모듈, 및 적절한 무선 리소스를 다양한 이동 국(101)에 할당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기지국(103)은 임의의 개수의 표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임의의 개수의 변조 및 코딩 스킴을 이용하여 이동국(101)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진보된 UMTS(E-UMTS) 육상 무선 액세스(E-UTRA) 또는 CDMA200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E-UMTS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사용할 수 있고 CDMA2000은 월시 코드와 같은 직교 확산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세미-직교 확산 코드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채널화를 달성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진보된 고속 패킷 데이터(E-HRPD) 네트워크일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데 유용한 슈퍼프레임의 시퀀스(200)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에서, 슈퍼프레임 시퀀스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슈퍼프레임(210, 220, 230, 등)을 포함하고, 각 슈퍼프레임은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슈퍼프레임(210)은 제어 채널부(214) 및 데이터 채널부(216) 내에 리소스 할당 제어 채널부를 가지는 프레임(212)을 포함한다.
도 3은 롱 프레임을 반복하는 시퀀스를 예시하고 있고, 여기에서 2개의 프레임이 그룹화되어 하나의 롱 프레임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롱 프레임은 단일 프레임과 등가이다. 인터레이스(interlace) 패턴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롱 프레임의 시퀀스로서 정의된다. 동기형 HARQ(S-HARQ)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초기 및 후속 송신은 통상 동일한 인터레이스 패턴으로 발생한다. 도 3에 의해 예시된 예에서, 롱 프레임 0 내지 11로 표시된 12개의 롱 프레임은 하나의 슈퍼프레임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슈퍼프레임은 파일럿 및 다른 오버헤드 채널을 구비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의 경우, 주파수 도메인은 서브캐리어로 분할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5MHz OFDMA 캐리어는 하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KHz인 480개의 서브캐리어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OFDMA 프레임은 복수의 OFDMA 심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프레임은 0.91144 msec를 차지하고 8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 심볼은 대략 113.93 μsec를 차지한다. 서브캐리어가 그룹화되어 블록 리소스 채널(BRCH) 및 분산된 리소스 채널(DRCH)을 형성한다. BRCH는 더 큰 대역폭 내에서 호핑할 수 있는 연속적인 서브캐리어의 그룹인데 대해, DRCH는 비연속적인 서브캐리어의 그룹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지국 컨트롤러(109), 기지국(103), 또는 일부 다른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컴포넌트는 이동국(101)을 스케줄링을 위해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이동국(101)은 이동국과 연관된 무선 채널 조건들, 예를 들면, 이동국에 의해 보고되는 채널 품질 정보, 이동국에 의해 보고되는 도플러, 서빙하는 셀로부터의 거리 등에 기초하여 그룹화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이동국(101)은 공통 통신 세션의 참여 이외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 동작 특성에 기초하여 그룹화될 수 있다. 일례의 이동국 동작 특성들은 이동국의 전력 헤드룸, 매크로 다이버시티 고려 사항, 이동국 성능, 이동국의 서비스, 코덱 레이트 등을 포 함한다. 또한, 액티브 VoIP 세션을 가지는 이동국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이동국은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셀들간 핸드오프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그룹의 멤버일 수 있다.
이동국의 그룹이 결정된 후, 기지국(103)은 이동국(101)에게 그룹내의 각 이동국의 위치의 표시 및 그룹 식별자의 표시를 송신한다. 제어 채널은 표시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103)은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체 그룹에 대해 유효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3)은 그룹 식별자의 표시 및 새로운 주파수 할당의 표시를 송신함으로써 그룹에 대한 주파수 할당을 변경할 수 있다. 위치 표시는 각 이동국에 분리되어 송신되거나 수개의 이동국에 한 번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3)은 그룹 식별자와 함께 무선 이동국 고유 식별자의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규칙이 위치 표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유 식별자의 리스트의 제1 이동국은 제1 위치에 할당될 수 있으며 고유 식별자의 리스트의 제2 이동국은 제2 위치에 할당되고, 이와 같이 계속될 수 있다. 이동국 고유 식별자는 전자 일련 번호(ESN), 가입자 하드웨어 식별자, 매체 액세스 제어 식별자(MAC-Id), 또는 특정 이동국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식별자일 수 있다.
각 이동국 그룹에 대해, 기지국 컨트롤러(109) 또는 기지국(103)의 스케줄링 기능은 그룹내의 이동국에 의해 공유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세트를 할당할 수 있다. 도 4는 공유 리소스 세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공유 리소 스(410)는 2개의 프레임(하나의 롱 프레임) 및 8개의 분산된 리소스 채널(DRCH)이다. 하나의 블록이 시간 도메인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하나의 DRCH로서 정의된다면, 1 내지 16으로 숫자가 붙어지는 16개의 블록들 또는 리소스가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DRCH는 비-연속적인 서브캐리어의 그룹이고, 따라서, 도 4의 수직축인 DRCH 인덱스는 주파수 도메인의 논리적 표현이다.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 이동국은 다른 이동국에 대한 할당에 기초하여, 공유 리소스의 부분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리소스가 할당되어야 하는 순서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4에서, 결과적으로 블록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1 내지 16으로 숫자가 붙여지는 것으로 나타나는 예시적인 순서화 패턴(420)이 주어진다. 공유 리소스 세트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6개의 리소스는 도 3에서 인터레이스 패턴 0의 각 롱 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16개의 리소스는 하나의 프레임내의 주파수 도메인의 서브캐리어의 세트의 논리적 표현들이다. 이들 서브캐리어의 정확한 물리적 로케이션은 프레임별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공유 리소스 세트 및 순서화 패턴의 표시는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103)으로부터 이동국(101)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채널은 공유 리소스 세트의 시작 프레임과 소정 관계를 가지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송신될 수 있다. 공유 리소스 세트는 제어 채널이 송신되는 동일한 프레임에서 시작하거나, 제어 채널이 송신되는 프레임에 대해 하나의 고정된 시작점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채널에서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동국이 그룹화되고 그룹내에서 위치(또는 로케이션으로도 불려짐)가 할당되며 공유 리소스 세트가 그룹에 할당된 후, 기지국(103)은 주어진 기간에 어느 이동국이 액티브한지를 나타내야 하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이동국에 할당된 할당된 리소스의 개수를 나타내야 한다.
여기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들은 순방향 링크(FL) 또는 다운링크(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및 역방향 링크(RL) 또는 업링크(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동작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 순방향 링크 동작은 이하와 같이 설명될 것이다. 도 5a는 리소스 할당이 이동국(101)에게 표시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5에서, 메시지(500)는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유 리소스와 관련된 제어 정보 또는 그룹 내의 사용자들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메시지 필드, 제어 헤더(502)를 포함한다. 제2 메시지 필드, 사용된 리소스(510)는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어느 것이 이용되고 있는지, 즉 현재 이용 중인지를 나타낸다. 제3 메시지 필드, 제1 HARQ 송신 할당(530)은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속적인 리소스를 할당하는데 이용된다.
도 5b는 도 5a의 메시지의 추가 세부사항들의 예를 제공하고 있고 메시지(500)가 비트 매핑을 이용하여 정보를 반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채널을 통해 이동국에 송신될 수 있는 정보 요소(501)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이동국 그룹의 경우에, 정보 요 소(501)는 공유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정보 요소(501)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옥테트들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그룹에서 제어 채널을 공유하는 이동국의 개수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보 요소(501)는 이동국 그룹에 필요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크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비트맵 필드들, 예를 들면, 옥테트(17), 아이템(509)의 비트 005 내지 비트 00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공유 리소스 세트 내의 각 리소스는 사용된 리소스 필드의 비트맵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공유 제어 채널을 디코딩하는 이동국은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어느 것이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에 따라 현재 이용되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소스가 옥테트(17)의 비트 005에 대응하고 제2 리소스가 옥테트(17)의 비트 006에 대응하며 제3 리소스가 옥테트(17)의 비트 007에 대응하고 제4 리소스가 옥테트(17)의 비트 008에 대응하는 4개의 리소스가 공유 리소스 세트 내에 있는 경우, 각 이동국은 옥테트(17)의 비트 005-008을 체크함으로써 4개의 공유 리소스 중 어느 것이 이용 중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사용된 리소스 표시는 이진수 "0" 또는 "1"을 이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고, 여기에서 가용한 리소스는 반대 상태를 이용하여 표시되거나 일부 다른 적절한 이진수 값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의 비트 중 적어도 하나는 그룹 제어 비트로서 정의되고, 그룹에서 전체 설정된 이동국에 대해 유효한 그룹 제어 메시지의 존재를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그룹 제어 비트 인디케이터가 이진수 '1'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값인 경우, 각 이동국은 그룹 제어 비트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리소스 상에서 제어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그룹 제어 비트가 예를 들면, '0'인 경우, 리소스는 규칙적인 데이터에 대해 가용하다. 그룹 제어 메시지는 공유 리소스 세트에 관한 정보, 특정 이동국에 대한 위치 재할당, 특정 이동국에 대한 추가적인 트래픽 리소스 할당, 또는 임의의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헤더(502)는 그룹에서 공유 리소스 또는 사용자들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데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헤더(502)는 "순서화 패턴 인버트 필드"(515)로 표시되는 단일 비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비트 001과 같은 비트의 이진수 값은 구체적으로 지정된 순서화 패턴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을 따를 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진수 '0'은 이동국이 제1 지정된 순서화 패턴을 올림차순(인버팅되지 않음)으로 이용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대해, 이진수 '1'은 순서화 패턴이 인버팅되어야 하고, 즉 내림차순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 개의 순서화 패턴들이 설정될 수 있고, 기지국(103)은 제어 헤더(502)의 순서화 패턴 필드(513)를 통해 이동국(101) 그룹에 의해 이용될 순서화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103)은 각 스케줄링 인스턴스 동안에 원하는 순서화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순서화 패턴은 호 셋업 시에 설정되고 제어 헤더(502)의 일부로서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b에서, 비트 002, 003 및 004는 적절한 순서화 패턴을 지정하기 위한 순서화 패턴 필드(513)를 형성할 수 있고, 비트 001은 순서화 패턴이 올림차순 또는 내림 차순인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화 패턴 인버트 필드(51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5b에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는 무선 리소스 할당 가중 정보를 나타내고, 이동국에게 할당된 무선 리소스의 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리소스 할당 가중 정보는 각 이동국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의 지정된 개수 또는 크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HARQ가 이용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일련의 HARQ 송신 기회에서 제1 송신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고, 즉 할당 크기(블록들의 개수)만이 표시된다. 또한, 리소스는 지속적인 방식으로 할당된다. 지속적인 할당이란, 타이머가 만료되고, 호 버스트가 완료되며, 패킷이 승인될 때까지, 또는 기지국(103)이 리소스를 다른 하나의 이동국에 할당할 때까지는 동일한 이동국에 동일한 리소스가 할당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는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이동국에게 리소스를 할당하는데 이용된다.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는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이동국당 하나의 비트를 포함하고, 그 이동국에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에 단일 비트가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의 N번째 미사용된 리소스에 대응하는 리소스 상에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 내에서 액티브한 것으로 표시되는 N번째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 리소스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지속적인 방식으로 할당된다.
다르게는,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는 이동국당 2개의 비트를 포함하 고, 할당된 리소스의 개수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이진수 "00"은 송신 없음을 나타내고, "01", "10" 및 "11"은 다양한 개수의 리소스를 차지하는 송신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01"은 단일 리소스에 대응하고, "10"은 2개의 리소스에 대응하며, "11"은 3개의 리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비선형 매핑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예를 들면, "01"은 단일 리소스에 대응하고, "10"은 2개의 리소스에 대응하며, "11"은 4개의 리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에 다수의 비트가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M+1번째 미사용된 리소스를 시작으로 하여 대응하는 개수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에서 액티브한 것으로 표시된 N번째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M은 이전 N-1개의 이동국에 대해 할당된 전체 리소스의 개수이며, N은 양의 정수이고 M은 음이 아닌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리소스 할당 가중 정보는 보코더 레이트, 변조 또는 코딩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리소스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지속적인 방식으로 할당된다. 이동국의 제1 HARQ 송신 기회의 하나의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롱 프레임 동안에 수행된 지속적인 할당은 이동국의 제1 HARQ 송신 기회의 다음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롱 프레임을 넘어서 지속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은 기지국이 2개의 패킷을 동일한 이동국에 동시에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술은 여기에서 동시 송신이라고 종종 지칭된다.
제어 헤더(502, 이용되는 경우),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501)는 공유 제어 채널을 통해 이동국 그 룹에 송신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국 그룹은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세트를 공유한다. 공유 제어 채널이 기지국(103)에 의해 임의의 이전 롱 프레임에서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지만, 공유 제어 채널은 롱 프레임 내에서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각 롱 프레임에서 기지국(103)에 의해 송신된다.
음성을 포함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패킷은 비교적 일정한 레이트로 도달한다. 예를 들면, VoIP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보코더 프레임은 대략 매 20ms마다 도달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VoIP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보코더 프레임은 롱 프레임 번호 0의 시작점에서 시작하여 대략 매 20ms마다 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헤더 데이터를 보코더 프레임에 추가하고 프레임을 인코딩하여, 음성 패킷을 형성한다. 그리고나서, 기지국은 음성 패킷을 포함하는 심볼의 적어도 일부를 변조하여 롱 프레임 번호 0에서 이동국에 송신한다. 이러한 송신은 제1 송신으로 지칭된다.
패킷을 수신하는 이동국은 이를 디코딩하여 음성 정보를 획득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이동국이 제1 송신으로부터 얻어진 음성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는 경우, 이동국은 승인(ACK)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송신할 것이다. ACK를 수신한 경우, 기지국은 임의의 추가적인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것이고, 즉 롱 프레임 3, 6 및 9에서 음성 패킷을 이동국에 재송신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이용된 채널 필드(510)는 이들 리소스가 다른 이동국에 의해 이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동국이 음성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부정 승인(NACK)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N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롱 프레임 번호 3에서 음성 패킷의 추가적인 심볼을 이동국에게 송신할 것이다. 이것은 제2 송신으로 지칭된다. 제2 송신 이후에 이동국이 음성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는 경우, ACK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송신할 수 있다.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기지국은 롱 프레임 6 및 9에서 이동국에게 어떠한 추가적인 정보도 송신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동국이 성공적으로 음성 패킷을 디코딩할 수 없었던 경우, NACK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할 것이고, 기지국은 이에 응답하여 제3 송신, 롱 프레임 번호 6에서 음성 패킷의 추가 심볼을 송신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NACK는 ACK를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표시되고, 따라서 어떠한 응답도 가지지 않음으로써 이동국은 NACK 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동국은 제3 송신의 그 성공적인 디코딩에 따라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NACK 메시지에 대해 기지국은 제4 송신, 롱 프레임 번호 9에서, 음성 패킷의 추가 심볼을 송신할 것이다. 또한, 이동국은 패킷을 디코딩하는데 있어서의 그 성공에 따라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지속적인 할당이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롱 프레임 0, 3, 6 및 9에서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
제1 HARQ 송신 상에서만 표시되는 지속적인 할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룹 위치와 HARQ 송신 기회간의 소정 관계가 요구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소정 관계의 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에 의해 예로 제시된 실시예들에 서, 주요 이동국 그룹은 4개의 서브그룹로 추가 서브분할되고, 각 서브그룹은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특정 시퀀스가 할당된다. 그러므로, 도 6은 패킷 N(609) 및 패킷 N+1(611)로 표시된 2개의 연속적인 인코딩된 패킷을 예시하고 있고, 여기에서 N은 양의 정수이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롱 프레임 번호들 0, 3, 6, 및 9에서 각각 발생하도록 서브그룹 0(601)에 대해 패킷 N의 제1, 제2, 제3 및 제4 HARQ 송신 기회를 정의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롱 프레임 번호들 0, 3, 6, 및 9에서 각각 발생하도록, 서브그룹 1(603)에 대해 패킷 N의 제2, 제3 및 제4 HARQ 송신 기회를, 그리고 패킷 N+1의 제1 HARQ 송신 기회를 정의할 수 있다.
이동국에 하나 이상의 서브그룹이 할당되는 경우, 기지국은 동일한 슈퍼프레임의 다수의 롱 프레임 동안에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은 기지국이 주어진 롱 프레임 동안에 하나 이상의 패킷을 특정 이동국에 동시에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특정 롱 프레임 동안에 제2 패킷의 제1 HARQ 송신을 송신하는 동안에, 하나의 패킷의 제2 HARQ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타입들의 이동국은 이동국 처리 성능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동시 패킷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국은 디코딩할 수 있는 동시 패킷 송신의 개수들을 기지국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 표시는 이동국의 성능 속성일 수 있고, 이는 기지국에게 제어 채널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이제 도 6으로 돌아가면, 이러한 프로세스는 서브그룹 2(605) 및 3(607)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된다. HARQ 송신 기회의 특정 시퀀스들은 후속 패킷에 대해, 주지된 간격으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슈퍼프레임에서 반복한다. 서브그룹과 HARQ 송신 기회간의 설정된 관계들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그룹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국을 서브그룹에게 체계적인 방식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기 "K"의 이동국 그룹에 대해, 기지국은 서브그룹 0에 속하는 제1 K/4 그룹 위치들, 서브그룹 1에 속하는 제2 K/4 그룹 위치들, 서브그룹 2에 속하는 제3 K/4 그룹 위치들, 및 서브그룹 3에 속하는 최종 K/4 그룹 위치들을 정의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서브그룹 0은 제1 그룹 위치, 서브그룹 1로 시작하여 매 4번째 그룹 위치에 대응하거나, 제2 비트맵 위치로 시작하여 매 4번째 그룹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각 이동국에 하나 이상의 서브그룹을 명시적으로 할당한다. 예를 들면, 4개의 서브그룹이 있는 경우, 각 이동국은 4개의 서브그룹 중 2개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인터레이스 패턴을 구성하는 4개의 롱 프레임 중 2개에서 각 이동국에게 패킷을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모든 이동국은 모든 서브그룹에게 할당되고, 이는 기지국이 인터레이스 패턴을 구성하는 각 롱 프레임에서 패킷을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게 한다. 제어 채널 오버헤드는 각 이동국이 하나의 서브그룹에만 할당되는 경우에 최소이고, 각 이동국이 모든 서브그룹에게 할당되는 경우에 최대이다. 한편, 잠재적인 지연은 각 이동국이 하나의 서브그룹에만 할당되는 경우에 최대이고 각 이동국이 모든 서브그룹에게 할당되는 경우에 최소이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모바일에 하나 이상 의 서브그룹을 할당하여 제어 채널 오버헤드 대 지연을 트레이드오프한다. 기지국은 모든 이동국을 동일한 개수의 서브그룹에게 할당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이동국은 지연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2 이상의 서브그룹에 할당되고, 여기에서 오퍼레이터로부터 사용자가 가입하는 서비스의 레벨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QoS 값, 네트워크를 통한 지연을 기술하는 값, 측정된 지연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결정이 수행된다.
모든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그룹 위치와 HARQ 송신 기회간의 소정 관계는, 그룹의 각 이동국이 그룹의 모든 다른 멤버들에 대한 HARQ 송신 기회를 선험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정 관계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제어 채널 상에서 송신되거나 이동국, 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이동국이 각 서브그룹에 할당될 기준을 설정한다. 하나의 가능한 기준은 커버리지 영역(107)과의 위치 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이동국의 순방향 링크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이동국을 서브그룹에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한 위치 정보는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채널 품질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5dB보다 작은 순방향 링크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이동국은 서브그룹 0에 배치될 수 있고, -1.5dB과 0 dB간의 순방향 링크 기학학적 구조를 가지는 이동국은 서브그룹 1에 배치될 수 있으며, 0dB과 3dB 간의 순방향 링크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이동국은 서브그룹 2에 배치될 수 있고, 3dB보다 큰 순방향 링크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이동국은 서브그룹 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국은 그룹 위 치가 할당되는 경우에 이들 서브그룹 중 하나에 처음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에에서, 각 서브그룹에 할당되는 동일한 개수의 이동국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할당된 그룹 위치는 할당된 서브그룹과 주지된 관계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은 이동국에게 그 할당된 서브그룹 및 할당된 서브그룹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는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서브그룹에 할당되는 이동국의 개수에 따라 특정 인터레이스 패턴의 각 롱 프레임에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단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가 결정되고 송신될 준비가 되면, 코딩 및 송신 전력의 양은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서브그룹의 사용자들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서브그룹은 이동국 순방향 링크들의 기하학적 구조를 고려함으로써 구성되었으므로, 인터레이스 패턴의 각 롱 프레임에서 상이한 양의 코딩 및 송신 전력이 요구된다. 기지국은 이동국의 기하학적 구조가 변경함에 따라 서브그룹 변경 메시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서브그룹에서 또 하나의 서브그룹으로 이동국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를 가지는 다양한 실시예의 할당 정책의 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예에 시간상 후속되는 순간, 즉 롱 프레임 번호 3의 스냅샷을 추정하고 있고, 여기에서, 도 7에 도시된 시나리오는 롱 프레임 번호 0의 스냅샷이다.
도 7을 참조하면, 8개의 이동국이 그룹(730)에 할당되고, 그룹 위치들 1 내 지 8에 할당된다. 이동국 3(MS3)은 그룹 위치 1에 할당되고, MS6은 그룹 위치 2에 할당되며, MS7은 그룹 위치 3에 할당되고, MS9는 그룹 위치 4에 할당되며, MS10은 그룹 위치 5에 할당되며, MS13은 그룹 위치 6에 할당되고, MS14는 그룹 위치 7에 할당되며, MS17은 그룹 위치 8에 할당된다.
그룹 위치 1 및 2는 서브그룹 0에 할당되고, 그룹 위치 3 및 4는 서브그룹 1에 할당되며, 그룹 위치 5 및 6은 서브그룹 2에 할당되고, 그룹 위치 7 및 8은 서브그룹 3에 할당된다. 서브그룹과 HARQ 송신 기회간의 관계는 도 6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하다. 위치 정보를 할당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은 그룹(730)에 공유 리소스 세트(708) 및 리소스(708)가 할당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할당된 순서화 패턴(770)의 표시를 송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 채널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게 송신될 수 있다. 할당된 순서화 패턴(770)이 공유 리소스 세트(708)에 적용되는 경우, 리소스는 참조번호 7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가 붙여진다.
기지국은 공유 제어 채널의 일부로서 사용된 리소스 필드(75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를 송신한다. 사용된 리소스 필드는 길이 8 비트맵이고, 여기에서 각 비트맵 위치는 공유 리소스 중 하나에 대응한다. 특히, 제1 비트맵 위치는 제1 공유 리소스에 대응하고, 제2 비트맵 위치는 제2 공유 리소스에 대응한다. 사용된 리소스 필드(750)의 '1'은 공유 리소스 세트 내의 대응하는 리소스가 진행중인 송신에 현재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한편 사용된 리소스 필드(750)의 '0'은 공유 리소스 세트의 대응하는 리소스가 진행중인 송신에 현재 이용되지 않고 있고 따라서 제1 송신에 가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된 리소스 필드에 기초하여, 그룹내의 이동국은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중인 송신에 대해 어느 리소스가 이용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는 길이 2 비트맵이고, 여기에서 각 비트맵 위치는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이동국에 대응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의 '1'은 공유 리소스 세트 중 하나가 대응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한편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내의 '0'은 공유 리소스 세트 중 하나도 대응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의 제1 비트맵 위치는 서브그룹의 제1 이동국과 연관되는데 대해,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의 제2 비트맵 위치는 서브그룹의 제2 이동국과 연관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내의 N번째 '1'에 대응하는 이동국에는 사용된 리소스 필드(750)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N번째 미사용된 리소스가 할당된다.
이들 규칙들에 기초하여, 롱 프레임 번호 0에 대해, 기지국은 참조번호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리소스 세트(708)로부터 서브그룹 0에 리소스를 지속적인 방식으로 할당한다. 특히, MS3에는 참조번호 709의 제1 미사용된 리소스가 할당되고, MS6에는 참조번호 709의 제2 미사용된 리소스가 할당된다. 리소스 할당(710)의 'X'는 리소스가 또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공유 제어 채널을 통해 사용된 리소스 필드(75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를 인코딩하여 송신할 것이다. 이동국은 공유 제어 채널을 수신하 고 디코딩하여, 이동국 사용된 리소스 필드(75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롱 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MS3 및 MS6은 제1 HARQ 송신 기회가 이들에 대해 정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다음으로, MS3 및 MS6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750)로부터 진행중인 송신에 대해 공유 리소스 세트 중에 어느 것이 현재 이용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760)에 기초하여, MS3은 미사용 리소스 세트로부터 제1 이동국 할당된 리소스가고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러므로, MS3은 참조번호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리소스 할당을 결정한다. 유사하게, MS6은 미사용 리소스 세트로부터 제2 이동국 할당된 리소스가고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MS6은 하나의 리소스가 이전에 할당되었다고 결정하고 따라서 그 할당을 참조번호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한다.
도 8은 롱 프레임 번호 3에 대한 할당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제1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서브그룹 3에, 제2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서브그룹 0에, 제3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서브그룹 1에, 그리고 제4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서브그룹 2에 리소스를 할당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그룹 3의 이동국은 이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860)의 비트맵 부분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MS6은 NACK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했고, MS3은 ACK 메시지를 송 신했다. 또한, 기지국은 MS17에 송신할 새로운 패킷을 가지고 있지만, MS14에게는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어느 것이 현재 이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사용된 리소스 필드(860), 및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이동국 중 어느 것이 공유 리소스 중 하나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860)를 송신할 것이다. MS6은 NACK을 송신했고 기지국은 리소스를 지속적인 방식으로 할당하므로, MS6에는 롱 프레임 번호 3에서 리소스 번호 5가 할당될 것이다. 기지국은 다른 이동국에게, 리소스 번호 5가 진행중인 송신에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된 리소스 필드(850)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MS3은 ACK를 송신했으므로, 기지국은 다른 이동국에게 리소스 번호 2가 진행중인 송신에 이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사용된 리소스 필드(850)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기지국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850) 및 계속 필드(860)를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인코딩하여 송신한다. 롱 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MS14 및 MS17은 제1 HARQ 송신 기회가 이들에 대해 정의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MS14는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860)에 기초하여 공유 리소스 중 하나가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MS17은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860)에 기초하여 공유 리소스 중 하나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나서, MS17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850)로부터 진행중인 송신에 대해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어느 것이 현재 이용되 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860)에 기초하여, MS17은 미사용 리소스 세트로부터 제1 이동국 할당된 리소스가며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MS17은 참조번호 810과 같이 그 리소스 할당을 결정한다.
도 9는 할당(제1 송신) 필드(550) 및 할당(제2 송신) 필드(560)를 가지는 다양한 실시예의 할당 정책의 예를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9를 참조하면, 서브그룹 0 내에서, 2개의 서브-서브그룹, 즉 서브-서브그룹 0 및 서브-서브그룹 1이 정의된다. 서브-서브그룹 0내의 이동국은 서브그룹이 제1 HARQ 송신 기회가 할당된 경우에 공유된 시간-주파수 리소스 중 하나와 더 연관되는 그룹 위치가 할당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위치는 제1 공유 리소스(990)와 연관된다. 제2 위치는 제2 공유 리소스(992)와 연관된다. 제1 위치가 '1'로 표시되는 경우, 위치 1과 연관된 이동국은 위치 1(990)과 연관된 공유 리소스가 할당된다. 제1 비트맵 위치가 '0'으로 표시되는 경우, 잔여 이동국은 이러한 롱 프레임 동안에 비트맵 위치 1과 연관된 이동국이 서브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따라서 연관된 리소스가 가용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제2 비트맵 위치에 대해서도 유사한 관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예에서, 할당(제1 송신)은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1'및 어떠한 리소스도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0'으로, 이동국 당 하나의 비트를 가지고 있다.
제1 위치는 '0'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이동국은 제1 공유 리소스(990)가 현재 MS3에 의해 이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고 따라서 제1 공유 리소스(990)가 가용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제2 비트맵 위치가 '1'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이동국은 제2 공유 리소스(992)가 MS6에 의해 현재 이용되고 있다고 알고 있고 따라서 제2 공유 리소스(992)는 가용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특히, MS7은 제1 공유 리소스로 리소스를 할당하기 시작하는 것을 알고 있는데 대해, MS10은 리소스를 할당할 때 제2 공유 리소스(992)를 스킵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제1 서브-서브그룹의 크기는 제로에서 전체 서브그룹의 크기까지 가변될 수 있고, 여기에서 제1 서브-서브그룹의 크기는 제어 채널 상에 표시되고, 할당(제1 송신) 필드와 동일한 메시지에 표시되거나, 또는 서브그룹의 크기에 종속된 선정된 규칙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기지국은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에 대한 제1 송신 기회가 인접하는 기지국에서 상이한 롱 프레임에 배치되도록 그 서브그룹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각 기지국(103)이 그 커버리지 영역(107)내에 3개의 섹터들을 가지고 있는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여기에서 3개의 섹터들은 섹터 0, 섹터 1 및 섹터 2로 표시된다. 도 10은 상이한 섹터들에서 상이한 서브그룹에 대해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3개의 서브그룹, 즉 서브그룹 0, 서브그룹 1 및 서브그룹 2가 정의될 수 있고, 서브그룹 0은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이고, 서브그룹 1은 중간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이며, 서브그룹 2는 높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섹터 0에서, 제1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롱 프레임 0, 6, 및 3 각각에서 서브그룹 0, 1 및 2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된다. 섹터 1에서, 제1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롱 프레임 3, 0 및 6 각각에서 서브그룹 0, 1, 및 2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된다. 섹터 2에서, 제1 HARQ 송신 기회에 대해 롱 프레임 6, 3 및 0 각각에서 서브그룹 0, 1 및 2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된다.
그러한 구조는 다른 섹터 간섭의 충격을 평균화하는데 유익하다. 특히, 3개의 섹터들 중 단지 하나만이 특정 롱 프레임 동안에,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를 포함하는 공유 제어 채널을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에 송신하고 있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으로 표시된, 최저 기하학적구조를 가지는 이동국에 대응하는 서브그룹의 각 멤버는 VoIP 호의 지속기간 동안에 지속적인 리소스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HARQ 송신 기회가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에 대해 정의되는 롱 프레임 동안에,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재할당 필드(540)와 교체된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공유 리소스 세트 내의 각 리소스는 리소스 재할당 필드(540)의 비트맵 위치에 대응한다. 이들 롱 프레임 동안에, 각 이동국은 공유 제어 채널을 디코딩하여,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리소스 재할당 필드(540)를 추출한다.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530)에서 그 할당된 지속적인 리소스에 대응하는 비트를 체크함으로써 공유 리소스 중 하나가 할당되는지를 판정한 다.
비트가 '1'인 경우, 기지국은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하고 있다. 비트가 '0'인 경우, 기지국은 패킷을 이동국에 송신하고 있지 않다. 낮은 기하학적구조 서브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이 공유 제어 채널을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이들 이동국은 기지국이 패킷을 송신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그럼으로써 이동국이 공유 제어 채널을 디코딩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거한다. 기지국이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그 다음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될 때까지 이동국이 감소된 전력 모드에 들어가기 때문에,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 이동국이 공유 제어 채널을 디코딩하는 것이 여전히 유리하다.
나머지 이동국은 이하와 같이 새로운 리소스 할당을 결정한다. 리소스 재할당 필드(540)의 N번째 '1'에 대응하는 리소스가 이전에 할당된 이동국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의 N번째 '0'에 대응하는 리소스가 할당된다. 이러한 리소스 할당은 지속적일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리소스 재할당 필드(540)는 낮은 기하학적 구조 서브그룹에 대해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되었던 롱 프레임 동안에 이용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리소스 재할당 필드(540)는 리소스를 할당하는 각 롱 프레임에서 이용된다.
상기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107)에서 기지국로부터의 멀티캐스트는 이하의 절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우선, 이동국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리지 영역(107)의 그룹 위치가 할당된다. 제1 커버리지 영역 및 제2 커버리지 영역 양쪽의 양쪽 기지국으로부터의 멀티캐스팅이 유 리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1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은 특정 이동국에 대한 현재 패킷 및 현재 리소스 할당을 제2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에 송신한다. 유의할 점은, 제1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 및 제2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은 동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2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은 제1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표시된 리소스에 대응하는 비트를 그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에서 '1'로 설정하고, 제1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표시된 리소스 상에서 타겟팅된 이동국에 대해 현재 패킷을 송신한다. 유의할 점은, 이동국은 제2 커버리지 영역에서 그룹 위치가 할당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유 제어 채널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제1 송신) 필드(550) 및 할당(후속 송신) 필드(5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이동국은 할당(제1 송신) 필드(550) 또는 할당(후속 송신) 필드(560) 중 어느 하나의 비트와 연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각 서브그룹내에서 2개의 서브-서브그룹을 설정하고, 여기에서 기지국은 제1 HARQ 송신 기회가 서브그룹에 대해 정의되는 경우에 특정 리소스 블록을 제1 서브-서브그룹(서브-서브그룹 0)의 각 멤버와 연관시킨다.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서브그룹의 제1 서브-서브그룹의 이동국에 대응하는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경우, 그 이동국은 연관된 리소스가 할당된다.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되는 서브그룹의 제2 서브-서브그룹의 이동국의 세트 내의 N번째 이동국, 및 나머지 서브그룹의 이동국은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서브그룹의 제1 서브-서브그룹에 대해 할당되지 않은 N번째 리소스가 할당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브그룹에 할당된 이동국은, 슈퍼프레임(210)이 음성 프레임보다 긴 상황들에 대해 필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송신 기회가 주기적으로 제공되어, 송신의 지연들을 누적시키는 것을 완화시킨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트가 매 N번째 송신 기회마다 이동국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예시를 위해, 참조번호 730에서 서브 그룹 0의 MS3을 고려하고, 여기에서 이러한 모바일들의 제1 송신 기회의 매 4번째 발생(N=4)마다, 비트맵(760)은 비트맵(760)의 마지막에 첨부되고 이동국 MS3이 이러한 제2 할당 비트를 식별하도록 순서화되는 MS3에 대응하는 추가 비트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추가 송신 할당의 후속적인 매핑은 이전 예들과 동일할 것이다. 다른 구현에서, 매 N번째 송신 기회마다 추가되는 P번째 추가 비트는 참조번호 760에서 P번째 제1 HARQ 할당 비트 위치에 묶여질 수 있다. 이들 비트는 통상적으로 비트맵(760)의 마지막에 첨부되고 그 존재 및 위치는 제어 메시지에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택된 이동국은 반드시 공유 리소스의 일부일 필요는 없고 그 제1 송신 시에 선택된 모바일들에 대해서만 가용한 선정된 리소스로부터 제1 송신 할당이 주어질 수 있다. 제1 송신 할당이 수행된 후, 실제로 이러한 이동국의 제2 송신이라 하더라도, 그 제2 송신 시의 이동국은 비트맵(760)에서 제1 송신 할당을 가지는 임의의 다른 이동국으로서 처리된다. 이들 선택된 이동국의 제2 및 나머지 송신은 비트맵(760), 할당된 리소스(710)을 이용하여 송신 할당이 제공되고, 사용된 리소스는 비트맵(750)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 이동국은 초기 송신을 그 이동국에 반송하는 경우에 항상 이용되는 특정 선정된 리소스가 리소스 할당(710)으로부터 할당되고, 그럼으로써 이동국이 그 초기 송신이 로케이팅될 곳을 알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리소스 비트맵(750)은 각 비트 로케이션에서 "1"을 포함하여, 대응하는 리소스가 초기 송신을, 대응하는 리소스가 할당되었던 이동국에 반송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할당 비트맵(760)은 또한 각 송신 리소스에 대한 비트를 포함하지만, 바로 이전 송신 기회에서 대응하는 리소스를 이용하고 있었던 패킷 송신이, 비록 상이한 리소스 상에서 가능하더라도, 현재 송신 기회에서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기능한다. 이들 계속 송신은 라운드-로빈 또는 이동국에 의해 미리 알려져 있거나 이동국에 시그널링된 다른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된 리소스 비트맵(750)에서 대응하는 "1"을 가지지 않는 가용한 리소스로 팩킹된다.
역방향 링크는 이하와 같이 강조되고 상세하게 설명되는 기본적인 차이점을 가지고서 순방향 링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순방향 링크에 대해, 기지국 스케줄링 엔티티는 어느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할 지를 판정하고,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를 이용하여 이동국 중 어느 것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지를 그룹의 이동국에게 표시한다. 역방향 링크에 대해, 기지국 스케줄링 엔티티는 어느 이동국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지를 판정하고,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가 이동국 중 어느 것에 허가되었는지를 그룹의 이동국에게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체 필드들 세트가 함께 인코딩될 수 있지 만,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해 분리된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가 있을 것이다.
역방향 링크의 HARQ 프로세스는 기지국과 이동국의 역할이 바뀐 상태에서 순방향 링크와 유사하다. FL과 같이, RL은 지속적인 할당을 이용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위치와 HARQ 송신 기회간의 소정 관계에 따라 좌우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직교 리소스 상에서 역방향 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요구/허가 메카니즘에 따라 좌우되고, 그럼으로써 이동국은 채널을 요구하며 기지국은 요구를 허가하거나 허가하기를 거부한다. 도 11은 기지국이 역방향 링크 송신을 위해 공유 리소스 세트 중 하나를 허가하도록 요구하는, 이동국에 의해 이용되는 요구 메카니즘의 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8개의 이동국이 그룹(1130)에 할당되고, 그룹 위치들 1 내지 8에 할당된다. 이동국 3(MS3)은 그룹 위치 1이 할당되고, MS6은 그룹 위치 2가 할당되며, MS7은 그룹 위치 3이 할당되고, MS9는 그룹 위치 4가 할당되며, MS10은 그룹 위치 5가 할당되고, MS13은 그룹 위치 6이 할당되며, MS14는 그룹 위치 7이 할당되고, MS17은 그룹 위치 8이 할당된다.
HARQ 송신 기회는 도 6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하다. 각 롱 프레임 동안에, 업커밍 허가 인스턴스에 대해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이동국만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것이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각 슈퍼프레임의 롱 프레임 번호 0의 서브그룹 0에 대해 리소스를 허가하는 경우, 서브그룹 0은 이전 롱 프레임, 예를 들면, 이전 슈퍼프레임의 롱 프레임 번호 9의 리소스를 요구할 것이다. 특히, 각 이동국은 그 역방향 링크 송신을 요구하기 위해 특정 롱 프레임 및 특정 OFDM 리소스가 할당된다.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한 OFDM 리소스는 특정 OFDM 서브캐리어, 특정 OFDM 심볼, OFDM 서브캐리어과 OFDM 심볼의 세트의 특정 월시 코드, 또는 조합들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브그룹 0이 역방향 링크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해 롱 프레임 번호 9가 할당된다고 간주한다. 또한, MS3은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패킷을 가지고 있는데 대해 MS6은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패킷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간주한다. 그러므로, MS3은 요구 메시지(1110)를 기지국(1120)에 송신한다. 이들 요구 메시지(또는 요구 메시지의 부재)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특정 리소스를 특정 이동국에게 허가한다.
RL에 대한 리소스 할당 시그널링은 FL의 것과 유사하다. 이를 예시하기 위해, 도 12는 사용된 리소스 필드(12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30)를 가지는 다양한 실시예의 할당 정책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룹 할당, 서브그룹 할당, 및 서브그룹과 HARQ 송신 기회간의 관계는 도 12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기지국은 공유 리소스 세트(1208), 및 리소스(1208)이 할당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할당된 순서화 패턴(1270)의 표시를 그룹(1230)에게 송신한다. 유의할 점은, 특정 그룹에 대한 RL 리소스는 FL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RL 리소스와 상이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FL 및 RL 리소스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 러한 정보는 제어 채널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게 송신될 수 있다. 할당된 순서화 패턴(1270)이 공유 리소스 세트(1208)에 적용되는 경우, 리소스는 참조번호 12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가 붙여진다.
기지국은 공유 제어 채널의 일부로서 사용된 리소스 필드(125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를 송신한다. 사용된 리소스 필드는 길이 8 비트맵이고, 여기에서 각 비트맵 위치는 공유 리소스 중 하나에 대응한다. 특히, 제1 비트맵 위치는 제1 공유 리소스에 대응하고, 제2 비트맵 위치는 제2 공유 리소스에 대응한다. 사용된 리소스 필드(1250)의 '1'은 공유 리소스 세트 내의 대응하는 리소스가 진행중인 송신에 현재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한편 사용된 리소스 필드(1250)의 '0'은 공유 리소스 세트의 대응하는 리소스가 진행중인 송신에 현재 이용되지 않고 있고 따라서 제1 송신에 가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된 리소스 필드에 기초하여, 그룹내의 이동국은 1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중인 송신에 대해 어느 리소스가 이용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는 길이 2 비트맵이고, 여기에서 각 비트맵 위치는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된 이동국에 대응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의 '1'은 대응하는 이동국에 공유 리소스 세트 중 하나가 할당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한편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내의 '0'은 대응하는 이동국에 공유 리소스 세트 중 하나도 할당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의 제1 비트맵 위치는 서브그룹의 제1 이동국과 연관되는데 대해,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의 제2 비트맵 위치는 서브그 룹의 제2 이동국과 연관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내의 N번째 '1'에 대응하는 이동국에는 사용된 리소스 필드(1250)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N번째 미사용된 리소스가 할당(허가)된다.
이들 규칙들에 기초하여, 롱 프레임 번호 0에 대해, 기지국은 참조번호 1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리소스 세트(1208)로부터 서브그룹 0에 리소스를 지속적인 방식으로 할당(허가)한다. 도 11로부터 MS3은 리소스를 요구했지만 MS6은 리소스를 요구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하자. 그러므로, MS3에는 참조번호 1209의 제1 미사용된 리소스가 할당(허가)되고, MS6에는 리소스가 할당(허가)되지 않는다. 리소스 할당(1210)의 'X'는 리소스가 또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공유 제어 채널을 통해 사용된 리소스 필드(125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를 인코딩하여 송신할 것이다. 이동국은 공유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이동국 이용 리소스 필드(125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롱 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MS3 및 MS6은 제1 HARQ 송신 기회가 이들에 대해 정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다음으로, MS3 및 MS6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1250)로부터 진행중인 송신에 대해 공유 리소스 세트 중에 어느 것이 현재 이용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1260)에 기초하여, MS3은 미사용 리소스 세트로부터 제1 이동국 할당된 리소스가 고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러므로, MS3은 참조번호 1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리소스 할당을 결정한다. 반면, MS6은 리소스가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할당(허가)된 리소스에 기초하여, 이동국은 허가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RL 상에서 패킷을 송신할 것이다. 기지국은 또한 각 이동국으로부터 송신을 예상하는 곳을 알고 있다.
역방향 동작에 대해, 기지국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를 이용하여, 승인 표시로서 서브한다. 특히, 일단 역방향 링크 송신을 위해 이동국에 지속적인 방식으로 리소스가 할당되면, 기지국은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때까지, 또는 최대 송신의 개수가 도달될 때까지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에 '1'을 표시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국이 최대 송신 개수가 도달되기 이전에 그 할당된 리소스에 대응하는 비트를 '1'로부터 '0'으로 변경한 것을 관찰한 경우에, 이동국은 기지국이 이동국의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순방향 링크 상에서의 기재된 동작과 유사하게, 사용된 리소스 필드(510)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530)는 역방향 링크 상에서 하나의 이동국에 대한 동시 송신 기회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국에서의 전력 제한으로 인해, 특히 커버리지 영역(107)의 외부 말단부에 로케이팅된 이동국에 대해, 이동국이 2개의 패킷을 동시에 송신하는 것은 종종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헤더(502)는 상이한 인터레이스 또는 동일한 인터레이스의 특정 프레임(즉, 리소스가 이미 허가되지 않은 프레임)에서 리소스가 허가된 특정 이동국 에게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도 13은 이동국에게 리소스를 허가하는 제어 헤더의 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 헤더(1302)는 이동국에 리소스를 허가하기 위한 3개의 필드들을 포함한다. 우선, 위치 식별자 필드(1304)는 허가가 의도된 이동국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두 번째로, 인터레이스 할당 필드(1306)는 허가가 어느 인터레이스에 대해 유효한지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 할당 필드(1306)는 현재 인터레이스를 나타내는 '00', 다음 인터레이스를 나타내는 '01', 및 그 다음 인터레이스를 나타내는 '10'을 가지는 2 비트일 수 있다.
세 번째로, 리소스 할당 필드(1308)는 허가된 특정 리소스를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제어 헤더에 표시된 허가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지속적인 할당일 수 있다. 위치 식별자 필드(1304), 인터레이스 할당 필드(1306) 및 리소스 할당 필드(1308)의 복수의 복사본은 복수의 이동국에 대한 허가들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제어 헤더를 처리하여, 그 할당된 그룹 위치가 제어 헤더에 리스팅된 위치 식별자(1304)와 매칭하는지를 판정한다. 그렇다면, 이동국은 인터레이스 할당(1306) 및 리소스 할당(1308)에 의해 기술된 리소스가 허가된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리소스를 허가하는 것과 연관된 오버헤드는 특정 조건들 하에서는 금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헤더에 요구되는 비트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해싱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헤더(1302)는 M(M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임)개의 비트를 포함하여, 특 정 리소스가 주지된 인터레이스, 예를 들면, 다음 인터레이스에서 허가되었다고 표시하는 해싱 스킴을 제어한다. 특히, 주지된 송신의 개수 이후에 기지국이 현재 패킷을 승인하지 않은 각 이동국은 M 비트 제어 헤더에 표시된 최하위 비트의 숫자를 트런케이팅한 후 그 할당된 그룹 위치의 N개의 최하위 비트를 볼 것이다. 이들 비트는 허가된 리소스를 표현한다. 기지국이 그 현재 패킷을 승인하지 않은 이동국의 세트는 중첩되지 않는 리소스가 허가되도록, 기지국이 제어 헤더의 값을 결정한다. 그리고나서, 기지국은 주지된 인터레이스, 예를 들면, 다음 인터페이스에서 해싱 스킴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에 대응하는 사용된 리소스 필드를 '1'로 설정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제어 헤더가 4비트(M=4)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N의 값은 2비트가며, 주지된 인터레이스는 다음 인터레이스라고 간주한다. 또한, 기지국은 '10100110'및 '11001010'의 8비트 위치 인덱스를 가지는 이동국에 대해 현재 패킷을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했다고 가정한다. 기지국이 4비트 제어 헤더를 '0000'으로 설정한 경우, 이동국은 그 허가된 리소스를 '10' 및 '10'으로 각각 결정하는데, 이는 이들이 각 위치 인덱스에서 2개의 최하위 비트가기 때문이다. 이들 값들이 동일하므로, 기지국은 제어 헤더에 대해 상이한 값을 선택할 것이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4비트 제어 헤더를 '0001'로 설정하는 경우, 이동국은 그 허가된 리소스를 '11'및 '01'로 각각 결정하는데, 이는 이들이 '0001' = 1개의 최하위 비트를 버린 후 각 위치 인덱스의 적어도 2개의 최하위 비트가 있기 때문이다.
이들 값들이 상이하므로, 기지국은 이러한 제어 헤더의 값을 이용하여, 위치 '10100110'을 가지는 이동국은 다음 인터레이스에서 '11'리소스가 할당되고 위치 '11001010'을 가지는 이동국은 다음 인터레이스에서 '01'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다음 인터레이스에 할당된 이동국에게, 리소스 '11' 및 리소스 '01'에 대응하는 사용된 리소스 필드의 비트를 '1'로 설정함으로써 그 리소스 중 2개가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스킴은 특정 개수의 송신 이후에는 리소스를 요구하는 소수의 이동국만이 존재할 것이고 따라서 제어 헤더를 보는 단지 소수의 이동국만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이용한다.
이제, 도 14로 돌아가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1401) 및 기지국(1403) 아키텍쳐가 예시된다. 이동국(1401)은 VoIP 애플리케이션(1405), 네트워킹 레이어(1407), 무선 링크 컨트롤러(RLC, 1409), 매체 액세스 컨트롤러(MAC, 1411), 및 물리적 레이어(PHY, 1413)를 구비하는 스택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이동국(1401)은 분리되거나 다른 컴포넌트/레이어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도 있는 HARQ 컴포넌트(14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국(1401) HARQ 컴포넌트(1415)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그 리소스 할당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된 리소스 필드 및/또는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국은 물리적 레이어 상의 기지국에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1403)은 유사하게 VoIP 애플리케이션(1417), 네트워킹 레이어(1419), RLC(1421), MAC(1423) 및 PHY(1427)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기지국(1403)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HARQ 스케줄링 컴포넌트(1425)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 기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1403) HARQ 스케줄링 컴포넌트(1425)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그 리소스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이동국의 그룹 및/또는 서브그룹에게 예비된 블록 필드 및/또는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HARQ 스케줄링 컴포넌트(1425)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HARQ 서브그룹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국의 주요 컴포넌트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동국(15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503),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505)를 포함한다. 메모리(1505)는 이동국 오퍼레이팅 시스템(1507), 애플리케이션(1509) 및 일반 파일 저장(1509)을 위한 충분한 스토리지를 가지고 있다. 이동국(150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1)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음성 활성화되는 명령 입력, 및 자이로스코픽 커서 컨트롤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동국(1500)은 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용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 드라이버를 구비할 수도 있는 그래픽 디스플레이(1513)를 구비한다.
도 15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공개에 따라 이동국의 메인 컴포넌트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동국에 요구되는 다양한 컴포넌트 및 그들간의 접속의 완전한 개략도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이동국은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전히 본 공보의 범주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5로 돌아가면, 이동국(1500)은 또한 트랜시버(1515, 1519)와 같은 다수 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515, 1517)는 UMTS, E-UMTS, E-HRPD, CDMA2000, 802.11, 802.16 등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표준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505)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다양한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전히 본 공보의 범주내에 든다. 예를 들면, 메모리(1505)는 각각이 프로세서(1503)에 결합되는 수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구성 요소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것과 같은 특정 태스크에 전용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메모리(1505)는 이동국(1500)에 대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507), 애플리케이션(1509) 및 일반 파일 저장(1511)을 위한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기능들을 적어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509)은 기지국의 스택과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1509)은 상세하게 상술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HARQ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는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HARQ 컴포넌트(1519)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 스토리지(1511)는 도 15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HARQ OPPS 할당을 위한 스토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요약하고 있다. 1601에서, 기지국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동국을 그룹화한다. 1603에서, 기지국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국의 그룹 위치들과 그 각각의 HARQ 송신 기회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1605에서, 기지국은 다음 송신 기회에 대해 서브그룹을 더 결정할 수 있다. 특히 1605에서, 기지국은 다음 송신 기회에서 어느 서브그룹에게 제1 HARQ 송신 기회가 할당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1607에서, 기지국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공유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된 비트 매핑일 수 있는 사용된 리소스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1607에서, 그룹의 이동국으로부터 요구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1609에서, 기지국은 공유 리소스 세트를 이용하여 이동국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은 공유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이동국(102)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1701에서, 이동국은 그 할당된 그룹 위치(즉, 할당된 서브그룹) 및 롱 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그 HARQ 송신 기회를 결정한다. 1703에서, 이동국은 현재 롱 프레임에 대해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아니라면, 1705에서, 이동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어느 경우든 패킷이 이전에 승인되지 않았다면, 이동국은 패킷의 제1 HARQ 송신 기회 동안에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데이터를 계속해서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예라면, 1707에서, 이동국은 공유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1709에서, 이동국은 공유 제어 채널로부터 사용된 리소스 필드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를 추출한다. 1711에서, 이동국은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에 기초하여 공유 리소스 중 하나가 할당되어 있는지, 요구의 경우에는 허가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마지막으로, 1713에서,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허가된 경우, 이동국은 사용된 리소스 필드 및 제1 HARQ 송신 할당 필드를 이용하여 정확한 할당되거나 허가된 리소스를 결정하고,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도 18은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국(102)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참조번호 1801에서, 이동국은 그 할당된 그룹 위치(즉, 할당된 서브그룹) 및 그 다음 롱 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그 HARQ 송신 기회를 결정한다. 참조번호 1803에서, 이동국은 역방향 링크 송신을 위해 다음 롱 프레임에 대해 제1 HARQ 송신 기회가 정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아니오면, 참조번호 1811에서, 플로우차트는 종료한다. 예라면, 참조번호 1807에서, 이동국은 다음 롱 프레임에서 송신할 새로운 패킷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예라면, 참조번호 1809에서, 이동국은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아니오면, 참조번호 1811에서, 플로우차트가 종료한다.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되고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이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다수의 변형들, 변경들, 변동들, 대체들 및 등가물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발생할 것이다.

Claims (12)

  1.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엔티티(network infrastructure entity)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동국의 그룹에게, 공유 리소스 세트로부터 이용 중인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 중 어느 이동국이 정의된 제1 송신 기회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비트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각 위치는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 중 하나의 리소스에 대응하는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비트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각 위치는 상기 제1 송신 기회가 정의되는 이동국에 대응하는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이용중인 것으로 표시되지 않은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액티브한 것으로 표시된 이동국에 인코딩된 패킷의 제1 송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2 송신을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6. 이동국에서의 방법으로서,
    공유 리소스 세트로부터 이용 중인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룹 중 어느 이동국이 정의된 제1 송신 기회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에 대한 계류중인 송신 기회가 제1 송신 기회인 경우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국에서의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와,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공유 리소스 세트로부터 이용 중인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수신하며,
    그룹 중 어느 이동국이 정의된 제1 송신 기회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국에 대한 계류중인 송신 기회가 제1 송신 기회인 경우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이동국.
  8. 트랜시버와,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국의 그룹에게, 공유 리소스 세트로부터 이용중인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그룹 중 어느 이동국이 정의된 제1 송신 기회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인 디케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비트맵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비트맵의 각 위치는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의 하나의 리소스에 대응하는 기지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비트맵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비트맵의 각 위치는 상기 제1 송신 기회가 정의되는 이동국에 대응하는 기지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이용중인 것으로 표시되지 않은 상기 공유 리소스 세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액티브한 것으로 표시된 이동국에 인코딩된 패킷의 제1 송신을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2 송신을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 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KR1020097007070A 2006-09-08 2007-09-05 무선 voip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재송신 표시를 갖는 자동 반복 요구 시그널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53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30,352 2006-09-08
US11/530,352 US20080062944A1 (en) 2006-09-08 2006-09-08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peat Request Signalling With Reduced Retransmission Indications in a Wireless VoIP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852A true KR20090053852A (ko) 2009-05-27

Family

ID=3904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070A KR20090053852A (ko) 2006-09-08 2007-09-05 무선 voip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재송신 표시를 갖는 자동 반복 요구 시그널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62944A1 (ko)
JP (1) JP2010503337A (ko)
KR (1) KR20090053852A (ko)
CN (1) CN101529784A (ko)
WO (1) WO20080308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7270B2 (en) * 2005-04-25 2014-11-25 Koninklijke Philips N.V. Medium time allocation and scheduling using ISO-zone structured superframe for QoS provisioning in wireless networks
CA2669560A1 (en) 2006-08-21 2008-02-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scheduling, and signaling for grouping real time services
US8363607B2 (en) * 2006-09-11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VOIP group resource management
KR100951824B1 (ko) * 2006-10-11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969805B1 (ko) * 2006-10-12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4326557B2 (ja) * 2006-11-08 2009-09-09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端末、携帯電話、リーダライタ、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194544B2 (en) * 2006-11-22 2012-06-05 Belair Networks Inc. Network delay shaping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of wireless networks
KR100996076B1 (ko) * 2006-12-29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996088B1 (ko) * 2007-01-03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자동 재전송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76384B1 (ko) * 2007-02-05 201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재전송요청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JP4935896B2 (ja) * 2007-03-15 2012-05-23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方法
WO2008114222A2 (en) * 2007-03-19 2008-09-2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indication of persistent allocation on l1/l2 control channel
WO2008130156A1 (en) * 2007-04-19 2008-10-30 Lg Electronics Inc. Group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the same, and group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controller
KR100991406B1 (ko) * 2007-06-14 201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 방법
US20080310359A1 (en) * 2007-06-15 2008-12-18 Mcbeath Sean Michael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US8130780B2 (en) 2007-06-15 2012-03-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with multiple regions
US8265029B2 (en) * 2007-06-15 2012-09-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US8614985B2 (en) 2007-06-15 2013-12-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group resource in a wireless SDMA system
KR101007026B1 (ko) * 2007-07-19 201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서킷모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US7839824B2 (en) * 2007-07-31 2010-11-23 Beceem Communications Inc. Allocation of periodically distributed frames of wireless communication
US9544911B2 (en) * 2007-08-10 2017-01-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communications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GB2452697A (en) * 2007-08-14 2009-03-18 Nec Corp Dynamically allocating new resources to a node provided with persistently allocated resources
KR101548026B1 (ko) 2007-09-11 2015-08-27 와이-랜, 인코포레이티드 지속 자원 할당
US9306709B2 (en) * 2007-09-14 2016-04-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 packet with an H-ARQ channel identifier
US9532347B2 (en) * 2007-10-18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60235B1 (en) * 2007-11-05 2018-05-16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source allocation
US8254942B2 (en) * 2007-11-27 2012-08-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445167B2 (en) * 2007-12-29 2016-09-13 Alcatel Lucent Persis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emi-grouping and statistically multiplexing
US8259662B2 (en) * 2008-02-19 2012-09-04 Futurewei Technologies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persistent resources dynamicall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113404B (zh) 2008-03-14 2017-09-15 苹果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分布式arq
US20090268693A1 (en) * 2008-04-25 2009-10-29 Nokia Corporation Signaling part of semi-persistent configuration via downlink control channel
US8483041B2 (en) * 2008-06-12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ticky region allocation in OFDMA communication systems
US8526390B2 (en) * 2008-06-12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ticky region allocation in map-based communication systems
US8825100B2 (en) * 2008-08-11 2014-09-0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ower boos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ing a subset of subcarrier frequenci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channel as a reduced bandwidth channel
CN101674151B (zh) 2008-09-09 2014-06-11 株式会社Ntt都科摩 资源分配方法、基站和移动通信终端
EP2263331A4 (en) 2008-11-18 2015-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A BROADCANNEL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ARRANGEMENT
JP5472644B2 (ja) * 2008-11-26 2014-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99556A1 (en) * 2009-06-26 2012-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onfiguring user bitmap in wireless access system
CN101674661B (zh) * 2009-10-14 2011-12-07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长期演进系统中的随机接入方法
US8477711B2 (en) * 2009-12-04 2013-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dia access control scheme for a multi-frequency TDMA network
US9125132B1 (en) * 2009-12-22 2015-09-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fficiently responding to mobile-device request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10187758B2 (en) 2009-12-29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ared scheduling request resources
WO2012023005A1 (en) * 2010-08-19 2012-0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 multiplexed use of a resource on a transmission medium
WO2012026854A1 (en) * 2010-08-23 2012-03-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ellular network for forwarding ack over the backhaul link and directly transmitting nack to the data source
US10033485B2 (en) * 2010-08-25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cknowledgement messages from multiple destinations for multi user MIMO transmissions
CN102811119B (zh) * 2011-06-01 2014-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道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US9504032B2 (en) * 2012-09-13 2016-11-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and base station for transferring small packets
US9218379B2 (en) * 2013-03-15 2015-12-22 Informatica Ll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fficiently performing operations on distinct data values
US9973901B2 (en) 2014-03-28 2018-05-15 Blackberry Limited Enhancing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CN108463963B (zh) 2016-01-13 2022-03-08 联想创新有限公司(香港)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数据确认的设备及其方法
GB2566319B (en) * 2017-09-11 2020-04-29 Tcl Communicati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dditional data for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efficient signalling for data multiplexing in the control region
US10728000B2 (en) * 2018-01-04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1064979A1 (ja) * 2019-10-04 2021-04-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427C (fi) * 1994-06-08 1997-06-10 Nokia Mobile Phones Ltd Järjestelmäpakettidatan siirtämiseksi eri bittinopeuksilla TDMA-solukkojärjestelmässä
JP4945044B2 (ja) * 2000-02-22 2012-06-06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無線パケット交換音声コール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2032160A2 (en) * 2000-10-09 2002-04-18 Nokia Corporation Service priorities in multi-cell network
US6625172B2 (en) * 2001-04-26 2003-09-23 Joseph P. Odenwalder Rescheduling scheduled transmissions
US7436763B1 (en) * 2002-07-31 2008-10-14 Nortel Networks Limite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 dual mode protection switching system
KR100909527B1 (ko) * 2002-11-04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패킷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터보 복호 시간 제어방법
US7343170B1 (en) * 2004-07-21 2008-03-11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ccess multiple channels
WO2006071049A1 (en) * 2004-12-27 2006-07-06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radio access system
WO2007045101A2 (en) * 2005-10-21 2007-04-26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plexing schemes for ofd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3337A (ja) 2010-01-28
WO2008030856A2 (en) 2008-03-13
US20080062944A1 (en) 2008-03-13
WO2008030856A3 (en) 2008-05-02
CN101529784A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3852A (ko) 무선 voip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재송신 표시를 갖는 자동 반복 요구 시그널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8075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peat request with reduced resource allocation overhead in a wireless VOIP communication system
KR101433972B1 (ko) 무선 voip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수신/디코딩 오류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9142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특수 송신의 표시
CN10979264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预留用于执行v2x通信的有限数量资源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终端
US8249607B2 (en)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7646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rhead for signaling
JP527668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スケジューリング
KR101252575B1 (ko) 기지국 및 이동국
US20070274288A1 (en) Shar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42271A (ko)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변조 포맷들을 이용한 리소스 할당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2163007B1 (en) Radio resource reallocating method for circuit mode
KR20080033966A (ko) 다중 캐리어 hsdpa의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리소스 할당 방법과 데이터 송신 방법
US7397767B2 (en)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for implementing the said method
WO2010052620A1 (en) A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GB2615907A (en) Configured gr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