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757A - 해충구제제 기화기 - Google Patents

해충구제제 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757A
KR20090046757A KR1020090019143A KR20090019143A KR20090046757A KR 20090046757 A KR20090046757 A KR 20090046757A KR 1020090019143 A KR1020090019143 A KR 1020090019143A KR 20090019143 A KR20090019143 A KR 20090019143A KR 20090046757 A KR20090046757 A KR 2009004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pest control
control agent
formic acid
vapo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균
Original Assignee
이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균 filed Critical 이봉균
Publication of KR2009004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구제제가 함침된 흡수재 사이 사이로 소방 내부의 공기가 잘 통과하여 해충구제제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해충구제제 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는 해충구제제를 흡수하는 부직포와 공기를 잘 통하게 하는 망사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고, 적층된 부직포와 망사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된 흡수재와, 상기 흡수재를 수용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충구제제 기화기에 따르면 개미산을 10%이하로 사용하여 개미산의 독성을 낮춘 해충구제제를 함침한 흡수재 사이 사이로 소방 내부의 공기가 잘 통과하여 해충구제제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키므로 꿀벌이나 유충에는 해를 입히지 않고 해충의 구제율은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충구제제 기화기{Vaporizer for Pest control agent }
본 발명은 해충구제제 기화기에 관한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해충구제제 기화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충구제제가 함침된 흡수재 사이 사이로 소방 내부의 공기가 잘 통과하여 해충구제제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해충구제제 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산업은 벌꿀과 밀랍(bee wax)을 생산하기 위해서 꿀벌을 사용하는 일을 일컫는바, 근래에 와서는 왕유(王乳), 화분하(花粉荷), 봉침독(蜂針毒), 또는 응봉저의 생산을 비롯하여 종봉생산업(種蜂生産業), 여왕벌생산업, 임대양봉 또는 계획수정양봉에 이르기까지 그 생산 분야가 다양해져 가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양봉산업은 꿀벌을 이용해서 꽃에서 꽃 꿀과 화분을 수집함으로써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는 사업이라는 점과, 설탕을 대신할 수 있는 감미료가 지급된다는 점과, 보건제(保健劑)로써 약용과 영양제로 애용되고 있다는 점과, 공업 및 화장품 원료로 쓰인다는 점과, 농작물의 화분매개체로써 농작물의 결실률을 증대시킨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한편, 양봉산업에 있어서 그 생산성을 저해하는 해충으로는 대표적으로 꿀벌 응애(Varroa jacobsoni)와 중국가시응애(Tropilaelaps clareae) 등을 들 수 있는 바, 이러한 응애는 꿀벌이나 그 유충의 몸에 붙어 기생하면서 그 체액을 빨아먹고 더 나아가서는 꿀벌 유충의 몸속에서 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봉군(俸群)의 세력이 급감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해충들이 양봉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양봉농가에서는 다양한 해충구제제를 이용하여 꿀벌의 해충을 박멸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현재 양봉농가에서는 해충구제제로 포름산(formin acid) 일명, 개미산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개미산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개미를 증류하여 얻거나 쐐기풀 등의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산으로써 잔류 독성이 없고 약제 저항성 등의 문제가 없는 친환경적인 해충구제제로써 응애의 호흡을 방해하여 응애를 괴멸시킨다. 그러나, 상기 개미산은 강산으로서 눈 주위나 신체의 직접적인 접촉시에 실명이나 화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안경이나 고무장갑 등의 안전장치를 착용하고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일반 양봉농가에서는 1회 작업으로 다량의 개미산을 기화기 내부의 흡장체에 주입하되, 이 흡장체에 주입된 개미산이 벌통 내부에서 오랫동안 기화될 수 있는 해충구제제 기화기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해충구제제 기화기는 흡장체에 저장된 개미산의 기화량을 적게하여 오랫동안 기화되도록 하고 기화된 개미산이 그 하부에 형성되는 통기공을 통해 그 아래에 놓이게 되는 소비로 확산되도록 하여 해충을 구제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때, 개미산의 기화량을 적게하여 오랫동안 기화되도록 하면서 소비 내의 해충이 구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미산을 60% 이상 사용하여야 구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개미산이 60%이상 사용된 해충구제제를 상기의 흡장체에 적정량 이상 주입한다거나 기온의 변화에 의해 기화 온도가 변동되는 경우 흡장체에 저장된 개미산 용액이 직접 소비로 흘러내려 꿀벌이나 그 유충에 해를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미산의 사용 함량을 적게 하여 개미산의 독성을 낮추어서 개미산이 벌집 즉, 소비에 흘러 내려도 꿀벌이나 유충에 해를 가하지 않도록 하는 반면 개미산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켜 기화량을 최대화하여 해충의 구제율은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해충구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해충구제제 기화기에 개미산의 함량이 적은 해충구제제를 사용하게 되면 개미산의 기화량이 적어 해충을 구제할 수 없으며, 또한 개미산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송풍기나 열선 등을 더 장착하여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작업에 매우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 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미산의 사용 함량을 적게 하여 독성을 낮춘 해충구제제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켜 꿀벌이나 유충에는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해충의 구제율은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해충구제제 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는 해충구제제를 흡수하는 부직포와 공기를 잘 통하게 하는 망사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고, 적층된 부직포와 망사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된 흡수재와; 상기 흡수재를 수용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수용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저면에 받침다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부를 커버하고 외주면에 수용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가 구비된 덮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관통공 외면에는 보호망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해충구제제 기화기에 따르면 개미산을 10%이하로 사용하여 개미산의 독성을 낮춘 해충구제제를 함침한 흡수재 사이 사이로 소방 내부의 공기가 잘 통과하여 해충구제제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키므로 꿀벌이나 유충에는 해를 입히지 않고 해충의 구제율은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흡수재에 해 충구제제를 주입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상기 해충구제제 기화기에는 개미산을 10%이하로 사용한 해충구제제를 사용하므로 보안경이나 고무장갑 등의 안전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해도 인체에 안전하므로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에서 흡수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는 흡수재(100)와 케이스(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재(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구제제를 흡수하는 부직포(110)와 공기를 잘 통하게 하는 망사(120)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다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재(100)에는 개미산을 10%이하로 사용한 해충구제제가 흡수된다. 이때, 흡수재(100)는 부직포(110)가 다층으로 형성되어 있어 적정량의 해충구제제를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부직포(110)에 해충구제제를 함침시키면 부직포(110)와 부직포(110) 사이가 압착되어 공기가 잘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부직포(110) 사이사이에 공기를 잘 통하게 하는 망사(120)를 넣어 해충구제제가 함침된 상태에서도 부직포(110)와 부직포(110) 사이로 공기가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110)와 망사(120)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흡수재(10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130)을 형성한다.
상기 통기공(130)은 소비 사이의 온도가 33℃∼35℃를 유지하므로 그 따뜻한 공기가 흡수재(100)의 통기공(130)을 통과하여 개미산의 기화작용 및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흡수재(100)는 단순히 해충구제제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층으로 적층된 부직포(110) 사이 사이에 망사(120)를 넣어 부직포(110)의 적층면 사이로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고 또한, 흡수재(10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기공(130)을 형성하여 하부의 소비함체(450)에서 올라오는 따뜻한 공기가 흡수재(100)의 통기공(130)을 통과하면서 흡수된 해충구제제를 최대한 기화시켜 확산되도록 하므로 흡수재(100)에 함침된 해충구제제의 기화량을 최대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케이스(200)는 흡수재(100)를 수용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212,2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00)는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211)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수용부(211)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212)이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수용부(211)를 커버하고 외주면에 수용부(211)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221)이 형성된 덮개(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0)의 저면에는 받침다리(230)를 구비하여 몸체(210)가 소비의 위에 올려질 때 몸체(210)의 저면이 소비(400)로부터 이격되어 몸체(210)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212)으로 공기가 잘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220)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240)를 구비하여 소상 상자(500)내부를 덮는 면포(600)가 덮개(220)에 형성된 관통공(221)을 밀폐시키지 않도록 덮개(220)로부터 면포(600)를 이격시켜 상기 케이스(200) 내부의 흡수재(100)에서 발산되어 나오는 기화된 해충구제제가 공기와 함께 원활히 순환되어 해충을 구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된 흡수재가 따뜻한 공기에 최대한 노출되어 해충구제제가 최대한 기화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의 관통공(212,221) 또는 망의 외면에는 케이스 내부로 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망(3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가 소상 상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충구제제 기화기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개미산이 10%이하로 희석된 해충구제제가 함침된 흡수재(100)가 하나 이상 수납되어 소비(400) 위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소상 상자(500) 안의 공기 대류현상에 의해 해충구제제가 자연 발산하고 소비(400)에서 올라오는 따뜻한 공기가 흡수재(100)의 통기공(130)과 부 직포(110) 사이를 통과하면서 흡수된 해충구제제를 최대한 기화시켜 소비함체(450) 내로 확산시킨다.
이때, 개미산을 10%이하로 희석하여 독성을 낮춘 해충구제제를 사용하고, 상기 해충구제제를 최대한 기화시켜 소비(450)함체 내로 확산시키므로 해충의 구제율은 높이는 반면 꿀벌이나 유충에는 해가 가해지지 않는 것이다.
또한, 해충구제제 기화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흡수재(100)에 해충구제제를 주입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며, 상기 해충구제제 기화기에는 개미산을 10%이하로 사용한 해충구제제를 사용하므로 보안경이나 고무장갑 등의 안전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하여도 인체에 안전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에서 흡수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기화기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흡수재 110: 부직포
120: 망사 130: 통기공
200: 케이스 210: 몸체
211: 수용부 212,221: 관통공
220: 덮개 230: 받침다리
240: 돌기 300: 보호망
400: 소비 450: 소비함체
500: 소상 상자 600: 면포

Claims (3)

  1. 해충구제제를 흡수하는 부직포와 공기를 잘 통하게 하는 망사가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고, 적층된 부직포와 망사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된 흡수재와;
    상기 흡수재를 수용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구제제 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수용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저면에 받침다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부를 커버하고 외주면에 수용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가 구비된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구제제 기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관통공 외면에는 보호망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구제제 기화기.
KR1020090019143A 2008-07-10 2009-03-06 해충구제제 기화기 KR20090046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6937 2008-07-10
KR1020080066937 2008-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757A true KR20090046757A (ko) 2009-05-11

Family

ID=4085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43A KR20090046757A (ko) 2008-07-10 2009-03-06 해충구제제 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67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538B1 (ko) * 2014-11-10 2015-07-14 김형인 개미산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제 및 구제용기
KR20210091926A (ko) * 2020-01-15 2021-07-23 이충한 개미산을 이용한 일회용 꿀벌 해충 구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538B1 (ko) * 2014-11-10 2015-07-14 김형인 개미산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제 및 구제용기
KR20210091926A (ko) * 2020-01-15 2021-07-23 이충한 개미산을 이용한 일회용 꿀벌 해충 구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110192A (ja) 天敵昆虫の保護装置
CN107072187A (zh) 药剂挥发装置及药剂挥发方法
KR20130130187A (ko) 해충구제제 기화기
KR20080014946A (ko) 해충구제용 개미산 구제제 분산 기화기
KR100990650B1 (ko)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WO2009103276A2 (de) Verfahren zum kombinierten einsatz zweier substanzen zur gleichzeitigen bekämpfung und zum monitoring verschiedener schädlingsarten
KR20090046757A (ko) 해충구제제 기화기
KR101218110B1 (ko) 양봉용 구제약품 기화 장치
KR101187294B1 (ko) 해충기피 및 살충용 방풍 화단 보호대
WO2019038462A1 (es) Dispositivo para la liberación controlada y/o suministro controlado de agentes de control para combatir artrópodos, y usos del mismo
JP6418808B2 (ja) ホウ酸を有効成分とする水性ベイト剤および水性ベイト剤を収容した匍匐性衛生害虫用の害虫防除器具
KR200449791Y1 (ko) 해충구제제 기화기용 구제제 분산기
KR102324313B1 (ko) 개미산을 이용한 일회용 꿀벌 해충 구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7430Y1 (ko) 보호망이 있는 양봉용 구제약품 기화기
KR20230099513A (ko) 방충성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KR100932434B1 (ko) 약제 휘산기
JP7441813B2 (ja) 吸液性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容器
JP3068995U (ja) 害虫駆除装置
TWI703928B (zh) 自動供藥滅蟲裝置(二)
KR100763862B1 (ko) 약제 증산 해충 구제 방법
KR20090046758A (ko) 해충구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621395B (zh) 誘引餌盒之改良結構
KR100840203B1 (ko) 양봉용 구제약품의 기화장치
JP2015074616A (ja) ニューギニアヤリガタリクウズムシの防除剤、これを用いたニューギニアヤリガタリクウズムシの防除具
KR200322059Y1 (ko) 양봉용 구제약품 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4

Effective date: 201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