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545A -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545A
KR20090043545A KR1020097004328A KR20097004328A KR20090043545A KR 20090043545 A KR20090043545 A KR 20090043545A KR 1020097004328 A KR1020097004328 A KR 1020097004328A KR 20097004328 A KR20097004328 A KR 20097004328A KR 20090043545 A KR20090043545 A KR 20090043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groups
propylene copolymer
periodic tabl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142B1 (ko
Inventor
잠파올로 펠레가티
다니엘레 비자비
리타 마르텔리
마리아 실비아 톤티
루이지 레스코니
시모나 기도티
Original Assignee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4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 C08F4/6592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containing at least two cyclopentadienyl rings, fused or not
    • C08F4/65927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containing at least two cyclopentadienyl rings, fused or not two cyclopentadienyl rings being mutually bridg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43Polymerization with metallocen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유래 단위 함량이 1 중량% 내지 4 중량% 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로서, 여기서, 결정성 중합체 중 50 % 이상은 실온에서 첫번째 용융 100 시간 후에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삼방정계 형태 I (DSC 분석에 의해 검출됨) 로 존재하는, 조성물:
a) 하기 특징을 갖는 어택틱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5 중량% 내지 95 중량%:
i) 4 이하의 분자량 분포 Mw/Mn;
ii)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에서 융합 엔탈피가 검출되지 않음; 및
iii) 0.5 % 미만의 적외선 결정화도;
b) 하기 특징을 갖는 아이소택틱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5 중량% 내지 95 중량%:
i) 13C-NMR 에 의해 측정된 아이소택틱 펜타드 (mmmm), 80 % 초과;
ii) 70 ℃ 초과의 용융점 (형태 II 의 Tm(II)); 및
iii) 4 이하의 분자량 분포 Mw/Mn.

Description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1-BUTENE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S}
본 발명은 메탈로센계 촉매계를 사용하여 수득된 1-부텐/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어택틱 (atactic) 및 무정형 분획과 아이소택틱 (isotactic) 분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부텐 중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내압성, 내크리프성 (creep resistance), 및 충격 강도의 면에서 우수한 특성 때문에, 1-부텐 중합체는 예를 들어 금속 파이프 대체용 파이프, 개봉 용이성 포장지 및 필름의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메탈로센계 촉매계를 사용하여 제조된 아이소택틱 1-부텐계 중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이의 수득 방법은 예를 들어 WO 02/100908, WO 02/100909 및 WO 03/014107 에 기술되어 있으나, 수득가능한 중합체는 매우 고도의 아이소택틱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면에서, 어택틱 1-부텐 중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부착 조성물용 성분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점착성 중합체이다. 상기 중합체의 제조 방법의 예는 US 6,288,192; EP 604 908 및 EP 04101912.6 에 나타나 있다.
특정 적용에 대해서는, 엘라스토머성 특성을 가진 아이소택틱 1-부텐 중합체보다 더 유연한 물질이 요구되는데, 그러나, 이러한 물질은 쉽게 가공가능해야 하고, 무엇보다도 어택틱 1-부텐 중합체만큼 점착성이지 않아야 한다.
분획가능한 엘라스토머성 1-부텐 중합체는 US 4,298,722 에 기술된다. 상기 중합체는 테트라네오필지르코늄과 같은 유기지르코늄 화합물, 즉, 금속이 메탈로센 화합물이 가진 것과 같은 π-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득된다. 수득된 1-부텐 중합체는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해 분획될 수 있고, 다른 특징 중에서도 에테르 가용성 분획은 1% 내지 15% 사이에 포함된 적외선 결정화도 값 (infrared crystallinity value) 을 가진다. 이 값은 본 발명의 1-부텐 중합체의 적외선 결정화도 가용성 분획과 비교한다면 꽤 높다.
1-부텐계 중합체가 제조되는 경우, 이들은 보통 그의 용액으로부터 정방정계 형태 II 로 결정화되며, 그런 다음, 지속적으로 변환하여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삼방정계 형태 I 로 되며, 이는 [J. Appl. Phys. 1964, 35, 3241] 및 [Macromolecules 1998, 31, 9253] 에 보고된 바와 같다. 실온에서 완전히 변환하는 데에는 수 일이 걸리고, 보통은 완전하게 되지 않는다. 상기 두 가지 형태 간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그의 용융점으로서, 형태 I 의 용융점이 형태 II 의 용융점보다 더 높다. 이들 두 가지 형태는 DSC 온도 기록도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사실상, 온도 기록도에서, 두 개의 주요 피크는 형태 I (이 형태는 더 높은 온도에서 용융됨) 및 형태 II (이 형태는 더 낮은 온도에 용융됨) 의 용융 엔탈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샘플에 에이징됨에 따라, 형태 II 를 나 타내는 피크가 감소되고, 형태 I 을 나타내는 피크가 나타거나 또는 증가하며, 한편 2 개의 피크 영역의 합으로 나타내는 총 엔탈피는 실제적으로 불변인 상태로 있음을 주지할 수 있다. 형태 I 을 나타내는 피크는 샘플의 낮은 숙성 시에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나, 일정 시간 후에는 상기 피크가 온도 기록도에 나타남을 주지해야 한다. 반면, 2 개의 피크는 또한 온도 기록도의 0 시에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더 단시간에 형태 I 로 전환되는 물질을 가지고, 그렇게 해서 최종 특성을 갖는 물질을 갖기 전의 긴 저장 시간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유래 단위 함량이 1 중량% 내지 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3.5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3.5 중량% 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로서, 여기서, 결정성 중합체 중 50 % 이상은 실온에서 첫번째 용융 100 시간 후에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삼방정계 형태 I (DSC 분석에 의해 검출됨) 로 존재한다:
a) 하기 특징을 갖는 어택틱 및 무정형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5 중량% 내지 95 중량%:
i) 4 이하의 분자량 분포 Mw/Mn;
ii) 13C-NMR 에 의해 측정된 rr 트리아드 (triad), 10 % 내지 40 %;
iii)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에서 융합 엔탈피가 검출되지 않음; 및
iv) 0.5 % 미만의 적외선 결정화도;
b) 하기 특징을 갖는 아이소택틱 결정성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5 중량% 내지 95 중량%:
i) 13C-NMR 에 의해 측정된 아이소택틱 펜타드 (pentad) (mmmm), 80 % 초과;
ii) 70 ℃ 초과의 용융점 (형태 II 의 Tm(II)); 및
iii) 4 이하의 분자량 분포 Mw/Mn.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어택틱 1-부텐계 중합체 성분 a) 에서 분자량 분포가 3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이다.
성분 a) 에서, 13C-NMR 에 의해 측정된 rr 트리아드는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35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r 이 20 % 내지 30 % 이다.
성분 a) 에서, 135 ℃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THN) 중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 (IV) 는 1.0 dl/g 내지 5.0 dl/g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dl/g 내지 3.0 dl/g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dl/g 내지 2.5 dl/g 이다.
성분 a) 에서 적외선 결정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3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미만;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1-부텐 성분 a) 의 어택틱 무정형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유래 단위의 함량이 1 중량% 내지 4 중량% 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4 중량% 이다.
성분 a) 는 0 ℃ 에서 자일렌에 완전히 용해되고, 여기서 용해도는 하기 절차에 따라 측정된다.
성분 a) 는 어택틱 및 무정형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이며, 따라서, 용융점을 갖지 않고, 결과적으로 결정성 중합체 b) 만이 DSC 분석에서 검출가능한 부분이 된다.
본 발명의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형태 II 과 형태 I 사이에 특별히 빠른 전이를 부여받는다. 전이는 DSC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전형적인 온도 기록도는 형태 I (더 높은 용융점) 및 형태 II (더 낮은 용융점) 를 나타내는 2 개의 주요 피크를 제시한다. 때때로, 더 단 시간에서는, 단지 형태 II 의 피크만 존재하고, 그런 다음 숙성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형태 I 의 피크가 나타난다. 이들 피크의 면적은 형태 I 및 형태 II 로 제시된 결정성 중합체의 양에 직접 비례한다. 따라서, 면적의 비율 (각각의 형태의 융합 엔탈피에 직접 비례하기도 함) 은 중합체 내에 존재하는 형태 I 또는 형태 II 의 결정성 중합체의 양에 직접 비례한다. 따라서, 첫번째 DSC 온도 기록도에서, 중합체는 용융되고, 형태 I 및 형태 II 의 비율은 융합 엔탈피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 다음, 실온에서 100 시간 후에, 융합 엔탈피를 다시 측정해서, 이들 형태의 융합 엔탈피를 나타내는 피크의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형태 II 및 형태 I 사이의 변환을 측정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 중합체는 형태 II 및 형태 I 사이의 특별히 빠른 변환을 부여받는다. 이러한 빠른 변환은 수지의 어닐링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효과는 수지의 특별한 조성물 (어택틱 및 아이소택틱 중합체) 에 의해 향상된다. 전이는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이 DSC 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에서, 결정성 중합체 중 50 % 이상이 실온에서 75 시간의 어닐링 후 형태 I 로 존재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중합체 중 70 % 이상이 200 시간 후에 형태 I 로 존재한다.
성분 a) 로서 사용되는 어택틱 무정형 1-부텐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점 촉매계 (single-site based catalyst system) 의 존재 하에서 1-부텐 및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택틱 무정형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성분 a) 를, 하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한 촉매계의 존재 하에서 1-부텐 및 프로필렌을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a) 하나 이상의, 메소 또는 메소-유사 형태의 화학식 (Ia) 의 메탈로센 화합물: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1
[식 중,
M 은 원소 주기율표의 3, 4, 5, 6 족, 또는 란탄족 또는 악티늄족에 속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 원자이고; 바람직하게는 M 은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이고;
p 는 0 내지 3 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p 는 2 이고, 이는 금속 M 의 형식적 산화 상태에서 2 를 뺀 것과 동일하며;
X 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R, OR, OSO2CF3, OCOR, SR, NR2 또는 PR2 기 (여기서, R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라디칼임) 이거나; 또는 2 개의 X 는 임의로 치환 또는 비치환 부타디에닐 라디칼 또는 OR'O 기 (여기서, R' 은 C1-C40 알킬리덴, C6-C40 아릴리덴, C7-C40 알킬아릴리덴 및 C7-C40 아릴알킬리덴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2 가 라디칼임) 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X 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R 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X 는 염소, 또는 메틸과 같은 C1-C10-알킬 라디칼, 또는 벤질 라디칼이고;
L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2 가 C1-C40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5 개 이하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2 가 실릴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L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알킬리덴, C3-C40 시클로알킬리덴, C6-C40 아릴리덴, C7-C40 알킬아릴리덴, 또는 C7-C40 아릴알킬리덴 라디칼, 및 SiMe2, SiPh2 와 같은 5 개 이하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실릴렌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2 가 다리원자단이고; 바람직하게는 L 은 (Z(R")2)n 기 (여기서, Z 은 탄소 또는 규소 원자이고, n 은 1 또는 2 이고, R" 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20-알킬, C2-C20 알케닐, C2-C20 알키닐, C6-C20-아릴, C7-C20-알킬아릴 또는 C7-C20-아릴알킬 라디칼임)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Z(R")2)n 기는 Si(CH3)2, SiPh2, SiPhMe, SiMe(SiMe3), CH2, (CH2)2, 및 C(CH3)2 이고;
R1 및 R2 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C20-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T 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하기 화학식 (IIa), (IIb) 또는 (IIc) 의 부분임: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2
{식 중, 기호 * 에 의해 표시된 원자는 화학식 (Ia) 의 화합물에서 동일한 기호로 표시된 원자와 결합하고;
R3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3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아릴알킬 또는 C7-C40-알킬아릴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3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C6-C40-아릴,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R3 은 하나 이상의 C1-C10 알킬기로 임의 치환된 C6-C20-아릴 라디칼이고;
R4 및 R6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4 및 R6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4 및 R6 은 수소 원자이고;
R5 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5 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5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C20-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R5 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7 및 R8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7 및 R8 은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8 은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C20-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8 은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7 은 C1-C40-알킬, C6-C40-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7 은 하기 화학식 (III):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3
(여기서, R9, R10, R11, R12 및 R13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20-알킬, C2-C20 알케닐, C2-C20 알키닐, C6-C20-아릴, C7-C20-알킬아릴 또는 C7-C2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9 및 R12 는 수소 원자이고; R10, R11 및 R13 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10-알킬 라디칼임) 의 기임}];
b) 알루목산, 또는 알킬 메탈로센 양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임의로는
c)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이러한 유형의 방법이 EP 04101912.6 및 PCT/EP2005/004506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메소 형태" 는 2 개의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 상의 동일한 치환체가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평면 및 상기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의 중심에 대해 동일한 면 상에 있음을 의미한다. "메소-유사 형태" 는 2 개의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 상의 더 벌키한 치환체가 하기 화합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평면 및 상기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의 중심에 대해 동일한 면 상에 있음을 의미한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4
.
아이소택틱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 에서 프로필렌 유래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4 중량% 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3.5 중량% 이다. 성분 b) 는 바람직하게는 13C-NMR 에 의해 측정된 아이소택틱 펜타드 (mmmm) 가 85 %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초과; 더더욱 바람직하게는95 % 초과 이다.
성분 b) 의 용융점은 80 ℃ 내지 1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내지 105 ℃ 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용융점은 항상 형태 I 에 관한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달리 명시된다.
135 ℃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THN) 중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 (IV) 는 0.5 dl/g 내지 4.0 dl/g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dl/g 내지 3.0 dl/g 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유 점도 (IV) 가 1.1 dl/g 초과 2.5 dl/g 미만이다.
성분 b) 로서 유용한 아이소택틱 1-부텐계 중합체는 단일점 촉매계, 예를 들어, 메탈로센계 촉매계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성분 b) 의 분자량 분포 (Mw/Mn) 는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이다.
한 구현예에서, 성분 a) 의 고유 점도 (IV) 는 성분 b) 의 고유 점도의 7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초과이다.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상기 두 성분의 혼화성을 증강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인 1-부텐 조성물에 의하여, 아이소택틱 1-부텐계 중합체를 매우 효과적으로 연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대체하여 여러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성분 a) 및 b) 의 두 성분은 주로 1-부텐을 기재로 하기 때문에, 상기 두 중합체가 완전히 혼화되어 매우 친밀한 (intimate) 배합물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아이소택틱 1-부텐 중합체는, 심지어 매우 소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생성되는 조성물이 끈적이지 않도록 만드는 장점을 갖는데, 이는 어택틱 1-부텐 중합체의 특성 중 대부분을 갖는 경우에서도 그러하며, 그 결과 조성물의 가공성이 크게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1-부텐 중합체 조성물에서, 성분 a) 가 20 중량% 내지 80 중량% 의 범위이고, 성분 b) 가 80 중량% 내지 20 중량% 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a) 가 30 중량% 내지 70 중량% 의 범위이고, 성분 b) 가 70 중량% 내지 30 중량% 의 범위이다.
하기 조성물이 또한 가능하다:
성분 a) 성분 b)
10 ~ 20 중량% 90 ~ 80 중량%
20 ~ 30 중량% 80 ~ 70 중량%
30 ~ 40 중량% 70 ~ 60 중량%
40 ~ 50 중량% 60 ~ 50 중량%
50 ~ 60 중량% 50 ~ 40 중량%
60 ~ 70 중량% 40 ~ 30 중량%
70 ~ 80 중량% 30 ~ 20 중량%
80 ~ 90 중량% 20 ~ 10 중량%
본 발명의 목적인 1-부텐 조성물은 성분 a) 및 b) 를 기계적으로 혼합하거나, 즉, 예를 들어, 성분 a) 및 b) 를 함께 공압출시키거나, 성분 a) 및 성분 b) 의 용액을 혼합한 후 용매를 제거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점도를 낮춘 성분 a) 에 성분 b) 를 용해시키거나; 또는 반응기 블랜드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조성물은 기계적으로 혼합할 필요 없이 하나 이상의 반응기 내에서 직접 제조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목적인 1-부텐 중합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반응기, 및 두 가지의 혼화성 촉매계의 혼합물 (이들 중 하나는 어택틱 성분 a) 를 제조하고, 나머지 하나는 1-부텐계 중합체 성분 b) 를 제조함) 을 사용하여 1 단계로 수득할 수 있다.
단일점 촉매계는 전이 금속 유기 화합물 (예컨대, 메탈로센 화합물), 및 조촉매 (보통 알루목산 또는 붕소 화합물) 를 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두 성분 a) 및 b) 를 단일점 촉매계를 사용하여 수득하는 경우, 두 가지의 전이 금속 유기 화합물, 및 상기 두 전이 금속 유기 화합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 가지의 조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전이 금속 유기 화합물은 성분 a) 를 제조하고, 제 2 전이 금속 유기 화합물은 성분 b) 를 제조하며, 동일한 조촉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US 6,288,192 에 기재된 전이 금속 화합물을 EP03101304.8 에 기재된 메탈로센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알루목산 또는 붕소 화합물에 의해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 상, 전이 금속 유기 화합물은 분자량 분포 (Mw/Mn) 가 좁은, 즉 분자량 분포가 4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인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이고, 이는 단일점 촉매 성분이 된다. 상기 화합물의 예는 US 6,288,192 에 기재된 전이 금속 화합물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앞서 기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종류의 메탈로센 화합물의 라세미 또는 라세미-유사 형태 및 메조 또는 메조-유사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추가적 목적은 하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한 촉매계의 존재 하에서 1-부텐 및 프로필렌을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l-부텐 조성물) 의 제조 방법이다:
a) 하나 이상의, 메소 또는 메소-유사 형태의 하기 화학식 (Ia) 의 메탈로센 화합물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5
[식 중,
M 은 원소 주기율표의 3, 4, 5, 6 족, 또는 란탄족 또는 악티늄족에 속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 원자이고; 바람직하게는 M 은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이고;
p 는 0 내지 3 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p 는 2 이고, 이는 금속 M 의 형식적 산화 상태에서 2 를 뺀 것과 동일하며;
X 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R, OR, OSO2CF3, OCOR, SR, NR2 또는 PR2 기 (여기서, R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라디칼임) 이거나; 또는 2 개의 X 는 임의로 치환 또는 비치환 부타디에닐 라디칼 또는 OR'O 기 (여기서, R' 은 C1-C40 알킬리덴, C6-C40 아릴리덴, C7-C40 알킬아릴리덴 및 C7-C40 아릴알킬리덴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2 가 라디칼임) 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X 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R 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X 는 염소, 또는 메틸과 같은 C1-C10-알킬 라디칼, 또는 벤질 라디칼이고;
L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2 가 C1-C40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5 개 이하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2 가 실릴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L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알킬리덴, C3-C40 시클로알킬리덴, C6-C40 아릴리덴, C7-C40 알킬아릴리덴, 또는 C7-C40 아릴알킬리덴 라디칼, 및 SiMe2, SiPh2 와 같은 5 개 이하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실릴렌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2 가 다리원자단이고; 바람직하게는 L 은 (Z(R")2)n 기 (여기서, Z 은 탄소 또는 규소 원자이고, n 은 1 또는 2 이고, R" 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20-알킬, C2-C20 알케닐, C2-C20 알키닐, C6-C20-아릴, C7-C20-알킬아릴 또는 C7-C20-아릴알킬 라디칼임)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Z(R")2)n 기는 Si(CH3)2, SiPh2, SiPhMe, SiMe(SiMe3), CH2, (CH2)2, 및 C(CH3)2 이고;
R1 및 R2 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C20-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T 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하기 화학식 (IIa), (IIb) 또는 (IIc) 의 부분임: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6
{식 중, 기호 * 에 의해 표시된 원자는 화학식 (Ia) 의 화합물에서 동일한 기호로 표시된 원자와 결합하고;
R3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3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아릴알킬 또는 C7-C40-알킬아릴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3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C6-C40-아릴,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R3 은 하나 이상의 C1-C10 알킬기로 임의 치환된 C6-C20-아릴 라디칼이고;
R4 및 R6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4 및 R6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4 및 R6 은 수소 원자이고;
R5 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5 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5 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C20-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R5 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7 및 R8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7 및 R8 은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8 은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1-C20-알킬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8 은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7 은 C1-C40-알킬, C6-C40-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7 은 하기 화학식 (III) 의 기임: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7
(여기서, R9, R10, R11, R12 및 R13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20-알킬, C2-C20 알케닐, C2-C20 알키닐, C6-C20-아릴, C7-C20-알킬아릴 또는 C7-C2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R9 및 R13 은 수소 원자이고; R10, R11 및 R12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10-알킬 라디칼임)}];
b) 하나 이상의, 라세믹 (rac) 또는 라세믹-유사 형태의 하기 화학식 (Ib) 의 메탈로센 화합물: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8
[식 중, R1, R2, T, L, M, X 및 p 는 상기 기술되었고; 여기서, R1, R2, T, L, M, X 및 p 는 상기 기술되었고; 여기서, 기호 * 로 표시된 원자는 화학식 (IIa), (IIb) 또는 (IIc) 의 부분에서 동일한 기호로 표시된 원자와 결합함];
c) 알루목산, 또는 알킬 메탈로센 양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임의로
d)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여기서, 라세믹 또는 라세믹-유사 형태 및 메소 형태 또는 메소-유사 형태 간의 비율은 10:90 내지 90:10;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80:2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70:30 이다.
한 구현예에서, 화학식 (Ia) 및 (Ib) 의 화합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IVa) 또는 (IVb) 을 갖는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09
[식 중, M, X, p, L, R1, R2, R3, R4, R5 및 R6 은 상기 의미를 가짐].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화학식 (Ia) 및 (Ib) 의 화합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Va) 또는 (Vb) 를 갖는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0
[식 중, M, X, p, L, R1, R2, R7 및 R8 은 상기 기술된 의미를 가짐].
화학식 (Ia) 및 (Ib) 의 메탈로센 화합물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이들은 WO 01/44318, WO 03/045964, PCT/EP02/13552 및 DE 10324541.3 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된 과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메소 또는 메소-유사 형태에 대한 의미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라세믹 형태" 는 2 개의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 상의 동일한 치환체가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평면 및 상기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의 중심에 대해 반대 면 상에 있음을 의미한다. "라세믹-유사 형태" 는 2 개의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 상의 더 벌키한 치환체가 하기 화합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평면 및 상기 시클로펜타디에닐 부분의 중심에 대해 반대 면 상에 있음을 의미한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1
.
상기 과정을 이용해, 본 발명의 목적 폴리(1-부텐) 조성물을 쉽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사실상, 화학식 (Ia) 의 메탈로센 화합물과 같이 C2 대칭성을 갖는 메탈로센 화합물은 보통 라세믹 형태 및 메소 형태 혼합물에서의 합성으로부터 수득되고, 메소 형태는 보통 불활성이거나, 또는 매우 저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를 생성한다. 출원인은 놀랍게도, 화학식 (Ia) 의 화합물의 메소 형태가 어택틱 중합체량 폴리(1-부텐) 을 고수율로 제공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두 이성질체 형태를 분리하기 위하여 추가로 정제할 필요 없이, 메탈로센 화합물의 라세미 및 메조 혼합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화학식 (Ia) 의 라세믹/메소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성분 a) 또는 b) 를 상이한 양으로 갖는 폴리(l-부텐)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서 화학식 (Ia) 의 메탈로센 화합물 및 화학식 (Ib) 의 메탈로센 화합물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오로지 공간 배치 구조만 상이하다 (라세미 또는 라세미-유사 및 메조 또는 메조-유사).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는 추가의 이점은, 수득되는 1-부텐 중합체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3.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이라는 점이다.
상기 방법에서 성분 b) 또는 c) 로서 사용되는 알루목산은 물을 화학식 HjAlU3-j 또는 HjAl2U6-j (여기서, U 치환체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임의로 규소 또는 게르마늄 원자를 함유하는 C1-C20-알킬, C3-C20-시클로알킬, C6-C20-아릴, C7-C20-알킬아릴 또는 C7-C2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단, 하나 이상의 U 는 할로겐과 상이하고, j 는 0 내지 1 의 범위이고, 또한 비-정수이기도 함) 의 유기-알루미늄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Al/물의 몰 비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0:1 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알루목산은 하기 유형의 기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화합물인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2
[식 중, 치환체 U 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는 상기 정의됨].
특히, 선형 화합물의 경우 하기 화학식의 알루목산을 사용할 수 있고: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3
[식 중, n1 은 0 또는 1 내지 40 의 정수이고, 치환체 U 는 상기 정의됨]; 또는, 환형 화합물의 경우, 하기 화학식의 알루목산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4
[식 중, n2 는 2 내지 40 의 정수이고, 치환체 U 는 상기 정의됨].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알루목산의 예는 메틸알루목산 (MAO), 테트라-(이소부틸)알루목산 (TIBAO), 테트라-(2,4,4-트리메틸-펜틸)알루목산 (TIOAO), 테트라-(2,3-디메틸부틸)알루목산 (TDMBAO) 및 테트라-(2,3,3-트리메틸부틸)알루목산 (TTMBAO) 이다.
특히 관심있는 조촉매는 WO 99/21899 및 WO 01/21674 에서 기술된 것으로서, 여기서, 알킬기 및 아릴기는 특정 분지형 패턴을 가진다.
물과 반응하여, WO 99/21899 및 WO 01/21674 에 기술된 적합한 알루목산 (b) 를 제공할 수 있는 알루미늄 화합물의 비제한적 예는 하기이다:
트리스(2,3,3-트리메틸-부틸)알루미늄, 트리스(2,3-디메틸-헥실)알루미늄, 트리스(2,3-디메틸-부틸)알루미늄, 트리스(2,3-디메틸-펜틸)알루미늄, 트리스(2,3-디메틸-헵틸)알루미늄, 트리스(2-메틸-3-에틸-펜틸)알루미늄, 트리스(2-메틸-3-에틸-헥실)알루미늄, 트리스(2-메틸-3-에틸-헵틸)알루미늄, 트리스(2-메틸-3-프로필-헥실)알루미늄, 트리스(2-에틸-3-메틸-부틸)알루미늄, 트리스(2-에틸-3-메틸-펜틸)알루미늄, 트리스(2,3-디에틸-펜틸)알루미늄, 트리스(2-프로필-3-메틸-부틸)알루미늄, 트리스(2-이소프로필-3-메틸-부틸)알루미늄, 트리스(2-이소부틸-3-메틸-펜틸)알루미늄, 트리스(2,3,3-트리메틸-펜틸)알루미늄, 트리스(2,3,3-트리메틸-헥실)알루미늄, 트리스(2-에틸-3,3-디메틸-부틸)알루미늄, 트리스(2-에틸-3,3-디메틸-펜틸)알루미늄, 트리스(2-이소프로필-3,3-디메틸-부틸)알루미늄, 트리스(2-트리메틸실릴-프로필)알루미늄, 트리스(2-메틸-3-페닐-부틸)알루미늄, 트리스(2-에틸-3-페닐-부틸)알루미늄, 트리스(2,3-디메틸-3-페닐-부틸)알루미늄, 트리스(2-페닐-프로필)알루미늄, 트리스[2-(4-플루오로-페닐)-프로필]알루미늄, 트리스[2-(4-클로로-페닐)-프로필]알루미늄, 트리스[2-(3-이소프로필-페닐)-프로필]알루미늄, 트리스(2-페닐-부틸)알루미늄, 트리스(3-메틸-2-페닐-부틸)알루미늄, 트리스(2-페닐-펜틸)알루미늄, 트리스[2-(펜타플루오로페닐)-프로필]알루미늄, 트리스[2,2-디페닐-에틸]알루미늄 및 트리스[2-페닐-2-메틸-프로필]알루미늄 뿐 아니라, 히드로카르빌기 중 하나가 수소 원자로 대체된 상응하는 화합물, 및 히드로카르빌기 중 하나 또는 둘이 이소부틸기로 대체된 상응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알루미늄 화합물 중에서, 트리메틸알루미늄 (TMA),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TIBA), 트리스(2,4,4-트리메틸-펜틸)알루미늄 (TIOA), 트리스(2,3-디메틸부틸)알루미늄 (TDMBA) 및 트리스(2,3,3-트리메틸부틸)알루미늄 (TTMBA) 이 바람직하다.
알킬메탈로센 양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의 비제한적 예는 화학식 D+E- (식 중, D+ 는 브뢴스테드산으로서, 양성자를 공여할 수 있고 화학식 (Ia) 및 (Ib) 의 메탈로센의 치환체 X 와 비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E- 는 융화성 음이온으로서, 두 화합물의 반응에서 비롯된 활성 촉매 종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올레핀성 단량체에 의해 충분히 제거되기 쉬움) 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E- 는 하나 이상의 붕소 원자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E- 는 화학식 BAr4 (-) (식 중,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치환체 Ar 은 페닐, 펜타플루오로페닐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과 같은 아릴 라디칼임) 의 음이온이다. WO 91/02012 에 기술된 바와 같이,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 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더욱이, 화학식 BAr3 의 화합물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WO 92/00333 에 기술되어 있다. 알킬메탈로센 양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의 다른 예는 화학식 BAr3P (식 중, P 는 치환 또는 비치환 피롤 라디칼임) 의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은 WO 01/62764 에 기술된다. 붕소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DE-A-19962814 및 DE-A-19962910 의 명세서에 따라 지지될 수 있다. 붕소 원자를 함유하는 모든 이러한 화합물은 약 1:1 내지 약 10: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 로 포함된 붕소 대 메탈로센 금속의 몰 비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D+E- 의 화합물의 비제한적 예는 하기이다:
트리에틸암모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톨릴)보레이트,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톨릴)보레이트,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미네이트,
트리프로필암모늄테트라(디메틸페닐)보레이트,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4-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벤질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헥실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미네이트,
N,N-디메틸벤질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헥실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프로필)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시클로헥실)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키스(페닐)보레이트,
트리에틸포스포늄테트라키스(페닐)보레이트,
디페닐포스포늄테트라키스(페닐)보레이트,
트리(메틸페닐)포스포늄테트라키스(페닐)보레이트,
트리(디메틸페닐)포스포늄테트라키스(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미네이트,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페닐)알루미네이트,
페로세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페로세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미네이트.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및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화합물 c) 또는 d) 로서 사용되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HjAlU3-j 또는 HjAl2U6-j 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중합 방법은, 임의로는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의 존재 하에서, 액체상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방향족 (예컨대 톨루엔) 또는 지방족 (예컨대 프로판, 헥산, 헵탄, 이소부탄, 시클로헥산, 이소도데칸 및 2,2,4-트리메틸펜탄)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 방법은 액체 1-부텐 및 프로필렌 혼합물을 중합 매질로서 사용하여 수행한다.
중합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25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150 ℃ 이며,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90 ℃ 이다.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80 ℃ 이다.
고유 점도 (I.V.) 는 135 ℃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THN) 중에서 측정했다.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되었다고 표시된 경우,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와 데카히드로나프탈렌 (DHN) 중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 사이의 전환은 하기 실험식에 따라 수행했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5
.
상기 식은 몇몇 폴리부텐 시료의 THN 및 DHN 중에서 측정된 IV 를 분석하여 유도했다.
중합체의 용융점 (Tm) 은 표준 방법에 따라 Perkin Elmer DSC-7 기기 상의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측정하였다. 중합으로 수득한 칭량된 시료 (5 ~ 7 mg) 를 알루미늄 팬 내에 밀봉하고,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하였다. 시료를 180 ℃ 에서 5 분 동안 유지하여, 모든 미소결정들의 용융이 완결되도록 한 후, 10 ℃/분으로 20 ℃ 까지 냉각시켰다. 2 분 동안 20 ℃ 에서 정치시키고, 그 후 시료를 두번째로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제 2 의 가열 수행시, 피크 온도를 용융 온도 (Tm) 로서, 피크 면적을 용융 엔탈피 (ΔHf) 로서 취하였다.
형태 I 및 형태 II 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 절차를 이용했다. 중합에서 수득한 중합체의 시료를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했다. 시료를 180 ℃ 에서 5 분 동안 유지하여, 모든 미소결정들의 용융이 완결되도록 한 후, 10 ℃/분으로 20 ℃ 까지 냉각시켰다. 이후, 상이한 시간에 이 시료의 소량 (5 ~ 7 mg) 을 Perkin Elmer DSC-7 기기 상에서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 수행시, 피크 온도를 용융 온도 (Tm) 로서 취하였다. 낮은 용융점을 형태 II 의 용융점으로서 취하였고, 높은 용융점을 형태 I 의 용융점으로서 취하였다. 두 피크의 면적은 각각 형태 II 및 형태 I 의 용융 엔탈피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고 여겨졌다. 형태 I (높은 용융점) 에 속하는 피크의 면적 백분율은 형태 I 로 존재하는 결정성 중합체의 백분율로서 고려했다.
모든 시료에 대한 분자량 매개변수 및 분자량 분포는 4 개의 혼합-겔 컬럼 PLgel 20 ㎛ Mixed-A LS (Polymer Laboratories, Church Stretton, United Kingdom) 이 장착된 Waters 150C ALC/GPC 기기 (Waters, Milford, Massachusetts, US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컬럼의 치수는 300 × 7.8 mm 였다. 사용된 용매는 TCB 였으며, 유속은 1.0 ㎖/분으로 유지하였다. 용액 농도는 1,2,4-트리클로로벤젠 (TCB) 중에서 0.1 g/dL 였다. 0.1 g/ℓ의 2,6-디-t-부틸-4-메틸 페놀 (BHT) 을 첨가하여 분해를 방지하였고, 주입 부피는 300 ㎕ 였다. 모든 측정은 135 ℃ 에서 수행하였다. 1-부텐 중합체에 대해서는 잘 특성화된 좁은 분자량 분포의 표준 기준 물질이 이용가능하지 않아서, GPC 보정이 복잡하다. 이에 따라, 분자량이 580 내지 13,200,000 범위인 12 가지의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를 이용하여 범용 보정 곡선을 수득하였다. Mark-Houwink 관계식의 K 값은 하기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폴리스티렌 및 폴리-1-부텐에 대해 각각 KPS = 1.21 ×10-4 dL/g 및 KPB = 1.78 ×10-4 dL/g. Mark-Houwink 지수 α 는 폴리스티렌에 대하여는 0.706 으로, 폴리-1-부텐에 대하여는 0.725 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얻어진 분자량 매개변수는 각 사슬의 수력학적 부피의 단지 어림치이지만, 이로써 상대적 비교가 가능해진다.
13C-NMR 스펙트럼은 120 ℃ 에서의 푸리에 전환 모드에서 100.61 MHz 로 작동하는 DPX-400 분광기 상에서 수득되었다. 시료들을 120 ℃ 의 1,1,2,2-테트라클로로에탄-d2 에 8 중량/부피% 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각각의 스펙트럼을 90°펄스에서 수득하고, 펄스와 CPD (waltz16) 사이에서 15 초를 지연시켜 1H-13C 커플링을 제거하였다. 6000 Hz 의 스펙트럼창을 이용하여 32 K 의 데이터 포인트에서 약 3000 전이 (transient) 를 저장하였다. 공중합체의 아이소택틱도는 13C NMR 에 의해 측정되고, 이는 에틸렌 분지의 진단용 메틸렌의 mmmm 트리아드 피크의 상대적인 강도로서 정의된다. 27.73 ppm 에서의 상기 피크를 내부 표준으로서 이용하였다. 펜타드 지정은 문헌 [Macromolecules, 1992, 25, 6814-6817] 에 따라 제공된다. 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지정 및 조성의 평가는 문헌 [1) H.N. Cheng,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Physics Edition, 21, 573 (1983)] 에 따라 행하였다.
조성은 Sαα 탄소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PP = Sαα (47.15 - 46.52 ppm)/Σ
BP = Sαα (43.67 - 43.27 ppm) /Σ
BB = Sαα(40.23 ppm)/Σ
이때 ∑ = ∑Sαα
1 부텐 및 프로필렌의 몰 백분율로서의 총량은 하기의 관계를 사용하여 디아드 (diad) 로부터 계산했다.
[P] = PP + 0.5 BP
[B] = BB + 0.5 BP
C3(m%) 이 50 이하인 공중합체 중 공단량체 배열 및 입체오류에 기인한 배열간 중복으로 인하여, mm 함량으로서, B 가 중심인 트리아드 (PBP BBP 및 BBB) 의 입체규칙성은 하기와 같은 두 영역 A 및 B 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A : 28.4 에서 27.45 ppm 까지는 XBX mm 트리아드를 나타냄.
B : 27.45 에서 26.4 ppm 까지는 XBX mr+rr 트리아드를 나타냄.
(이때 X 는 B 또는 P 일 수 있음).
따라서, 아이소택틱 분획의 함량은 하기와 같이 얻어진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6
적외선 결정화도는 하기 수학식에서 1221 ㎝-1 및 1151 ㎝-1 에서의 흡수율 A 를 사용함으로써 약 1 mm 의 중합체 박막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7
상기 수학식은 문헌 [Chem. of High Polymers (Japan) 19, 667(1962) by Nishioka and Yanagisawa] 에 기재되어 있다.
0 ℃ 에서의 자일렌 가용물을 하기 절차에 따라 측정했다:
앞서 제조한 2.5 g 의 반응기 조성물의 시료를 예비 증류한 자일렌 250 ㎖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을 가벼운 질소 흐름 하에서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약 30 분 내에 135 ℃ 의 온도에 도달하게 하였다. 일단 135 ℃ 의 온도에 도달하면, 시료를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해, 혼합물을 135 ℃ 에서 추가적 30 분 동안 더 정치시켰다.
일단 용해 단계가 완결되면, 용액을 약 100 ℃ 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교반 하에 기냉시켰다. 이후, 용액을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크를 냉수조와 함께 Dewar 용기에 넣어,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가 0 ℃ 까지 떨어지게 하였다. 용액을 0 ℃ 에서 교반 하에 1시간 동안 정치시켜, 불용물이 완전히 결정화1되게 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단목 (short stem) 유리 깔때기 및 급속 여과 종이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이 완전히 투명하지 않은 경우, 여과를 반복하였다. 여과 단계 동안, 혼합물을 0 ℃ 로 유지하였다. 일단 여과가 끝나면, 여액을 25 ℃ 에서 칭량한 후, 50-㎖ 의 두 분액을 2 개의 부피 플라스크에 넣었다.
50-㎖ 의 여액 두 분액 중 하나를 미리 눈금매겨진 알루미늄 팬으로 이송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팬은 사용 전 500 ℃ 에서 30 분 동안 관상로 (muffle furnace) 내에 둘 것임). 상기 알루미늄 팬을 140 ℃ 까지 가열하여 용매를 가벼운 질소 흐름 하에 증발시키고, 동시에, 증발된 용매 증기를 수집 및 응축시켰다. 일단 용매 증발이 끝나면, 팬을 질소 흐름 하에 75 ∼ 80 ℃ 의 진공 (200 ∼ 400 mbar) 오븐에 넣어 내용물이 일정 중량 (총 가용물) 이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상기 절차를 50-㎖ 의 두번째 여액 분액에 대하여 반복하였다.
동시에, 50 ㎖ 의 자일렌 분액에 동일한 증발 절차를 수행하여 블랭크 기준을 얻었다.
0 ℃ 에서 o-자일렌 중 가용성 분획 (총 가용물) 을 하기 수학식에 의해 중량% 로 표현하였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8
[식 중, 기호는 하기를 나타냄:
XS% = 총 가용성 분획의 중량%;
M r1 = 증발시 첫번째 분액 잔류물;
M r2 = 증발시 두번째 분액 잔류물;
M b = 증발시 블랭크 잔류물;
M i = 처음 시료 중량;
V r = 증발된 용액 부피;
V b = 증발된 블랭크 부피;
V i = 처음 용매 부피].
0 ℃ 에서 o-자일렌 중 불용성 분획 (총 불용물) 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중량% 로 표현하였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19
[식 중, 기호는 하기를 나타냄:
XI% = 불용물 분획 중량%;
XS% = 총 가용물 중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 와 비교예 3 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의 일부 시료에 있어서의 (I) 형태의 정량적 백분율 대 시간을 나타낸다.
도 2 는 실시예 2 의 중합체의 다양한 시간에서의 정성적 온도 기록도를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고유 점도 (I.V.) 는 135 ℃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THN) 중에서 측정했다.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와 데카히드로나프탈렌 (DHN) 중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 사이의 전환은 하기 실험식에 따라 수행했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0
.
상기 식은 몇몇 폴리부텐 시료의 THN 및 DHN 중에서 측정된 IV 를 분석하여 유도했다.
중합체의 용융점 (Tm) 은 표준 방법에 따라 Perkin Elmer DSC-7 기기 상의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측정하였다. 중합으로 수득한 칭량된 시료 (5 ~ 7 mg) 를 알루미늄 팬 내에 밀봉하고,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하였다. 시료를 180 ℃ 에서 5 분 동안 유지하여, 모든 미소결정들의 용융이 완결되도록 한 후, 10 ℃/분으로 20 ℃ 까지 냉각시켰다. 2 분 동안 20 ℃ 에서 정치시키고, 그 후 시료를 두번째로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하였다. 형태 I 및 형태 II 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 절차를 이용했다.
중합에서 수득한 중합체의 시료를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했다. 시료를 180 ℃ 에서 5 분 동안 유지하여, 모든 미소결정들의 용융이 완결되도록 한 후, 10 ℃/분으로 20 ℃ 까지 냉각시켰다. 이후, 상이한 시간에 이 시료의 소량 (5 ~ 7 mg) 을 Perkin Elmer DSC-7 기기 상에서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10 ℃/분으로 180 ℃ 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 수행시, 피크 온도를 용융 온도 (Tm) 로서 취하였다. 낮은 용융점을 형태 II 의 용융점으로서 취하였고, 높은 용융점을 형태 I 의 용융점으로서 취하였다. 두 피크의 면적은 각각 형태 II 및 형태 I 의 용융 엔탈피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고 여겨졌다. 형태 I (높은 용융점) 에 속하는 피크의 면적 백분율은 형태 I 로 존재하는 결정성 중합체의 백분율로서 고려했다.
모든 시료에 대한 분자량 매개변수 및 분자량 분포는 4 개의 혼합-겔 컬럼 PLgel 20 ㎛ Mixed-A LS (Polymer Laboratories, Church Stretton, United Kingdom) 이 장착된 Waters 150C ALC/GPC 기기 (Waters, Milford, Massachusetts, US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컬럼의 치수는 300 × 7.8 mm 였다. 사용된 용매는 TCB 였으며, 유속은 1.0 ㎖/분으로 유지하였다. 용액 농도는 1,2,4-트리클로로벤젠 (TCB) 중에서 0.1 g/dL 였다. 0.1 g/ℓ의 2,6-디-t-부틸-4-메틸 페놀 (BHT) 을 첨가하여 분해를 방지하였고, 주입 부피는 300 ㎕ 였다. 모든 측정은 135 ℃ 에서 수행하였다. 1-부텐 중합체에 대해서는 잘 특성화된 좁은 분자량 분포의 표준 기준 물질이 이용가능하지 않아서, GPC 보정이 복잡하다. 이에 따라, 분자량이 580 내지 13,200,000 범위인 12 가지의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 를 이용하여 범용 보정 곡선을 수득하였다. Mark-Houwink 관계식의 K 값은 하기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폴리스티렌 및 폴리-1-부텐에 대해 각각 KPS = 1.21 ×10-4 dL/g 및 KPB = 1.78 ×10-4 dL/g. Mark-Houwink 지수 α 는 폴리스티렌에 대하여는 0.706 으로, 폴리-1-부텐에 대하여는 0.725 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얻어진 분자량 매개변수는 각 사슬의 수력학적 부피의 단지 어림치이지만, 이로써 상대적 비교가 가능해졌다.
13C-NMR 스펙트럼은 120 ℃ 에서의 푸리에 전환 모드에서 100.61 MHz 로 작동하는 DPX-400 분광기 상에서 수득되었다. 시료들을 120 ℃ 의 1,1,2,2-테트라클로로에탄-d2 에 8 중량/부피% 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각각의 스펙트럼을 90°펄스에서 수득하고, 펄스와 CPD (waltz16) 사이에서 15 초를 지연시켜 1H-13C 커플링을 제거하였다. 6000 Hz 의 스펙트럼창을 이용하여 32 K 의 데이터 포인트에서 약 3000 전이 (transient) 를 저장하였다. 공중합체의 아이소택틱도는 13C NMR 에 의해 측정되고, 이는 에틸 분지의 진단용 메틸렌의 mmmm 트리아드 피크의 상대적인 강도로서 정의된다. 27.73 ppm 에서의 상기 피크를 내부 표준으로서 이용하였다. 펜타드 지정은 문헌 [Macromolecules, 1992, 25, 6814-6817] 에 따라 제공된다. 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지정 및 조성의 평가는 문헌 [1) H.N. Cheng,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Physics Edition, 21, 573 (1983)] 에 따라 행하였다.
조성은 Sαα 탄소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PP = Sαα (47.15 - 46.52 ppm)/Σ
BP = Sαα (43.67 - 43.27 ppm) /Σ
BB = Sαα(40.23 ppm)/Σ
이때 ∑ = ∑Sαα
1 부텐 및 프로필렌의 몰 백분율로서의 총량은 하기의 관계를 사용하여 디아드로부터 계산했다.
[P] = PP + 0.5 BP
[B] = BB + 0.5 BP
C3(m%) 이 50 이하인 공중합체 중 공단량체 배열 및 입체오류에 기인한 배열간 중복으로 인하여, mm 함량으로서, B 가 중심인 트리아드 (PBP BBP 및 BBB) 의 입체규칙성은 하기와 같은 두 영역 A 및 B 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A : 28.4 에서 27.45 ppm 까지는 XBX mm 트리아드를 나타냄.
B : 27.45 에서 26.4 ppm 까지는 XBX mr+rr 트리아드를 나타냄.
(이때 X 는 B 또는 P 일 수 있음).
따라서, 아이소택틱 분획의 함량은 하기와 같이 얻어진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1
적외선 결정화도
적외선 결정화도는 하기 수학식에서 1221 ㎝-1 및 1151 ㎝-1에서의 흡수율 A 를 사용함으로써 약 1 mm 의 중합체 박막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2
상기 수학식은 문헌 [Chem. of High Polymers (Japan) 19, 667(1962) by Nishioka 및 Yanagisawa] 에 기재되어 있다.
0 ℃ 에서의 자일렌 가용물
앞서 제조한 2.5 g 의 반응기 조성물의 시료를 예비 증류한 자일렌 250 ㎖ 에 현탁하였다. 혼합물을 가벼운 질소 흐름 하에서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약 30 분 내에 135 ℃ 의 온도에 도달하게 하였다. 일단 135 ℃ 의 온도에 도달하면, 시료를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해, 혼합물을 135 ℃ 에서 추가적 30 분 동안 더 정치시켰다.
일단 용해 단계가 완결되면, 용액을 약 100 ℃ 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교반 하에 기냉시켰다. 이후, 용액을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크를 냉수조와 함께 Dewar 용기에 넣어,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가 0 ℃ 까지 떨어지게 하였다. 용액을 0 ℃ 에서 교반 하에 1시간 동안 정치시켜, 불용물이 완전히 결정화1되게 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을 단목 (short stem) 유리 깔때기 및 급속 여과 종이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이 완전히 투명하지 않은 경우, 여과를 반복하였다. 여과 단계 동안, 혼합물을 0 ℃ 로 유지하였다. 일단 여과가 끝나면, 여액을 25 ℃ 에서 칭량한 후, 50-㎖ 의 두 분액을 2 개의 부피 플라스크에 넣었다.
50-㎖ 의 여액 두 분액 중 하나를 미리 눈금매겨진 알루미늄 팬으로 이송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팬은 사용 전 500 ℃ 에서 30 분 동안 관상로 내에 둘 것임). 상기 알루미늄 팬을 140 ℃ 까지 가열하여 용매를 가벼운 질소 흐름 하에 증발시키고, 동시에, 증발된 용매 증기를 수집 및 응축시켰다. 일단 용매 증발이 끝나면, 팬을 질소 흐름 하에 75 ∼ 80 ℃ 의 진공 (200 ∼ 400 mbar) 오븐에 넣어 내용물이 일정 중량 (총 가용물) 이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상기 절차를 50-㎖ 의 두번째 여액 분액에 대하여 반복하였다.
동시에, 50 ㎖ 의 자일렌 분액에 동일한 증발 절차를 수행하여 블랭크 기준을 얻었다.
0 ℃ 에서 o-자일렌 중 가용성 분획 (총 가용물) 을 하기 수학식에 의해 중량% 로 표현하였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3
[식 중, 기호는 하기를 나타냄:
XS% = 총 가용성 분획의 중량%;
M r1 = 증발시 첫번째 분액 잔류물;
M r2 = 증발시 두번째 분액 잔류물;
M b = 증발시 블랭크 잔류물;
M i = 처음 시료 중량;
V r = 증발된 용액 부피;
V b = 증발된 블랭크 부피;
V i = 처음 용매 부피].
0 ℃ 에서 o-자일렌 중 불용성 분획 (총 불용물) 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중량% 로 표현하였다: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4
[식 중, 기호는 하기를 나타냄:
XI% = 불용물 분획 중량%;
XS% = 총 가용물 중량%].
성분 a) 의 일반적 제조 절차
메소 디메틸실란디일비스-6-[2,5-디메틸-3-(2'-메틸-페닐)시클로펜타디에닐-[1,2-b]-티오펜]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A-1) 를 WO 01/44318 에 따라 제조하였다.
Rac 디메틸실란디일비스-6-[2,5-디메틸-3-(2'-메틸-페닐)시클로펜타디에닐-[l,2-b]-티오펜]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A-2) 를 WO 0l/44318 에 따라 제조했다.
촉매계
이소도데칸 중 TIBA 의 101 g/L 용액을 메틸알루목산 (MAO) 의 30 중량/중량% 톨루엔 용액과 혼합하여, MAO/TIBA 의 몰비가 2:1 에 도달하도록 했다. 이후, 이 용액을 A-1 및 A-2 의 혼합물 (60/40) 에 첨가했다. 생성된 촉매 용액은 3.21 중량% 의 A-1 + A-2 및 24.7 중량% 의 A1 을 포함했다.
1-부텐 중합
액체 부텐-1 및 프로필렌이 액체 매질을 구성하고 있는, 일련의 두 교반 반응기를 포함하는 파일럿 플랜트에서 중합을 수행했다. 표 1 에 나타낸 촉매계를 8 ~ 10 g/시간의 유속으로 반응기에 주입하고, 65 ℃ 의 중합 온도에서 중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표 1 에 나타낸 데이터에 따라 1-부텐 및 프로필렌을 공급했다. 두 반응기의 압력은 24 bar-g 로 일정하게 유지했다. 두 번의 시행을 수행했다. 1-부텐 중합체를 용액으로부터의 용해물로서 회수했고, 펠릿으로 컷인 (cut in) 했다. 중합 조건을 표 1 에 나타냈다.
시행 1 2
1-1 1-2 2-1 2-2
제 1 반응기 제 2 반응기 제 1 반응기 제 2 반응기
체류 시간 (분) 125 77 177 110
C4-공급 (kg/시간) 100 55 70 40
C3-공급 (kg/시간) 4.2 1.5 1.3 0.38
수율 kg/g § 4.2 4.2
§Kg중합체/g촉매계 를 나타내는 수율 C4= 1-부텐 C3= 프로필렌
시행 1 및 2 의 제 1 반응기 또는 제 2 반응기로부터 나오는 공중합체의 동시적 시료 일부를 수거하고, ISO 527-1 및 ISO 178 에 따라 약 10 일 간의 어닐링을 실시한 후 분석했다. 데이터를 표 2 에 나타냈다.
시행 1 2
시행으로부터 1 2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10 분 동안 에이징된 MEF (ISO) MPa 31 33
파단시 응력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10 분 동안 에이징된 스펙 유형 S2 MPa 12.3 18.2
파단시 신장률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10 분 동안 에이징된 스펙 유형 S2 % 435 583
압축 세트 25 %, 22 시간
70 ℃ 에서 240 시간 에이징 % 68 49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70 ℃ 에서 10 분 동안 에이징 % 40 38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10 분 동안 에이징시 쇼어 A - 87 86.8
프로필렌 함량 (nmr) 중량% 1.2 3.2
Mw/Mn 2.4 2.4
시료 1 ~ 2 를 0 ℃ 에서의 자일렌 중에서 분별하여, 어택틱 분획으로부터 아이소택틱 분획을 분리시켰다. 분리된 분획들을 분석했다. 결과를 표 3 및 4 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스플릿 중량% I.V. C3 중량% Mw/Mn 적외선 결정화도 % 융합 엔탈피 J/g mmmm % Tm(II) ℃
어택틱 분획 49.2 1.4 1.2 <2.5 <0.05 n.d. 21 ~ 29 (rr) n.d.
아이소택틱 분획 50.8 1.4 1.2 <2.5 n.m. 15.2 >90 104.3
실시예 2
어택틱 분획 45.2 1.4 3.2 <2.5 <0.05 n.d. 21 ~ 29 (rr) n.d.
아이소택틱 분획 54.8 1.4 3.2 <2.5 n.m. 15.7 >90 96.4
적외선 결정화도는 0 ℃ 에서의 자일렌 가용물 분획에 대해 측정했음, % n.d.= 검출 불가 n.m.= 측정 불가 Tm(II)= 형태 II 의 용융점
실시예 1 ~ 2 의 중합체의 압출 성형 플라크 (plaque) 를 수득했다. 이들 플라크 시료에 대한 DSC 분석을 다양한 시간에서 수행하여, 형성된 형태 I 의 백분율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EP04103525.4 에 기술된 조성물 6 의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분석을 수행했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여 표 5 에 나타냈다. 결과 그래프를 도 1 에 나타냈다.
시료 시간 (시간) 형태 I 의 % C3 ( 중량%) XS ( 중량%)
실시예 1 0 0 1.2 49.2
20 7.6
29 14.8
47 36.7
90 51.8
144 65.6
200 75.0
실시예 2 0 0 3.2 45.2
22 57.8
50 79.2
95 87.4
120 89.3
130 100
비교예 3 0 0 0
22 8.7
74 31.4
168 50.1
360 65.4

Claims (11)

  1. 하기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유래 단위 함량이 1 중량% 내지 4 중량% 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로서, 여기서, 결정성 중합체 중 50 % 이상은 실온에서 첫번째 용융 100 시간 후에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삼방정계 형태 I (DSC 분석에 의해 검출됨) 로 존재하는, 조성물:
    a) 하기 특징을 갖는 어택틱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5 중량% 내지 95 중량%:
    i) 4 이하의 분자량 분포 Mw/Mn;
    ii) 13C-NMR 에 의해 측정된 rr 트리아드 (triad), 10 % 내지 40 %;
    iii)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에서 융합 엔탈피가 검출되지 않음; 및
    iv) 0.5 % 미만의 적외선 결정화도;
    b) 하기 특징을 갖는 아이소택틱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5 중량% 내지 95 중량%:
    i) 13C-NMR 에 의해 측정된 아이소택틱 펜타드 (pentad) (mmmm), 80 % 초과;
    ii) 70 ℃ 초과의 용융점 (형태 II 의 Tm(II)); 및
    iii) 4 이하의 분자량 분포 Mw/Mn.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에서 13C-NMR 에 의해 측정된 rr 트리아드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40 % 이고, 135 ℃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THN) 중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 (IV) 가 바람직하게는 1.0 dl/g 내지 5.0 dl/g 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b) 는 바람직하게는 13C-NMR 에 의해 측정된 아이소택틱 펜타드 (mmmm) 가 85 % 초과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유래 단위가 1 % 내지 4.5 % 의 범위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의 용융점이 80 ℃ 내지 120 ℃ 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35 ℃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THN) 중에서 측정된 성분 b) 의 고유 점도 (IV) 가 1.0 dl/g 내지 3.0 dl/g 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고유 점도 (IV) 가 성분 b) 의 고유 점도의 70 % 이상인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중 50 % 이상이 실온에서 75 시간의 어닐링 후 형태 I 로 존재하는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9. 제 1 항에 따른 폴리(1-부텐 프로필렌 조성물) 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성분 a), b) 및 c) 를 접촉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한 촉매계의 존재 하에서 1-부텐 및 프로필렌을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하나 이상의, 메소 또는 메소-유사 형태의 화학식 (Ia) 의 메탈로센 화합물: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5
    [식 중,
    M 은 원소 주기율표의 3, 4, 5, 6 족, 또는 란탄족 또는 악티늄족에 속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 원자이고;
    p 는 0 내지 3 의 정수이고, 이는 금속 M 의 형식적 산화 상태에서 2 를 뺀 것과 동일하며;
    X 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R, OR, OSO2CF3, OCOR, SR, NR2 또는 PR2 기 (여기서, R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C1-C40-알킬, C2-C40 알케닐, C2-C40 알키닐, C6-C40-아릴, C7-C40-알킬아릴 또는 C7-C40-아릴알킬 라디칼임) 이거나; 또는 2 개의 X 는 임의로 치환 또는 비치환 부타디에닐 라디칼 또는 OR'O 기 (여기서, R' 은 C1-C40 알킬리덴, C6-C40 아릴리덴, C7-C40 알킬아릴리덴 및 C7-C40 아릴알킬리덴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2 가 라디칼임) 를 형성할 수 있고;
    L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2 가 C1-C40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5 개 이하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2 가 실릴렌 라디칼이고;
    R1 및 R2 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T 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하기 화학식 (IIa), (IIb) 또는 (IIc) 의 부분임: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6
    {식 중, 기호 * 에 의해 표시된 원자는 화학식 (Ia) 의 화합물에서 동일한 기호로 표시된 원자와 결합하고;
    R3 은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4 및 R6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5 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7 및 R8 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 ~ 17 족에 속하는 헤테로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40 탄화수소 라디칼임}];
    b) 하나 이상의, 라세믹 (rac) 또는 라세믹-유사 형태의 하기 화학식 (Ib) 의 메탈로센 화합물: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7
    [식 중, R1, R2, T, L, M, X 및 p 는 상기 기술되었고; 여기서, 기호 * 로 표시된 원자는 화학식 (IIa), (IIb) 또는 (IIc) 의 부분에서 동일한 기호로 표시된 원자와 결합함]; 및
    c) 알루목산, 또는 알킬 메탈로센 양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라세믹 또는 라세믹-유사 형태 (화학식 (Ib) 의 화합물) 및 메소 형태 또는 메소-유사 형태 (화학식 (Ia) 의 화합물) 간의 비율이 10:90 내지 90:10 인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화학식 (Ia) 및 (Ib) 의 화합물이 각각 하기 화학식 (Va) 또는 (Vb) 를 갖는 방법:
    Figure 112009012468341-PCT00028
    [식 중, M, X, p, L, R1, R2, R7 및 R8 은 제 9 항에 기술된 의미를 가짐].
KR1020097004328A 2006-08-30 2007-08-22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KR101374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9810.7 2006-08-30
EP06119810 2006-08-30
US84170606P 2006-09-01 2006-09-01
US60/841,706 2006-09-01
PCT/EP2007/058730 WO2008025710A1 (en) 2006-08-30 2007-08-22 1-butene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545A true KR20090043545A (ko) 2009-05-06
KR101374142B1 KR101374142B1 (ko) 2014-03-17

Family

ID=3847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328A KR101374142B1 (ko) 2006-08-30 2007-08-22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97681B2 (ko)
EP (1) EP2057227B1 (ko)
JP (1) JP5580589B2 (ko)
KR (1) KR101374142B1 (ko)
AT (1) ATE451423T1 (ko)
DE (1) DE602007003744D1 (ko)
WO (1) WO2008025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0590B2 (ja) 2006-08-30 2014-08-27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1−ブテンプロピレンコポリマー組成物
KR101813706B1 (ko) * 2014-12-04 2017-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연신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KR102081576B1 (ko) * 2016-01-28 2020-04-2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뷰텐계 중합체,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EP3661971B1 (en) * 2017-08-04 2024-04-1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high melt flow rate
JP2020529504A (ja) * 2017-08-04 2020-10-08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高い溶融流量を有するブテン−1重合体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722A (en) 1980-03-11 1981-11-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ractionable, elastomeric poly (1-butene)
US7163907B1 (en) 1987-01-30 2007-01-1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luminum-free monocyclopentadienyl metallocene catalysts for olefin polymerization
AU6158390A (en) 1989-08-03 1991-03-11 Exxon Chemical Patents Inc. Very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ES2079330T5 (es) 1990-06-22 2005-10-0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atalizadores de metaloceno de monociclopentadienilo exentos de aluminio para la polimerizacion de olefinas.
IT1256259B (it) 1992-12-30 1995-11-29 Montecatini Tecnologie Srl Composti mettallocenici aventi leganti di tipo fluorenilico
US6559252B1 (en) 1997-10-29 2003-05-06 Basell Technology Company Bv Catalysts and processe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KR19990067851A (ko) 1998-01-14 1999-08-25 고오사이 아끼오 올레핀 중합체, 올레핀 중합 촉매 및 올레핀 중합체의 제조 방법
US6569481B1 (en) * 1999-03-29 2003-05-27 The Quaker Oats Company Method for making a puffed food starch product
ES2202169T3 (es) 1999-09-22 2004-04-01 Basell Polyolefine Gmbh Sistema catalitico y procedimiento para la polimerizacion de olefinas.
US6444833B1 (en) 1999-12-15 2002-09-03 Basell Technology Company Bv Metallocene compound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catalytic system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DE19962910A1 (de) 1999-12-23 2001-07-05 Targor Gmbh Chemische Verbind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 Katalysatorsystemen zur Herstellung von Polyolefinen
DE19962814A1 (de) 1999-12-23 2001-06-28 Targor Gmbh Neues Katalysatorsystem und dessen Verwendung
JP2003524013A (ja) 2000-02-24 2003-08-12 バセル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ビー.ブイ. オレフィン重合用助触媒として有用な有機金属化合物
WO2002002659A1 (fr) * 2000-07-03 2002-01-10 Mitsui Chemicals, Inc. Copolymere de butene, composition de resine renfermant ce copolymere et produits moules de cette composition, et catalyseur solide au titane pour la production du copolymere, ainsi que procede de preparation du catalyseur
JP2002256024A (ja) 2000-12-26 2002-09-11 Mitsui Chemicals Inc ポリブテン系樹脂、それからなる管材および管
JP2002348343A (ja) * 2001-05-28 2002-12-04 Idemitsu Petrochem Co Ltd オレフィン系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該重合体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332029B2 (ja) 2001-06-12 2009-09-16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1−ブテンの重合方法
JP4571798B2 (ja) 2001-06-12 2010-10-27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1−ブテンの重合方法
WO2003014107A1 (en) 2001-08-01 2003-02-20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terocyclic pentalene derivatives
JP2003096135A (ja) * 2001-09-21 2003-04-03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ブテン−1)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
JP2005510567A (ja) 2001-11-30 2005-04-21 バセル ポリオレフィン ジーエムビーエイチ メタロセン化合物およびプロピレンポリマー製造方法
AU2003296585A1 (en) * 2002-12-04 2004-06-23 Basell Polyolefine Gmbh 1-buten copolym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EP1622948B1 (en) 2003-05-12 2019-11-20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polymerizing 1-butene
JP2007505947A (ja) 2003-05-28 2007-03-15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特定の置換パターンを有する有機遷移金属化合物、ビスシクロペンタジエニル配位子組成物、触媒組成物、及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法
JP4897670B2 (ja) 2004-05-04 2012-03-14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アタクチック1−ブテンポリマー類の製造方法
BRPI0513108A (pt) 2004-07-22 2008-04-29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o para produzir polìmeros de buteno-1 fracionáveis
DE602005005334T2 (de) 2004-07-22 2009-03-26 Basell Polyolefine Gmbh 1-butenpolymerzusammensetzung
EP1655314A1 (en) * 2004-11-09 2006-05-10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butene/propylene copolymers
JP5580590B2 (ja) 2006-08-30 2014-08-27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1−ブテンプロピレンコポリマー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5710A1 (en) 2008-03-06
ATE451423T1 (de) 2009-12-15
JP5580589B2 (ja) 2014-08-27
EP2057227B1 (en) 2009-12-09
US8097681B2 (en) 2012-01-17
DE602007003744D1 (de) 2010-01-21
US20100121011A1 (en) 2010-05-13
KR101374142B1 (ko) 2014-03-17
EP2057227A1 (en) 2009-05-13
JP2010501700A (ja)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6978B2 (en) Process for producing fractionable 1-butene polymers
US7799871B2 (en) 1-butene polymers composition
KR101216434B1 (ko) 1-부텐 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US8030426B2 (en) Propylene polymers
JP5006783B2 (ja) メタロセン化合物、それらの調製で使用される配位子、1−ブテンポリマーの調製法、およびその方法から得られる1−ブテンポリマー
KR101374142B1 (ko)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EP2252654B1 (en) 1-butene terpolymers
JP2008517126A (ja) 1−ブテンポリマー及びこの調製方法
KR101423946B1 (ko) 1-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JP4897670B2 (ja) アタクチック1−ブテンポリマー類の製造方法
US20100324244A1 (en) 1-butene co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