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855A -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855A
KR20090049855A KR1020070116179A KR20070116179A KR20090049855A KR 20090049855 A KR20090049855 A KR 20090049855A KR 1020070116179 A KR1020070116179 A KR 1020070116179A KR 20070116179 A KR20070116179 A KR 20070116179A KR 20090049855 A KR20090049855 A KR 2009004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electric motor
electromotive force
arm switch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훈
김광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9855A/ko
Publication of KR2009004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3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in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암 스위칭 소자와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을 이루어 세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인버터와, 세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 중 어느 한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 사이의 데드 타임 기간 동안에 삼상 전동기로부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와, 검출되는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삼상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삼상 전동기로부터 유발되는 역기전력을 간단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70116179
공기조화기, 전동기, 역기전력, 검출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기에서 유발되는 역기전력을 간단히 검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방, 거실, 사무실 또는 영업 점포 등의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뉜다.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과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는 냉/난방을 수행하는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는 방열과 압축 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를 설치한 후 서로 분리된 두 기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한편,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팬 등에 전동기가 사용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 제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동기 제어장치가 사용된 다.
전동기의 제어를 위해서, 전동기로부터 유발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이를 기초로 전동기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역기전력 검출하기 위해서는, 전동기를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유발되는 역기전력을 검출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120도 통전방식이 아닌 180도 통전방식에서는 더욱 역기전력 검출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전동기가 외풍에 의해 역회전하는 경우 제로 벡터에 의해 효율적으로 정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상암 스위칭 소자와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을 이루어 세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인버터와, 세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 중 어느 한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 사이의 데드 타임 기간 동안에 삼상 전동기로부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와, 검출되는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삼상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인버터와,
삼상 전동기의 각 상에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삼상 교류 전원이 순시적으로 인가되며 삼상 중 어느 한상의 정지 기간에, 전동기로부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와, 검출되는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삼상 전동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삼상 교류 전원이 순시적으로 인가되는 전동기의 일시 정지 없이, 간단히 역기전력 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50)는, 크게 실내기(I)와 실외기(O)로 구분된다.
실외기(O)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4)와, 실외 열교환기(5)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5a)과 실외팬(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3)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I)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8)와, 실내측 열교환기(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9a)과 실내팬(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5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 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서의 전동기는 도면에서 도시한, 실내팬, 압축기 및 실외팬을 각각 동작시키는 전동기(2b,5b,9b)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200)는, 컨버터(210), 인버터(220), 역기전력 검출부(E), 추정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200)는, 전압지령 생성부(270),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280), 리액터(L) 및 평활 커패시터(C)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과 컨버터(210) 사이에 배치되어,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컨버터(2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2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버터(210)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여,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한다.
평활 커패시터(C)는 컨버터(210)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컨버터(210)로부터 출력되는 변환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컨버터(210)의 출력단을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고 한다. dc 단에서 평활된 직류 전압은 인버터(220)에 인가된다.
인버터(220)는 복수개의 인버터용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 및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Sa&Sa',Sb&Sb',Sc&Sc')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220)에서 출력되는 삼상 교류 전원은 삼상 전동기(250)의 각 상(u,v,w)에 인가된다. 여기서 삼상 전동기(250)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며, 각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삼상 전동기(250)의 종류로는 BLDC 전동기, synRM 전동기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역기전력 검출부(E)는 인버터 내의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Sa&Sa',Sb&Sb',Sc&Sc') 중 어느 한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 사이의 데드 타임 기간 동안에, 삼상 전동기로부터의 역기전력(Vu,Vv,Vw)을 검출한다. 즉, 삼상 전동기에 교류 전원이 순시적, 즉 180도 통전 방식으로 인가되는 되는 동안에 삼상 중 어느 한상에 인가되는 전원이 제로(0)인 경우, 그 타이밍에 역기전력을 검출한다.
그 타이밍은 인버터 내의 한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스위칭을 교체하는 기간인 데드 타임 기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120도 통전 방식과 같이, 180도 통전 방식에서도 역기전력(Vu,Vv,Vw)의 검출이 가능하며, 이를 기초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중지 기간 없이 , 180도 통전 방식에서 역기전력(Vu,Vv,Vw)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역기전력 검출부(E)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가능하다. 역기전력 검출부(E)는 전압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역기전력 검출부(E)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추정부(230)는 검출되는 역기전력(Vu,Vv,Vw)을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속도(v)를 추정한다. 삼상 전동기의 전기 방정식 및 기계방정식을 이용하여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v)를 추정할 수 있다.
전압 지령 생성부(270)는 추정 속도(v)와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즉, 전압지령 생성부(270)는 산출된 속도(v)와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하는 PI 제어기(미도시) 및 전압 지령치(v* d,v* q)가 각각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전압 지령 제 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270) 전에, 산출된 속도(v)와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d,i* q)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전압 지령 생성부는 전류 지령치(i* d,i* q)와 전동기에 흐르는 출력전류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할 수도 있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280)는 전압 지령치(v* d,v* q)에 기초하여 PWM신호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인버터(220)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인버터(220)가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추정부(230), 전압 지령 생성부(270), 및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280)는 하나의 마이컴(260) 내에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의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200)는 dc 단 전압을 검출하는 dc 단 전압 검출부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흐르는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dc 단 전압과 입력전류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는 상술한 마이컴(260) 내에서 같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마이컴에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SVPWM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데드 타임 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은 2Ts 기간 동안에 인버터 내의 3개의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의 온/오프 동작을 도시한다. 여기서, Ts는 단위 제어 주기 기간으로서, 스위칭 주파수(fs)의 역수이다.
먼저, Sa 스위칭 소자는 T1에서 온(on) 되며, T6에서 오프(off)된다. Sb 스위칭 소자는 T2에서 온(on) 되며, T5에서 오프(off)된다. Sc 스위칭 소자는 T3에서 온(on) 되며, T4에서 오프(off)된다.
각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시 상,하암 스위칭 소자의 도통에 의한 스위칭 소자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드 타임 기간이 존재한다.
데드 타임 기간은, T1,T2,T3와 같이 각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오프에서 온(on)되는 기간일 수 있다. 또한, 데드 타임 기간은, T4,T5,T6과 같이 각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온(on)에서 오프되는 기간일 수 있다.
도 4는 상암 스위칭 소자(Sa) 및 하암 스위칭 소자(Sb)의 온, 오프 동작에 의한 데드 타임을 보여준다. 먼저 상암 스위칭 소자(Sa)가 오프에서 온되는 동안에 하암 스위칭 소자(Sa')는 온에서 오프되며, 이 기간 사이를 제1 데드 타임 기간(Td1)이라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암 스위칭 소자(Sa)가 온에서 오프되는 동안에 하암 스위칭 소자(Sa')는 오프에서 온되며, 이 기간 사이를 제2 데드 타임 기간(Td2)이라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데드 타임 기간(Td1,Td2) 동안에, 3상 중 2상에는 PWM 신호가 인가되지만, 나머지 1 상에는 어떠한 신호도 인가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기간을 이용하여, 역기전력 검출부(E)를 통해 간단히 역기전력(Vu,Vv,Vw)을 검출한다.
결국, 단위 제어 주기 기간(Ts) 기간 동안, 각 상에서는 1 번씩 역기전력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3상(u,v,w) 모두에서 역기전력(Vu,Vv,Vw)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역기전력 검출부 내부의 회로로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5a의 역기전력 검출부(E)는 저항 소자를 포함한다. 인버터(220)와 전동기(250) 사이의 각 상(u,v,w)에서 저항 소자들(R1~R6)을 사용하여 역기전력(Vu,Vv,Vw)을 검출한다. 즉, u 상에서는 R1 및 R2 저항 소자 중 R2에 분배되는 전압을 역기전력(Vu)으로서 검출한다. v 상에서는 R3 및 R4 저항 소자 중 R4에 분배된 전압을 역기전력(Vv)으로 검출하고, w 상에서는 R5 및 R6 저항 소자 중 R6에 분배된 전압을 역기전력(Vw)으로 검출한다. 검출된 역기전력(Vu,Vv,Vw)은 추정부(260)에 인가된다.
다음에, 도 5b의 역기전력 검출부는 저항 소자 및 비교기를 포함한다.
도 5a와 비교하면, 도 5b의 역기전력 검출부(E)는 저항 소자들(R1~R6)이외에, 비교기(Q1~Q3)를 더 포함한다. 비교기(Q1~Q3)는 dc 단 전압(Vdc)에서 분배된 기준전압(Vref)과 저항 소자들(R1~R6)에서 분배된 역기전력(Vu,Vv,Vw)을 비교하여 펄스 형태로 역기전력(Pu,Pv,Pw)을 추정부(260)로 인가한다. 기준전압(Vref)은 dc 단의 저항소자들(Rc1,Rc2) 중 Rc2에 분배된 전압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SVPWM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데드 타임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역기전력 검출부 내부의 회로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컨버터 220:인버터
230:추정부 260:마이컴
270:전압 지령 생성부 280: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

Claims (14)

  1. 상암 스위칭 소자와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을 이루고, 세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인버터;
    상기 세 쌍의 상, 하암 스위칭 소자 중 어느 한 쌍의 상암 스위칭 소자와 하암 스위칭 소자 사이의 데드 타임 기간 동안에, 삼상 전동기로부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
    상기 검출되는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삼상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 타임 기간은, 상기 상암 스위칭 소자가 오프되는 시간부터 상기 하암 스위칭 소자가 온 되는 시간까지 인 것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 타임 기간은, 상기 하암 스위칭 소자가 오프되는 시간부터 상기 상암 스위칭 소자가 온 되는 시간까지 인 것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는,
    단위 스위칭 주기 동안에, 삼상 전동기의 한 상에 대해 역기전력을 1회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는
    상기 전동기의 각 상에 각각 접속되는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는
    상기 전동기의 각 상에 각각 접속되는 저항소자; 및
    상기 dc 단 전압에 기초한 기준 전압과 상기 저항 소자 양단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속도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지령 생성부; 및
    상기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인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는 180도 통전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9. 인버터;
    삼상 전동기의 각 상에 상기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삼상 교류 전원이 순시적으로 인가되며, 삼상 중 어느 한상의 정지 기간에, 상기 전동기로부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되는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삼상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는,
    단위 제어 주기 기간 동안에, 삼상 전동기의 한 상에 대해 역기전력을 2회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는
    상기 전동기의 각 상에 각각 접속되는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는
    상기 전동기의 각 상에 각각 접속되는 저항소자;및
    상기 dc 단 전압에 기초한 기준 전압과 상기 저항 소자 양단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는 180도 통전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속도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지령 생성부; 및
    상기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인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20070116179A 2007-11-14 2007-11-14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49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179A KR20090049855A (ko) 2007-11-14 2007-11-14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179A KR20090049855A (ko) 2007-11-14 2007-11-14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855A true KR20090049855A (ko) 2009-05-19

Family

ID=4085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179A KR20090049855A (ko) 2007-11-14 2007-11-14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9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8666A1 (it) * 2022-04-29 2023-10-29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controllare un motore bldc e corrispondente circuito di controll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8666A1 (it) * 2022-04-29 2023-10-29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controllare un motore bldc e corrispondente circuito di controllo
EP4270771A1 (en) * 2022-04-29 2023-11-01 STMicroelectronics S.r.l. A method for controlling a bldc motor and corresponding control circu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559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52168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561922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방법
KR20090052166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110092055A (ko)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00003580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40097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054438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20090049856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054439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159132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20090042520A (ko)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49855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47609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56434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42522A (ko) 공기조화기의 팬용 전동기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장치
KR20090044252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41596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0364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2080519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090042519A (ko) 전동기 판별 방법 및 그 판별 장치
KR20100036780A (ko) 전동기 제어장치
KR102080517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090041599A (ko) 공기조화기의 팬용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9850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