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799A -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799A
KR20090042799A KR1020097003457A KR20097003457A KR20090042799A KR 20090042799 A KR20090042799 A KR 20090042799A KR 1020097003457 A KR1020097003457 A KR 1020097003457A KR 20097003457 A KR20097003457 A KR 20097003457A KR 20090042799 A KR20090042799 A KR 2009004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tch
tubular rod
cleaner
hand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랜 글린 샌더슨
헤들리 화이트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10)용 손잡이 조립체(30)로서, 청소기의 사용 중에 상기 손잡이 조립체(30)를 조작하는 손잡이부(60), 청소기(10)의 본체(12)와 연결 가능한 제1 단부(42) 및 상기 손잡이부(60)와 연결 가능한 제2 단부(44)를 갖는 플렉시블 호스(40), 및 튜브형 봉(50)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형 봉(50)은, 상기 손잡이부(60)를 따라 상기 플렉시블 호스(40)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60)를 지나 연장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6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60)는, 상기 튜브형 봉(50)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손잡이부를 청소기의 본체(12)로부터 릴리스시키도록 배치되는 캐치 메커니즘(catch mechanism)에 의해 청소기의 본체와 릴리스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 손잡이 조립체, 손잡이부, 튜브형 봉, 캐치 메커니즘

Description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본 발명은 청소기용, 특히 업라이트형(upright type)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Handle Assembly)에 관한 것이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의 일반적인 구조 및 작동 방법은 모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가 전통적인 업라이트 청소 모드(진공 청소기 전체가 바닥면을 가로질러 작동됨)로부터 "바닥 위(above-the-floor)" 청소 모드(청소 도구가 바닥면과 거리를 두고 작동됨)로 변환될 수 있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는 흔히 필요 시에 작동될 수 있는 통합 호스 및 봉 장치(wand arrangement)를 포함한다. 일부의 경우, 호스-봉 조립체는 청소기가 업라이트 청소 모드로 사용될 때 청소기 헤드와 분리 장치 사이에 기류 통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통합 호스로 구성되며, "바닥 위" 청소가 수행될 때 호스의 일 단부는 본체의 소켓으로부터 릴리스 가능하다. 흔히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구비되는 별도의 봉은 호스-봉 조립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호스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의 단점은, 청소기가 업라이트 청소 모드로 사용될 때, 유입된 공기가 여전히 호스를 통과하여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손실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다른 공지된 유형의 호스-봉 조립체는 다이슨사의 모델번호 DC01, DC03, DC04 및 DC07인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들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에서, 호스의 하단부는 각각의 청소기의 본체에 고정되게 연결되지만, 상단부는 봉 손잡이의 튜브형 부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봉 손잡이는 튜브형 봉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성형(mould)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손잡이부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부착될 수 있고 손잡이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봉이 호스 내부에 보관되기 위해 호스의 상단부가 봉의 상단부로 슬라이드된다. "바닥 위" 청소가 필요할 때, 손잡이부는 본체로부터 릴리스되고, 호스의 상단부가 봉의 하단부로 슬라이드되며, 도구가 손잡이부에 부착될 수 있어서 필요한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밸브 장치는 진공 청소기로 오염된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 지점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업라이트 청소 모드에서는 입구 지점이 청소기 헤드를 경유하고, "바닥 위" 청소 모드에서는 입구 지점이 호스 및 봉을 경유한다. 이러한 전체 장치의 작동의 원리가 EP 0037674B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단점은, 손잡이부가 수직 청소 모드에서 청소기의 손잡이로서 이용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손잡이의 구조가 "바닥 위" 청소 모드에 이상적으로 적합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바닥 위" 청소를 할 때, 적어도 커튼 설치용 칸막이(cornie) 및 커튼 레일과 같이 높은 위치에 있는 영역을 청소하는 경우, 손잡이로부터 멀리 떨어진 봉의 하단부를 잡게 되는 경향이 있다. 개선된 장치에서, 일부 다이슨사의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는 손잡이부 및 봉이 호스의 상단부 로부터 릴리스 가능하고 방향을 바꾸어 역으로 재연결 가능한 호스-봉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WO 01/65989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사용 중에 사용자에게 보다 양호한 그립(grip)을 제공하고 보다 양호한 손잡이 및 봉의 균형을 제공한다. 이 역방향 봉 장치의 단점은 "바닥 위" 청소용으로 이용 전에 사용자가 호스-봉 조립체의 분해 및 재조립을 해야하고, 통상의 업라이트 청소 모드로 복귀하기 전에 분해 작업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WO 01/65989의 봉장치에 대해 더욱 개선된 봉 장치에서는, 튜브형 봉이 손잡이부를 지나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위치("바닥 위" 청소 모드용) 및 튜브형 봉이 손잡이부를 지나 플렉시블 호스 내부로 연장되는 제2 위치(통상의 업라이트 청소 모드용)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튜브형 봉이 손잡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장치는 WO 06/08444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WO 06/08444에 기술된 봉 장치는, WO 01/65989에 기술된 봉 장치에 비하여 사용자가 다른 청소 모드로 변경할 때 봉을 분해하고 복귀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개선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O 06/08444의 개선된 장치는 "바닥 위" 청소 모드와 통상의 업라이트 청소 모드 사이의 모드 변경 시 봉 및 손잡이 유닛의 조립(및 분해)의 2단계 절차(two-step procedure)를 포함한다. 1단계 절차 동안 튜브형 봉은 손잡이부 내에서 이동되고, 이와 별개로 손잡이 조립체가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통상의 업라이트 청소 모드에서 "바닥 위" 청소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및 다시 손잡이 조립체를 통상의 업라이트 청소 모드로 복귀시키는 경우에 2단계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WO 06/08444의 봉 장치의 단점은 청소 모드 변경 작업으로 사용자가 시간을 낭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사용자는 2단계 절차를 통한 청소 모드 변경 작업이 어렵고 손잡이 조립체가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다. 게다가, 2단계 수동 작업은 부정확한 조립을 초래할 수 있다. 부정확한 조립은 비효율적인 밀봉으로 인해 조립체로 공기가 누출됨으로써 성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한, 진공 청소기용의 개선된 손잡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는 사용 중에 손잡이 조립체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부, 청소기의 본체와 연결 가능한 제1 단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 가능한 제2 단부를 갖는 플렉시블 호스, 및 손잡이부를 따라 플렉시블 호스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위치와 손잡이부를 지나 플렉시블 호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손잡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튜브형 봉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튜브형 봉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손잡이부가 릴리스되도록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는 종래 기술에 비해, 진공 청소기와 일체로 되어있고, 사용 전에 조립될 부품들이 별도로 보관될 필요가 없으며, 바닥 청소 시에 손잡이부의 파지(gripping) 및 조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손잡이부에 대한 튜브형 봉의 이동에 의해 손잡이 조립체가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서 릴리스되기 때문에, "바닥 위" 청소 준비를 위한 봉 및 봉 손잡이 릴리스 작업이 사용자에게 용이하고 간단한 1단계 작동으로 된다. 튜브형 봉이 "바닥 위" 청소 모드에 있고, 이를 위한 봉 위치(wand position)에 있을 때, 손잡이부가 릴리스됨에 따라 봉이 한 번의 이동으로 작동 준비 상태가 된다. 때때로 불편한 2단계 절차가 한 동작으로 줄어들고, 사실상 단지 한쪽 손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 조립체는 공지의 조립체보다 작동이 용이하고 신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catch mechanism) 부분이 손잡이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 부분이 본체에 위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은 손잡이부 상의 립과 상호결합하는 본체 상의 캐치, 및 캐치 및 손잡이부 상에 위치하는 대향면을 포함하고, 손잡이 조립체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이 캐치를 립과 결합하는 쪽으로 압박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메커니즘은, 손잡이가 업라이트 청소 모드에 사용될 때, 립과 캐치를 결합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손잡이 조립체에 가해지는 어떠한 힘도 사실상 캐치를 립과 더 결합시키는 쪽으로 압박하도록 한다. 이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은 손잡이부가 본체로부터 우연히 릴리스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캐치는, 튜브형 봉에 대향하는 측부 상의 종속부(depending portion), 및 캐치 및 손잡이부 상에 위치하는 대향면을 더 포함하고, 손잡이 조립체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이 캐치를 립과 결합시키는 쪽으로 압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종속부는 튜브형 봉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캐치 액추에이터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캐치 액추에이터는 접촉면을 가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은 튜브형 봉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부분이 봉으로부터 멀어지고 캐치로 향하는 쪽으로 편향되도록 한다. 이러한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에 의해, 튜브형 봉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캐치 액추에이터가 캐치를 손잡이부와 결합 해제시키도록 압박한다. 상기 장치는, 손잡이부에 대한 튜브형 봉의 이동에 의해 손잡이 조립체가 자동으로 진공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릴리스되도록 한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손잡이부에 위치한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에 의해 튜브형 봉이 제2 위치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은, 튜브형 봉 내에서 멈춤쇠(detent)와 상호 결합하는 캐치, 및 손잡이부 및 캐치 상에 위치하는 경사진 대향면을 포함하고, 튜브형 봉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이 캐치를 멈춤쇠 쪽으로 압박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손잡이 조립체가 "바닥 위" 청소에 사용될 때, 튜브형 봉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튜브형 봉에 가해지는 어떠한 힘도 캐치를 멈춤쇠와 더 결합하는 쪽으로 압박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는 본질적으로 셀프-로킹(self-locking) 메커니즘이고, 튜브형 봉이 제1 위치로부터 우연히 릴리스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하고 유리한 특징은 특허청구범위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이 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본체에서 호스 및 봉 손잡이가 분해된 것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손잡이 조립체 형성 부분이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손잡이 조립체가 릴리스 1단계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캐치 메커니즘을 상세히 나타내는, 캐치 메커니즘과 도 3의 봉 손잡이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 손잡이 조립체의 분리가 더 진행되어 손잡이 조립체가 제 1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 손잡이 조립체가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7b, 7c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이용을 나타내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연속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는 모터 케이싱(14), 지지 휠(16), 및 오물 및 먼지 분리 장치(18)를 포함하는 본체(12)를 갖는다.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는 또한 청소기 헤드(20) 및 손잡이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물 및 먼지 분리 장치(18)는 사이클론 장치를 포함하지만, 필터, 백(bag) 또는 공지된 여러가지 분리 기구의 조합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오물 및 먼지 분리 장치(18)의 특성은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다.
통상의 업라이트 사용에서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는 청소될 표면(바닥면) 상에서 조작되며 오염된 공기가 모터에 의해 청소기 헤드(20)를 통해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로 흡입된다. 오염된 공기는 오물 및 먼지 분리 장치(18)를 통과하여 오물 및 먼지가 추출되고 청정 공기는 대기로 방출된다.
도 2는 본체(12)로부터 손잡이 조립체(30)가 분해된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를 나타낸다. 손잡이 조립체(30)는 제1 단부(42) 및 제2 단부(46)를 갖는 호스(40), 튜브형 봉(50), 및 손잡이부(60)를 포함한다. 호스(40)의 제1 단부(42)는 정상 상태에서는 모터 케이싱(14) 뒤로 본체(12)와 연결된다. 호스(40)의 제2 단부(46)는 손잡이부(6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연결은 용이한 유지 및 보수를 위해 릴리스 가능한 연결이다. 튜브형 봉(50)은 손잡이부(6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축척을 적용하지 않고 손잡이 조립체(3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손잡이 조립체를 튜브형 봉(50)과 함께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도 3과 상이한 위치를 나타낸다. 호스(40)는 탄성 호스이고, 진공 청소기의 본체(12)를 계단의 하단에 둘 때 청소되어야 할 계단의 전체 높이를 이상적인(필수적이지는 않음) 호스의 충분한 길이로 한다. 호스(40)의 제1 단부(42)는 상기 제1 단부에 오버몰딩(overmould)되거나 단단히 고정되는 칼라를 갖고, 상기 칼라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캐치(44)를 포함한다. 탄성 캐치(44)는 호스(40)의 제1 단부(42)가 수 납되는 본체(12) 상 소켓의 리세스(도시되지 않음)와 상호 작용한다. 탄성 캐치(44) 및 리세스는 호스(40)의 제1 단부(42)와 본체(12) 사이의 릴리스 가능한 연결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릴리스 가능한 연결은 공지되어 있고, 유사한 유형의 릴리스 가능한 연결도 이러한 응용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호스(40)의 제2 단부(46)는, 상기 제2 단부에 오버몰딩되거나 단단히 고정되는 칼라(47)에 성형되는 탄성 캐치(48)에 의해 형성되는, 유사한 릴리스 가능한 연결을 갖는다. 그러나, 호스(40)의 제2 단부(46)의 경우, 탄성 캐치(48)는 손잡이부(60)의 하단부에 성형된 구멍 또는 리세스(49)에 수납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탄성 캐치(48) 및 리세스(49)에 의해 형성된 연결 유형은 공지되어 있고,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연결 유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손잡이부(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손잡이부(60)는 본질적으로 개방 단부(64, 66)를 갖는 튜브형 부분(62)을 포함한다. 튜브형 부분(62)의 하단부(64)는, 탄성 캐치 또는 호스(40)의 제2 단부(46)의 캐치(48)를 수납하는 상기 리세스 또는 리세스(49)를 포함한다. 튜브형 부분(62)의 내경은 튜브형 봉(50)이 튜브형 부분(62)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치수를 갖는다. 파지 손잡이(68)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튜브형 부분(62)의 측벽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상적으로는, 파지 손잡이(68)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가 업라이트 청소에 이용되는 경우에 사용되도록 설계된 제1 파지 영역(68a), 및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가 "바닥 위" 청소에 이용되는 경우에 사용되도록 설계된 제2 파지 영역(68b)을 갖는다.
캡(70)은 튜브형 부분(62)의 상단부(66)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캡(70)은 대략적으로 수평한 폐쇄 위치와 대략적으로 수직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캡(70)은, 위에서 바라볼 때 대략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며, 필요한 경우에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누출 구멍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캡(70)은 튜브형 봉(50)의 상단부를 덮어, 커다란 물체가 청소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누출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공기가 튜브형 봉(50)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70)은 캡(70)에 형성된 리세스에 대응하여 대향하는 2개의 피벗 핀(74)(튜브형 부분(62)의 상단부(66)에 형성됨)의 결합에 의해 튜브형 부분(62)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피벗 핀(74)은 캡(70)을 2개의 위치 중 하나, 즉, 도 3의 수평 위치 또는 도 4의 실질적인 수직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압박한다. 튜브형 부분(62) 상에 캡(70)을 장착하기 위한 다른 결합 수단 또는 형상 기구는 공지되어 있고, 이러한 응용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튜브형 봉(50)은 손잡이부(60)의 튜브형 부분(62) 내부에 배치된다. 튜브형 봉(50)은 상단부(52) 및 하단부(54)를 갖는다. 튜브형 봉(50)의 직경은, 튜브형 부분(62)의 내측 및 호스(40)의 내측과 공차를 두고 맞는 크기이다. 튜브형 봉(50)은 봉의 하단부(54) 근처에 직경 증가 부분(51)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증가 부분(51)은 튜브 직경이 변하는 지점에서 봉 상에 숄더(58)를 만든다. 또한, 튜브형 봉(50)은 하단부(54) 근처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그루브(56)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루브(56)는 튜브형 봉(50)의 하단 부(54)로부터 숄더(58)보다 더 멀리 위치한다. 그루브(56) 및 숄더(58)는 손잡이부(60)의 캐치 메커니즘 형성부로 상호 작용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튜브형 봉(50)의 상단부(52)는, "바닥 위" 청소 시에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바닥 청소 도구 및 액세서리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수납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튜브형 봉(50)의 길이는, 캡(70)이 수평 위치에 있고 호스가 릴랙스된(가장 짧은) 상태일 때. 튜브형 봉(50)이 캡(70)과 호스(40)의 제1 단부에 있는 칼라(43)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하는 길이이다.
그루브(도시되지 않음)는 파지 손잡이(68) 맞은편 상의 튜브형 봉(50)의 전체 길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튜브형 부분(62)의 내부에 위치하는 소형 돌출부(도시되지 않음)는 그루브쪽으로 돌출되어, 튜브형 봉(50)이 손잡이부(60)에 대하여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손잡이 조립체(30)의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12)의 상부 튜브형 덕트(13)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튜브형 덕트(13)의 최상부는 돌출부(15)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튜브형 봉(50)과 대향하는 경사면(17)을 갖는다.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의 하단부는 아암(arm)(92) 및 엘보우(elbow)(94)를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는 튜브형 봉(50)과 대향하는 측부상에 러그(lug)(96)를 포함한다. 보관 및 업라이트 청소용으로 손잡이 조립체(60)를 본체(1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암(92) 및 엘보우(94)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의 손잡이부(60)의 튜브형 부분(62) 상의 립(55)과 상호 작 용한다. 스프링(93)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를 튜브형 덕트(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립(55)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의 이동을 그 이동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동 수단으로 작동한다.
캐치 액추에이터(100)는 손잡이부(60)의 튜브형 부분(62)의 캐비티(cavity) 내부에 위치한다. 캐비티는 로크(lock) 및 봉 하우징(housing)(110)의 하단부(111)와 상단부(112) 사이에 만들어진다. 캐치 액추에이터(100)는 종속부(102)를 포함하고, 상기 종속부는 튜브형 봉(50)과 대향하는 경사면(104)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치 액추에이터는 캐비티의 한 측에서 다른 측으로 슬라이드되는 형태를 취한다. 하우징 및 캐비티 장치는, 캐치 액추에이터(100)가 튜브형 봉(50)의 일부분에 의한 압력에 응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및 슬라이드)하도록, 안내 수단을 제공한다. 스프링(93)의 작동에 의하여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는 튜브형 봉(50)과 캐치 액추에이터(100) 쪽으로 편향된다. 또한, 하우징 및 캐비티 장치는 캐치 액추에이터(100)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와 접촉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60)에 위치하고 제2 위치에서 튜브형 봉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캐치 메커니즘이 도 4, 5 및 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튜브형 봉(50)을 둘러싸는 편심 링(80)은 튜브형 부분(62)의 내측의 환형 리세스(63)에 장착된다. 편심 링(80)은 확대된 형상 부분(82) 및 테이퍼 형상 부분(85)을 갖는다. 확대된 형상 부분(82)은, 튜브형 봉(50)과 대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84), 및 튜브형 봉과 마주하지 않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돌출부(84)는, 튜브형 봉(50)에 형성된 그루브(56)와 정렬될 때, 그루브(56)와 결합될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테이퍼 형상 부분(85)은, 튜브형 봉(50)과 대향하는 면 상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84)를 포함하고, 튜브형 봉과 마주하지 않는 경사면을 갖는다. 돌출부(83)는 스프링(86)의 제1 단부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다. 반대편의 스프링(86)의 제2 단부는, 상단 로크(lcok) 및 봉 하우징(112)에 형성되는, 탭(tab) 또는 훅(hook)에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6)은 편심 링(80)을 오른쪽으로 압박하고, 따라서 돌출부(84)와 그루브(56)가 정렬될 때 돌출부(84)가 그루브(56)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주목할 것은, 확대된 형상 부분(82), 리세스(63), 로크, 및 봉 하우징(110)은 캐치 메커니즘이 셀프-로킹되도록 하는 형상인 점이다. 이를 위해, 로크 및 봉 하우징(110)은 확대된 형상 부분(82)에 인접한 경사벽(110a)을 갖는다. 확대된 형상 부분(82)은 로크 및 봉 하우징(110)의 경사벽(110a)과 대향하는 대응 경사벽(82a)을 갖는다. 그 결과 돌출부(84)가 그루브(56)에 결합될 때, 튜브형 봉에 인가되는 축방향 힘(튜브형 부분(62)과 편심 링(80) 사이에 작은 상대적인 이동을 야기함)이 돌출부(84)를 그루브(56) 쪽으로 더 밀어넣게 된다. 이는, 돌출부(84)가 그루브(56) 밖으로 미끌어져 나와서 튜브형 봉(50)이 손잡이 조립체(30)에 갑작스럽고 예기치 않게 붕괴되는 현상을 초래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위치에서 튜브형 봉을 유지하는 캐치 메커니즘 및 편심 링(80)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에 부가되는 메커니즘으로 이해될 것이다. 더 나아가 제2 위치에서 봉을 유지하는 캐치 메커니즘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를 작동하여 손잡이 조립체(30)를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의 본체(12)로부터 릴리스하는데 필요한 동작과 같이,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부(60)에 대한 튜브형 봉의 이동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봉 장치 및 캐치의 실시예에서, 그루브(56)는 튜브형 봉(50)의 하단부(54)로부터 숄더(58)보다 더 멀리 위치한다. 이러한 숄더(58) 및 그루브(56)의 바람직한 배치는, 캐치 메커니즘 및 편심 링(80)이 제2 위치에서 튜브형 봉을 고정 및 유지하기 전에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에 의한 손잡이 조립체(30)의 릴리스가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배치는 또한 손잡이 조립체(30)를 본체 쪽으로 복귀시킬 때, 튜브형 봉(50)이 제2 위치에서 릴리스되고 튜브형 부분(62)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기 전에,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의 결합 및 본체(12)에 대한 손잡이 조립체의 고정이 일어나도록 한다.
도 3은 손잡이 조립체(30)가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의 본체(12)에 보관되거나 수직 청소에 사용될 때, 손잡이 조립체(30)의 모든 부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칼라(43)는 본체(12) 상의 소켓(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다. 본체(12)의 상단 튜브형 덕트(13) 상의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는, 본체(12) 상에 손잡이 조립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부(60) 상의 립(55)과 결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튜브형 봉(50)은, 호스(40) 내측에서 손잡이부(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위치에 있다. 호스(40)는 릴랙스된 상태에 있고, 이러한 배치가 가능하도록 짧은 상태에 있게 된다. 튜브형 봉(50)의 하단부(54)는 실질적으로 호스(40)의 제1 단부(42)에 이른다. 칼라(43)의 내경이 튜브형 봉(50)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는 사실로 인해, 튜브형 봉(50)이 호스(40) 밖으로 슬라이드되지 않게 된다.
튜브형 봉(50)의 상단부(52)는 손잡이부(60)의 튜브형 부분(62)을 통해 튜브형 부분의 상단부(66)까지 연장된다. 캡(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위치에 있어, 튜브형 봉(50)의 개방된 상단부(52)를 덮어서 오물이 튜브형 봉(50)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손잡이부(60) 상의 립(55)과 캐치 아암(92)의 로킹(locking) 동작에 의하여, 손잡이부(60)가 본체(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편심 링(80)의 테이퍼 형상 부분(85)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를 수반하는 본체 덕트(13)와 접촉되도록 가압된다. 편심 링(80)의 테이퍼 형상 부분은, 본체 덕트(13)의 경사면(17) 및 돌출부(15)에 의하여 테이퍼 형상 부분(85)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에 의해서, 환형 리세스(63) 내에서 본체 덕트(13)(도 3에서 왼쪽을 향함)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테이퍼 형상 부분(85)에 가해지는 힘은, 테이퍼 형상 부분(85)과 상단 로크 및 봉 하우징(112)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86)이 압축상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위치에서 튜브형 봉을 유지하기 위한 캐치 메커니즘 및 편심 링(80)은 튜브형 봉(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 해제되도록 압박된다.
도 4는 본체(12)로부터의 분리 제1 단계의 손잡이 조립체(30)의 배치를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튜브형 봉(50)은, 튜브형 봉의 숄더(58)가 캐치 액추에이터(100)와 정렬될 때까지, 손잡이부(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이동된다. 캐치 액추에이터(100)는, 캐치 액추에이터(100)의 종속부(102)의 면(104)에 작용하는 숄더(58)의 동작에 의하여, 로크 및 봉 하우징(110)의 캐비티 내에서 수평적으로(도 4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거나 슬라이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속받지 않는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의 위치는, 스프링(93)의 동작에 대항하여 손잡이 조립체로부터 멀어지고 본체 덕트(13)를 향하도록 가압되는 쪽이 된다. 캐치 액추에이터(100)의 이동, 특히 러그(96) 상의 슬라이더 또는 캐치 액추에이터(100)의 동작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가 손잡이부(60) 상의 립(5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따라서 손잡이부(60)가 본체로부터 릴리스되게 된다.
도 5는 본체(12) 및 덕트(13)로부터의 분리 제2 단계의 손잡이 조립체(30)의 배치를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손잡이 조립체(30)는 본체(12)로부터 이격되어 상방으로 이동된다. 튜브형 봉(50)은, 로크 하우징(110)의 내경이 튜브형 봉(50)의 숄더(58) 및 직경 증가 부분(51)의 외경보다 작다는 사실에 의하여, 손잡이 조립체(30)로부터 슬라이드 되지 않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본체 덕트(13) 및 돌출부(15)는 편심 링(80)으로부터 멀어지고 테이퍼 형상 부분(85)과 결합 해제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테이퍼 형상 부분(85)은 더 이상 돌출부(15)에 대하여 압박되지 않고, 압축된 스프링(86)의 동작 하에서 튜브형 봉(50)과 멀어지고 손잡이 덕트(62)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다.
도 6은 본체(12)로부터 완전 릴리스된 배치에서의 봉 조립체(30)를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튜브형 봉(50)은 숄더(58)가 상단 로크 하우징(112)에 접촉할 때까지 손잡이부(60)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이동되고, 그 다음에 그루브(56)가 편심 링(80)과 정렬될 때까지 손잡이부(6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편심 링(80)과 상단 로크 및 봉 하우징(112) 사이의 스프링(86)의 동작에 의해 편심 링(80)이 그루브(56) 쪽으로 가압된다. 편심 링(80) 및 스프링(86)의 동작은 손잡이부(60)에 대하여 튜브형 봉(50)을 고정시킨다.
튜브형 봉(50)의 하단부(54)가 손잡이부(60) 내부에 위치하고 본체(12)와 릴리스되었기 때문에, 호스(40)는 "바닥 위" 청소가 용이하도록 구부리고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된다.
튜브형 봉(50)이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캡(70)은 도 3에 도시된 대략적인 수평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대략적인 수직 위치로 피벗된다. 전술한 피벗핀 장치는 튜브형 봉(50)이 제2 위치에 있는 동안 캡(70)을 대략적인 수직 위치로 유지시킨다.
사용자가 튜브형 봉(50)을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손잡이 조립체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의 본체(12)로부터 자동으로 릴리스된다. 이것은 손잡이부(60)에 대한 튜브형 봉(50)의 이동에 의하여 단순하게 이루어진다. 같은 동작에 의하여, 튜브형 봉(50)은 손잡이부(6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손잡이 조립체(30)는 "바닥 위" 청소에 아주 적합하게 된다. 게다가, 캐치 메커니즘의 셀프-로킹 특성은, 적절한 크기의 힘이 봉(50)에 인가될 수 있어서, 캐치 메커니즘이 고장나거나 봉(50)과 손잡이 조립체(30)가 붕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치에서, 사용자는 제1 파지 부분(68b)보다 제2 파지 부분(68a)을 사용하여 손잡이 조립체(30)를 파지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손잡이 조립체(30)가 제1 단계의 배치로 복귀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간단히 손잡이 조립체를 본체(12)로 되돌릴 수 있고, 캐치 메커니즘은 봉 및 손잡이 조립체 분해 과정의 역순으로 릴리스된다.
손잡이부(60)를 본체 덕트(13)에 끼워 맞춤에 따라, 덕트의 돌출부(15) 및 경사면(17)은 편심 링(80)의 테이퍼 형상 부분(85)과 접촉하게 된다. 우선, 스프링(86)의 편향 동작에 대항하여 튜브형 봉(50)으로부터 멀어지고 그루브(56)와 결합 해제되어 이동하는 돌출부(84)의 동작에 의하여, 튜브형 봉(50)을 제2 위치에 유지하는 캐치 메커니즘이 릴리스된다. 돌출부(84)는 편심 링(80)의 테이퍼 형상 부분(85)을 가압하는 경사면(17) 및 돌출부(15)의 동작에 의해서 그루브(56)로부터 릴리스된다. 따라서 튜브형 봉(50)은 손잡이부(60) 내에서 도 3에 도시된 제1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호스(40)는 다시 튜브형 봉(50) 주위에 배치되고, 손잡이 조립체(30)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의 본체(12)로 복귀된다. 손잡이 조립체(30)는 캐치 액추에이터(100)가 복귀 동작에 의해 릴리스될 때 본체(12)에 재부착된다. 특히, 튜브형 봉(50)이 손잡이부(60) 안에서 이동될 때, 숄더(58)가 종속부(102)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덕트(13)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 사이에 있는 스프링(93)의 스프링 힘 하에 있는, 손잡이 캐치 액추에이터(100) 상의 캐치 메커니즘(90) 및 러그(96)의 복귀 동작에 의해, 캐치 액추 에이터(100)가 튜브형 봉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손잡이 캐치 메커니즘(90)의 아암(92)과 결합한 립(55)에 의하여 손잡이부(60)가 본체에 재부착되고 고정된다. 최종적으로, 캡(70)은 사용자에 의하여 대략적인 수평 위치로 눌린다.
여기에서 기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 및 내부 부품은, 튜브형 봉(50)이 튜브형 봉을 제2 위치에서 유지하는 캐치 메커니즘으로부터 릴리스되기 전에 손잡이 조립체(30)가 손잡이 릴리스 캐치(90)에 의하여 본체 덕트(13)에 고정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
도 7a, 7b, 및 7c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10)를 업라이트 청소로부터 "바닥 위" 청소로 전환할 때 취해지는 단계를 나타낸다.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조립체(30)가 본체(12)에 부착된 채로 튜브형 봉(50)은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구는 튜브형 봉(50)의 상단부에 부착될 것이다. 본체(12)로부터 손잡이부(60)를 릴리스하기 위해 튜브형 봉(50)은 손잡이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손잡이 릴리스 캐치(90)를 작동시키고, 호스(40)는 계단 위의 청소 또는 다른 "바닥 위" 청소를 위해 연장된다. 손잡이 조립체(30)의 재부착을 위해서는 상기 단계를 반대로 실행시키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배치 및 변형은 당연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지 영역의 배치는 그 설계가 매우 다양할 수 있고, 캐치 및 캡도 그러하다. 본체 상의 손잡이 조립체 및 손잡이부의 형상 및 배치도 다양할 수 있다. 손잡이 조립체를 본체로부터 릴리스하기 위한 캐 치는 튜브형 봉을 제2 위치에서 유지하는 캐치 메커니즘과 일체적일 것이다. 손잡이 조립체의 가능한 변형으로, 튜브형 봉의 상단부 상에 플라스틱 성형 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는 청소 도구 및 액세서리를 튜브형 봉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하고, 튜브형 봉의 주요부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봉의 상단부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단부를 튜브형 봉에 부착하는 간편한 방법은, 단부에 성형된 그루브에 플라스틱 클립을 지지하고, 알루미늄 봉에 형성된 구멍 또는 멈춤쇠와 결합하도록 반경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게 하는 것이다. 튜브형 봉의 상단부에 단부를 제공하는 것은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즉, 단부가 손잡이부의 튜브형 부분의 내경보다 크다면, 단부가 정지부로서 작용하게 되어, 튜브형 봉의 상단부가 손잡이부 또는 호스 내부의 위치로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해 접근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7)

  1. 사용 중에 손잡이 조립체를 조작하는 손잡이부, 청소기의 본체와 연결 가능한 제1 단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 가능한 제2 단부를 갖는 플렉시블 호스, 및 상기 손잡이부를 따라 상기 플렉시블 호스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손잡이부를 지나 상기 플렉시블 호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튜브형 봉을 포함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손잡이부를 릴리스하도록 배치되는 캐치 메커니즘에 의해, 청소기의 상기 본체로부터 릴리스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릴리스 가능한 상기 캐치 메커니즘의 일부분이 상기 손잡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릴리스 가능한 상기 캐치 메커니즘의 일부분이 청소기의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릴리스 가능한 상기 캐치 메커니즘은, 상기 손잡이부 상의 립과 상호 결합하는 청소기의 상기 본체 상의 캐치, 및 상기 캐치 및 상기 손잡이부 상에 위치하는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체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이 상기 캐치를 상기 립과 결합되게 압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는 상기 튜브형 봉과 대향하는 측부 상에 종속부(depending portion)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속부는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캐치 액추에이터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캐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캐치의 상기 종속부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이 상기 캐치를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결합 해제되게 압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메커니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액추에이터는 상기 튜브형 봉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접촉면을 갖는 부분이 상기 튜브형 봉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캐치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메커니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봉은 상기 손잡이부에 위치하는 릴리스 가능한 캐치 메커니즘에 의하여 상기 제2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릴리스 가능한 상기 캐치 메커니즘은, 상기 튜브형 봉의 멈춤쇠와 상호 결합하는 캐치, 및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캐치 상에 위치하는 경사진 대향면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형 봉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이 상기 캐치를 상기 멈춤쇠 쪽으로 압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메커니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릴리스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튜브형 봉의 일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봉은 그 일 단부에 청소기용 액세서리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봉의 상기 단부는 정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수단은 튜브형 봉의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부 내부의 접근 불가능한 위치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파지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손잡이는,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1 파지 영역, 및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2 파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튜브형 봉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6.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097003457A 2006-08-08 2007-07-16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KR20090042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615686.3 2006-08-08
GB0615686A GB2440718B (en) 2006-08-08 2006-08-08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99A true KR20090042799A (ko) 2009-04-30

Family

ID=3702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457A KR20090042799A (ko) 2006-08-08 2007-07-16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225457B2 (ko)
EP (1) EP2048998B1 (ko)
JP (1) JP2010500068A (ko)
KR (1) KR20090042799A (ko)
CN (1) CN101500464B (ko)
AU (1) AU2007283503C1 (ko)
CA (1) CA2660550A1 (ko)
GB (1) GB2440718B (ko)
RU (1) RU2009108337A (ko)
TW (1) TW200836691A (ko)
WO (1) WO2008017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6296B (en) 2004-07-22 2007-06-27 Dyson Ltd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GB2440718B (en) 2006-08-08 2010-10-13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GB2455811B (en) * 2007-12-22 2012-08-01 Dyson Technology Ltd Wand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GB2495125B (en) 2011-09-29 2014-01-15 Dyson Technology Ltd An upright vacuum cleaner
GB2495123B (en) 2011-09-29 2014-05-28 Dyson Technology Ltd An upright vacuum cleaner
GB2495124B (en) * 2011-09-29 2014-06-04 Dyson Technology Ltd An upright vacuum cleaner
US10105022B2 (en) * 2013-09-05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9414725B2 (en) 2014-12-05 2016-08-16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Upright vacuum cleaner with two auxiliary operating modes
DE102014119143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motorisch betriebener Staubsauger
GB2551812B (en) * 2016-06-30 2019-03-27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nd suction wand therefor
CN108659622B (zh) * 2017-03-28 2021-05-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导电油墨、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CN110996737A (zh) * 2017-06-19 2020-04-10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
USD860562S1 (en) 2017-09-19 2019-09-17 Kärcher North America, Inc. Vacuum wand
USD937513S1 (en) 2019-09-16 2021-11-30 Techtronic Cordless Gp Floor cleaner
CN218899299U (zh) 2020-01-03 2023-04-25 创科地板护理技术有限公司 真空吸尘器组件以及用于与真空吸尘器组件一起使用的适配器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0457A (en) * 1950-04-14 1953-11-24 Adelaide H Mallon Telescopic handle
US2867833A (en) * 1955-04-06 1959-01-13 Hoover Co Convertible suction cleaners
JPS45545Y1 (ko) 1965-09-22 1970-01-10
JPS5691558A (en) 1979-12-26 1981-07-24 Fujitsu Ltd Time slot allocation system
JPS56152617A (en) * 1980-03-26 1981-11-26 James Dyson Vacuum cleaner
EP0037674B1 (en) 1980-03-26 1985-08-07 James Dyson Vacuum cleaning appliances
US4519113A (en) * 1982-07-02 1985-05-28 Hipple Robert J Transforming the upright vacuum cleaner's own push-pull handle into a suction cleaning wand
GR82013B (ko) * 1983-07-08 1984-12-12 Notetry Ltd
US4573236A (en) * 1983-07-08 1986-03-04 Prototypes, Ltd. Vacuum cleaning appliances
DE3909408A1 (de) * 1989-03-22 1990-10-18 Stein & Co Gmbh Handstaubsauger
DE3914840A1 (de) * 1989-05-05 1990-11-08 Vorwerk Co Interholding Teleskopierbarer fuehrungsstiel fuer bodenpflegegeraete
US5054157A (en) * 1989-05-19 1991-10-08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stand alone and canister vacuum cleaner
JPH03261434A (ja) 1990-03-13 1991-11-21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H04303406A (ja) 1991-03-29 1992-10-27 Sanyo Electric Co Ltd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EP0537457B1 (de) 1991-10-14 1995-12-20 AEG Hausgeräte GmbH Längenveränderbares Saugrohr
US5331715A (en) * 1992-06-04 1994-07-26 Matsushita Floor Care Company Two motor upright vacuum cleaner
GB2271361B (en) 1992-09-05 1996-10-02 Bonas Machine Co Heald control system
US5462311A (en) * 1992-11-13 1995-10-31 Royal Appliance Mfg. Co. Telescoping wand for vacuum cleaners
CA2086374C (en) * 1992-12-29 1996-11-19 The Bank Of Nova Scotia Release mechanism for a vacuum hose
DE9318460U1 (de) 1993-12-02 1995-03-30 Vorwerk Co Interholding Elektromotorisch betriebenes Staubsauggerät mit einem teleskopierbaren Gerätestiel
US6108861A (en) * 1995-12-06 2000-08-29 Royal Appliance Mfg. Co. Extendable hose for a vacuum cleaner
GB2329944A (en) 1997-10-03 1999-04-07 Notetry Ltd A cuff for joining an outer pipe to a telescopic inner pipe
GB9726669D0 (en) 1997-12-17 1998-02-18 Notetry Ltd A handle for a vacuum cleaner
US6032328A (en) * 1998-02-10 2000-03-07 Rexair, Inc. Crevice cleaning tool for a vacuum cleaner apparatus
EP0937435A3 (en) 1998-02-23 1999-11-24 Lg Electronics Inc. Extension tub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CN2347538Y (zh) 1998-07-24 1999-11-10 宁波富佳电器有限公司 旋转折叠式多用吸嘴
US6158089A (en) * 1999-03-10 2000-12-12 Thomas Monahan Company Telescoping handle
GB2359735A (en) 2000-03-03 2001-09-05 Notetry Ltd Hose and wand assembly for dual mode vacuum cleaner
JP4303406B2 (ja) 2000-07-10 2009-07-29 株式会社ユタカ技研 流体継手
GB0105781D0 (en) 2001-03-08 2001-04-25 Dyson Ltd Wan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6766559B2 (en) 2001-03-12 2004-07-27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Telescoping handle for upright vacuum cleaner
ITVI20020114A1 (it) 2002-05-30 2003-12-01 Antonio Zancan Tubo per macchine per la pulizia di pareti pavimenti moquette tappetie similari
GB2392827B (en) 2002-09-14 2006-02-01 Dyson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wand storgae means
JP2005143724A (ja) 2003-11-13 2005-06-09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CN2669782Y (zh) 2003-12-22 2005-01-12 苏州威格电器有限公司 推杆式吸尘器
GB0403881D0 (en) 2004-02-21 2004-03-24 Smiths Group Plc Vacuum cleaner apparatus
GB2413943B (en) 2004-05-13 2007-06-27 Dyson Ltd Cleaning appliance
GB2416297A (en) 2004-07-22 2006-01-25 Dyson Ltd Wand cap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GB2416296B (en) * 2004-07-22 2007-06-27 Dyson Ltd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JP4749157B2 (ja) 2006-01-11 2011-08-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439915B (en) 2006-07-08 2011-05-11 Hoover Ltd Wand arrangement for vacuum cleaner
GB2440718B (en) 2006-08-08 2010-10-13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CN100536742C (zh) 2007-05-15 2009-09-09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直立式吸尘器
GB2451679B (en) * 2007-08-09 2011-07-20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451680B (en) * 2007-08-09 2011-09-07 Dyson Technology Ltd A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GB2455811B (en) * 2007-12-22 2012-08-01 Dyson Technology Ltd Wand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0068A (ja) 2010-01-07
RU2009108337A (ru) 2010-09-20
CN101500464A (zh) 2009-08-05
GB2440718B (en) 2010-10-13
TW200836691A (en) 2008-09-16
CA2660550A1 (en) 2008-02-14
AU2007283503A1 (en) 2008-02-14
GB2440718A (en) 2008-02-13
US20100000044A1 (en) 2010-01-07
EP2048998A1 (en) 2009-04-22
WO2008017803A1 (en) 2008-02-14
US8225457B2 (en) 2012-07-24
AU2007283503C1 (en) 2011-06-30
AU2007283503B2 (en) 2011-02-10
GB0615686D0 (en) 2006-09-13
CN101500464B (zh) 2011-09-14
EP2048998B1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2799A (ko) 청소기용 손잡이 조립체
CA2574689C (en)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US8042224B2 (en) Cleaning appliance
JP3964906B2 (ja) 清掃機器
EP1768536B1 (en)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GB2451680A (en) A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JP4945223B2 (ja) 電気掃除機
KR20020056319A (ko) 진공청소기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