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01A -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01A
KR20090047401A KR1020090017680A KR20090017680A KR20090047401A KR 20090047401 A KR20090047401 A KR 20090047401A KR 1020090017680 A KR1020090017680 A KR 1020090017680A KR 20090017680 A KR20090017680 A KR 20090017680A KR 20090047401 A KR20090047401 A KR 2009004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vement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user comm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 웡
크리스피언 톰프킨
사미어 쉬가온카
윌리엄 서몬
액셀 이 메이어
안토니 댈비
클라우스 알랜 크리스텐센
시몬 브래드포드
니일로 알프산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4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 장치용의 전자 디스플레이로서, 이 디스플레이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signalling)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의 전자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용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연관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립 방법을 포함하는 그와 관련된 방법도 본 발명에 속한다.
전자 디스플레이는 무선 전화기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용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전자 디스플레이는 음향(예를 들면 MP3 포맷 또는 다른 음향 포맷을 포함하는 음성 및/또는 음악 등) 및/또는 이미지(예를 들면 스틸 이미지/비디오 이미지 등)의 기록/재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용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전자 디스플레이는 휴대 사용성(handheld in use) 및/또는 사용자 휴대형(user portable)으로 설계되는 전자 장치용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 장치는 반드시 휴대 사용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전자 장치가 예를 들면 다수의 상이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에 의 해 점차적으로 소형화 및/또는 복잡화되어갈수록, 비교적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조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제 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의 전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상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의 면에서 평행한 평면에서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고, 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각각의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signalling)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는 각각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어 각각의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될 수 있고, 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각기의 특정 방향과 연관된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4개의 면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는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면에 표시 가능하다.
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커맨드가 디스플레이의 부분 주위, 주요 부분 및/또는 실제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모든 주변부에 표시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단일 평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단일) 평면 내에 슬라이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자신이 부착 가능한 전자 장치의 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이동 가능할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는 중심의 제로(zero) 이동 위치에 대해 4개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중심의 제로 이동 위치에 대해 8개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방향은 중심의 제로 이동 위치 둘레에 동일한 각도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평면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누름(depression) 및/또는 당김(pulling)은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별도로 사용자 입력에 대해 터치감응형(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의 평면에서 디스플레이의 내부/외부로의 이동을 유발하지 않는 약한 누름으로도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자신이 부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면에 대해 복수의 평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자신이 부착될 수 있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동 가능하고, 자신이 부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면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수직한 평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은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개시한다. 디스 플레이가 디바이스의 전면에 부착된 경우에, 이것은 디스플레이의 누름 및 디바이스의 전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을 허용하여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개시할 수 있게 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소프트 키(soft key)가 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사용자 커맨드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내에서 현재의 메뉴 위치에 따라서 변동 가능하다.
이 디스플레이는 휴대형 전자 장치용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무선 전화기(휴대 이동 전화기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포함함) 등과 같은 통신 장치용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상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중 제 1 상태는 이동과 연관된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제공하고, 제 2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이동과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연관시키지 않는 상태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동과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의 연관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하나 이상의 이동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이동을 억제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주머니에서 보관되는 경우에 우발적인 사용자 커맨드의 개시가 억제될 수 있다.
이동 불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은 이동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의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이동 불가능할 수 있다.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노출된 부분 아래에 숨겨질 수 있다.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전자 장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장치는 전자 장치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추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추가 디스플레이는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에 비해 비교적 클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상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중 제 1 상태는 이동과 연관된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제공하고, 제 2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이동과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연관시키지 않는 상태이다.
제 2 상태에서,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는 시간, 날짜 및/또는 누락된 통화(missed call)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추가 디스플레이는 유휴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 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의 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하나 이상 의 사용자 커맨드의 응답을 상기 전자장치에 개시하는 상기 신호 처리기로의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 전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각각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코드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특정한 위치에 대한 사용자 커맨드의 표시를 제어하고, 특정 방향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이동 및 관련된 사용자 커맨드를 연관시키고, 이동 표시 사용자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장치를 제어한다.
제 5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 전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전자 장치에 대해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르면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 에 따라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를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의 응답을 상기 전자장치에 개시하는 상기 신호 처리기로의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8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 전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이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대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코드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특정한 위치에 대한 사용자 커맨드의 표시를 제어하고, 특정 방향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이동 및 관련된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연관시키고, 이동 표시 사용자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장치를 제어한다.
하나 이상의 측면, 실시예, 측면/실시예의 특징에 대한 단일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여러 조합체는 그것이 그 단일체 또는 조합체 내에 특정하게 개시되어 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대응 수단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조립 방법을 포함하는 연관된 방법은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가 점차적으로 소형화 및/또는 복잡화되어 가는 것에 따라, 비교적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조립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전자 장치용의 전자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용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연관된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전자 장치는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이동 휴대 전화기(100)이다. 전화기(100)는 무선 채널을 통한 화상 통화/데이터 전송의 허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화기(100)는 또한 MP3 포맷의 음악을 재생하고,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화기는 다기능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전화기(100)는 (반드시 휴대 사용 가능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휴대 사용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전화기의 전면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키패드(10),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 및 고정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고정 디스플레이(30)는 전화기(100)의 상단을 향해 배치되고, 키패드(10)는 바닥을 향해 배치되며,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키패드(10)와 고정 디스플레이(30)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디스플레이(30)는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보다 훨씬 더 크다. 키패드(10) 및 고정 디스플레이(30)는 통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이동 가능하고 중심의 제로 이동 위치를 갖는다. 이것은 그 중심 위치로부터 8개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에는 4개의 직교 위치(이것은 나침반의 4개의 기본 방향, 즉 "북", "동", "남", "서"로 간주될 수 있음) 및 4개의 직교 위치 사이에 동일한 각도 간격을 갖는 4개의 추가 방향("북동", "남동", "남서", "북서")이 존재한다. 이 방향들은 반드시 나침반의 해당 방향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예시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20)는 전화기(100)의 전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동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와 다르게 또는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는 전화기(100)의 전면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의 이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커맨드와 연관된다.
사용자 커맨드는 디스플레이(20) 위에서 디스플레이(20) 주변 둘레에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실제 사용자 커맨드는 전화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의 메뉴 구조 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는 직사각형이고, 3개의 사용자 커맨드("카메라", "확인" 및 "취소")는 직사각형 디스플레이(20)의 4개의 면 중 3개에 표시되어 있다. "카메라" 사용자 커맨드는 "북"/"상측" 방향에 표시되어 있고, "확인"은 "동"/"우측" 방향에 표시되어 있고, "취소"는 "남"/"하측" 방향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화기(100)의 전면에 대한 디스플레이(20)의 이동은 전화기(100)를 전화기(100)의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는 시그널링을 개시할 것이다.
전화기(100)는 디스플레이(20)의 이동과 사용자 커맨드의 연관이 정지(turned off)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우발적인 사용자 커맨드의 개시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유휴 모드에서,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시간, 날짜, 누락된 통화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고정 디스플레이(30)(이것은 장치/전화기(100)의 메인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음)는 또한 저 전력 소모 상태인 유휴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 날짜, 누락된 통화 등을 메인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는 것 대신에, 이 정보를 비교적 작은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한다. 이것은 전화기(100) 내에 전력 소모 감소를 포함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전화기(100)의 2차적 디스플레이로 간주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의 이동은 하나 이상의 전자적, 기계적 및/또는 전자기계적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여러 메커니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도 2는 커맨드 신호를 신호 처리기에 제공하는 도 1의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 위 또는 내부에서 선택 가능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는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커맨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기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내부에 설치된 장치에 대하여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도록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커맨드 신호에 대해 응답을 개시하는 수단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 위 또는 내부에서 선택된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를 이동시켜서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여기에서 이 디스플레이는 방향에 따라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신호 처리기는 전자 장치 내의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의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대한 여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장치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고,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직사각형이 아닐 수 있다. 디스플레이(20)에는 이동 불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존재할 수 있다.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노출된 부분 아래에 숨겨질 수 있다.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전화기(100)의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전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는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20)외에 어떠한 다른 디스플레이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새로운 특징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나타내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 있어서 여러 생략,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 요소 및/또는 방법 단계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명백히 의도되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임의의 개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또는 설명된 구조물 및/또는 구성 요소 및/또는 방법 단계는, 설계 선택 사항의 일반 문제로서 임의의 다른 제안, 설명 또는 제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오로지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에 표시된 것으로만 한정하도록 의도되었다. 또한, 청구항 내에서 수단+기능 조항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물이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포함하고, 구조적 균등물뿐만 아니라 균등적 구조물들도 포함하도록 의도하였다. 따라서 못(nail)이 나무 부분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원통형 표면을 갖는 반면, 나사못(screw)은 나선형 표면을 갖는다는 점에서 못과 나사못은 구조적 등가물이 아니지만, 나무 부분을 고정하는 환경에서 못과 나사못은 대등한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신호 처리기에 커맨드 신호를 제공하는 도 1의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39)

  1. 전자 장치용 전자 디스플레이로서,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signalling)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는 제각기의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각각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각기의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4개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면에 표시 가능한
    전자 디스플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 평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슬라이딩(slideably)으로 이동 가능한
    전자 디스플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자신이 부착 가능한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의 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 가 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의 제로(zero) 이동 위치에 대해 4개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의 제로 이동 위치에 대해 8개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8개의 방향은 상기 중심의 제로 이동 위치 둘레에 동일한 각도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전자 디스플레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평면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대해 추가적으로 터치 감응형(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전자 디스플레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부착될 수 있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동 가능하고,
    디스플레이가 부착될 수 있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면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상기 평면 내에서의 이동은 사용자 커맨드의 시그널링을 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소프트 키(soft key)로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내에서 현재의 메뉴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13.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형 전자 장치용으로 사용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14.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장치용으로 사용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상태로 사용되도록 구성되고,
    제 1 상태는 이동과 연관된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제공하고,
    제 2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과 상기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연관시키지 않는 상태인
    전자 디스플레이.
  16. 제 1 항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unintended) 사용자 커맨드의 개시를 방지하도록 구성 가능한
    전자 디스플레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고정된
    전자 디스플레이.
  18.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추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상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 1 상태는 이동과 연관된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제공하고,
    제 2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과 상기 사용자 커맨드 시그널링을 연관시키지 않는 상태인
    전자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 2 상태에서 상기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는 시간, 날짜 및/또는 누락된 통화(missed call)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는 유휴 상태(idle state)에 있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2. 신호 처리기에 연결된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의 응답을 상기 전자 장치에 개시하는 상기 신호 처리기로의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23. 전자 장치용 전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 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대응하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특정한 위치에 대한 상기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이동 방향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 및 관련된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연관시키고,
    상기 이동 표시 사용자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4. 전자 장치용의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25.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은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6. 신호 처리기 수단과 연결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은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의 응답을 상기 전자 장치에 개시하는 상기 신호 처리기 수단으로의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27. 전자 장치에서 선택 가능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형 디스플레이-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른 방향에 따라서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를 가변적으로 표시함-를 이동하여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가변적인 커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가변적인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28. 장치로서,
    상기 장치 상에서 선택 가능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가변적인 커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커맨드 신호를 제공함-과,
    상기 장치 내에서 상기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가변적인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개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상기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 이동인
    전자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슬라이딩 이동인
    장치.
  31. 전자 장치와 전자 디스플레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이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상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전자 디스플레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뉴 구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상기 특정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이 상기 특정 이동 방향과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후부에 평행한 면에 대해 경사(tilt)지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34. 제 27 항 또는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형 디스플레이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후부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경사진 이동인
    전자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36. 전자 장치에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도록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그널링에 기초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해 전자 디스플레이가 특정 이동 방향-상기 특정 이동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와 연관됨-에 이동된 결과로서 제공되는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8. 전자 장치에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도록 시그널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가능형 디스플레이에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와 연관된 특정 이동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 표시를 수신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가변적인 사용자 커맨드를 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 27 항, 제 29 항, 제 36 항, 제 37 항 또는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090017680A 2006-05-24 2009-03-02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KR200900474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40,717 US20070273641A1 (en) 2006-05-24 2006-05-24 Electronic devices
US11/440,717 2006-05-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964A Division KR20070113152A (ko) 2006-05-24 2007-05-22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01A true KR20090047401A (ko) 2009-05-12

Family

ID=383299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964A KR20070113152A (ko) 2006-05-24 2007-05-22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KR1020090017680A KR20090047401A (ko) 2006-05-24 2009-03-02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964A KR20070113152A (ko) 2006-05-24 2007-05-22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73641A1 (ko)
EP (1) EP1860541A3 (ko)
KR (2) KR20070113152A (ko)
CN (1) CN1010799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08B1 (ko) * 2007-12-06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932A (en) * 1987-04-30 1990-08-2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U2003303787A1 (en) * 2003-01-22 2004-08-13 Nokia Corporation Image control
US20060181517A1 (en) * 2005-02-11 2006-08-17 Apple Computer, Inc. Display actuator
EP1517224A3 (de) * 2003-09-16 2007-02-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rührungsempfindliche Anzeigevorrichtung
US20060022950A1 (en) * 2004-07-09 2006-02-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152A (ko) 2007-11-28
EP1860541A3 (en) 2008-01-23
EP1860541A2 (en) 2007-11-28
US20070273641A1 (en) 2007-11-29
CN101079916A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250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input or output device
US850393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motion input device
US7627337B2 (en) Dual lever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US8982105B2 (en) Ergonomic user interface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EP1832095B1 (en) A mobile terminal, and associated methods,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RU2407209C2 (ru) Переключение режима работы в терминал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101598078B1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JP2009531961A (ja) 多機能制御部を有する無線周辺装置
JP2009520286A5 (ko)
JP2012509524A (ja) 非直線アクティブ領域を備えるタッチセンシティブ入力デバイスを有する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
JP4371798B2 (ja) 携帯端末装置
US91765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US2010024523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ow Dexterity Requirement Input Means
US20080318618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8305294A (ja) フルキーボードを搭載した携帯型端末装置及びフルキーボード表示方法
KR20090047401A (ko)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 코드, 전자 디스플레이 수단, 작동 방법 및 조립 방법
JP5363890B2 (ja) 携帯電話機
JP2007202124A (ja)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機器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コンテンツデータの閲覧方法
JP4574541B2 (ja) 電子機器
KR20070037549A (ko) 다기능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KR100851579B1 (ko) 휴대용 전자장치, 휴대용 전자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용 컴퓨터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휴대용 전자 장치 조작 방법, 휴대용 전자 장치 조립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립 방법
KR20160129665A (ko) 커버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0675157B1 (ko)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JP3201372B2 (ja) 携帯通信装置
JP2006018603A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