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997A -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997A
KR20090046997A KR1020070112947A KR20070112947A KR20090046997A KR 20090046997 A KR20090046997 A KR 20090046997A KR 1020070112947 A KR1020070112947 A KR 1020070112947A KR 20070112947 A KR20070112947 A KR 20070112947A KR 20090046997 A KR20090046997 A KR 2009004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onnector
groove
coupled
corresp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진 filed Critical 조성진
Priority to KR102007011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6997A/ko
Publication of KR2009004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조립식 가로등주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와 결합시 정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연결구의 내측에 제1,2고정구로 하여금 가이드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지주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틀어짐(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후 견고한 장착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상부지주(10)와, 상기 상부지주(10)가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상하가 관통되되 상부가 하부에 대해 솟아오른 역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관통공(21)은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고 하부 연결구(22)는 하부지주의 결합공(31)과 직경이 대응되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구(22)가 수납되도록 상단부에 결합공(31)이 형성되되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주(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체결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1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100)와; 상기 제1고정구(100)에 대해 직교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제2체결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2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제2끼움홈(220)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Prefabricated street lamp pole}
본 발명은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조립식 가로등주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와 결합시 정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연결구의 내측에 제1,2고정구로 하여금 가이드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지주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틀어짐(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후 견고한 장착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길이가 길고 무겁기 때문에 지주 길이를 여러 등분으로 나누어 제조한 후 설치될 장소에서 분리된 지주를 서로 연결시켜 설치되어진다. 이때 상부지주 보다 하부지주의 직경이 더 크게 제조되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가로등(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주(6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62)에 의하여 하부지주(61)가 지면(7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하부지주(61)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적어지는 형태를 갖는 상부지주(63)의 하부가 별도의 테이퍼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64)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주(63)의 상단에는 등기구(65)가 결합된 등기구 아암(66)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로등(60)은 하부지주(61)의 상부에 상부지주(63)의 하단이 별도의 연결부재(64)를 통해 연결되어지는 과정에서 상부지주(63)와 하부지주(61)가 서로 분리되어진 상태에 있음으로써 하부지주(61)의 상부 중심에 연결부재(64)를 이용하여 상부지주(63)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지지구를 이용하여 상부지주(63)의 하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64)의 용접이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지주(61)와 상부지주(63) 및 연결부재(64)가 용접으로 이음되어짐에 따라 이종재질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획일적인 재질로 되어짐에 따라 주위 미관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된 후 파손 및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함과 동시에 그 호환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중심이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 그 부분이 틀어지거나 심지어 구부려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요지는 조립식 가로등주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와 결합시 정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연결구의 내측에 제1,2고정구로 하여금 가이드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지주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틀어짐(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후 견고한 장착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상부지주(10)와, 상기 상부지주(10)가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상하가 관통되되 상부가 하부에 대해 솟아오른 역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관통공(21)은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고 하부 연결구(22)는 하부지주의 결합공(31)과 직경이 대응되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구(22)가 수납되도록 상단부에 결합공(31)이 형성되되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주(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체결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1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100)와; 상기 제1고정구(100)에 대해 직교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제2체결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2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제2끼움홈(220)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1고정구(100)와 제2고정구(200)는 각 체결홈(120,220) 상부 일측단에 상부지주(10)의 결합 보강을 위해 보조끼움홈(130,230)이 더 마련되어 원주방향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 가로등주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와 결합시 정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연결구의 내측에 제1,2고정구로 하여금 가이드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지주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틀어짐(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후 견고한 장착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가로등주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고정구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제1,2고정구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2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상부지주 11 ... 등기구
20 ... 연결관 21 ... 관통공
22 ... 연결구 30 ... 하부지주
31 ... 결합공 100 ... 제1고정구
110 ... 제1체결홈 120 ... 제1끼움홈
130 ... 보조끼움홈 200 ... 제2고정구
210 ... 제1체결홈 220 ... 제2끼움홈
다음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지주(10), 연결구(20) 및 하부지주(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상부지주(10)와, 상기 상부지주(10)가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상하가 관통되되 상부가 하부에 대해 솟아오른 역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관통공(21)은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고 하부 연결구(22)는 하부지주의 결합공(31)과 직경이 대응되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구(22)가 수납되도록 상단부에 결합공(31)이 형성되되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주(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은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원활한 장착성을 위해 연결구의 내측에 별도의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설치하여 상부지주의 결합성을 확보하는 한편, 결합된 후 장착성이 개선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2고정구는 서로 직경이 달라 조립되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중심점을 최대한 신속하고 정밀하게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2고정구는 연결관의 내경 일측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1고정구(100)는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체결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1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고정구(200)는 제1고정구(100)에 대해 직교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제2체결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2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제2끼움홈(2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제1,2고정구는 서로 십자로 크로스되며 조립된 후 연결관 내주면에 용착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한 반면 고정 장착성이 크게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구(100)와 제2고정구(200)는 각 체결홈(120,220) 상부 일측단에 상부지주(10)의 결합 보강을 위해 보조끼움홈(130,230)이 더 마련되어 원주방향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지주의 하단 일측에 별도의 요철을 더 형성한 후 이를 제1,2고정구의 체결홈 상부면에 절취되어 이루어진 보조끼움훔과 대응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부지주가 횡풍이나 강풍에 틀어짐 등 유동하지 않도록 보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상부지주(10)와, 상기 상부지주(10)가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상하가 관통되되 상부가 하부에 대해 솟아오른 역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관통공(21)은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고 하부 연결구(22)는 하부지주의 결합공(31)과 직경이 대응되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구(22)가 수납되도록 상단부에 결합공(31)이 형성되되 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주(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체결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1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100)와;
    상기 제1고정구(100)에 대해 직교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관(2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단부에 상부지주(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제2체결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210)과 대향되는 하단부에 제1끼움홈(120)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제2끼움홈(220)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100)와 제2고정구(200)는
    각 체결홈(120,220) 상부 일측단에 상부지주(10)의 결합 보강을 위해 보조끼움홈(130,230)이 더 마련되어 원주방향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20070112947A 2007-11-07 2007-11-07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20090046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947A KR20090046997A (ko) 2007-11-07 2007-11-07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947A KR20090046997A (ko) 2007-11-07 2007-11-07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997A true KR20090046997A (ko) 2009-05-12

Family

ID=4085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947A KR20090046997A (ko) 2007-11-07 2007-11-07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6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03B1 (ko) * 2013-01-09 2014-08-06 안병준 가로등 지주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03B1 (ko) * 2013-01-09 2014-08-06 안병준 가로등 지주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8257C (zh) 插入式管接头
JP2009540249A (ja) パイプ固定装置
US20190376622A1 (en) Stub-out configuration for plumbing assembly
KR200473516Y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연결구조
CN201672185U (zh) 一种快速多功能管接头
KR100928945B1 (ko) 상부지주의 회전 방지수단을 갖는 가로등주
KR20090046997A (ko) 상부지주의 개선된 장착성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55803B1 (ko) 조인트 체결관이 부설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100661432B1 (ko)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KR101921559B1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CN214117255U (zh) 一种钢筋连接用全灌浆套筒
KR101129700B1 (ko) 관 연결구
KR101267855B1 (ko) 다단 가로등 지주의 보강 구조물
KR101069224B1 (ko) 가로등 지주의 외팔보 결합구조
KR101053020B1 (ko) 단방향 고정식 조인트 체결관이 부설된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31572B1 (ko) 분리형 테이퍼폴의 연결장치
CN209130818U (zh) 一种可伸缩拼接的固定套件结构
KR20090015636A (ko) 가로등 지주의 연결구조
KR20090027098A (ko) 조립식 가로등주
CN202247967U (zh) 一种螺旋联接预埋管
CN106592710B (zh) 一种埋墙水管的连接组件
CN215763758U (zh) 一种防溅家庭水龙头
JP2020128626A (ja) 組立式コンクリート柱
CN212719599U (zh) 灯具组件
CN210421172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检测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