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466A - 댐퍼 커넥터 - Google Patents

댐퍼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466A
KR20090050466A KR1020070116913A KR20070116913A KR20090050466A KR 20090050466 A KR20090050466 A KR 20090050466A KR 1020070116913 A KR1020070116913 A KR 1020070116913A KR 20070116913 A KR20070116913 A KR 20070116913A KR 20090050466 A KR20090050466 A KR 2009005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onnection
connection surface
ro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0466A/ko
Publication of KR2009005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 or circui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5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using electro- or magnetostrictive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92Sen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댐퍼에 노출되는 로드; 로드의 끝단에 구비되는 접속부;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 체결부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접속부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연결부; 연결부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 및 케이블의 타단과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댐퍼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커넥터는 댐퍼에 전류 공급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엠알 댐퍼, 전류, 가속도센서, 전압

Description

댐퍼 커넥터{DAMPER CONNECTOR}
본 발명은 댐퍼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에 의해 감쇄 기능을 하는 엠알 댐퍼의 전류 공급을 위한 부품을 단순화시키며,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댐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엠알 댐퍼(Magnetic-rheological Damper)는 유체의 자기장 세기에 따라 점성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댐퍼에 적용한 것으로서, 차량의 안정성 및 운전자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엠알 댐퍼에 사용되는 엠알유체는 반능동형 스마트 재료로 부하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항복전단응력이 변화되는 것으로서, 투자율이 낮은 용매에 높은 투자율을 지닌 입자를 분산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엠알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엠알 댐퍼(10)는 피스톤 헤드 부분에 자기장 형성을 위한 코일이 감겨있고, 이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유로 오리피스 주변부의 밸브가 자화 되면서 엠알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피스톤 헤드에 구비되는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로드(12) 내부로 전류공급선(13)이 유입된다. 그리고, 전류공급선(13)의 끝단은 미도시한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체(15)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엠알 댐퍼(10)의 상부 마운트 부근에 해당하는 차체에는 가속도 센서가 장착되어 차체 각 코너의 수직방향 진동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은 엠알 댐퍼(10)의 구동을 위해, 엠알 댐퍼(10)로 전류를 공급하고, 가속도 센서에 전압을 공급하며, 가속도 센서의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이 각각 별도로 구비된다. 이러한 라인은 엠알 댐퍼(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체에 가속도 센서를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므로, 조립성이 저해되고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엠알 댐퍼 및 가속도 센서에 각각 전류 또는 정보 전송을 위한 라인이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조립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속도 센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전원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댐퍼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댐퍼에 노출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끝단에 구비되는 접속부;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접속부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과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댐퍼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로드의 끝단 중앙에 형성되어 전류를 유입시키는 제1접속면; 상기 로드의 끝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전류를 배출시키는 제2접속면; 및 상기 제1접속면과 상기 제2접속면 사이에 형성되어 전류 이동을 차단하는 단전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접속면과 접촉되는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접속면과 접촉되는 제2연결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연결면과 연결되는 제1핀; 및 상기 제2연결면과 연결되는 제2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가속도센서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전원 공급 및 정보 전달을 위한 가속도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커넥터는 로드와 연결부의 결합 부분이 전류의 이동을 가능케 하므로, 엠알 댐퍼로부터 전선이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 엠알 댐퍼의 전선 노출로 인한 단선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커넥터는 가속도센서가 연결부에 내장됨으로써, 종래 가속도센서를 차체에 별도로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부품을 삭제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커넥터는 가속도센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 충격으로 인한 가속도센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알 댐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엠알 댐퍼(20)는 피스톤 헤드 부분에 자기장 형성을 위한 코일이 감겨있고, 이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유로 오리피스 주변부의 밸브가 자화되면서 엠알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엠알 댐퍼의 전류 전달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므로, 아래에는 이러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며, 엠알 댐퍼의 구체적 구성은 생략한다.
상기 엠알 댐퍼(20)에는 로드(100)가 노출된다. 이러한 로드(100)의 외주면에는 체결부(110)가 형성되고, 노출된 로드(100)의 끝단 부분에는 접속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연결부(200)가 구비된다. 이러 한 연결부(200)의 일단은 체결부(110)에 결합되면서 접속부(120)와 접촉되어 전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200)의 타단에는 케이블(300)의 일단이 결합되고, 케이블(300)의 타단은 제어부(4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케이블(300)을 통해 전류를 엠알 댐퍼(20)에 공급한다. 이로 인해, 엠알 댐퍼(2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0)는 로드(10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연결부(200)의 일단 내측에는 체결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체결 형상을 통해, 로드(100)의 끝단과 연결부(200)는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접속부(120)는 제1접속면(121), 제2접속면(122) 및 단전면(123)을 구비한다. 제1접속면(121)은 로드(100)의 끝단 중앙에 형성되고, 전류가 엠알 댐퍼(20)로 유입된다. 제2접속면(122)은 로드(100)의 끝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고, 로드(100)의 코일을 통과한 전류가 리턴된다. 단전면(123)은 제1접속면(121)과 제2접속면(122) 사이에 형성되어 제1접속면(121)과 제2접속면(122)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엠알 댐퍼(20)에 구비되는 코일에 전류 공급이 가능하도록, 로드(100)의 내부에는 제1접속면(121) 및 제2접속면(122)과 연결되는 라인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00)의 일단은 접속부(120)와 접촉되어 전류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가지며, 제1연결면(211) 및 제2연결면(212)을 구비한다. 제1연결면(211)은 연결부(200)의 일단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제1접속면(121)과 접촉된다. 그리고, 제2연결면(212)은 제1연결면(211)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접속면(122)과 접촉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200)의 타단에는 제1연결면(211)과 연결되는 제1핀(221) 및 제2연결면(212)과 연결되는 제2핀(222)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핀(221)과 제2핀(222)은 케이블(300)과 결합되어 전류가 이동된다. 상기 케이블(300)은 연결부(200)의 타단과 후크 결합을 통해 탈부착된다.
상기 연결부(200)에는 가속도센서(500)가 내장된다. 이러한 연결부(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고, 가속도센서(500)는 연결부(200)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500)의 작동을 위해, 연결부(200)의 타단에는 가속도센서(500)에 전원 공급 및 정보 전달을 위한 가속도핀(510)이 구비된다. 이러한 가속도핀(510)은 가속도센서(500)와 복수로 연결된다. 즉, 가속도핀(510)은 가속도센서(500)에 5V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핀 2개와, 가속도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하기 위한 핀 1개를 구비한다. 한편, 케이블(300)은 가속도핀(510)과 접속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400)는 가속도센서(500)에 전압을 공급하고, 가속도센서(500)의 측정정보는 제어부(400)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드(100)의 끝단을 연결부(200)에 삽입한 다음, 연결부(200)를 회전시켜 로드(100)와 연결부(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1접속면(121)과 제1연결면(211)이 서로 접촉되고, 제2접속면(122)과 제2연결면(212)이 서로 접촉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연결부(200)와 타단과 케이블(300)의 일단을 결합시킨다. 이때, 케이블(300)의 타단은 제어부(400)와 결속된다.
이와 같이 엠알 댐퍼(20)와 제어부(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엠알 댐퍼(20)로 전류가 유입되었다가 배출된다. 이때, 엠알 댐퍼(20)에 구비되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엠알 댐퍼(20)는 감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200) 내부에 가속도센서(500)에 내장되면, 제어부(400)는 가속도센서(5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엠알 댐퍼(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엠알 댐퍼(2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엠알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알 댐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댐퍼 100 : 로드
110 : 체결부 120 : 접속부
200 : 연결부 300 : 케이블
400 : 제어부 500 : 가속도센서

Claims (5)

  1. 댐퍼에 노출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끝단에 구비되는 접속부;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접속부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과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댐퍼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로드의 끝단 중앙에 형성되어 전류를 유입시키는 제1접속면;
    상기 로드의 끝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전류를 배출시키는 제2접속면; 및
    상기 제1접속면과 상기 제2접속면 사이에 형성되어 전류 이동을 차단하는 단전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접속면과 접촉되는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접속면과 접촉되는 제2연결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연결면과 연결되는 제1핀; 및
    상기 제2연결면과 연결되는 제2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가속도센서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전원 공급 및 정보 전달을 위한 가속도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커넥터.
KR1020070116913A 2007-11-15 2007-11-15 댐퍼 커넥터 KR20090050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13A KR20090050466A (ko) 2007-11-15 2007-11-15 댐퍼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13A KR20090050466A (ko) 2007-11-15 2007-11-15 댐퍼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66A true KR20090050466A (ko) 2009-05-20

Family

ID=4085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913A KR20090050466A (ko) 2007-11-15 2007-11-15 댐퍼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04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205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만도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댐퍼용 피스톤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205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만도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댐퍼용 피스톤 조립체
US10151369B2 (en) 2016-12-13 2018-12-11 Mando Corporation Wire connector and piston assembly for dampe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5505B2 (ja) 電子膨張弁
US9366309B2 (en) Engine mount for a motor vehicle
CN102192310B (zh) 自动变速器的控制装置
US93002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ial communication by an electronic circuit
US20160137088A1 (en) Ibs apparatus having a clamp and cable connection part integrated therein
KR20120059584A (ko) 슬레이브 장치에 고유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EP2700549A1 (en) Electric brake control apparatus
CN103906943B (zh) 用于电路载体的减振装置和具有电路载体的电子设备
JP2009535594A (ja) 制御可能な磁性流体の支柱体を備えた制御可能な車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CN104074920A (zh) 用于车辆的动力总成悬置及具有该动力总成悬置的车辆
KR20090050466A (ko) 댐퍼 커넥터
KR20140147976A (ko)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KR101670003B1 (ko) 액티브 서스펜션을 이용한 터보 블로워 진동 저감 시스템
US10823933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7093613B2 (en) Magnet arrangement
CN104343886A (zh) 使用电动再生力管理噪音和振动的系统及具有其的车辆
US9716522B2 (en) Radio communication module
JP5956532B2 (ja) 筒内圧検出装置
CN105443286A (zh) 执行器/传感器设备
CN102277709B (zh) 洗涤机
KR102090687B1 (ko) 유동모드의 작동 구조와 핀치모드의 작동 구조를 겸비한 mr 댐퍼
CN110474126A (zh) 一种集成组件
JP4952606B2 (ja) センサチップの取付構造
KR100732150B1 (ko)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용 엠알 씨디씨 댐퍼의 전기연결커넥터
KR200393338Y1 (ko) 솔레노이드밸브의 코일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