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458A - 척추교정용 가구 - Google Patents

척추교정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458A
KR20090041458A KR1020070106942A KR20070106942A KR20090041458A KR 20090041458 A KR20090041458 A KR 20090041458A KR 1020070106942 A KR1020070106942 A KR 1020070106942A KR 20070106942 A KR20070106942 A KR 20070106942A KR 20090041458 A KR20090041458 A KR 20090041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furniture
chiropractic
support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김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연 filed Critical 김소연
Priority to KR102007010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458A/ko
Publication of KR20090041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3Arm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6Supports for lying in a pro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의자, 소파, 벤치 및 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척추의 건강을 고려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책상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을 하는 경우에는 등을 의자에 기대는 경우 보다는 책상 쪽으로 허리를 앞으로 굽히거나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에는 몇 시간 동안 허리를 곧게 유지하기가 힘이 들어 척추가 정상적인 S자 모양을 유지 하기가 힘들어서 척추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앞쪽으로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기 쉽다. 특히 다리를 꼬는 경우가 척추 건강에 나쁘다고 한다. 또한 머리를 앞으로 장시간 숙이고 있으면 경추의 추간판과 근육에 무리가 가서, 목 디스크 또는 오십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들 주위에는 이런 이유로 척추의 디스크(특히, 요추, 경추)의 통증을 호소하거나 척추가 휘어져서 고생을 하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책상, 의자 또는 침대 등의 가구의 구조를 변경하여 요추의 추간판(디스크)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오히려 추간판 양면을 잡아당기는 효과가 발생하는 책상, 의자 및 침대 등의 가구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리받침수단과 하부받침 수단1과 등받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엉덩이받침수단과 하부받침 수단2와 등 받침수단과 요추압력완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엉덩이받침수단과 하부받침수단2와 등 받침 수단과 받침대 경사도 조절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엉덩이 받침수단과 하부받침수단2와 등 받침 수단 요추압력완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슴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과 신체앞면 받침대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슴받침수단과 가슴 받침대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를 제안한다.
발명에 의한 척추교정용 가구를 이용하면 종래의 경우보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쉽고, 허리의 디스크에 압력을 적게 받게 되어서 허리에 발생하는 디스크 등의 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의자, 책상, 척추 디스크 예방, 척추교정

Description

척추교정용 가구{Furniture to correct the spine}
본 발명은 책상, 의자, 소파, 벤치 및 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척추의 건강을 고려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척추의 추간판(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자세 교정용 의자가 시판되고 있으나 그 내용을 보면 엉덩이 및 척추의 곡선을 살려 허리의 자세를 교정하거나 등받이를 뒤로 젖혀서 반쯤 누울 수 있는 형태의 의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의자의 등받이에 허리를 붙이고 앉거나,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반쯤 눕는 경우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허리를 등받이에 붙이는 경우 보다는 허리를 등받이에서 떼어 책상 쪽으로 가까이 하면서 허리를 굽히고 있는 시간이 훨씬 더 많다. 또한 의자에 등을 붙이고 있는 경우에도 요추의 추간판에는 계속해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종래의 의자로는 척추 디스크의 예방 및 교정에 한계가 있다.
종래의 의자 관련 기술을 상품화에 성공한 사례로는 듀오벡이 있다. 이와 관련한 문헌 정보로는 듀오백 광고 기획서가 있다. 이는 등을 뒤로 젖혀지게 하면서 아울러 의자 등받이를 좌우로 양분하여 등을 편안하게 하여 주는 기술을 구사하고 있다. [초일류에 도전하는 중기] 듀오백코리아 ..'제2 창업의 해' 도약 (한국경제 2004년 3월 8일자)
사람의 척추는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미추 4∼5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추는 목뼈를 말하는 것으로 머리에서부터 고개를 앞으로 숙였을 경우 목 뒤쪽으로 가장 튀어나온 부분이 대략 7번째 경추이다. 흉추는 가슴부위를 지탱하는 곳으로 보통 신장이 위치하는 부위가 11∼12 번째 흉추위치이다. 요추는 허리부위를 말하며, 대부분 디스크가 이곳에서 발생한다. 천추는 골반 뒤쪽에서 만져지는 곳이고, 미추는 우리가 보통 꼬리뼈라 부르는 부위이다.
사람은 잠자는 시간외에는 대부분 서있거나 앉아 있으므로 척추(특히, 요추, 경추)의 추간판(디스크)가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게 되어 있으며, 특히 책상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을 하는 경우에는 등을 의자에 기대는 경우 보다는 책상 쪽으로 허리를 앞으로 굽히고 있는 시간이 많다. 특히,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에는 몇 시간 동안 허리를 곧게 유지하기가 힘이 들어 척추가 정상적인 S자 모양을 유지 하기가 힘들어서 척추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앞쪽으로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기 쉽다.
특히 다리를 꼬는 경우가 척추 건강에 나쁘다고 한다. 또한 머리를 앞으로 오랫동안 숙이고 있으면 경추의 추간판과 근육이 무리를 하게 되어 목 디스크 질환 의 발병원인이 되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오십견 등과 같은 질환의 발병 병원이이 되기도 한다. 우리들 주위에는 이런 이유로 척추의 디스크(특히, 요추, 경추)의 통증을 호소하거나 척추가 휘어져서 고생을 하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책상,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의 구조를 변경하여 요추의 추간판(디스크)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오히려 추간판 양면을 잡아당기는 효과가 발생하는 책상,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를 제안하고자 하며 그 방법은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자의 등받침대를 뒤로 젖히는 경우에 엉덩이 받침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을 아래로 내려가게 하거나, 엉덩이 받침대를 의자 앞쪽으로 밀려나게 하여 다리와 등은 그대로 있고 엉덩이만 의자 아래로 쑥 내려가게 하여 의자에 가해지는 체중이 다리가 닿는 부분과 등이 닿는 부분으로 완전히 전가되도록 하였다. 이때 요추는 등받이에 곧게 밀착되어 요추의 추간판에는 압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구에 부착할 수 있는 가슴받침판, 얼굴받침대 등을 구비한 가구에 가슴과 얼굴을 기대어 척추를 곧게 유지시키며, 요추 및 척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발명에 의한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를 이용하면 종래의 상기 가구를 사용하는 것보다 상체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디스크에 압력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척추질환의 예방 및 교정에 도움이 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본 발명은 책상,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자세를 바로 유지시켜주거나, 요추 및 경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특히 요추의 추간판의 양쪽을 서로 잡아 당겨지게 하는 책상, 의자, 소파, 벤치를 제안하며, 또한 상기 가구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 가구로서 상기 가구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주거나, 요추 및 경추를 편안하게 해주는데 도움이 되는 척추 디스크 예방 및 교정용 가구를 제안한다.
이하 그림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과 도2는 서로 같은 구조의 의자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은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과 등 받침대 하단이 서로 밀착되며, 또한 등받이가 세워져 있다.
도2는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과 등 받침대 하단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엉덩이가 들어갈 만큼 틈을 벌이고 있고, 또한 등받이가 반쯤 뒤로 누운 상태로 뒤로 젖혀져 있다.
도1과 도2에서 보여준 실시례1은 종래의 의자와 달리 등 받침판을 뒤로 젖히면 엉덩이 받침판이 무릎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종래의 의자는 등 받침대를 뒤로 젖히더라도 엉덩이 받침대가 그대로 있어서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과 등 받침대 하단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 다. 이 경우에는 등 받침대를 뒤로 젖힌 상태로 하여 의자에 앉으면 의자를 바로 세운 경우 보다는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지만 여전히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용한다. 그 이유는 의자의 엉덩이 받침대에 엉덩이가 밀착되어 요추의 추간판에 압력이 여전히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1과 도2의 실시례1의 경우에는 종래의 의자와 달리 의자의 등 받침판을 뒤로 젖히면 엉덩이 받침판이 앞쪽으로 밀려나오면서 엉덩이 받침대 의 엉덩이 쪽과 등 받침대 하단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엉덩이가 들어갈 만큼 틈을 만들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이 틈새로 엉덩이가 엉덩이 받침판 보다 아래로 쑥 내려가게 되어,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은 엉덩이 받침판의 무릎 쪽과 등 받침판으로 거의 모두 분산되고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에는 압력이 크게 줄어든다. 이 경우에는 요추의 추간판을 누르는 압력이 거의 없거나 오히려 그 반대로 추간판을 양쪽에서 서로 잡아 당기는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등 받침판을 뒤로 많이 젖힐수록 더욱 그러하다.
도1의 의자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도의 의자도 근본적으로는 종래의 의자처럼 엉덩이 받침수단과 엉덩이 받침수단을 아래에서 떠 받치는 하부받침수단 및 하부받침수단에 부착된 등받침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엉덩이 받침수단은 엉덩이 받침막대(140, 240)와 그 위에 설치된 엉덩이 받침판(170, 27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받침수단은 하부 받침대1(160, 260), 하부 받침대2(155, 255), 하부받침대3 (150, 250)를 각각 한 세트씩 좌우에 하나씩 구비하고 있으며, 등받침수단은 등받침대(125, 225)와 등받침판 (110, 2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엉덩이 받침판(170, 270)은 좌우에 하나씩 있는 엉덩이 받침막 대(140, 240)의 측면과 밑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엉덩이 받침 막대(140, 240)의 상하 또는 좌우로 이탈하지 않고 오직 의자 앞뒤로만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하부받침수단의 하부 받침대1(160, 260)은 위로는 엉덩이 받침막대 (140, 240)와 결합되어 있으며, 아래로는 하부받침대2 (15, 255)와 결합되어 있다.
하부받침대1(160, 260)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들어 있으며, 그 내부로 하부 받침대2(155, 255)가 들어가게 되어 있어서 엉덩이 받침막대(140, 2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하부받침대1(160, 260)에 박혀 있는 나사와 결합된 엉덩이 받침대 높이 고정수단(165, 265)을 조이면 엉덩이 받침대 (140, 24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하부받침대3(150, 250)은 수평받침대로서 지면 과의 마찰을 줄이고 쉽게 의자를 움직일 수 있도록 바퀴(130, 230)을 달았다.
등받침대는 역(逆) Y자(字)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한 갈래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는 부분의 좌우 양측은 좌우 한쌍의 엉덩이 받침막대(140, 240)의 후단과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그 결합구조를 보면 좌우 양쪽에 하나씩 있는 엉덩이 받침 막대(140, 240)의 후단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이 부분과 접하는 등받침대 (125, 225)의 좌우 양쪽 부위에도 구멍이 뚫려 있어서, 좌측에 있는 엉덩이 받침막대(140, 240)의 후단에 있는 구멍, 등받침대 (125, 225)의 구멍 및 우측에 있는 엉덩이 받침막대(140, 240)의 후단에 있는 구멍은 공간적으로 모두 일직선 상에 놓여있다. 이 3개의 구멍을 하나의 기다란 고강도의 핀이 지나게 되어 있으며 이 핀의 양단은 등받침대 각도고정수단(135, 23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별도의 핀을 쓰지 않고 엉덩이 받침막대 (125, 225)의 좌우 양측에 핀 형태로 된 돌기를 형성시켜서 이를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 막대(140, 240)의 후단에 있는 구멍에 각각 하나씩 결합시켜도 된다.
아울러, 본 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좌우에 하나씩 있는 엉덩이 받침막대 (125, 225)의 후단에 있는 구멍에 삽입된 핀 주위에 스프링을 설치하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등받침대(125, 225)가 자동적으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등받침대를 뒤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 할 수 있는 각도고정수단(135, 23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는 종래에 사용 하고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그 한 예로서 상기 핀을 길게 나오게 하며, 그 양쪽 끝을 나사 형태로 하고 나사에 손잡이를 달아서 쉽게 조일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있다.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상기 핀의 한쪽은 통상의 나사 머리처럼 만들고 다른 쪽은 구멍을 뚫고 또 하나의 작은 핀을 사용하여 이 작은 핀의 양단을 Y자 형태의 손잡이를 달되 Y자손잡이의 갈라진 부분의 2개의 끝부분은 상기 작은 핀의 양단을 감싸는 형태로 하고 Y자 손잡이의 상기 갈라진 부분에서 약간 떨어진 부분을 볼록하게 만들면 된다. 상기 작은 핀은 상기 핀의 구멍이 뚫린 부분에 끼워진 후, 그 양단을 Y자형 손잡이의 갈라진 부분에 끼워져서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Y자형 손잡이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핀 사이의 길이를 줄어들게 하여 상기 엉덩이 받침막대 (140, 240)의 후단과 등받침대 (125, 225)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어 손잡이를 다시 들어 올리지 않는 한 이 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어서, 등받침대(125,225)를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 할 수 있다.
또한 등받침판(110, 210)에는 등받침 홀더(115, 215)가 결합되어 있으며, 등받침판 홀더(115, 215)에 수직으로 파여진 홈에 등받침대(125, 225)의 상단이 끼워져 있다. 등받침판(110, 210)의 높이는 등받침판 홀더(115, 215)에 설치 된 등판침판 높이 고정 손잡이(120, 220)를 조이면 된다.
등판침판 높이 고정 손잡이(120, 220)는 등받침판 홀더 (115)에 뚫린 구멍에 박혀 있는 나사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등 받침판(110, 210)의 높이를 원하는 만큼 올려서 다시 조이면 등 받침판(110, 21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등받침대(125, 225)의 맨 아래에는 등받침대(125, 225)가 뒤로 젖혀질 때에 등받침대(125, 225)의 맨 하단과 연결핀(137, 237)에 의해 연결된 연결막대(145, 245)의 한 쪽 끝이 함께 이동하면서 연결막대(145, 245)의 다른 쪽 끝이 엉덩이 받침판 (170, 270)을 의자 앞쪽으로 밀게 된다. 본 도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엉덩이 받침판 (170, 270)의 하단에는 연결막대(145, 245)와 연결하는 또 하나의 연결핀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등받침대(125, 225)가 뒤로 젖혀질 때에 연결막대(145, 245)에 의해 엉덩이 받침판(170, 270)은 앞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2는 등받침대(125, 225)가 뒤로 젖혀지고, 엉덩이 받침판(170, 270)이 앞으로 수평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머리 받침수단은 머리 받침판(105, 205), 머리받침막대(180, 280), 머리 받 침대 고정손잡이(175, 275) 등으로 구성된다. 머리 받침대 고정 손잡이 (175, 275)를 조이면 머리 받침막대(180, 280) 의 높이 및 기울기 등을 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머리 받침판 중심핀(185, 285)은 머리받침판(105, 205)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관련된 동작 전후를 보려면 도1과 도2를 비교하면 된다.
도3과 도4는 서로 같은 구조의 의자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2 를 나타낸다.
도3은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과 등 받침대 하단이 서로 밀착되며, 또한 등받이가 세워져 있다.
도4는 엉덩이 받침대가 약 40도 정도 회전하여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이 아래로 내려가 있고, 또한 등받이가 약 40도 정도 뒤로 누운 상태로 뒤로 젖혀져 있다.
도3과 도4에서 보여준 실시례2는 종래의 의자와 달리 등 받침판을 뒤로 젖히면 엉덩이 받침판이 엉덩이 받참판의 앞쪽을 끝은 중심으로 회전하여 엉덩이 받침판의 엉덩이 쪽이 엉덩이 받침막대보다 아래로 쑥 내려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종래의 의자는 등 받침대를 뒤로 젖히더라도 엉덩이 받침대가 그대로 있어서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과 등 받침대 하단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도3과 도4의 실시례2의 경우에는 등 받침판(325, 425)을 뒤로 젖히면 엉덩이 받침판(385, 485)이 엉덩이 받침판(385, 485)의 앞쪽 끝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엉덩이 받침판(395, 495)의 엉덩이 쪽이 아래로 내려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이 틈새로 엉덩이가 엉덩이 받침 막대(385, 485) 보다 아래로 쑥 내려 가게 되어,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은 엉덩이 받침판(395, 495)의 앞쪽과 등 받침판(325, 425)으로 거의 모두 분산되고 엉덩이 받침판(395, 495)의 뒤쪽은 엉덩이와 닿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는 요추의 추간판을 누르는 압력이 거의 없거니 오히려 그 반대로 추간판을 양쪽에서 서로 잡아 당기는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등 받침판을 뒤로 많이 젖힐수록 더욱 그러하다.
도3의 의자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도의 의자도 근본적으로는 종래의 의자처럼 엉덩이 받침수단과 엉덩이 받침수단을 아래에서 떠 받치는 하부받침수단 및 하부받침 수단에 부착된 등받침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엉덩이 받침수단은 엉덩이 받침막대(385, 485)와 그 위에 설치된 엉덩이 받침판(395, 49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받침수단은 하부 받침대1(365, 465), 하부 받침대2(360, 460), 하부받침대3(370, 470)를 각각 한 세트씩 좌우에 하나씩 구비하고 있으며, 등받침수단은 연결막대1(340, 440)과 결합된 등받침판(325, 4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엉덩이 받침판은 역(逆) L 자(字)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엉덩이 받침판(395, 495)의 앞쪽 끝에는 좌우로 수평하게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의 내부로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 막대(385, 485)의 앞쪽 끝에 설치된 기다란 엉덩이 받침 판 회전핀(390, 490)이 관통하고 있어서 엉덩이 받침판 (395, 495)은 이 엉덩이 받침판 회전핀(390, 49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부받침수단의 하부 받침대1(365, 465)은 위로는 엉덩이 받침막대(385, 485)와 결합되어 있으며, 아래로는 하부받침대2 (360, 460)와 결합되어 있다.
하부받침대1(365, 465)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들어 있으며, 그 내부로 하부받침대2(360, 460)가 들어가게 되어 있어서 엉덩이 받침막대 (385, 485)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하부받침대1(365, 465)에 박혀 있는 나사와 결합된 엉덩이 받침대 높이고정수단(380, 480)을 조이면 엉덩이 받침막대 (385, 485)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는 종래의 의자 받침대 높이 조절수단 을 사용하면 된다.
하부받침대3(370, 470)은 수평 받침대로서 지면과의 마찰 을 줄이고 쉽게 의자를 움직일 수 있도록 바퀴(350, 450)을 달았다.
등받침판(325, 425)은 좌우 한쌍의 엉덩이 받침막대의 뒤쪽 끝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 결합구조를 보면 엉덩이 받침막대(385, 485)의 좌우 양 뒤쪽 끝 에는 각각 하나씩 구멍이 뚫려 있고, 이 부분과 접하는 등받침판(325, 425)도 좌우 수평으로 길계 구멍이 뚫려 있다. 좌측의 엉덩이 받침막대(385,485) 후단 구멍, 등받침판(325, 425)의 구멍 및 우측의 엉덩이 받침막대(385, 485) 후단 구멍 은 모두 공간적으로 일직선 상에 있으며, 이들 3개의 구멍에는 고강도의 기다란 핀이 삽입되어 있다.
아울러, 본 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막대(385, 495) 후단에 뚫려 있는 구멍에 삽입된 핀 주위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등받침판(325, 425)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등받침판(325, 425)을 뒤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등받침대 각도고정수단(335, 43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사용 하면 된다.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다.
본 도에서는 등받침판(325, 425)의 좌우 양쪽 측면 하단에 연결막대1(340, 440)이 각각 하나 씩 부착되어 있다. 이 연결막대1 (340, 440 )은 고정핀(330, 430) 및 등받이 각도고정수단(335, 435)에 의해 등 받침판(325, 425)과 결합되어 있으며, 등받침판 (325, 425)가 뒤로 젖히면 이 연결막대1 (340, 440)도 함께 움직인다.
등받침판(325, 425)의 아래에는 연결핀(375, 475)이 부착되어 있으며, 연결핀(375, 475)은 연결막대2(355, 455)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막대1(340, 440)은 연결막대2(355, 455)와 연결핀(345, 4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등받침판(325, 425)을 뒤로 젖히면 연결막대1(340, 440)의 맨 하단이 이동하면서 연결막대2(455)도 이동하는데 이때 연결막대2(355, 455)와 연결된 엉덩이 받침판(395, 495)도 회전하게 된다. 도2는 이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머리 받침수단은 머리 받침판(305, 405), 머리받침막대(310, 410) 및 머리받침막대 높이고정수단(320, 420) 등으로 구성된다.
머리받침막대 높이고정수단(320, 420)을 조이면 머리 받침 막대(310, 410)의 높이를 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도에서는 소책상(397, 49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엉덩이 받침판 (395, 495) 위에 부착된 소책상 지지대(396, 496)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등받침판(325, 425)를 뒤로 젖히면 엉덩이 받침판 (395, 495)가 회전하면서 소책상(397, 497)도 함께 이동하는데, 소책상(397, 497)의 윗면은 기울어진다.
본 도에 의한 의자를 이용하면 뒤로 등받침판 (325, 425)를 뒤로 젖힌 상태로 앉아서 소책상(397, 497)에 책을 올려두고 책을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동작 전후를 보려면 도3과 도4를 비교하면 된다.
도5와 도6은 서로 같은 구조의 의자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3을 나타낸다.
도5은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과 등 받침대 하단이 서로 밀착되며, 또한 등받이가 세워져 있다.
도6는 엉덩이 받침대가 약 40도 정도 회전하여 엉덩이 받침대의 엉덩이 쪽이 아래로 내려가 있고, 또한 등받이가 약 40도 정도 뒤로 누운 상태로 뒤로 젖혀져 있다.
도5와 도6에서 보여준 실시례3은 실시례2와 유사하다.
같은 점은 등 받침판을 뒤로 젖히면 엉덩이 받침판이 엉덩이 받침판의 앞쪽을 끝은 중심으로 회전하여 엉덩이 받침판의 엉덩이 쪽이 엉덩이 받침막대보다 아래로 쑥 내려가게 되어있다는 것이다.
차이점은 본 도에서는 실시례2와는 달리 소책상이 없고, 등받침대(530, 630) 가 짧으며, 등받침대(530, 630)을 뒤로 젖히면, 등받침대(530, 630)과 결합된 짧은 연결막대1(540, 640)이 함께 회전하면서, 연결막대2(570, 670)을 밀면서 엉덩이 받침대(580, 680)도 함께 회전한다는 것이다. 또한 실시례3에서는 실시례1과 같이 등받침수단이 등받침대(520), 등받침판(590), 등받침 높이고정손잡이(525, 62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5와 도6의 의자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도의 의자도 근본적으로는 종래의 의자처럼 엉덩이 받침수단과 엉덩이 받침수단을 아래에서 떠 받치는 하부받침수단 및 하부받침수단에 부착된 등 받침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엉덩이 받침수단은 엉덩이 받침막대와 그 위에 설치된 엉덩이 받침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받침수단은 하부 받침대1, 하부 받침대2, 하부받침대3 를 각각 한 세트씩 좌우에 한씩 구비하고 있으며, 등받침수단은 연결막대1과 결합 된 등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엉덩이 받침판은 역(逆) L 자(字) 형태로 되어 있으며, 엉덩이 받침판의 앞쪽 상단에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은 의자의 좌우에 있는 한 쌍의 받침막대에의 앞쪽 끝에 설치된 엉덩이 받침판 회전핀과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엉덩이 받침판은 이 엉덩이 받침판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하부받침수단의 하부 받침대1(550, 650)은 위로는 엉덩이 받침막대 (585, 685)와 결합되어 있으며, 아래로는 하부받침대2 (555, 655)와 결합되어 있다.
하부받침대1(550, 650)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들어 있으며, 그 내부로 하부 받침대2가 들어가게 되어 있어서 엉덩이 받침막대 (585, 685)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종래 의자에 적용된 방법을 사용한다.
하부받침대1(550, 650)에 박혀 있는 나사와 결합된 엉덩이 받침대 높이고정수단(565, 665)을 조이면 엉덩이 받침막대(585, 685)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하부받침대3(560, 660)은 수평받침대로서 지면 과의 마찰을 줄이고 쉽 게 의자를 움직일 수 있도록 바퀴(545, 645)을 달았다.
등받침대는 역(逆) T 자(字)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하단 부근의 좌우 양측은 좌우 양쪽 엉덩이 받침막 대(595, 685)의 뒤쪽 끝과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그 결합구조를 보면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막대(585, 685) 의 후단에는 구멍이 각각 하나씩 뚫려 있고, 이 부분과 접하는 등받침대(530, 630)의 부위에도 기다란 구멍이 뚫려 있다. 또한 좌측의 엉덩이 받침막대(585, 685) 후단 구멍, 등받침대(530, 630)의 구멍 및 우측의 엉덩이 받침 막대 (585, 685) 후단 구멍은 공간적으로 모두 일직선 상에 놓여있다. 또한 이 3개의 구멍에는 하나의 기다란 고강도 핀을 삽입이 되어 있으며 이 핀의 양단은 등받침대 각도고정수단(135, 235)가 부착 되어 있다.
또한 별도의 핀을 쓰지 않고 엉덩이 받침막대(585, 685)의 좌우 양측 하단 에 핀 형태로 된 돌기를 형성시켜서 이를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막대 (585, 685) 후단에 뚫려있는 구멍에 각각 하나씩 결합시켜도 된다. 아울러, 본 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막대 (585, 685) 후단의 구멍에 결합 된 핀 주위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등받침대 (530, 630)가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등받침대 (530, 630)를 뒤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각도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등받침판(590, 690)에는 등받침 홀더(520, 620)가 일체형으로 붙어 있으며, 등 받침 홀더(520, 620) 가운데 수직으로 뚫려 있는 구멍에 등 받침대(530, 630)의 상단이 끼워져 있다. 등받침판(590, 690)의 높이는 등받침판 홀더(520, 620) 에 설치 된 등판침판 높이 고정 손잡이(525, 625)를 조이면 된다. 등판침판 높이 고정 손잡이(525, 625)는 등받침판 홀더 (520, 620)에 뚫려 있는 구멍에 박혀 있는 나사와 일체형으로 등 받침판(590, 690)의 높이를 원하는 만큼 올려서 조이면 등 받침판(590, 69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등받침대(530, 630)의 하단은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막대(585, 685)의 맨 후단에 뚫린 구멍을 통해 핀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핀의 다른 쪽 끝은 연결막대1 (540, 64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서 등받침대(530, 630)을 뒤로 젖히면 연결막대1(540, 640)도 함께 회전하면서 연결막대1(540, 640)와 연결된 연결막대2(570,670) 를 밀게 된다. 연결막대1(540, 640)는 연결핀(547, 647)에 의해 연결막대2 (570,670)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막대2(570,670)는 이와 연결된 연결막대3(577, 677)을 회전시키면서 다시 그 힘을 좌우 한 쌍의 엉덩이 받침막대(585, 685)의 앞쪽에 뚫린 구멍을 통해 핀으로 전달하고 그 핀은 이와 일체로 결합된 엉덩이 받침판(580,68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연결막대2(570, 670)는 연결핀(575, 675)에 의해 연결막대3 (577,677)과 연결되어 있다.
머리 받침수단은 머리 받침판(505, 605), 머리받침막대(515, 615), 머리 받침대 고정손잡이(595, 695) 등으로 구성된다. 머리 받침대 고정 손잡이 (595, 695)를 조이면 머리 받침막대(515, 615)의 높이 및 기울기 등을 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머리 받침판 중심핀(510, 610)은 머리받침판 (505, 605)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관련된 동작 전후를 보려면 도5과 도6을 비교하면 된다.
도7과 도8은 같은 구조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4를 나타낸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4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A-A'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책상, 테이블 등을 앞에 두고 의자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을 하는 경우에 사람의 상체는 의자의 등받이에 기대는 경우 보다는 오히려 책상 쪽으로 가까이 있는 시간이 더 많다. 또한 의자와 책상의 높이가 사람에게 맞지 않는 경우도 많다. 특히 책상은 높이 조절이 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로 잠시 앉아 있을 경우에는 누구나 바른 자세를 하고 있을 수 있지만, 수험생이나 사무실 근로자들 처럼 하루 8시간 근무 중에 아마 4시간 이상을 계속해서 한자세로 앉아 있어야 하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바른 자세를 취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50대 이상이 되면 허리가 앞으로 구부정하거나, 척추 만곡증, 허리 디스크, 목디스크, 오십견 등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우리나라와 같이 학교, 학원, 집 등에서 공부를 많이 하는 나라에서는 초등학생들 조차 척추만곡증 등에 시달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도7과 도8은 이런 경우에 대비하여 종래의 의자 및 책상을 그냥 사용하면서 상체의 앉은 자세를 바로잡아 주기 위해 제안하는 척추 디스크 예방 및 척추교정 가구이다.
실시례4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 의한 척추 보호가구는 가슴받침판(715, 815)에 수직으로 뚫려 있는 2개의 구멍(850)으로 얼굴 받침대(705)가 달린 가슴 받침대(710, 810)을 위쪽에 삽입하고, 배 받침대(720, 820)을 아래 쪽에 삽입한 후 고정나사(725, 825)로 조여주기만 하면 된다. 상체가 긴 사람은 배 받침대(720, 820)을 가슴 받침판(715, 815) 속으로 약간만 삽입한 후 고정나사(725, 825)를 조여 주면 된다. 사용 방법은 책상 앞에 있는 의자에 앉은 후에 본 실시례에 의한 척추교정용 가구를 무릎 위에 올려두고, 가슴 받침판(715, 815)에 가슴을 밀착시키고, 얼굴을 얼굴받침대(705)에 밀착시키 면 된다. 이때 가슴 받침판(715, 815)은 이 책상 윗면 가장자리와 가슴 사이에 밀착되게 하면 된다. 이때 의자는 가급적 책상 가까이 바짝 당겨서 본 실시례에 의한 척추교정용 가구를 바로 세운 후에 여기에 가슴과 배와 얼굴을 밀착시키면 장시간 동안 공부하거나 근무할 때에 요추 및 경추를 편안하게 하는 것은 물론 자세를 바르게 유지 시켜서 척추 만곡증, 허리 디스크, 목디스크 등과 같은 척추 질환을 예방하고, 척추교정도 할 수 있다.
도9, 도10, 도11은 같은 구조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5를 나타낸다.
도9는 실시례5로서 그 정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측면도이며, 도11은 도9의 B-B'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례5는 실시례4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가슴받침판을 책상 윗면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팔을 겨드랑이 높이 맘큼 올려 둘 수 있는 겨드랑이 받침대도 구비하고 있으며, 얼굴 받침대와 가슴 받침대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 실시례5를 설명한다.
가슴받침대(930, 1030, 1130)에는 책상과 맞닿는 면에 가슴 받침판레일(1045, 1145)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슴받침판레일(1045, 1145)에는 기다란 홈(1050, 1150)이 파져 있다.
이 가슴받침판 레일(1045, 1145)의 상단에는 겨드랑이 받침대 홀더 (1020, 1120)가 가슴받침판레일(1045, 1145)을 3면에서 에워싸고 있으며 홈도 붙들고 있어서 가슴받침판 레일(1045, 1145)은 가슴받침판 레일이동 안내틀(1040)을 따라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책상 윗면(925, 1025, 1125)으로부터 가슴받침판(930, 1030, 1130)의 높이조정은 이 것으로 한다.
겨드랑이 받침대 홀더(1020, 1120)의 좌우 양측에는 겨드랑이 받침대 (915, 1015)가 부착되어 있다. 겨드랑이 받침대 (1015) 의 높이는 겨드랑이 받침대홀더(1020, 1120)를 가슴받침판 레일(1045, 1145) 을 따라 상하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겨드랑이 받침대 홀더 (1020, 1120)에 부착된 겨드랑이받침대 높이고정나사(1070, 1170)을 조이기만 하면 된다.
이 가슴받침판 레일(1045, 1145)의 하단에는 가슴판 레일이동안내틀(1040)이 가슴받침판 레일(1045, 1145)을 에워싸고 있으며, 홈을 붙들고 있어서, 가슴받침판 레일 (1045, 1145)은 가슴받침판 레일 이동 안내틀 (1040)을 따라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가슴받침판 레일이동안내틀 (1040)은 가슴받침판 고정틀 (1060, 1160)에 결합되어 있고, 가슴받침판 고정틀(1060, 1160)에는 가슴받침판 고정나사(1055, 1155)를 조여서 책상 윗면(925, 1025, 1125)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10에서 점선은 가슴 받침판을 책상 윗면 (1025) 쪽으로 기울인 상태를 나타내며, 가슴받침판(930, 1030, 1130)을 원하는 만큼 기울인 후에 각도 고정 나사(1065)를 조이면 이 각도를 그대로 유지 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 5를 책상에 설치하고 의자에 앉아서 본 척추교정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도에서 보듯이 책상 앞에 종래의 의자에 앉아서 근무하 거나 공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의자는 엉덩이 받침판(1210), 의자다리(1215) 및 등받침대 (1205) 등으로 구성된다.
책상 윗면(1225)에 실시례5의 척추교정용 가구를 설치한 후에 겨드랑이 받침판(1230)도 키 높이에 맞게 조정하여 고정시키고, 얼굴받침대 (1240)의 각도도 원하는 만큼 기울여서 고정시킨 후에 가슴과 얼굴을 본 실시례5의 가구에 밀착시킨 후에 겨드랑이 받침판(1230)에 겨드랑이를 걸친 형태를 나타낸다. 이렇게 하면 척추가 바로 서고, 머리 및 팔의 하중이 요추에 덜 전달되어 요추의 추간판에 걸리는 압력을 줄일 수 있어서 요추 디스크를 예방하거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개를 장시간 숙이고 있는 경우에는 경추 주위의 근육이 긴장되어 있 어서 것이 목 디스크의 발생원인이 되는데 본 도의 실시례5에 의한 가구를 사용하면 얼굴 받침대(1240)에 머리 의 하중을 일부 전가시킬 수도 있고 또한 경추를 곧게 유지 시킬 수 있어서 목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3의 등 받침판(1315)을 뒤로 젖히고 앉은 상태에서, 책상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5 의 가슴받침판 (1375)을 의자 쪽으로 기울인 후에 얼굴받침대(1385)를 바로 세운 상태이다. 점선은 가슴받침판(1375)을 바로 세운 경우이다.
본 도에서는 책상에 실시례5와 유사한 형태의 가슴받침판과 얼굴받침대가 있는 척추 교정용 가구를 설치하고 그 앞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이다. 통상의 경우와 다른 점은 가슴받침판(1375)을 의자쪽으로 기울인 다음 얼굴 받침대(1380)을 바로 세워서 얼굴 받침대를 독서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본 도에서는 실시례3에 의한 의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본 도에서는 등 받침판(1315)는 뒤로 젖히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이 엉덩이 받침판(1355)와 등 받침판(1315)로 분산되어 요추의 추간판에 작용하는 압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등 받침판(1315)를 뒤로 더 많이 젖히면 요추의 추간판에 작용하는 압력을 더 많이 줄일 수 있다. 본 도의 특징은 허리를 편안하게 뒤로 젖힌 상태에서도 가슴받침판 (1375)과 얼굴 받침대(1380)를 이용하여 책을 보거나 사무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도의 의자에는 등받침판(1315)를 뒤로 젖히고 앉을 때에 엉덩이가 엉덩이 받침막대(1360) 보다 아래로 쑥 내려 오는 경우에는 의자 뒤에서 엉덩이가 보이므로 이때 엉덩이가 의자 뒤에서 보이지 않도록 엉덩이커버수납 수단(1353)과 엉덩이커버(1319) 및 엉덩이 커버 홀더(1317)을 구비하고 있다. 엉덩이 커버는 엉덩이를 가리는 얇은 시트를 말하며, 엉덩이 커버수납수단 (1353)은 엉덩이 커버(1319)를 말아서 보관하는 롤러를 말하며, 엉덩이 커버 홀더(1317)는 엉덩이 커버 (1319)의 한쪽 끝을 등받침판(1315)에 고정하는 수단을 말한다. 엉덩이 커버수납수단(1353)은 본 도의 의자의 등받침대(1315) 를 수직으로 세울 경우에 본 도에서 처럼 늘어나 있는 엉덩이 커버(1319)를 여분 없이 모두 말아서 수납하는 역할을 하며 엉덩이 커버수납수단(1353)은 스프링이 달린 두루말이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하는 두루말이형 차양에 적용된 방법을 응용하면 된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6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종래의 의자의 등받이에 가슴받침대, 얼굴받침대, 겨드랑이 받침대를 구비한 실시례4 또는 실시례5 와 같은 척추교정용 가구를 종래 의자의 등받침대에 부착한 경우를 나타내며, 책상 앞에서 사람이 상기 의자에 등받침대를 가슴 쪽으로 돌리고 앉아서 가슴받침판(1420)에 가슴을 대고, 겨드랑이받침대에 겨드랑이를 걸치고, 얼굴 받침대 (1425)에 얼굴을 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6에 사용된 의자를 종래의 의자처럼 등받침대에 등을 대고 앉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와 도16은 같은 의자를 사용하면서 그 사용방법을 상호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도에서는 가슴 받침판(1510)에 등을 기대고, 얼굴받침대 (1505)에 머리를 기대는 형태가 된다.
현대인들은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으며, 의자에 앉을 경우에는 등받침대에 등을 기대고 앉는 경우도 많이 있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등 받침대에 등을 기대고 않는 시간보다 책상 쪽으로 상체를 기대거나 상체를 세워서 일하는 경우가 더 많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책상 쪽으로 상체를 기대거나 상체를 세워서 일하게 되는데, 이때에 책상과 의자의 높이가 서로 맞지 앉는 의자에 장기간 앉아서 일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세가 비뚤어져서 뿐만 아니라 요추 및 경추에 무리가 오며 오랜 기간 동안 이런 일이 반복되면 척추에 이상이 생기 쉽다. 도15에서 사용한 의자를 활용하면 이런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척추를 교정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도14와 도15에서도 가슴받침판(1420, 1510)과 얼굴받침대(1425, 1505)의 높이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등받침대가 있는 의자에 가슴받침판(1420, 1510) 및 얼굴받침대(1425, 1505) 를 추가로 의자 앞쪽에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는 사무실 근로자 및 학생 뿐만 아니라 척추 디스크 환자, 노약자 등을 위한 의자, 소파, 벤치, 침대 등 가구에 적용할 수 있다.
도1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1의 사시도 (등 받침판이 세워진 경우)
도2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1의 사시도 (등 받침판이 뒤로 젖혀진 경우)
도3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2의 사시도 (등 받침판이 세워진 경우)
도4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2의 사시도 (등 받침판이 뒤로 젖혀진 경우)
도5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3의 사시도 (등 받침판이 세워진 경우)
도6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3의 사시도 (등 받침판이 뒤로 젖혀진 경우)
도7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4의 사시도
도8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 4의 종단면도(A-A'을 따라 종으로 자름)
도9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 5의 정면도 (책상 윗면에 설치한 경우)
도10 : 도9에 표현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5의 좌측면도 (점선은 척추교정기구를 책상 쪽으로 기울인 경우)
도11 : 도5에 표현된 실시례5의 종단면도 (B-B'을 따라 자름)
도12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 5를 책상에 설치하고 의자에 앉아서 본 척추교정수단을 사용중인 경우
도13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3의 등 받침판을 뒤로 젖히고 앉은 상태에서, 책상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5의 가슴받침대를 의자 쪽으로 기울인 후에 얼굴받침대를 바로 세운 상태의 측면도 (점선은 가슴받침대를 바로 세운 경우)
도14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6을 나타낸 측면도 (종래의 의자의 등받이에 가슴받침대와 얼굴받침대 겨드랑이 받침대를 구비한 의자, 가슴받침대에 가슴을 대 고 앉아 있는 경우)
도15 : 본 발명에 의한 실시례6을 나타낸 측면도( 가슴받침대와 얼굴받침대 겨드랑이 받침대를 구비한 의자를 이용하여 가슴 받침판에 등을 대고, 얼굴받침대에 머리를 대고 앉아 있는 경우)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5 : 머리 받침판, 110 : 등 받침판
115 : 등 받침판 홀더, 120 : 등 받침판 높이고정 손잡이
125 : 등 받침대, 130 : 바퀴
135 : 등 받침대 각도고정수단, 140 : 엉덩이받침막대
145 : 연결막대 150 : 하부 받침대3
155 : 하부 받침대2, 160 : 하부 받침대1
165 : 엉덩이받침막대 높이고정수단, 170 : 엉덩이 받침판
175 : 머리 받침대 고정손잡이, 180 : 머리 받침막대
185 : 머리 받침판 중심핀
205 : 머리 받침판, 210 : 등 받침판
220 : 등 받침판 높이고정손잡이 215 : 등 받침판 홀더,
225 : 등 받침대 230 : 바퀴
235 : 등 받침대 각도고정수단, 240 : 엉덩이받침막대
245 : 연결막대 250 : 하부 받침대3,
260 : 하부 받침대1 255 : 하부 받침대2
265 : 엉덩이받침막대 높이고정수단 270 : 엉덩이 받침판,
275: 머리 받침대 고정손잡이 280 : 머리받침막대
285 : 머리 받침판 중심핀
305 : 머리 받침판, 310 : 머리받침막대
315 : 등 받침판 홀더, 320 : 등 받침판 높이고정손잡이
325 : 등 받침판 330 : 고정핀
335 : 등 받침대 각도고정수단, 340: 연결막대1
345 : 연결핀, 350 : 바퀴
355: 연결막대2 360 : 하부 받침대 2
365 : 하부받침대 1 370 : 하부 받침대 3
375 : 결합수단1, 380 : 엉덩이 받침막대높이 고정수단
385 : 엉덩이 받침막대, 390 : 엉덩이 받침판 회전핀
395 : 엉덩이 받침판, 396 : 소책상 지지대
397 : 소책상
405 : 머리 받침판 410 : 머리 받침막대,
415 : 등 받침판 홀더 420 : 등 받침판 높이고정나사
425 : 등 받침판 430 : 고정핀,
435 : 등 받침대 각도고정수단 440 : 연결막대1,
445 : 연결핀 450 : 바퀴,
455 : 연결막대2 460 : 하부받침대 2,
465 : 하부받침대1 470: 하부받침대 3,
475: 결합수단1 480: 엉덩이받침막대 높이고정수단,
485 : 엉덩이 받침막대 490 : 엉덩이 받침판 회전핀,
495 : 엉덩이 받침판 496 : 소책상 지지대,
497 : 소책상
505 : 머리 받침판, 510 : 머리 받침판 중심핀
515 : 머리 받침막대, 520 : 등 받침판 홀더
525 : 등 받침판 높이고정손잡이, 530 : 등 받침대
540 : 연결막대1 545 : 바퀴
550 : 하부 받침대1, 555 : 하부 받침대 2
560 : 하부 받침대3, 565: 의자높이 고정수단
570 : 연결막대2 575 : 연결핀
580 : 엉덩이 받침판, 585: 엉덩이 받침막대
590 : 등 받침판, 595 : 머리 받침대 높이고정나사
605 : 머리 받침판, 610 : 머리 받침판 중심핀
615: 머리 받침막대, 620 : 등 받침판 홀더
625 : 등 받침판 높이고정손잡이, 630 : 등 받침대
640 : 연결막대1 645 : 바퀴
650 : 하부 받침대 1, 655 : 하부받침대 2
660 : 하부 받침대 3, 665 : 의자높이고정수단
670 : 연결막대2 675: 연결핀
680: 엉덩이 받침판, 685 : 엉덩이받침막대
690: 등받침판, 695: 머리받침대 높이고정나사
705 : 얼굴 받침대, 710 : 가슴 받침대
715 : 가슴 받침판, 720 : 배 받침대
725 : 고정나사
810 : 가슴 받침대, 815 : 가슴 받침판
820 : 배 받침대, 825 : 고정나사
850 : 구멍
905 : 얼굴 받침대 910 : 각도고정나사
915 : 겨드랑이 받침대, 920 : 겨드랑이 받침대 홀더
925 : 책상 윗면, 930 : 가슴 받침판
1005 : 얼굴 받침대, 1010 : 각도고정나사
1015 : 겨드랑이 받침대, 1020 : 겨드랑이 받침대 홀더
1030 : 가슴 받침판, 1040 : 가슴판 레일 이동안내틀
1042 : 가슴받침판 높이고정나사
1045 : 가슴받침판 레일 1050 : 홈
1055 : 가슴 받침대 고정나사, 1025 : 책상 윗면
1060 : 가슴 받침판 고정틀, 1065 : 가슴 받침대 각도고정나사
1070 : 겨드랑이 받침대 높이고정나사
1105 : 얼굴받침대, 1110 : 얼굴받침대 회전 중심핀
1120 : 겨드랑이 받침대 홀더, 1125 : 책상 윗면
1130 : 가슴 받침판, 1145 : 가슴받침판 레일
1150 : 홈
1155 : 가슴받침대 고정나사, 1160 : 가슴 받침판 고정틀
1165 : 각도고정 중심핀 1170 : 겨드랑이받침대 높이고정나사
1205 : 등 받침대 1210 :엉덩이 받침판
1215 : 의자 다리, 1220 : 책상 다리
1225 : 책상윗면, 1230 : 겨드랑이 받침판
1235 : 가슴 받침판, 1240: 얼굴받침대
1305 : 머리 받침판, 1310 머리받침막대
1315 : 등 받침판, 1317 : 엉덩이 커버홀더
1319 : 엉덩이 커버용 시트, 1320 : 연결막대1
1325 : 연결막대2 1330 : 바퀴
1335: 높이고정나사, 1340 : 의자 다리3
1345 : 의자 다리2, 1350 : 의자 다리1
1353 : 엉덩이 커버수납수단, 1355 : 엉덩이 받침판
1360 : 엉덩이 받침막대, 1365 : 책상 윗면
1370 : 가슴 받침판 고정틀, 1375 : 가슴 받침판
1380 : 얼굴받침대
1405: 엉덩이 받침판, 1410 : 의자하부 받침대
1415 : 책상다리 1420 : 가슴 받침판
1425 : 얼굴받침대
1505 : 얼굴받침대, 1510 : 가슴 받침판
1515 : 책상 다리, 1520 : 책상 윗면

Claims (31)

  1. 의자, 소파, 벤치, 침대 등 가구에 있어서,
    엉덩이를 제외한 다리를 떠 받치는 다리받침수단과
    상기 다리받침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다리받침수단을 지면으로 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주는 하부받침수단1과
    상기 하부받침수단1과 결합되어 등을 떠 받치는 등받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받침수단1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용 가구는 상기 다리받침수단와 상기 등받침수단 사이에 엉덩이가 뒤에서 보이지 않게 가리는 엉덩이 가림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4. 의자, 소파, 벤치, 침대 등 가구에 있어서,
    엉덩이를 떠 받치는 엉덩이받침수단과
    상기 엉덩이받침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엉덩이받침수단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주는 하부받침수단2와
    상기 하부받침대와 결합되며 등을 떠 받치는 등받침수단과
    상기 등받침수단을 뒤로 젖히면 엉덩이 받침수단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다리가 닿는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로 더 많이 내려가게 하여 엉덩이의 하중이 상기 다리가 닿는 부분 및 등받침수단으로 분산시켜서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요추압력완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5. 의자, 소파, 벤치 등 가구에 있어서,
    엉덩이를 떠 받치는 엉덩이받침수단과
    상기 엉덩이받침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엉덩이받침수단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주는 하부받침수단2와
    상기 하부받침수단과 결합되며 등을 떠 받치는 등받침수단과
    상기 엉덩이받침수단과 상기 등받침수단이 각각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받침대 경사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등받침 수단을 뒤로 젖히고 앉을 때에 엉덩이받침수단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다리가 닿는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로 더 많이 내려가게 하여 체중이 상기 엉덩이 아래 다리와 요추 위의 척추 부분으로 분산 및 전가시킴으로서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6. 의자, 소파, 벤치, 침대 등 가구에 있어서,
    엉덩이를 떠 받치는 엉덩이받침수단과
    상기 엉덩이받침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엉덩이받침수단을 지면으 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주는 하부받침수단2와
    상기 하부받침수단과 결합되며 등을 떠 받치는 등받침수단
    상기 등받침수단을 뒤로 젖히고 앉으면 상기 엉덩이받침수단이 앞으로 밀려 나와서 상기 엉덩이받침수단과 상기 등받침수단 사이 에 상기 엉덩이가 빠져서 체중이 엉덩이 아래 다리와 등의 요추 위 부분으로 분산 및 전가되게 함으로서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 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요추압력완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7. 제1항 ∼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수단2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8. 제1항 ∼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용 가구는 목받침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9. 제1항 ∼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용 가구는 팔받침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0. 머리부터 가슴까지 신체를 앞쪽에서 기댈 수 있는 가슴 이상 신체앞면 받침 수단과
    상기 가슴 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을 책상, 식탁, 탁자,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에 고정할 수 있는 받침대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1. 가슴을 기댈 수 있는 가슴받침수단과
    상기 가슴받침수단을 책상, 식탁, 탁자,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에 고정할 수 있는 받침대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은 눈을 포함 얼굴의 일부가 닿는 부분이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은 얼굴이 닿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4.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고정수단은 상기 신체앞면받침수단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5. 제9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고정수단은 상기 가슴받침수단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6. 제10항 ∼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용 가구는 겨드랑이를 걸쳐서 허리 이상의 상체에 의해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겨드랑이 받침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7. 제10항 ∼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용 가구는 팔을 겨드랑이 높이로 유지한 상태로 올려 두어서 팔에 의해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겨드랑이 높이의 팔받침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8. 얼굴의 일부를 기댈 수 있는 머리앞면받침수단과
    가슴과 배를 기댈 수 있는 가슴배받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앞면받침수단은 가슴배받침수단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0.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에 있어서.
    머리부터 가슴까지 신체를 앞쪽에서 기댈 수 있는 가슴 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과 상기 가슴 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을 상기 가구에 고정할 수 있는 신체앞면받 침대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가구
  21. 의자, 소파, 벤치 등과 같은 가구에 있어서.
    가슴을 기댈 수 있는 가슴받침수단과;
    상기 가슴받침수단을 상기 가구에 고정할 수 있는 가슴받침대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은 눈을 포함 얼굴의 일부가 닿는 부분이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이상 신체앞면받침수단은 얼굴이 닿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하는 머리부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4. 제20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고정수단은 상기 신체앞면받침대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5. 제21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고정수단은 상기 가슴받침대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6. 제20항 ∼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용 가구는 겨드랑이를 걸쳐서 허리 이상의 상체에 의해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겨드랑이 받침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7. 제20항 ∼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용 가구는 팔을 겨드랑이 높이로 유지한 상태로 올려 두어서 팔에 의해 요추의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겨드랑이 높이의 팔받침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8. 의자, 소파, 벤치 등과같은 가구에 있어서.
    얼굴의 일부를 기댈 수 있는 머리앞면받침수단과;
    가슴과 배를 기댈 수 있는 가슴배받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가구
  2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앞면받침수단은 가슴배받침수단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의자
  30. 제20항 ∼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침수단과 상기 배받침수단은 등받침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의자
  31. 제20항 ∼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침대와 상기 배받침수단은 등받침수단으로도 함께 사용하고, 머리앞면받침수단은 머리받침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용 의자
KR1020070106942A 2007-10-24 2007-10-24 척추교정용 가구 KR20090041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42A KR20090041458A (ko) 2007-10-24 2007-10-24 척추교정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42A KR20090041458A (ko) 2007-10-24 2007-10-24 척추교정용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58A true KR20090041458A (ko) 2009-04-29

Family

ID=4076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42A KR20090041458A (ko) 2007-10-24 2007-10-24 척추교정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355A1 (ko) * 2010-09-15 2012-03-22 Ji Dae-Won 의자 시트 프레임 장치
KR101135969B1 (ko) * 2009-12-28 2012-04-18 김수렬 의자용 등받이
FR3096565A1 (fr) * 2019-06-03 2020-12-04 Benoit Maine Chaise d’ecole regla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69B1 (ko) * 2009-12-28 2012-04-18 김수렬 의자용 등받이
WO2012036355A1 (ko) * 2010-09-15 2012-03-22 Ji Dae-Won 의자 시트 프레임 장치
FR3096565A1 (fr) * 2019-06-03 2020-12-04 Benoit Maine Chaise d’ecole regl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7114B1 (en) Adjustable backrest
Bridger Postural adaptations to a sloping chair and work surface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EP2465376B1 (en) Table and chair for bionics correcting posture
JPH05508331A (ja) 身体障害者椅子
AU2005211844A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4489982A (en) Pelvic support method and means
JP2020525257A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CN100502728C (zh) 一种矫姿保健坐椅
KR102250315B1 (ko) 무브 체어
KR20090047590A (ko) 척추교정용 가구
JP2009160195A (ja) 椅子
CA2881878C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20090041458A (ko) 척추교정용 가구
KR100355031B1 (ko) 다기능 의자
EP1983956B1 (en) A chair for a disabled person
CN207803900U (zh) 坐姿矫正坐具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KR20090010271A (ko) 척추를 편안하게 하는 가구
US5181764A (en) Chair and seat apparatu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JP6112768B2 (ja) 着座器具
CN107136816B (zh) 一种坐姿矫正坐具
CN201911650U (zh) 一种多功能坐躺椅
CN215131011U (zh) 一种可拆卸的脊柱侧弯矫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