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067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067A
KR20090047067A KR1020070113054A KR20070113054A KR20090047067A KR 20090047067 A KR20090047067 A KR 20090047067A KR 1020070113054 A KR1020070113054 A KR 1020070113054A KR 20070113054 A KR20070113054 A KR 20070113054A KR 20090047067 A KR20090047067 A KR 20090047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air conditioner
distance
move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7067A/ko
Publication of KR2009004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저하 없이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주변(전면패널의 측면과 본체의 개구부 테두리부)에서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와 의 사이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전면패널; 냉기 토출 운전이면 상기 전면패널이 설정거리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거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 토출구 주변, 이슬 맺힘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of}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저하 없이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주변(전면패널의 측면과 본체의 개구부 테두리부)에서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냉각시킨 후에 이를 실내로 토출 되도록 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실내의 찬 공기를 흡입하여 고온의 냉매로 가열시킨 후에 이를 실내로 토출 되도록 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압축기가 포함되어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열교환기와 송풍 팬이 포함하는 실내기로 이루어진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실내공기 공기가 본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송풍 팬 어셈블리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에는 실내공기가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흡입구와 본체 내부에서 열교환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다시금 토출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7-34847호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토출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토출 블레이드가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공보에서 제시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블레이드가 토출구를 개방하거나 풍향조절을 위해 회동하는 경우, 토출블레이드는 실내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실내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실내기 본체의 미관을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토출구 개폐 또는 토출 공기의 풍향을 전면패널이 본체 전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실내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실내기 본체의 미관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전면패널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냉방운전을 장시간 하는 경우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주변(전면패널의 테두리부 및 본체 개구부의 테두리부)에서 이슬 맺힐 수 있다.
한편, 전술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주변(전면패널의 테두리부 및 본체 개구부의 테두리부)에서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기 내부에 흐르는 냉매 량을 감소시키거나 송풍 팬 어셈블리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일정시간 정시키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을 직접적으로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저하 없이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주변(전면패널의 측면과 본체의 개구부 테두리부)에서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와 의 사이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전면패널; 냉기 토출 운전이면 상기 전면패널이 설정거리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거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전면패널이 설정거리로 이동된 때를 기준으로 상기 토출구 주변의 냉각속도가 음의 값을 갖도록 하는 범위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전면패널이 설정거리로 이동된 때를 기준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의 증가율이 양의 값을 갖도록 하는 범위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전면패널을 설정거리로 이동되도록 하며 냉기 토출 운전 제어를 하는 단계; 상기 전면패널의 테두리부와 본체의 개구부 테두리부분에서의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을 설정거리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감소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설정거리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 2 단계를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는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계는 제 2 설정기간동안 수행되며 상기 제 2 단계는 제 3 설정기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2 설정기간과 상기 제 3 설정기간은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제 1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토출구 주변의 감소된 냉각 량과 상기 전면패널이 제 2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상기 토출구 주변의 증가된 냉각 량이 서로 벌충하며, 상기 전면 패널이 상기 제 1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량과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제 2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증가량이 서로 벌충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저하 없이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주변(전면패널의 측면과 본체의 개구부 테두리부)에서 이슬 맺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공기조화 하기 위한 실내기(1)와, 실외에 설치되어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하고, 증발된 냉매나 응축된 냉매를 실내기(1)에 제공하는 실외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공기조화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실외기는 압축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실외열교환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외기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실외열교환기를 통하여 응축한 후에 냉매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실내기(1)에 제공한다.
실내기(1)은 내부에 실내열교환기(30)가 수용되는 실내열교환실(12) 및 송풍 팬 어셈블리(60)가 수용되는 송풍 팬 실(11)이 제공되는 실내기 본체(10)와, 실내기 본체(10)의 전면에서 실내기 본체(10)의 전방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 패널(2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구획판(11)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어 송풍 팬실(11)과 열교환실(12)가 형성되며 전면에 개구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형성되는 열교환실(12)의 전방에는 토출 가이드(70)가 설치된다. 토출 가이드(70)는 전면패널(80) 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형성되는 전면패널(80)의 테두리부(S1)와 개구부(15)의 테두리부(S2)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구(50)로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전면패널(80)의 테두리부(S1)과 개구부(15)의 테두리부(S2)를 토출구 주변(S)으로 이름하기로 한다.
열교환실(12)에 수용되는 실내열교환기(30)는 서로 이격 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열교환 핀(31)과 복수의 열교환 핀(31)을 관통하며 내부에서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튜브(32)로 이루어져 패널모양으로 형성된다. 열교환능력이 향상되도록 실내 열교환기(30)의 상부는 열교환실(12)에서 상부가 본체(10)의 뒷 부분으로 눕혀져 설치된다. 이러한 실내열교환기(30)는 냉매튜브(32) 내부에서 냉매가 흐르는 경우,송풍 팬 어셈블리(60)에 의해 순환되는 실내공기(OA)를 가열하거나 냉각한다.
송풍팬 실(11)에 수용되는 송풍 팬 어셈블리(60)는 회전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30) 쪽으로 배기하는 송풍 팬(62)과, 송풍 팬(62)을 회전하는 송풍 팬 모터(63) 및 송풍 팬(63)이 일측에 설치되며 송풍 팬(62)이 수용되는 하우징(61)을 포함한다. 하우징(61)의 전면에는 필터(70)가 설치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61b)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흡입구(61b)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6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송풍 팬 어셈블리(60)는 송풍 팬 모터(63)이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하게 되면, 본체(1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50)과 전면 패널(2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형성되는 유입구(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열교환 실(12) 쪽으로 강하게 배기한다.
전면패널(80)은 본체(10)의 개구부(15) 전면에 배치되어 본체(10)의 내부에 제공되는 열교환실(12)과 송풍 팬 실(11)를 개폐한다. 전면패널(80)은 후술되는 전면패널이동부(130)에 의해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5)의 양쪽 측면을 개방하여 열교환실(12) 내부의 공기가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구(40)와 외부의 공기가 송풍팬 실(1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50)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면패널이동부(13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이동모터(131)과 이동모터(131)에 의해 회전되어 종동기어(133)을 회전하는 원동기어(132) 및 전면패널(80)의 후면에 연결되며 일측에 종동 기어(133)에 맞물리는 기어 이가 형성되고 전면패널(8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랙(1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면패널이동부(130)는 이동모터(1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면패널(13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동모터(131)의 회전량에 따라 전면패널(80)의 이동거리가 결정되도록 한다.
제어부(300)의 입력 측에는 입력부(310)와 실내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센서(320)가 제공되고, 출력 측에는 이동거리조절부(130)의 이동모터(131)를 구동하는 이동모터구동부(33)와 송풍 팬 어셈블리(60)의 송풍 팬 모터(63)을 구동하는 송풍 팬 모터 구동부(340)가 제공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냉기 토출 운전이면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제 2 설정기간 동안 전면패널(80)을 설정거리를 기준으로 제 1 이동거리(a)만큼 후방으 로 이동되도록 하며 제 3 설정기간 동안 전면패널(80)을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b)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이동거리(a)는 주로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해 상기 전면패널(80)이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로 이동된 때를 기준으로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가 음의 값을 갖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정되며, 부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율이 고려되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는 토출구 주변(S)을 냉각시키는 토출구 주변(S)에서 형성된 냉기와류(EDA)의 파괴정도와 반비례관계를 가지며, 냉기와류(EDA)의 크기에 비례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제 1 이동거리(a)가 클수록 냉기와류(EDA)의 파괴정도가 커지며 냉기와류(EDA)의 크기가 작아져 토출구 주변(S)냉각속도의 음의 값은 커지며,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제 1 이동거리(a)가 작아질수록 냉기와류(EDA)의 파괴정도는 작아지며 냉기와류(EDA)의 크기가 켜져, 토출구 주변(S)냉각속도의 음의 값은 작아진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율은 토출구(40)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 토출량과 비례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제 1 이동거리(a)가 클수록 냉기 토출 량이 적어져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율은 증가하고,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제 1 이동거리(a)가 작을 수록 냉기 토출 량은 커져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율은 작아진 다.
이에 따라,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의 음의 값이 크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제 1 이동거리(a)를 크게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부하변동이 작게 하고자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의 감소율이 작도록 할 때에는 제 1 이동거리(a)를 작게 한다.
그리고 제 2 이동거리(b)는 전면패널(80)이 제 1 이동거리(a)로 이동된 동안에 저하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이 보충될 수 있도록,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로 이동된 때를 기준으로 공기조화기 냉방능력의 증가율이 양의 값을 갖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정되며, 부수적으로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b)로 이동됨에 따라 양의 값을 가지는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가 고려되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a)가 클수록 냉기 토출 량이 커짐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증가율이 증가하여 제 1 이동거리(a)로 이동된 동안에 저하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을 보충하는 속도는 커지게 되고,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b)가 작을 수록 냉기 토출 량은 적어져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증가율은 작아져 제 1 이동거리(a)로 이동된 동안에 저하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을 보충하는 속도는 작아진다.
그리고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b)가 클수록 냉기와류(EDA)의 크기는 커져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는 증가하고,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b)가 작아질수록 냉기와류(EDA)의 크기는 작아지며 냉기와류(EDA)의 크기는 커져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는 작아진다.
이에 따라, 전면패널(80)이 제 1 이동거리(a)로 이동된 동안에 저하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보충속도를 크게 하고자 할 때에는 제 2 이동거리(b)를 크게 한다. 그리고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가 작도록 할 때에는 제 2 이동거리(b)는 작게 결정된다.
제 2 설정기간 및 제 3 설정기간은 상기되는 제 1 이동거리(a)와 제 2 이동거리(b)가 결정된 이후, 제 1 이동거리(a)로 이동된 동안의 토출구 주변(S)의 감소된 냉각량 및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량과, 제 2 이동거리(b)로 이동된 동안의 토출구 주변(S)의 증가된 냉각량 및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증가량이 고려되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설정기간 및 제 3 설정기간은 전면패널(80)이 제 1 이동거리(a)로 이동된 동안의 토출구 주변(S)의 감소된 냉각 량과 전면패널(80)이 제 2 이동거리(b)로 이동된 동안의 토출구 주변(S)의 증가된 냉각 량이 서로 벌충하며, 전면 패널(80)이 제 1 이동거리(a)로 이동된 동안의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량과 전면패널(80)이 제 2 이동거리(b)로 이동된 동안의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증가량이 서로 벌충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310)을 통하여 설정온도 등을 포함하는 냉방운전명령을 입력하면(401), 제어부(300)는 공기조화기(1)가 냉방운전을 수행하 도록 냉방운전제어를 시작한다(402).
그 다음, 제어부(300)는 토출구(40)을 통하여 냉기가 토출 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해야 할지 실내공기가 열교환 없이 순환되도록 하는 송풍운전제어를 판단하기 위해 실내온도센서(320)가 감지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큰지를 판단한다(403).
이때에,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송풍운전제어를 수행한다(404). 즉, 실내열교환기(30)로 유입되는 냉매를 차단하고 송풍 팬 모터(62)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와 전면패널(80)이 송풍운전을 위한 거리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를 한다. 이에 따라, 실내공기는 송풍 팬 어셈블리(60)에 의해 실내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후에 실내로 토출 되어, 실내공간에서 순환을 하게 된다. 이로써, 실내의 온도분포는 균일하게 되며 실내공기는 필터(70)에 의해 청정화 된다.
이에 반하여,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크면, 제어부(300)는 냉기 토출 운전을 시작하면서 전면패널(80)이 입력조건에 따른 설정거리(x)만큼 열리도록 제어한다(405).
그리고 제어부(300)는 냉기 토출 운전을 수행하면서, 결로조건이 만족되지 않도록 하는 설정거리 유지제어와,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전면패널(80)의 이동거리 감축제어 및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이동거리 감축제어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냉방능력을 보상 하기 위한 이동거리 증가제어를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300)는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1 설정기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406). 여기서, 제 1 설정기간은 토출구 주변(S)에서 결로조건이 만족되는 온도로 토출구 주변(S)의 냉기와류(EDA)가 토출구 주변(S)을 냉각시키지 않도록 하는 기간으로 결로조건 만족온도 및 냉기와류(EDA)에 의한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가 고려된 실험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는 기간이다.
이때에,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1 설정기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어부(300)는 계속하여 설정거리(x)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1 설정기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1 설정기간을 경과하였으면, 제어부(300)는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가 음의 값이 되도록 전면패널(80)이 제 1 이동거리(a)만큼 닫히도록 이동거리조절부(130)의 이동모터(131)를 제어한다(408).
이에 따라, 전면 패널(20)은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은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1 이동거리(a)만큼 후방으로 이동되어 토출구(40)의 크기는 작아진다. 이렇게 토출구(40)의 크기가 작아져 토출구(40)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EA)의 유속이 증가되어, 토출구 주변(S)에 형성된 냉기와류(EDA)는 파괴되거나 작아지게 됨으로써 냉기와류(EDA)에 의해 냉각되었던 토출구 주변(S)의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는 음의 값을 가진다.
이어서, 제어부(300)는 전면패널(80)이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1 이동거리(a)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2 설정기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408. 여기서, 제 2 설정기간은 상술되는 고려사항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이때에, 제어부(300)는 제 1 이동거리(a)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2 설정기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어부(300)는 계속하여 제 1 이동거리(a)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2 설정기간을 경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반하여, 제 1 이동거리(a)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이후의 시간이 제 2 설정기간을 경과하였으면 제어부(300)는 전면패널(80)이 제 2 이동거리(b)만큼 열리도록 이동거리조절부(130)의 이동모터(131)를 제어한다(409. 이에 따라, 전면 패널(20)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은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b)만큼 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전면패널(80)이 제 2 이동거리(b)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토출구(40)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EA)의 유속변화가 발생하여 토출구 주변(S)에 형성된 냉기와류(EDA)는 파괴되어 냉기와류(EDA)에 의해 냉각되었던 토출구 주변(S)의 온도는 상승한다. 그리고 전면패널(80)이 제 2 이동거리(b)로 이동한 후에는 토출구(40)를 통하여 토출 되는 냉기(EA)의 유량이 증가하여 냉기와류(EDA)는 커지게 되어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토출구 주변(S)의 냉각속도는 양의 값을 가지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300)는 전면 패널(20)이 설정거리(x)를 기준으로 제 2 이동거리(b)만큼 전방으로 이동된 시간이 제 3 설정기간을 지났는지를 판단한다(410). 여기서, 제 3 설정기간은 상술되는 고려사항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그 다음, 제어부(300)는 냉기 토출 운전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한다(412). 이때에, 냉기 토출 운전종료조건이 아니면 제 1 내지 제 3 설정기간을 재설정하면서(413), 상기되는 407 단계로 회귀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냉기 토출 운전종료조건이면, 제어부(300)는 전면패널(80)이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하며(414), 냉방운전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한다(415). 이때에, 냉방운전종료조건이 아니면 상기되는 403 단계로 회귀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고, 냉방운전종료조건이면 종료한다.
한편, 상기되는 407 단계 및 408 단계와, 409 단계 및 410단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순서가 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토출구 80: 전면패널
S: 토출구 주변 EDA: 냉기와류

Claims (6)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와 의 사이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전면패널;
    냉기 토출 운전이면 상기 전면패널이 설정거리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거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전면패널이 설정거리로 이동된 때를 기준으로 상기 토출구 주변의 냉각속도가 음의 값을 갖도록 하는 범위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전면패널이 설정거리로 이동된 때를 기준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의 증가율이 양의 값을 갖도록 하는 범위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4. 전면패널을 설정거리로 이동되도록 하며 냉기 토출 운전 제어를 하는 단계;
    상기 전면패널의 테두리부와 본체의 개구부 테두리부분에서의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을 설정거리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감소된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설정거리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 2 단계냉기 토출 운전 제어를 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는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제 2 설정기간동안 수행되며 상기 제 2 단계는 제 3 설정기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2 설정기간과 상기 제 3 설정기간은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제 1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토출구 주변의 감소된 냉각 량과 상기 전면패널이 제 2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상기 토출구 주변의 증가된 냉각 량이 서로 벌충하며, 상기 전면 패널이 상기 제 1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감소량과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제 2 이동거리로 이동된 동안의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증가량이 서로 벌충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70113054A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7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054A KR20090047067A (ko)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054A KR20090047067A (ko)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067A true KR20090047067A (ko) 2009-05-12

Family

ID=4085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054A KR20090047067A (ko)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7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1733A (zh) * 2020-09-23 2022-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4484737A (zh) * 2020-11-11 2022-05-13 广州联动万物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的防凝露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1733A (zh) * 2020-09-23 2022-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4484737A (zh) * 2020-11-11 2022-05-13 广州联动万物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的防凝露方法
CN114484737B (zh) * 2020-11-11 2024-05-17 广州联动万物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的防凝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0909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98816B1 (ko) 환기장치
EP3372907A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42205B2 (ja) 空気調和機
CN116300719A (zh) 空调机的室内单元
JP2008101894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6079006B2 (ja) 燃料電池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4944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61136B1 (ko) 공기 조화기
JP4478004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4706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2169320A2 (en) Air conditioner
KR100784840B1 (ko) 루버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4619983B2 (ja) 空気調和機
JPH0336433A (ja) 空気調和機
KR100728348B1 (ko) 출입형 풍향조절 플랩을 구비한 벽걸이형 에어컨
KR101243227B1 (ko)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972599A (ja) 空気調和機
JP6682292B2 (ja) 空気調和装置
JP3480869B2 (ja) 空気調和機
KR100345487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384891B1 (ko) 공기 조화기
JP2006132846A (ja) 空気調和装置
KR10198070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4777850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