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157B1 -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157B1
KR100675157B1 KR1020040100743A KR20040100743A KR100675157B1 KR 100675157 B1 KR100675157 B1 KR 100675157B1 KR 1020040100743 A KR1020040100743 A KR 1020040100743A KR 20040100743 A KR20040100743 A KR 20040100743A KR 100675157 B1 KR100675157 B1 KR 10067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ouch pad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044A (ko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1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의 구성을 배제하여 넓은 화면의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와의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부와, 상기 RF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하는 송수화부와, 상기 키맵데이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키맵데이터에서 특정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우스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마우스를 이동시키고 터치패드부에 의해 선택되는 응용프그램을 구동하며,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패드,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폰,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Description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d}
도1은 종래기술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4는 도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01 : 제어부
102 : 저장부 103 : RF부
104 : 송수화부 110 : 표시부
111 : 터치스크린제어부 120 : 터치패드
130 : 스피커 140 : 마이크
본원발명은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의 구성을 배제하여 넓은 화면의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서의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스피커(31), 안테나(32), 디스플레이(33), 키패드(34), 마이크로폰(36)을 포함하며, 또한 플립(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키패드(34)는 이동통신 단말기(30)의 하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도록 위치되며, 키패드(34)의 상부에 LCD 등의 디스플레이(33)가 위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립형 이나 폴더형 모두 디스플레이(33)의 크기의 확장이 키패드(34)에 의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증대로 단말기 화면이 커지면서 키패드의 위치 설정도 어렵고, 한 손으로 조작하기도 어려워 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키패드에 의한 디스플레이(33)의 크기 제한은 현재 서비스 진행중인 VOD 등의 서비스에서의 영상 화면의 크기 제약으로 인해 박진감 넘치는 화면을 제공하는 데 제약으로 작용함은 물론, 인터넷 접속 등을 수행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 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중 키패드를 터치패드로 대체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전면의 대부분의 영역을 표시부로 구현하여 화면 표시 영역을 확장시킨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 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와의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부와, 상기 RF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하는 송수화부와, 상기 키맵데이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키맵데이터에서 특정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우스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마우스를 이동시키고 터치패드부에 의해 선택되는 응용프그램을 구동하면,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키맵 또는 메뉴의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켜 선택된 키맵의 기능 또는 메뉴의 기능을 구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도이며, 도3은 도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측면도이고, 도4는 도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 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되는 LCD로 구성되는 표시부(110)와 스피커(130)와 마이크(140)로 이루어지는 송수화부를 구비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상부에는 제어명령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부(120)가 구비된다.
도2 내지 도3에서와 같은 외부 모양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4와 같이, 제어부(101), 저장부(102)와, RF부(103)와, 스피커(130)와 마이크(140)로 구성되는 송수화부(104), 표시부(110)와 터치패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110)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처리를 위한 터치스크린제어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01)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표시부(110)에 터치패드(120)에 의한 명령에 따라 이동되는 마우스포인터와 같은 지시수단을 출력하고, 지시수단을 이동시켜 응용프로그램을 선택 실행하거나 메뉴항목을 검색한 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저장부(102)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입력 제어 명령 및 표시부(110)에 출력되어 문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맵데이터를 저장한다.
상술한 RF부(103)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RF신호의 송수신 및 RF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표시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종래의 키패드 영역에 제한을 받지 않는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표시부(11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표시부(110)에 키맵을 출력한 후 사용자의 키맵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키맵에 따른 제어명령 신호를 제어부(101)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제어부(111)가 더 구비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 패드에 의해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표시부(110)에 출력되는 키맵 상에서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마우스포인터를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이동시켜서 키 값을 선택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부(1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표시부(110)에 출력되는 키맵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해당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기체 문자 인식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터치팬등을 이용하여 직접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키패드를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다른 입력장치로 대체함으로써 넓은 표시부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의 대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휴대폰의 측면에 구성되는 키패드에 의하여 제어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제공한다.

Claims (2)

  1. 키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와의 RF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부와,
    상기 RF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하는 송수화부와,
    상기 키맵데이터와 마우스포인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면 전체에 일체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키맵데이터에서 특정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우스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부착 면의 측면에 구성되는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마우스를 이동시키고 터치패드부에 의해 선택되는 응용프그램을 구동하면,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00743A 2004-12-03 2004-12-03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743A KR100675157B1 (ko) 2004-12-03 2004-12-03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743A KR100675157B1 (ko) 2004-12-03 2004-12-03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044A KR20060062044A (ko) 2006-06-12
KR100675157B1 true KR100675157B1 (ko) 2007-01-29

Family

ID=3715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743A KR100675157B1 (ko) 2004-12-03 2004-12-03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1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044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7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меющее несколько клавишных панелей
KR101188857B1 (ko)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US201201921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38310A (ko) 휴대형 전자 기기
US2008002227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ground task
US20060139328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 method therefor
US2007003895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85309B1 (ko) 전자 장치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JPWO2010008078A1 (ja) 情報端末
KR1004511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KR100585776B1 (ko) 복수개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메뉴 리스트 표시 제어 방법
JP2010268207A (ja) 携帯端末
JP2009025848A (ja) 入力手段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情報機器装置、ならびに入力手段を有する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675157B1 (ko) 터치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9832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067532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901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101179947B1 (ko)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
US2007000610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309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JP2008242583A (ja) 携帯端末装置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060017042A (ko)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듀얼 엘시디 장치와 그구동 방법
JP2003122481A (ja) 移動体端末、そのポイン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245177A (ja)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