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059A -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059A
KR20090046059A KR1020070111996A KR20070111996A KR20090046059A KR 20090046059 A KR20090046059 A KR 20090046059A KR 1020070111996 A KR1020070111996 A KR 1020070111996A KR 20070111996 A KR20070111996 A KR 20070111996A KR 20090046059 A KR20090046059 A KR 20090046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user
specific pl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257B1 (ko
Inventor
박우구
김대식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257B1/ko
Priority to US12/146,134 priority patent/US20090115898A1/en
Publication of KR2009004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257B1/ko
Priority to US13/428,810 priority patent/US201201859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복수의 촬영 장치로부터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송 채널, 선택적 채널, 다중 채널, 선택적 시청, 방송 시스템, 무선 시스템

Description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WATCHING BROADCAST CHANNEL SELECTIVELY IN SPECIFIED PLACE}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3-02, 과제명: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 개발].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하며, 위성 디지털 방송과 지상파 디지털 방송으로 분류된다.
위성 디지털 방송은 이동형 서비스를 주목적으로 하며, 휴대용 리시버(이동 전화, 개인 정보 단말기)나 차량용 리시버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채널 멀티미디어(Multimedia)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방송이다.
그리고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라디오의 디지털화)가 모체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은 현재 비어 있는 브이에이치에프(VHF) 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 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 개념으로, 다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을 복합적으로 송신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서비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이 상용화 되면서 다수의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양화 되고 있고, 방송되는 시간대 또한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많은 방송 프로그램들 중에서 자신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축구장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펼쳐지는 경기를 단말기를 통해 시청하는 경우, 지상파 또는 공중파의 제한적인 채널을 통해 시청하였다. 이는 결국 동일한 시간에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특정 장소, 예를 들어 축구장에서 펼쳐지는 축구 경기를 다른 각도나 위치에서 보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공중파 방송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장소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시청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구장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다수의 촬영 장치를 통해 각기 다른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중 채널화한 후,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된 여러 채널 중 자신이 원하는 영상과 관련한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정 지역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공간의 각기 다른 위치의 영상을 공중파와는 차별화되게 방송 서비스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needs)를 높일 수 있는 특정 지역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의 사용 허가와 관련된 수락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수락 코드를 제공받은 사용자만이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지역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복수의 촬영 장치로부터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레임을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로부터의 영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치 정보가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와 함께 다중 채널화하여,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서버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상기 프레임 내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스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스틸 영상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선정된 시간 이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 및 재생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복수의 촬영 장치로부터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들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로부터의 영상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장치 정보가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와 함께 다중 채널화하여,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서버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프레임 내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스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스틸 영상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하는 코드 부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부여부는, 선정된 시간 이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구장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다수의 촬영 장치를 통해 각기 다른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중 채널화한 후,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된 여러 채널 중 자신이 원하는 영상과 관련한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공간의 각기 다른 위치의 영상을 공중파와는 차별화되게 방송 서비스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needs)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의 사용 허가와 관련된 수락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수락 코드를 제공받은 사용자만이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촬영 장치(110)는 각각 특정 장소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장치(110)는 영역이 제한된 상기 특정 장소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여러 각도의 다른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장치(110)는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들을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촬영 장치(110)는 축구장, 패션쇼장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장치(110)가 축구장에 설치될 경우, 복수의 촬영 장치(110)는 축구장 내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축구장 내에서 벌어지는 상황(축구 경기)을 여러 각도의 다른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장치(110)는 여러 각도(위치)에서의 축구 경기 장면을 담은 영상 정보들을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영 장치(110)는 상기 촬영과 연동하여, 상기 특정 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녹음하고, 상기 녹음된 음성을 정보화하여 음성 정보를 서버(120) 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 녹음은 복수의 촬영 장치(11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120)는 복수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영상 정보들을 수신하여 입력 받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음정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서버(120)는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들 및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무선 기지국(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담은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도 1의 서버(12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200)은 입력부(210), 프레임 생성부(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복수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들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입력부(210)는 축구장, 패션쇼장 등 과 같은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다양한 각도에서의 축구 경기 장면, 패션쇼 장면 등의 영상 정보들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0)는 복수의 촬영 장치(110)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의 음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특정 장소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바, 입력부(210)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레임 생성부(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생성부(220)는 각각의 촬영 장치(110)에 대한 장치 정보를, 각각의 촬영 장치(110)로부터의 영상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장치 정보가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와 함께 다중 채널화하여,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생성부(22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해당 공간에 설치된 무선 기지국(140)에 적합한 채널로 구성한 후, 채널 다중화를 거쳐 모든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으로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n개의 슈퍼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슈퍼 프레임은 각 프레임을 식별하는 프리엠블, 및 프레임 정보를 담고 있는 헤더 채널 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0 번째 프레임에는 음성 정보(신호)가 포함되며, 나머지 프레임에는 영상 정보(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은 TV 채널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TV 채널은 기존의 와이브로(WiBro), T-DMB, 및 무선 랜의 채널 구조에서 TV 채널별로 갖고 있는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TV 채널은 와이브로든 지상파 DMB든 W-CDMA든 기존에 갖고 있는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폐쇄된 공간에서 특정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방송 서비스를 실시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230)는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무선 기지국(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3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300)은 수신부(310), 코드 부여부(320), 추출부(330), 및 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서버(120)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부(310)는 서버(120) 내에 탑재된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도 2의 200 참조)으로부터 영상 정보들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일 수 있다.
코드 부여부(320)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인터넷 또는 단말기(130)을 이용하여 사용 허가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허가 요청에 따라, 코드 부여부(320)는 상기 인터넷 또는 단말기(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코드 부여부(32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허가 요청에는 임시 요청과 상시 요청의 두 가지가 있다. 상기 임시 요청은 축구장이나 공연장 등의 특정 장소에서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허가 요청을 임시적으로 하는 것이다. 단말기(130)을 통해 상기 임시 요청을 받은 시스템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예: 신용 상태,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의 사용 가능/제한 사항 여부 등의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130)로 허가 수락에 대한 코드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상시 요청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허가 요청을 상시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상시 요청을 받은 시스템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130)로 허가 수락에 대한 코드를 보낼 수 있 다.
또한, 코드 부여부(320)는 선정된 시간 이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할 수 있다. 즉, 코드 부여부(320)는 선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락 코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를 유지시켜 주며, 상기 선정된 시간 이후에는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시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정된 시간은 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추출부(330)는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추출부(330)는 상기 사용자가 n 번째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 번째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부(330)는 상기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스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출부(330)는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지 영상인 스틸 영상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각각의 스틸 영상에 방송 채널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추출부(330)는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각각의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스틸 영상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추출부(330)는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추출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3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34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30) 내에 탑재된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30)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각각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를 통해 상기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30)는 재생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장소에서 원하는 위치의 영상 및 음성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도 1의 서버(120) 내에 탑재된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0)에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복수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들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축구장, 패 션쇼장 등과 같은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다양한 각도에서의 축구 경기 장면, 패션쇼 장면 등의 영상 정보들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20)에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복수의 촬영 장치(110)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의 음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특정 장소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0)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30)에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각각의 촬영 장치(110)에 대한 장치 정보를, 각각의 촬영 장치(110)로부터의 영상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장치 정보가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와 함께 다중 채널화하여,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해당 공간에 설치된 무선 기지국(140)에 적합한 채널로 구성한 후, 채널 다중화를 거쳐 모든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으로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40)에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생성 된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무선 기지국(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30) 내에 탑재된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10)에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서버(120)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서버(120) 내에 탑재된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도 2의 200 참조)으로부터 영상 정보들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520)에서 사용자에 의한 방송 채널 선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방송 채널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S520의 NO 방향),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방송 채널 선택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방송 채널이 선택된 경우(S520의 YES 방향),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단계(S53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계(S530)에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n 번째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 번째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스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지 영상인 스틸 영상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각각의 스틸 영상에 방송 채널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각각의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스틸 영상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540)에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추출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3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각각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를 통해 상기 영상 정보 및 음 성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30)는 재생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장소에서 원하는 위치의 영상 및 음성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수락 코드를 부여 받은 사용자의 단말기(130)에서만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과 관련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인터넷 또는 단말기(130)을 이용하여 사용 허가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허가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인터넷 또는 단말기(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허가 요청에는 임시 요청과 상시 요청의 두 가지가 있다. 상기 임시 요청은 축구장이나 공연장 등의 특정 장소에서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허가 요청을 임시적으로 하는 것이다. 단말기(130)을 통해 상기 임시 요청을 받은 시스템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예: 신용 상태,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의 사용 가능/제한 사항 여부 등의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130)로 허가 수락에 대한 코드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상시 요청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허가 요청을 상시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상시 요청을 받은 시스템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130)로 허가 수락에 대한 코드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선정된 시간 이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은 선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락 코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를 유지시켜 주며, 상기 선정된 시간 이후에는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시켜, 상기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서비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정된 시간은 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 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촬영 장치 120: 서버
130: 단말기 140: 무선 기지국
210: 입력부 220: 프레임 생성부
230: 전송부 310: 수신부
320: 코드 부여부 330: 추출부
340: 출력부

Claims (14)

  1. 복수의 촬영 장치로부터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로부터의 영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치 정보가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와 함께 다중 채널화하여,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3. 서버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스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스틸 영상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선정된 시간 이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 및
    재생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 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8. 복수의 촬영 장치로부터 특정 장소의 각기 다른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들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의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다중 채널화하여, 상기 영상 정보들 및 상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상기 각각의 촬영 장치로부터의 영상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장치 정보가 포함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와 함께 다중 채널화하여, 하나의 시퀀스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
  10. 서버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프레임 내 각각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스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틸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스틸 영상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채널 선택에 대한 허 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채널 선택을 허가하는 수락 코드를 부여하는 코드 부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부여부는,
    선정된 시간 이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상기 수락 코드를 사용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영상 장치 및 음성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시스템.
KR1020070111996A 2007-11-05 2007-11-05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 KR10095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996A KR100958257B1 (ko) 2007-11-05 2007-11-05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
US12/146,134 US20090115898A1 (en) 2007-11-05 2008-06-25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viewing broadcast channel in particular place
US13/428,810 US20120185900A1 (en) 2007-11-05 2012-03-23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viewing broadcast channel in particular p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996A KR100958257B1 (ko) 2007-11-05 2007-11-05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59A true KR20090046059A (ko) 2009-05-11
KR100958257B1 KR100958257B1 (ko) 2010-05-17

Family

ID=4058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996A KR100958257B1 (ko) 2007-11-05 2007-11-05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90115898A1 (ko)
KR (1) KR100958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590A (ko) * 2010-07-15 2012-0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경기장 영상 공유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 경기장 영상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68607B1 (ko) * 2017-11-03 2019-04-1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재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9979B (zh) * 2014-12-01 2018-05-29 南京纳加软件有限公司 一种多媒体平台协同授权流程
US11877023B2 (en) * 2020-05-15 2024-01-16 Aveo Systems, Inc. Control devices and systems incorporating secure contactless remote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6897A3 (en) * 1997-03-11 2000-08-30 Actv, Inc. A digital interactive system for providing full interactivity with live programming events
US20030084461A1 (en) * 2001-10-25 2003-05-01 Khoi Hoa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on-VOD services
US6950123B2 (en) * 2002-03-22 2005-09-2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simultaneous visual tracking of multiple bodies in a closed structured environment
US7567671B2 (en) * 2005-06-10 2009-07-28 Aniruddha Gupte Encry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digital distribution system
US7911493B2 (en) * 2005-12-16 2011-03-22 Kyocera Corporation Display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20070200949A1 (en) * 2006-02-21 2007-08-30 Qualcomm Incorporated Rapid tuning in multimedia applications
EP1848212B1 (en) * 2006-02-23 2012-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US8358704B2 (en) * 2006-04-04 2013-01-22 Qualcomm Incorporated Frame level multimedia decoding with frame information table
EP2115651A4 (en) * 2007-01-29 2011-10-26 Chon Fong Kuok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GAM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590A (ko) * 2010-07-15 2012-0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경기장 영상 공유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 경기장 영상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68607B1 (ko) * 2017-11-03 2019-04-1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재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85900A1 (en) 2012-07-19
US20090115898A1 (en) 2009-05-07
KR100958257B1 (ko)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7756B (zh) 数字广播接收终端中管理电子节目指南数据的装置和方法
US7457582B2 (en) Broadcast program scene notification system
CN100546378C (zh) 播放接收系统和便携式终端、服务器
US7623485B2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received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2123232B (zh) 数字广播接收设备
US6539210B1 (en) Automatic assignment and tuning of radio call letters to radio presets
CN102075696A (zh) 信号采集、传输、编辑整合、播发及收视的方法和系统
KR100738423B1 (ko) 홈 서버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958257B1 (ko) 특정 장소에서의 선택적 방송 채널 시청 방법 및 시스템
JP3693085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放送番組関連情報再生方法
KR10075458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중 방송 다시보기를 위한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및 방법
JP3821362B2 (ja) インデックス情報生成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インデックス情報生成方法
CN1976430B (zh) 一种实现在终端对移动多媒体节目进行预览的方法
KR20120007763A (ko) 운동 경기의 중계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63965A1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83935A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ollat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thereof
JP4351587B2 (ja) ダイジェスト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072992B2 (ja) 番組情報受信方法、利用者端末、番組情報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038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JP2006121196A (ja) 移動端末及び地域別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KR20120036398A (ko) 유무선망을 통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60010957A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녹화 및재생방법
KR100789498B1 (ko)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WO200802408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elevision and/or radio programmes via the internet
JP4889659B2 (ja) テレビ番組録画再生装置、携帯通信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