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299A - 기지국, 이동국 및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이동국 및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299A
KR20090042299A KR20097004824A KR20097004824A KR20090042299A KR 20090042299 A KR20090042299 A KR 20090042299A KR 20097004824 A KR20097004824 A KR 20097004824A KR 20097004824 A KR20097004824 A KR 20097004824A KR 20090042299 A KR20090042299 A KR 20090042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rotation
sector
sectors
sequence
rot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04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기시야마
켄이치 히구치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4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1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featuring pilot assisted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N(N≥4)의 섹터간에 직교하는 파일럿 채널을 생성하는 기지국(10)은, 각 섹터에 적용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보다 커지게 되도록,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하는 계열 생성부(111), 및 각 섹터에 있어서, 상기 위상 회전 계열 중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상기 파일럿 채널에 적용하는 직교계열 승산부(113)를 갖는다.
Figure P1020097004824
파일럿 채널,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스크램블 코드, 기지국, 이동국

Description

기지국, 이동국 및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ILOT CHANNEL GENERATION METHOD}
본 발명은, 기지국, 이동국 및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N(N≥4)의 섹터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파일럿 채널을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섹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3개의 지향성 안테나가 하나의 기지국에 배치되고, 3개의 섹터로 셀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섹터를 갖는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파일럿 채널이 전송된다. 파일럿 채널은, 제어 채널을 복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복수의 유저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일럿 채널은, 채널 추정, 동기검파, 수신신호 품질의 측정 등에 사용된다.
기지국이 복수의 섹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파일럿 채널에 섹터 고유의 직교계열을 이용함으로써, 타 섹터로부터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섹터의 경우에는, 섹터 #1에서 {1,1}의 직교계열을 사용하고, 섹터 #2에서 {1,-1}의 직교계열을 사용함으로써, 타 섹터로부터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검토되어 있는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도 2에 나타낸다. 파일럿 채널은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무선 리소스에 할당되며, 예를 들면, 제1 서브프레임 및 제5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6서브캐리어마다 할당된다("P" 부분에 할당된다).
이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섹터마다 다른 위상 회전량을 갖는 위상 회전 계열을 적용함으로써, 섹터간의 직교화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3섹터 구성에서는, 다음의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한다.
[수1]
Figure 112009013937916-PCT00001
즉, 섹터 #1에서는 0의 위상 회전량을 적용하고, 섹터 #2에서는 2π/3의 위상 회전량을 적용하고, 섹터 #3에서는 4π/3의 위상 회전량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위상 회전량을 적용한 경우, 3개의 심볼의 파일럿 채널을 가산함으로써, 타 섹터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3의 확산율로 파일럿 채널을 확산하는 것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6섹터 구성에서의 직교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한다.
[수2]
Figure 112009013937916-PCT00002
즉, 섹터 수를 N이라 하면, 각 섹터에 적용되는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의 차가 되도록,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위상 회전 계열을 각 섹터에서 파일럿 채널에 적용함으로써, 파일럿 채널의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섹터 수의 증가에 따라서, 직교화하기 위해 필요한 심볼 수가 증대한다(즉, 확산율이 증대한다).
도 3은, 3섹터의 직교화에 필요한 심볼 수와 6섹터의 직교화에 필요한 심볼 수를 주파수축 상에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6섹터의 직교화에 필요한 심볼 수는, 3섹터의 직교화에 필요한 심볼 수의 2배가 된다.
섹터의 증가에 따라서, 직교화하기 위해 필요한 심볼 수가 증가하면,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볼간의 진폭 변동이 증가한다. 이 진폭 변동이 원인으로, 직교성이 무너져 섹터간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특히 섹터 수가 4이상이 된 경우에,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저감하고, 파일럿 채널의 섹터간 간섭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기지국은,
N(N≥4)의 섹터간에 직교하는 파일럿 채널을 생성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각 섹터에 적용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보다 커지게 되도록,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하는 계열 생성부; 및
각 섹터에 있어서, 상기 위상 회전 계열 중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상기 파일럿 채널에 적용하는 직교계열 승산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동국은,
N(N≥4)의 섹터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채널을 수신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각 섹터에 적용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보다 커지게 되도록,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채널 추정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은,
N(N≥4)의 섹터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N의 섹터간에 직교하는 파일럿 채널을 생성하는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에 있어서,
각 섹터에 적용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보다 커지게 되도록,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각 섹터에 있어서, 상기 위상 회전 계열 중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상기 파일럿 채널에 적용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4이상의 섹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저감하고, 파일럿 채널의 섹터간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섹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3섹터의 경우와 6섹터의 경우에서 필요한 심볼 수를 비교한 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섹터간 직교화를 나타내는 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섹터간 직교화를 나타내는 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섹터간 직교화를 나타내는 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섹터간 직교화를 나타내는 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섹터간 직교화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섹터와 위상 회전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4섹터의 경우에서의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하기 위한 위상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5섹터의 경우에서의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하기 위한 위상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핫스팟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서의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하기 위한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도
부호의 설명
10 기지국
101 확산·채널 부호화부
103 인터리브 처리부
105 데이터 변조부
107 시간/주파수 맵핑부
109 파일럿 다중부
111 계열 생성부
113 직교계열 승산부
115 스크램블 코드 승산부
117 IFFT부
119 가드 인터벌 삽입부
20 이동국
201 가드 인터벌 제거부
203 FFT부
205 파일럿 분리부
207 채널 추정부
209 시간/주파수 데이터 추출부
211 데이터 복조부
213 디인터리브 처리부
215 역확산·채널 복호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주로 6섹터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섹터 수(N)가 4이상의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인접 섹터가 2 또는 3의 심볼 수(확산율:spreading factor)로 직교(orthogonalization)하도록, 각 섹터에의 위상 회전량의 할당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전송 패턴에 있어서, 섹터마다 다른 위상 회전량을 갖는 다음의 위상 회전 계열(phase rotation sequence)을 이용한다.
[수3]
Figure 112009013937916-PCT00003
이와 같이, 각 섹터에 적용되는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6보다 커지게 되도록 할당한다(이 경우에는 120°이상이 되도록 할당한다). 이 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 전체에서 직교화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6의 심볼 수가 필요하게 되나, 인접 섹터와의 사이에서는, 2 또는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섹터 #1과 섹터 #2와의 위상 회전량의 차는 2π/3이므로,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섹터 #1과 섹터 #2와의 섹터 경계에 존재하는 이동국은, 6의 심볼 수가 아니라, 3의 심볼 수를 이용하여 파일럿 채널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섹터 #1과 섹터 #6과의 위상 회전량의 차는 π이므로, 2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섹터 #1과 섹터 #4와의 위상 회전량의 차는 π/3이므로, 직교화를 위해서는 6의 심볼 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섹터 #1과 섹터 #4와는 인접하고 있지 않으므로, 간섭은 무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 전체의 확산율은 6이 되나, 인접 섹터와의 사이에서는 확산율은 2 또는 3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4b에 도시하는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의 확산율은 커도, 인접 섹터간에서의 확산율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의 할당과 시간 영역의 위상 회전량의 할당을 병용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전송 패턴에 있어서, 섹터마다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과 시간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갖는 다음의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한다.
[수4]
Figure 112009013937916-PCT00004
이와 같이, 시간 영역에서 직교하는 위상 회전량을 더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 계열은 3섹터용의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같은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갖는 섹터(섹터 #1과 섹터 #4)가 상호 인접하지 않도록 위상 회전량을 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상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심볼을 가산함으로써, 직교화의 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섹터 #1과 섹터 #6과의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의 차는 4π/3이므로, 시간 영역을 고려하지 않아도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섹터 #1과 섹터 #5와의 위상 회전량의 차는 2π/3이므로, 시간 영역을 고려하지 않아도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5b에 도시하는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간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더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각 섹터가 인접 섹터와 같은 위상 회전량을 갖지 않도록, 각 섹터에의 위상 회전량의 할당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전송 패턴에 있어서, 각 섹터가 인접하는 섹터와 같은 위상 회전량을 갖지 않는 다음의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한다.
[수5]
Figure 112009013937916-PCT00005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섹터 #1과 섹터 #2와의 위상 회전량의 차는 2π/3이므로,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섹터 #1과 섹터 #6과의 위상 회전량의 차는 4π/3이므로,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섹터 #1과 섹터 #4는 같은 위상 회전량을 이용하나, 이들 섹터는 인접하고 있지 않으므로, 간섭은 무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6b에 도시하는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 섹터가 같은 위상 회전량을 갖지 않는 위상 회전 계열을 적용함으로써, 인접 섹터간에서의 확산율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섹터를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다른 스크램블 코드(scrambling code)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전송 패턴에 있어서, 다음의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한다.
[수6]
Figure 112009013937916-PCT00006
단, 섹터 #1∼#3과 섹터 #4∼#6을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다른 스크램블 코드를 승산한다. 섹터 #1∼#3에는 스크램블 코드 A가 승산되고, 섹터 #4∼#6에는 다른 스크램블 코드 B가 승산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섹터 #1∼#3은 섹터 #4∼#6으로부터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7b에 도시하는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섹터를 그룹화하여 그룹마다 다른 스크램블 코드를 승산함으로써,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제5 실시 예>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는, 섹터를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다른 리소스 블록에 파일럿 채널을 다중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채널의 전송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섹터 #1∼#3의 파일럿 채널은, "P1"으로 나타내는 무선리소스를 사용하고, 섹터 #4∼#6의 파일럿 채널은, "P1"과는 다른 "P2"로 나타내는 무선리소스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섹터를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다른 무선 리소스에 파일럿 채널을 할당하여, 주파수 다중함으로써, 섹터 #1∼#3은 섹터 #4∼#6으로부터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섹터 #1∼#3에 대해서 다음의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할 수 있다.
[수7]
Figure 112009013937916-PCT00007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섹터 #1∼#3은 섹터 #4∼#6으로부터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3의 심볼 수로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8b에 도시하는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예∼제5 실시 예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지국의 구성 예>
상기한 실시 예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10)의 구성 예를 도 9에 나타낸다. 기지국(10)은, 확산·채널 부호화부(101)와, 인터리브 처리부(103)와, 데이터 변조부(105)와, 시간/주파수 맵핑부(107)와, 파일럿 다중부(109)와, 계열 생성부(111) 와, 직교계열 승산부(113)와, 스크램블 코드 승산부(115)와, IFFT부(117)와, 가드 인터벌 삽입부(119)를 갖는다. 또한, 계열 생성부(111)는, 각 섹터에 대한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하는 부분에 상당하므로, 복수의 섹터에서 공통으로 이용된다. 다른 구성요소는 도시와 같이 섹터마다 존재한다.
확산·채널 부호화부(101)는,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의 채널 부호화를 수행하여, 오류정정능력을 높인다. 본 실시 예에서는 OFDM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되고 부호 확산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OFCDM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되고, 확산·채널 부호화부(101)가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을 부호 확산하고 또 채널 부호화도 수행한다. 인터리브 처리부(103)는, 채널 부호화 후 신호의 시간 방향 및/또는 주파수 방향의 심볼의 나열 방식을 송수 양측에서 기지인 규칙에 따라서 변경한다. 데이터 변조부(105)는, 송신되는 신호를 적절한 변조방식에 따라서 신호점 배치도(signal constellation)에 맵핑한다. 예를 들면 QPSK, 16QAM, 64QAM 등 다양한 변조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적응 변조 부호화(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변조방식 및 채널 부호화율이 그때마다 지정된다. 시간/주파수 맵핑부(107)는,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을 시간 방향 및/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어떻게 맵핑할지를 결정한다. 파일럿 다중부(109)는, 파일럿 채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고, 출력한다. 다중화는, 시간 방향, 주파수 방향 또는 시간 및 주파수 양방향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계열 생성부(111)는, 제1 실시 예∼제5 실시 예에서 설명한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한다. 또, 제4 실시 예와 같이 스크램블 코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섹터의 그룹마다 스크램블 코드를 생성한다. 직교계열 승산부(113)는, 위상 회전 계열로부터 섹터에 대응하는 위상 회전량을 파일럿 채널에 적용한다. 스크램블 코드 승산부(115)는, 섹터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코드를 승산한다.
IFFT부(117)는, 송신하는 신호를 고속 역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변조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유효 심볼부가 형성된다. 가드 인터벌 삽입부(119)는, 유효 심볼부의 일부를 추출하여, 그것을 유효 심볼부의 선두 또는 말미에 부가함으로써, 송신 심볼(송신신호)을 작성한다.
<이동국의 구성>
상기한 실시 예를 실현하기 위한 이동국(20)의 구성 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이동국(20)은, 가드 인터벌 제거부(201)와, FFT부(203)와, 파일럿 분리부(205)와, 채널 추정부(207)와, 시간/주파수 데이터 추출부(209)와, 데이터 복조부(211)와, 디인터리브 처리부(213)와, 역확산·채널 복호부(215)를 갖는다.
가드 인터벌 제거부(201)는, 수신 심볼(수신신호)로부터 가드 인터벌부를 제거하고, 유효 심볼부를 추출한다. FFT부(203)는,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한다. 파일럿 분리부(205)는, OFDM 방식으로 복조된 서브캐리어마다의 신호로부터, 파일럿 채널과 다른 채널을 분리한다.
채널 추정부(207)는, 위상 회전 계열과 스크램블 코드를 이용하여 파일럿 채널을 추출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채널 보상을 위한 제어신호를 데이터 복조부(211) 등에 부여한다. 채널 추정부(207)에서 이용되는 위상 회전 계열과 스크램블 코드는, 기지국과 같은 것이 아니면 안된다. 때문에, 이동국(20)은 위상 회전 계열과 스크램블 코드를 셀 서치 시에 검출해도 좋으며,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시간/주파수 데이터 추출부(209)는, 송신측에서 결정된 맵핑의 규칙에 따라서 데이터 채널을 추출하고, 출력한다. 데이터 복조부(211)는, 데이터 채널에 대해서 채널 보상을 수행하고, 복조를 수행한다. 복조방식은, 송신측에서 수행된 변조방식에 맞춰서 수행된다. 디인터리브 처리부(213)는, 송신측에서 수행된 인터리브에 대응하여, 심볼의 나열 방식을 변경한다. 역확산·채널 복호화부(215)는, 수신한 데이터 채널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OFDM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되고 부호 역확산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OFCDM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되고, 역확산·채널 복호화부(215)가 수신한 데이터 채널을 부호 역확산하고 또 채널 복호화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예∼제5 실시 예에서는 6섹터 구성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섹터 수가 4이상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섹터와 위상 회전량과의 관계를 도 11에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섹터 #1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섹터 #2의 위상 회전량은 2π/3이며, 섹터 #1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섹터 #6의 위상 회전량은 π이다. 따라서, 섹터 #1과 섹터 #2와의 사이에서는 3의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고, 섹터 #1과 섹터 #6과의 사이에서는 2의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4섹터의 경우에서의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하기 위한 위상 관계를 도 12에 나 타낸다. 이와 같은 위상 회전량을 설정함으로써, 섹터 #1과 섹터 #2와의 사이에서는 3의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고, 섹터 #1과 섹터 #4와의 사이에서는 2의 확산율로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5섹터의 경우에도, 도 13의 위상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섹터간 직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핫스팟 셀이 기지국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4이상의 섹터로 구성되는 경우에,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저감하고, 파일럿 채널의 섹터간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6년 8월 22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6-22591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6-225917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7)

  1. N(N≥4)의 섹터간에 직교하는 파일럿 채널을 생성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각 섹터에 적용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보다 커지게 되도록,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phase rotation sequence)을 생성하는 계열 생성부; 및
    각 섹터에 있어서, 상기 위상 회전 계열 중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상기 파일럿 채널에 적용하는 직교계열 승산부;를 갖는 기지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열 생성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과 시간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직교계열 승산부는, 각 섹터에 있어서, 상기 위상 회전 계열 중에서 대응하는 시간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상기 파일럿 채널에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열 생성부는, 각 섹터가 인접 섹터와 같은 위상 회전량을 갖지 않도록 상기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열 생성부는, 섹터를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마다 다른 스크램블 코드(scrambling code)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램블 코드를 승산하는 스크램블 코드 승산부;를 더 갖는 기지국.
  5. 제 1항에 있어서,
    섹터를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다른 리소스 블록에 파일럿 채널을 다중하는 파일럿 다중부;를 더 갖는 기지국.
  6. N(N≥4)의 섹터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채널을 수신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각 섹터에 적용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보다 커지게 되도록,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채널 추정부;를 갖는 이동국.
  7. N(N≥4)의 섹터를 갖는 기지국에 있어서, N의 섹터간에 직교하는 파일럿 채널을 생성하는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에 있어서,
    각 섹터에 적용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이 인접 섹터의 것과 비교하여 2π/N보다 커지게 되도록,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배치한 위상 회전 계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각 섹터에 있어서, 상기 위상 회전 계열 중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의 위상 회전량을 상기 파일럿 채널에 적용하는 단계;를 갖는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
KR20097004824A 2006-08-22 2007-08-13 기지국, 이동국 및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 KR20090042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25917A JP4740065B2 (ja) 2006-08-22 2006-08-22 基地局、移動局及びパイロットチャネル生成方法
JPJP-P-2006-225917 2006-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299A true KR20090042299A (ko) 2009-04-29

Family

ID=3910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04824A KR20090042299A (ko) 2006-08-22 2007-08-13 기지국, 이동국 및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14486A1 (ko)
EP (1) EP2056615A4 (ko)
JP (1) JP4740065B2 (ko)
KR (1) KR20090042299A (ko)
CN (1) CN101518150B (ko)
TW (1) TW200816687A (ko)
WO (1) WO2008023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716B1 (ko) * 2007-10-17 2009-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호 전송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
US8055199B2 (en) * 2008-12-31 2011-1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1674162B (zh) * 2009-09-29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天线系统中物理上行控制信道的数据加扰方法与装置
US8451785B2 (en) * 2009-11-09 2013-05-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 signal aggregation in a multi-carrier WCDMA system
CN107612597B (zh) 2011-02-18 2021-01-05 太阳专利托管公司 信号生成方法及信号生成装置
WO2016152175A1 (ja) 2015-03-26 2016-09-29 ソニー株式会社 装置
CN107888531B (zh) 2016-09-30 2020-09-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考信号传输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7972A (en) * 1998-04-29 2000-10-03 Lucent Technologies Inc.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multi-sector antenna arrangement
TW498664B (en) * 1999-09-17 2002-08-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a phase of a modulated signal
JP2003023675A (ja) * 2001-07-06 2003-01-24 Katsuyoshi Azeyanagi 相互相関抑圧形拡散系列セットを用いた通信方式
US20030128787A1 (en) * 2002-01-10 2003-07-10 Daisuke Terasawa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in a wideband CDMA system
WO2003061170A1 (fr) * 2002-01-10 2003-07-24 Fujitsu Limited Procede de multiplexage de pilote dans un systeme ofdm et procede de reception ofdm
US7280467B2 (en) * 2003-01-07 2007-10-09 Qualcomm Incorporated Pilot transmission schemes for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CN100359895C (zh) * 2004-11-12 2008-01-02 东南大学 利用快速傅立叶变换实现全数字无线通信系统
JP4330544B2 (ja) 2005-02-16 2009-09-16 株式会社Skb 自動閉止式の引戸
BRPI0712971B1 (pt) * 2006-06-16 2020-01-07 Sharp Kabushiki Kaisha Estação de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14486A1 (en) 2010-01-21
WO2008023598A1 (fr) 2008-02-28
JP4740065B2 (ja) 2011-08-03
TW200816687A (en) 2008-04-01
CN101518150A (zh) 2009-08-26
EP2056615A4 (en) 2014-06-25
CN101518150B (zh) 2012-10-10
EP2056615A1 (en) 2009-05-06
JP2008053859A (ja)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4707B1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sequence.
US9735910B2 (en) Data generation apparatus, data generation metho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synchronization detection method, sector identification method,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370902C2 (ru) Передача пилот-сигнала для системы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ортогональным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KR101239752B1 (ko)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EP1922830B1 (en)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N101356755B (zh) 导频信号传输方法和装置
KR100925094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파일롯 신호전송
EP2012454B1 (en) Pilo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523744B (zh) 下行链路扰频方法以及基站装置
TWI383633B (zh) 用於在多載波系統中傳送及接收資料的方法
US200600078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lot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 scheme
KR20090042299A (ko) 기지국, 이동국 및 파일럿 채널 생성방법
EP1740008A1 (en) Downlink soft handover in an OFDM system
HUE028911T2 (en) Method and means for allocating reference symbols in the MIMO system
US842235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KR2005004180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 구분을 위한 파일럿 신호 장치 및 방법
KR20050102332A (ko)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다중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JP2010279009A (ja) 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341514B1 (ko) 시퀀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JP449083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903868B1 (ko) 신호 전송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