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926A - 노면 조직 측정기구 - Google Patents

노면 조직 측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926A
KR20090044926A KR1020070111223A KR20070111223A KR20090044926A KR 20090044926 A KR20090044926 A KR 20090044926A KR 1020070111223 A KR1020070111223 A KR 1020070111223A KR 20070111223 A KR20070111223 A KR 20070111223A KR 20090044926 A KR20090044926 A KR 20090044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patch
shaping
partition membe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5259B1 (ko
Inventor
이광호
김형배
유태석
이승우
김지원
박석주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2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7Apparatus combining measurement of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paving with application of material in proportion to the measured irregula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의 패치 형성 구역을 구획하고, 그 안에 상기 노면의 조직에 메워질 수 있는 일정 체적의 패치 입자가 부어지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 안의 패치 입자를 평탄하게 펼치는 평탄화수단과; 상기 노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평탄하게 펼쳐진 패치 입자를 쓸고 가면서 패치를 정형하는 정형화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노면의 평균 조직 깊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고, 그 정확도가 상당히 높은 노면 조직 측정기구를 개시한다.
노면, 조직, 노면 조직 깊이, MTD, 패치

Description

노면 조직 측정기구{MEASURING APPARATUS OF MEAN TEXTURE DEPTH}
본 발명은 노면 조직 측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면의 조직 깊이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 공법은, 노면의 적정한 강도 및 적정한 미끄럼 저항, 그리고 저소음 특성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면 공법 연구에서는 노면의 조직 깊이가 미끄럼 저항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노면의 조직 깊이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작업을 한다.
먼저 시험 노면에 소정 량의 모래를 고르게 펼쳐서 가능한 원형이고 평탄한 패치(patch)를 만들고, 다음 이 패치의 직경을 측정한 후, 이 측정치와 시험 노면에 펼친 모래의 체적의 산술적 상관 관계 식을 통해 노면의 조직 깊이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노면의 조직 깊이는, 노면의 각 조직의 깊이가 아니고, 노면의 평균 조직 깊이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노면의 조직 깊이 측정 방법은, 수작업으로 패치를 만들기 때문에, 노면의 조직 깊이 측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완벽한 형상의 패치를 형성하기 어려워 노면의 평균 조직 깊이 측정 오차가 크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면의 조직 깊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측정 결과가 상당히 정확한 노면 조직 측정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면의 패치 형성 구역을 구획하고, 그 안에 상기 노면의 조직에 메워질 수 있는 일정 체적의 패치 입자가 부어지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 안의 패치 입자를 평탄하게 펼치는 평탄화수단과; 상기 노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평탄하게 펼쳐진 패치 입자를 쓸고 가면서 패치를 정형하는 정형화수단을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를 제시한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노면의 패치 형성 구역을 직사각형상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수단은 상기 구획 부재 안에서 이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패치 입자를 펼치는 적어도 하나의 흙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흙손 복수 개가 상기 흙손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흙손은 그 사이로 패치 입자가 부어질 수 있도록, 상기 흙손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흙손의 폭은 상기 노면의 패치 형성 구역의 폭과 대략 같을 수 있다.
상기 정형화수단은 상기 구획 부재 안에서 이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패치 입자를 쓸고 가는 적어도 하나의 정형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형화부재는 상기 노면을 향해 상기 평탄화수단보다 더 돌출되고, 가요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정형화수단은 상기 평탄화수단과 연동토록 상기 평탄화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수단 및 정형화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gu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구획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평탄화수단 또는 상기 정형화수단을 관통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수단 및 정형화수단이 자동 이송되게 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를 상기 평탄화수단 또는 상기 정형화수단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수단 및 정형화수단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패치의 길이를 측정하는 패치 길이측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치 길이측정수단은 상기 구획부재에 구비된 측정자와, 상기 평탄화수단 또는 정형화수단와 연동되어 상기 측정자의 눈금을 지시하는 측정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조직 측정기구는 노면의 평균 조직 깊이 자료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고, 이 자료의 정확도가 상당히 높은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노면 조직 측정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 작업 전 노면 조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평탄화 작업 후 노면 조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패치 정형화 작업 후 노면 조직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패치의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조직 측정기구는, 노면(2)의 패치 형성 구역을 구획하고 그 안에 노면(2)의 조직에 메워질 수 있는 일정 체적의 패치 입자(4)가 부어지는 구획부재(10)와, 구획부재(10) 안의 패치 입자(4)를 평탄하게 펼치는 평탄화수단(20)과, 노면(2)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평탄하게 펼쳐진 패치 입자(4)를 쓸고 가면서 패치(P)를 정형하는 정형화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패치 입자(4)는 노면(2)의 조직에 메워질 수 있는 입자라면 분말, 모래, 슬러지 등 어느 것이든 무방한데, 특히 이 중 모래는 손쉽고 비용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고,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0)는 노면(2)을 구획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패치 입자(4)를 부어 넣고 펼치기 쉽도록 상,하면이 개방된 링 형 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재(10)는 원형 링, 타원형 링, 사각 링 등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노면(2)의 패치 형성 구역을 직사각형상으로 구획하는 직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사방으로 이동될 필요없이 간단하게 왕복 이동되면서 평탄화,정형화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수단(20)은 상기 구획부재(10) 내 패치 입자(4)를 쓸면서 평탄하게 펼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재(10) 안에서 이동될 수 있는 흙손(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흙손(22)은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이든 무방하나, 본 실시 예와 같이 대략 육면체 통과 같은 블록(block)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패치 입자(4)를 쓸기 쉽고, 구조가 간소하고, 견고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하기 쉬운 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흙손(22)은 상기 흙손(22)의 폭이 상기 노면(2)의 패치 형성 구역의 폭, 즉 상기 구획부재(10)의 내부 폭과 대략 같도록 구성됨으로써, 왕복 이동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흙손(22)은 상기 패치 입자(4)와 접촉되는 끝 부분(22')이, 쐐기 형상과 같이, 아래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취함으로써, 상기 구획부재(10) 안에 쌓여 있는 패치 입자(4)에 걸리지 않고, 상기 패치 입자(4)를 용이하게 쓸고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한 흙손(22)은 1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고,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흙손(22)이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된 경우에는, 짧은 시간 안에 평탄화 작업이 여러 번 반복 실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흙손(22)들은 상기 흙손의 이동 방향, 즉 평탄/정형화 작업 방향(화살표 A)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 개의 흙손(22)들은 동시에 평탄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흙손(22)들은 하나로 묶이도록 브래킷(24) 등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흙손(22)은 그 사이로 상기 패치 입자(4)가 부어질 수 있도록 2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흙손(22)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2개의 흙손(22) 사이로 부어진 패치 입자(4)가 적정 량씩 상기 2개의 흙손(22) 사이로부터 나와 노면(2)에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상기 흙손(22)이 상기 패치 입자(4)를 평탄화하기 보다 쉬워질 수 있다.
상기 정형화수단(30)은 상기 구획부재(10) 안에서 이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패치 입자(4)를 쓸고 가는 정형화부재(32)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형화부재(32)는 특히 상기 흙손(22)보다 상기 노면(2)을 향해 더 돌출되고, 휘는 성질을 갖는 가요성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가요성 재질로는 스펀지, 스티로폼, 고무, 솜 뭉치 등이 있다.
상기 정형화부재(32)는 상기 흙손(2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정형화부재(32)의 폭이 상기 구획부재(10)의 내부의 폭과 대략 동일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형화부재(32)는 상기 정형화수단(30)이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연동되면 측정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정형화부재(32)는 상기 평탄화수단(20) 특히 흙손(22)과 접착제나 용접, 스크류 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흙손(22)과 결합된 정형화부재 프레임(34)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노면 측정기구는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상기 정형화수단(30)을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40)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연동되는 경우,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정형화수단(30)에 각각 조합되는 것보다 둘 중 어느 하나하고만 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구조적으로 상기 가이드(40)가 상기 정형화수단(30)보다는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조합되는 것이 보다 용이한바, 상기 가이드(40)가 상기 평탄화수단(20) 즉 흙손(22)과 조합된 예를 개시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40)는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별도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정형화수단(30)에 각각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40)는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40)가 상기 구획부재(10)에 고정되고 상기 흙손(22)에 형성된 가이드 봉 홀(22A)을 통해 상기 흙손(22)을 관통하는 가이드 봉(4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40)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봉(42)은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2개의 흙손(22) 사이로 상기 패치 입자(4)가 부어지는 경우,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흙손(22)의 중앙보다는 가장자리에 조합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봉(42)은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흙손(22)의 가장자리에 조합되는 경우,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흙손(22)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노면 측정기구는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자동 이송되게 하는 이송수단(50)이 포함됨으로써, 평탄화작업 및 정형화작업이 보다 더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송수단(50)은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연동되는 경우,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정형화수단(30)에 각각 조합되는 것보다 둘 중 어느 하나하고만 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구조적으로 상기 이송수단(50)이 상기 정형화수단(30)보다는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조합되는 것이 보다 용이한바, 상기 이송수단(50)이 상기 평탄화수단(20) 즉 흙손(22)과 조합된 예를 개시한다. 물론,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별도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평탄화수단(20)과 정형화수단(30)에 각각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수단(50)은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2)와, 상기 모터(5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fully)(54)와, 상기 풀리(54)와 상기 평탄화수단(20) 특히 흙손(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수단(50)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수단(50)은 상기 구획부재(10)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재(10)에 구비된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모터(52) 및 풀리(54)는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의 이동방향(화살표 A)을 따라,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의 어느 한쪽에만 위치될 수도 있고, 양쪽에 모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풀리(54)에는 상기 연결부재(56)가 상기 풀리(54)에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5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52)는 상기 구획부재(10)에 설치된 모터 제어반(51)에 의해 조작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6)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와이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벨트, 체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6)는 상기 구획부재(10)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본 실시 예와 같이 일부가 상기 구획부재(10) 내부에 은닉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56)의 일부가 상기 구획부재(10)에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재(10)에는 상기 연결부재(56)를 안내하는 연결부재 통로(10A)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획부재(1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재(56)가 매끄럽게 안내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 가이드 롤러(10B)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노면 측정기구는 상기 구획부재(10)의 폭이 일정하여 상기 구획부재(10)에 폭 방향에 따른 상기 패치(P)의 폭은 항상 같지만 상기 평탄화수단 및 정형화수단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패치(P)의 길이는 변수인바, 상기 패치(P)의 길이를 측정하는 패치 길이측정수단(60)이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패치(P)의 면적이 정확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산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패치 길이측정수단(60)은 상기 구획부재(10)에 구비된 측정자(62)와, 상기 평탄화수단(20) 또는 정형화수단(30)와 연동되어 상기 측정자(62)의 눈금을 지시하는 측정바늘(64)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패치 길이측정수단(60)은 상술한 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조직 측정기구에 의한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면(2)을 깨끗하게 한 후, 상기 노면(2)의 위에 본 발명의 노면 조직 측정기구를 올려놓고, 실린더 등의 측정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패치 입자(4)를 소정 량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패치 입자(4)를 상기 2개의 흙손(22) 사이에 적재토록 상기 구획부재(10) 안에 부어 넣는다. 이때,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은 상기 패치 길이측정수단(60)의 측정바늘(64)이 상기 측정자(62)의 눈금 '0'을 지시하고 있도록, 상기 구획부재(10)의 한 쪽 끝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흙손(22) 사이에 적재된 패치 입자(4)를 막대기 등을 이용해 고르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모터 제어반(51)을 조작하여 상기 이송수단(50)의 모터(5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모터(52)에 의해 풀리(54)가 회전되고, 상기 풀리(5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6)가 움직이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56)에 의해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끌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평탄화수단(20) 및 정형화수단(30)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흙손(22) 사이에 적재된 패치 입자(4)가 적정량씩 상기 2개의 흙손(22) 사이로부터 배출되면서 노면(2)에 펼쳐진다. 그리고, 상기 노면(2)에 펼쳐진 패치 입자(4)가 상기 흙손(22)에 의해 쓸려가면서 평탄화된다. 그리고, 평탄화 작업과 동시에, 상기 정형화부재(32)가 휘어진 상태로 상기 흙손(22)과 함께 이동되면서, 정형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형화부재(32)가 상기 노면(2)의 각 조직 위로 쌓여 있는 패치 입자(4)를 쓸고 감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치 입자(4)가 상기 노면(2)의 각 조직의 깊이에 맞춰 상기 노면(2)의 각 조직에 메워지면서 정형하게 펼쳐진다.
이때, 상기 정형화부재(32)가 가요성 재질일지라도, 상기 패치 입자(4)가 평탄화 작업을 통해 어느 정도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정형화부재(32)가 상기 패치 입자(4)에 걸리지 않고 충분히 쓸어 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형화 작업이 이루어지면, 패치(P)가 형성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패치 측정길이수단(60)의 측정바늘(64)이 함께 움직여서 상기 측정자(62)의 어느 한 눈금을 지시함으로써, 상기 패치(P)의 길이가 함께 측정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패치(P)는, 상기 패치 입자(4)가 상기 노면(2)의 각 조직의 높이에 맞춰 펼쳐져 있기 때문에, 상기 노면(2)의 각 조직에서의 높이 오차가 없다. 또한, 상기 패치(P)의 형상은, 상기 노면(2)의 패치 형성 구역이 상기 구획부재(10)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구획되고, 상기 흙손(22)의 폭 및 상기 정형화부재(32)의 폭이 상기 구획부재(10)의 내부의 폭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대략 직사각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상기 패치(P)의 각 변의 길이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상기 패치(P)의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패치(P)의 폭은 일정하고, 상기 패치(P)의 길이는 상기 패치 길이측정수단(60)에 의해 자동 측정됨으로써, 상기 패치(P)의 면적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출한 패치(P)의 면적을 다음과 같은 [식 1]에 대입하게 되면, 상기 노면(2)의 각 조직의 평균 깊이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산출된 노면(2) 조직의 평균 깊이는 상기 노면(2)의 분석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식 1]
Figure 112007078814133-PAT00001
.
여기서, MTD는 본 발명에 의해 구하고자 하는 노면(2) 조직의 평균 깊이이고, V는 상기 패치 입자(4)의 체적이고, A는 상기 패치(P)의 면적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조직 측정기구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조직 측정기구의 여러 실시 예들 중 일부 예일 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조직 측정기구는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노면 조직 측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 작업 전 노면 조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평탄화 작업 후 노면 조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치 정형화 작업 후 노면 조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패치의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노면 4; 패치 입자
10; 구획부재 20; 평탄화수단
22; 흙손 24; 브래킷
30; 정형화수단 32; 정형화부재
40; 가이드 42; 가이드 봉
50; 이송수단 52; 모터
54; 풀리 56; 연결부재
60; 패치 길이측정수단 62; 측정자
64; 측정바늘

Claims (14)

  1. 노면의 패치 형성 구역을 구획하고, 그 안에 상기 노면의 조직에 메워질 수 있는 일정 체적의 패치 입자가 부어지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 안의 패치 입자를 평탄하게 펼치는 평탄화수단과;
    상기 노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평탄하게 펼쳐진 패치 입자를 쓸고 가면서 패치를 정형하는 정형화수단을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노면의 패치 형성 구역을 직사각형상으로 구획토록 형성된 노면 조직 측정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단은 상기 구획 부재 안에서 이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패치 입자를 펼치는 적어도 하나의 흙손을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흙손 복수 개가 상기 흙손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흙손은 그 사이로 패치 입자가 부어질 수 있도록, 상기 흙손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2개로 구비된 노면 조직 측정기구.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흙손의 폭은 상기 노면의 패치 형성 구역의 폭과 대략 같은 노면 조직 측정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형화수단은 상기 구획 부재 안에서 이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패치 입자를 쓸고 가는 적어도 하나의 정형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형화부재는 상기 노면을 향해 상기 평탄화수단보다 더 돌출되고, 가요성 재질인 노면 조직 측정기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형화수단은 상기 평탄화수단과 연동토록 상기 평탄화수단과 결합된 노면 조직 측정기구.
  9. 청구항 1,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단 및 정형화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guide)를 더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구획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평탄화수단 또는 상기 정형화수단을 관통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11. 청구항 1,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단 및 정형화수단이 자동 이송되게 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를 상기 평탄화수단 또는 상기 정형화수단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13. 청구항 1,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수단 및 정형화수단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패치의 길이를 측정하는 패치 길이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패치 길이측정수단은 상기 구획부재에 구비된 측정자와, 상기 평탄화수단 또는 정형화수단와 연동되어 상기 측정자의 눈금을 지시하는 측정바늘을 포함하는 노면 조직 측정기구.
KR1020070111223A 2007-11-01 2007-11-01 노면 조직 측정기구 KR10094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23A KR100945259B1 (ko) 2007-11-01 2007-11-01 노면 조직 측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23A KR100945259B1 (ko) 2007-11-01 2007-11-01 노면 조직 측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26A true KR20090044926A (ko) 2009-05-07
KR100945259B1 KR100945259B1 (ko) 2010-03-05

Family

ID=4085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223A KR100945259B1 (ko) 2007-11-01 2007-11-01 노면 조직 측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2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5057A (zh) * 2012-04-28 2012-08-15 哈尔滨工业大学 沥青混凝土纹理激光测量仪
CN103046460A (zh) * 2013-01-23 2013-04-1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测定路面表面构造深度的圆环铺砂装置及方法
CN110055869A (zh) * 2019-03-29 2019-07-26 东南大学 一种沥青路面整平装置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475B (zh) * 2019-08-23 2020-12-08 中建科技(福州)有限公司 一种调整预制混凝土柱平整度和高度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52Y1 (ko) 2003-08-07 2003-12-18 주식회사 로드텍 포장 노면 횡단면 측정장치
KR100517336B1 (ko) 2003-10-31 2005-09-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도로 노면 거칠기 측정방법
KR100733873B1 (ko) 2005-07-27 2007-07-02 전일중 도로의 평탄성 측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5057A (zh) * 2012-04-28 2012-08-15 哈尔滨工业大学 沥青混凝土纹理激光测量仪
CN102635057B (zh) * 2012-04-28 2014-04-02 哈尔滨工业大学 沥青混凝土纹理激光测量仪
CN103046460A (zh) * 2013-01-23 2013-04-1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测定路面表面构造深度的圆环铺砂装置及方法
CN103046460B (zh) * 2013-01-23 2015-01-2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测定路面表面构造深度的圆环铺砂装置及方法
CN110055869A (zh) * 2019-03-29 2019-07-26 东南大学 一种沥青路面整平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055869B (zh) * 2019-03-29 2021-03-30 东南大学 一种沥青路面整平装置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259B1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259B1 (ko) 노면 조직 측정기구
US8763270B1 (en) Concrete deck measuring device
KR101799526B1 (ko)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방법 및 시험장치
RU2006139052A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картридж для измерения изменений площади поперечного сечения волос на выбранном участке кожи головы
US9291441B2 (en) Concrete deck measuring device
CN102645527A (zh) 基于dct和高清影像技术的沥青混合料疲劳试验方法
KR10221059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강도 또는 균열 측정 보조장치
KR102210591B1 (ko) 초음파법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 또는 균열 측정용 보조장치
CN1839321A (zh) 用于控制大量生产的辐射体的比吸收率的设备
JP6045994B2 (ja) 再振動装置及び再振動方法
KR200340495Y1 (ko) 슈미트햄머 타점표시기
CN103207123B (zh) 电线覆层材料的耐磨性测试方法
JP4120809B2 (ja) 地盤特性の評価方法
JP7072955B2 (ja) コンクリート床面の施工方法
JP6174447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健全度推定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修方法
CN116337895A (zh) 一种判断混凝土斜裂缝尖端走势的方法与装置
KR101493796B1 (ko) 교통개방시간 판정 방법
RU2613292C1 (ru) Круговой почвенный стенд
CN209400371U (zh) 砼贯入阻力仪
CN207600915U (zh) 一种砂当量试验仪
CN111896718A (zh) 一种混凝土坍落度一体化试验装置
Colla et al. Diagnostic by imaging: 3D GPR investigation of brick masonry and post-tensioned concrete
Drdácký et al. Innovated water uptake measurements on historic stone surfaces
CN110146049A (zh) 一种用于混凝土叠合板预制底板表面粗糙度的测评方法
RU165260U1 (ru)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рейка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