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204A -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204A
KR20090041204A KR1020070106789A KR20070106789A KR20090041204A KR 20090041204 A KR20090041204 A KR 20090041204A KR 1020070106789 A KR1020070106789 A KR 1020070106789A KR 20070106789 A KR20070106789 A KR 20070106789A KR 20090041204 A KR20090041204 A KR 2009004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rendering
identifier
model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284B1 (ko
Inventor
김혜선
최진성
양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2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04Annotating, lab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의 3차원 공간을 구현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3D 모델들에 고유한 아이디를 부여하고 분류를 수행하여 3차원 공간을 랜더링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네트워크에서 원하는 3차원 모델을 취득하는 부분, 생성된 3차원 모델을 분류하고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는 부분, 3차원 랜더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상에 3차원으로 취득된 모델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실시하는 부분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가상 공간의 생성 및 운용 기법을 제공하고 생성된 3차원 공간 내에서 이동을 수행할 경우 보다 빠른 랜더링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며 이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을 제공하는 응용 분야(게임, 3D브라우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Figure P1020070106789
랜더링, 3D, 식별자, 그래픽

Description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RENDERING SYSTEM USING 3D MODEL IDENTIFI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의 3차원 공간에 대한 그래픽 구현을 3D(Dimension) 랜더링(render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와 3D 랜더링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상에서 랜더링된 3차원 공간에 대한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3D 모델 데이터(model data)들에 고유 식별자(identifier)를 부여하고 분류를 수행하여 3차원 공간을 랜더링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45-02, 과제명 : 기능 확장형 초고속 랜더러 개발].
통상적으로, 랜더링이라함은 3차원 그래픽 화면을 구현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하고 3차원 그래픽 화면 구현을 위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랜더링은 컴퓨터 그래픽 관련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일련의 가상 영상물을 실감나는 화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3차원 랜더링(rendering)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공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3차원 모델 데이터들이 모두 확보되어야만 랜더링을 수행될 수 있어 초기에 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모델 데이터에 대한 로딩을 수행하거나 백그라운드로 계속적인 로딩을 수행하여야 했다. 특히, 네트워크(network)에 존재하는 3차원 모델 데이터의 경우에는 대규모 지형 내에 빠른 이동에 있어서는 구현에 어려움이 많았다.
한편, 최근 들어 현재 그래픽 카드의 3차원 랜더링 성능이 나날이 향상되어가고 있고 3차원 가상 환경을 이용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늘어가고 있으나 프로그램마다 거의 유사한 3차원 객체에 대해서도 각각 다른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어 효율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모델에 대해 식별자를 부여하고 이를 활용하여 모델링 데이터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킨다면, 그래픽 카드의 캐쉬 효율의 향상을 통해 랜더링 속도의 향상과 네트워크를 통한 모델 취득을 위한 대기 시간을 줄여 사용상 편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3차원 랜더링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공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3차원 모델 데이터들이 모두 확보되어야만 랜더링이 수행될 수 있어 초기에 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모델 데이터에 대한 로딩을 수행하거나 백그라운드로 계속적인 로딩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가상의 3차원 공간을 구현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3D 모델들에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고 분류를 수행하여 3차원 공간을 랜더링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렌더링 시스템으로서, 3D 게임을 위해 제작된 3D 모델 데이터의 각 모델을 일군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모델 그룹에 대해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한 후, 네트워크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3D 랜더링 요청 시 해당 3D 모델 데이터와 식별자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랜더링 서버와, 상기 랜더링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3D 모델 데이터와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며, 상기 랜더링 속도가 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을 위한 기준속도 이하로 되는 경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 수신된 동일 그룹의 다른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랜더링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랜더링 서버는, 상기 3D 모델 데이터를 모델별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 방법 편집부와, 상기 분류방법 편집부로부터 분류된 모델 그룹에 대해 각각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식별자 생성부와, 상기 3D 모델 데이터와 모델 그룹별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모델 DB와, 상기 3D 모델 데이터 입력시 상기 모델 DB를 참조하여 모델별 유사성 검사를 통해 유사성이 기준이상인 모델에 대해 이전 부여된 동일 모델 그룹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모델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랜더링 클라이언트는, 상기 3D 랜더링 수행을 위해 수신되는 3D 모델 데이터의 식별자 정보를 처리하는 식별자 처리부와, 상기 3D 랜더링 수행에 따라 가장 최근에 재생된 일정 용량의 3D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모델 캐시부와, 상기 3D 랜더링을 통한 실시간 3D 그래픽 구현시 3D 랜더링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이하로 되는 경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델 캐시부내 이미 수신된 동일 그룹의 다른 3D 모델 데이터를 검색하는 탐색부와, 상기 모델 캐시부로부터 검색된 다른 3D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랜더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방법으로서, 랜더링 서버에서는 (a)3D 게임을 위해 제작된 3D 모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b)상기 입력된 3D 모델 데이터의 각 모델을 유사성에 따라 일군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c)상기 분류된 모델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와, (d)3D 랜더링시 상기 3D 모델 데이터와 상기 식별자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랜더링 클라이언트에서는 (a')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을 위한 3D 모델 데이터 및 3D 모델 데이터와 연계된 모델별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상기 수신되는 3D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c')상기 3D 랜더링 속도가 상기 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을 위한 일정 기준속도이하로 떨어지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d')상기 기준속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모델별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델 캐시내 이미 수신된 동일 그룹의 다른 모델 데이터를 검색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D 랜더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모델 데이터의 재 사용성을 높임으로써 온/오프(on/off) 라인에서의 캐쉬(cache) 효율을 올려 빠른 랜더링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을 제공하는 응용 분야(게임, 3D브라우징 등)에서 효과적인 3차원 공간을 랜더링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3차원 공간을 제작하는 경우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모델들을 이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많은 가상 환경을 운용하는데 있어 관리가 용이하며, 요청이 많은 모델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과금을 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도 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핵심 기술요지를 살펴보면,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모델에 대해 식별자를 부여하고 이를 활용하여 모델링 데이터의 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그래픽 카드의 캐쉬 효율의 향상을 통해 랜더링 속도의 향상과 네트워크를 통한 모델 취득을 위한 대기 시간을 줄이는 기술을 통해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랜덩링 시스템은 크게 모델 데이터에 식별자를 부여한 가상객체들을 저장 및 관리하고 식별자를 분류하는 방법을 생성, 관리하며 등록된 가상 객체들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는 서버(150)와 취득된 가상 객체들에 대해 모델 캐시를 수행하고 랜더링을 수행하는 랜더링 모듈, 네트워크를 통해 인접한 컴퓨터나 서버에서 해당 식별자의 가상 객체를 취득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 구성된 클라이언트(250)로 구성된다.
이하 위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랜더링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랜더링 서버(150)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살펴보면, 통신부(100)는 랜더링 서버(150)에 장착된 통신부로써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처리를 수행한다. 분류방법 편집부(110)는 상기 통신부(100)로부터 3D 게임을 위해 제작된 3D 모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3D 모델을 분류하고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한 분류방법을 편집하기 위한 부분이다.
식별자 생성부(130)는 상기 분류방법 편집부(110)로부터 그룹핑 분류된 각 모델그룹에 대해 이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부여한다. 모델 DB(140)는 등록되어 있는 3D 모델 데이터와 식별자들을 관리하는 모델 데이터 베이스로, 상기 식별자 생성부(130)로부터 생성되는 모델 그룹별 식별자 정보를 3D 모델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모델 검색부(120)는 상기 3D 모델 데이터 입력시 상기 모델 DB(140)를 참조하여 모델 그룹별 유사성 검사를 통해 유사성이 기준이상인 모델을 검색하고, 유사성 높은 것으로 검색된 모델에 대해서는 이전 부여된 동일 모델 그룹의 식별자를 부여한다.
즉, 랜더링 서버(150)는 모델 검색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식별자의 생성을 요청할 경우에 모델 DB(140)에서 유사성이 가장 높은 그룹을 골라서 식별자 생성부(130)로 하여금 동일 그룹의 식별자를 부여한다. 이때 상기 식별자 부여는 3차원 가상 공간을 구성하는 각 객체 데이터의 재 사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델별 각 모델을 구성하는 정점들을 바운딩한 형태의 유사도와, 각 모델에 사용된 텍스쳐 칼라의 유사도 등의 측정을 통해 유사성이 일정 기준이상으로 측 정되는 모델 그룹에 대해 동일 식별자 부여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랜더링 클라이언트(250)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살펴보면, 통신부(200)는 랜더링 서버(150)로부터 전송되는 3D 모델 데이터와 모델별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식별자 처리부(210)는 상기 3D 랜더링 수행을 위해 수신되는 3D 모델 데이터의 식별자 정보를 처리한다. 모델 캐시부(230)는 상기 3D 랜더링 수행에 따라 가장 최근에 재생된 일정 용량의 3D 모델 데이터를 저장한다. 탐색부(220)는 상기 3D 랜더링을 통한 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시 3D 랜더링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이하로 되는 경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델 캐시부(230)내 이미 수신된 동일 그룹의 다른 3D 모델 데이터를 검색한다. 랜더링부(240)는 상기 모델 캐시부(230)로부터 검색된 다른 3D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한다.
즉, 랜더링 클라이언트(250)는 사용자가 3차원 공간을 이용하고자 할 때 해당 공간 구성 파일을 해석하고 그곳에 언급된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탐색부(220)를 통해 모델 캐시부(23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없을 경우에 클라이언트측 통신부(200)를 통하여 랜더링 서버(150) 혹은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네트워크상의 가장 인접한 컴퓨터에 모델의 데이터를 요청하게 된다. 이때 요청한 모델 데이터 정보를 취득하면 취득된 3D 모델 데이터 정보는 랜더링부(240)에서 그래픽카드에 자료를 등록하고 랜더링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에서 3D 식별자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최초로 3차원 모델을 제작한 제작자는 자신의 모델에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하여 서버의 통신부(100)에 모델을 전송하고(S200), 이에 따라 서버의 모델 검색부(120)에서는 모델DB(140)에서 가장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모델 그룹을 결정하게 된다(S202).
위 모델의 유사도를 검색하는 방법은 모델을 구성하는 각 정점들의 형태의 유사성, 즉 X/Y/Z측으로 프로젝션을 수행할 경우에 나오는 형태의 유사도, 정점들을 단순화하여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로 변환 하였을때의 유사도, 각 정점을 이어주는 엣지(edge)의 형태, 사용되는 텍스쳐 칼라(texture color)의 유사도 등을 이용하여 탐색을 실시하게 되며, 식별자 생성부(130)에서 검색된 모델 그룹에 대해서 도 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를 부여하게 된다(S204).
이때 만일 적절한 정보를 탐지하지 못하는 경우 검색은 실패하게 되며 분류 방법 편집부(110)에서 새로운 그룹을 등록하거나 수동으로 적절한 그룹에 매핑하는 과정을 거친다.
위와 같이, 식별자가 부여된 3D 모델 데이터는 모델 DB(140)에 저장되며, 3D 게임을 위해 위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250)로부터의 3D 모델 데이터 요청이 있는 경우(S206), 서버는 모델 검색부(120)를 통해 모델 DB(140)로부터 3D 모델 데이터 및 이와 연계되어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로 전송시키게 된다(S208).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250)는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3D 모델 데이터와 식 별자 정보를 수신하고(S250), 위와 같이 수신된 3D 모델 데이터 정보는 랜더링부(240)에서 그래픽카드에 자료를 등록하고 실시간 3차원 그래픽 재생을 위한 랜더링을 수행하게 된다(S252).
이때, 위와 같이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3D 모델 데이터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실시간 3차원 그래픽 재생에 필요한 속도보다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이 3D 모델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그래픽 재생 중에 클라이언트(250)는 3D 모델 데이터를 이용한 랜더링 속도가 3차원 그래픽 재생을 위해 필요한 일정 기준속도 이하인지를 계속해서 검사한다(S254).
이때 만일 랜더링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로 떨어져서 실시간으로 3차원 그래픽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클라이언트(250)는 탐색부(220)를 이용하여 모델캐시부(230)에 동일한 모델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하고, 동일한 모델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모델 캐시부(230)에서 동일 모델 그룹의 다른 모델 데이터가 있는지는 검사한다(S256). 이때 모델 캐시부(230)내 동일 모델 그룹의 다른 모델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모델 데이터로 대치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258).
한편, 위와 같은 모델 데이터의 대치 과정에서 상기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만든 객체(300)의 경우에는 해당 모델에 대한 대치과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다른 그룹의 모델(310) 데이터간에도 대치과정을 수행하지 않아야 정상적인 랜더링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3D 모델 객체 데이터에 식별자를 부여하면 가상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구성정보에 객체의 위치와 회전 등의 조작 정보와 텍스쳐 정보, 모델 식별자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공간을 랜더링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들이 각각 자신의 독립적인 아바타들을 가지고 있을 경우와 같이 독특한 모델 데이터는 필수적으로 로딩이 되어야 하지만 가상 공간을 구성하는 나무, 돌 등의 자연물들과 대부분의 건물들은 정확하게 해당 모델을 랜더링하여야 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 그 효과가 더 높게된다.
또한, 위와 같은 객체 데이터 식별자를 활용하는 경우 모델링 데이터 캐쉬 기법으로써 활용이 가능하고 동일한 객체를 다수 출력하는 경우 랜더링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랜더링하여야 할 객체의 종류가 너무 많은 경우나 캐쉬에 원하는 객체 데이터가 없는 경우 선택적으로 유사한 그룹의 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을 표현할 수 있어 랜더링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랜더링 시스템에서 3D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동작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모델 데이터의 모델 그룹별 식별자 정보 부여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0 : 서버 통신부 110 : 분류방법 편집부
120 : 모델 검색부 130 : 식별자 생성부
140 : 모델 데이터 베이스 200 : 클라이언트 통신부
210 : 식별자 처리부 220 : 클라이언트 탐색부
230 : 모델 캐시부 240 : 랜더링부
300 : 사용자 직접 만든 객체
310 : 그룹이 다른 객체

Claims (9)

  1. 3D 게임을 위해 제작된 3D 모델 데이터의 각 모델을 제각기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식별자를 부여한 후, 3D 모델 데이터와 식별자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랜더링 서버와,
    상기 랜더링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3D 모델 데이터와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며, 상기 랜더링 속도가 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을 위한 기준속도 이하로 되는 경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 수신된 동일 그룹의 다른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랜더링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렌더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더링 서버는,
    상기 3D 모델 데이터를 모델별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방법 편집부와,
    상기 분류방법 편집부로부터 분류된 모델 그룹에 대해 각각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식별자 생성부와,
    상기 3D 모델 데이터와 모델 그룹별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모델 DB와,
    상기 3D 모델 데이터 입력시 상기 모델 DB를 참조하여 모델별 유사성 검사를 통해 유사성이 기준이상인 모델에 대해 이전 부여된 동일 모델 그룹의 식별자를 부 여하는 모델 검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더링 클라이언트는,
    상기 3D 랜더링 수행을 위해 수신되는 3D 모델 데이터의 식별자 정보를 처리하는 식별자 처리부와,
    상기 3D 랜더링 수행에 따라 가장 최근에 재생된 일정 용량의 3D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모델 캐시부와,
    상기 3D 랜더링을 통한 실시간 3D 그래픽 구현시 3D 랜더링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이하로 되는 경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델 캐시부내 이미 수신된 동일 그룹의 다른 3D 모델 데이터를 검색하는 탐색부와,
    상기 모델 캐시부로부터 검색된 다른 3D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랜더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은,
    상기 모델별 각 모델을 구성하는 정점들을 바운딩한 형태의 유사도와, 각 모델에 사용된 텍스쳐 칼라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D 랜더링의 기준속도는,
    상기 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계산된 3D 랜더링 처리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6. (a)3D 게임을 위해 제작된 3D 모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b)상기 입력된 3D 모델 데이터의 각 모델을 유사성에 따라 일군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c)상기 분류된 모델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와,
    (d)3D 랜더링시 상기 3D 모델 데이터와 상기 식별자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은,
    상기 모델별 각 모델을 구성하는 정점들을 바운딩한 형태의 유사도와, 각 모델에 사용된 텍스쳐 칼라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방법.
  8. (a')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을 위한 3D 모델 데이터 및 3D 모델 데이터와 연계된 모델별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상기 수신되는 3D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c')상기 3D 랜더링 속도가 상기 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을 위한 일정 기준속도이하로 떨어지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d')상기 기준속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모델별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델 캐시내 이미 수신된 동일 그룹의 다른 모델 데이터를 검색하여 3D 랜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D 랜더링의 기준속도는,
    상기 실시간 3D 그래픽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계산된 3D 랜더링 처리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방법.
KR1020070106789A 2007-10-23 2007-10-23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901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89A KR100901284B1 (ko) 2007-10-23 2007-10-23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89A KR100901284B1 (ko) 2007-10-23 2007-10-23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04A true KR20090041204A (ko) 2009-04-28
KR100901284B1 KR100901284B1 (ko) 2009-06-09

Family

ID=4076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789A KR100901284B1 (ko) 2007-10-23 2007-10-23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2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040B1 (ko) * 2011-03-30 2013-02-01 (주)이지위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3074567A1 (en) * 2011-11-15 2013-05-23 Trimble Navigation Limited Progressively providing software components for browser-based 3d modeling
US9223593B2 (en) 2011-11-15 2015-12-29 Trimble Navigation Limited Efficient distribution of functional extensions to a 3D modeling software
US9256453B2 (en) 2011-11-15 2016-02-09 Trimble Navigation Limited Extensible web-based 3D modeling
CN111744182A (zh) * 2020-07-03 2020-10-09 广州要玩娱乐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游戏场景的批处理渲染方法、装置以及服务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225B2 (ja) 2003-12-18 2010-02-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呈示システム
KR100601952B1 (ko) * 2004-04-20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재구성장치 및 방법
JP2006059006A (ja) 2004-08-18 2006-03-02 Fujitsu Ltd 部品選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KR20070092499A (ko) * 2006-03-10 2007-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040B1 (ko) * 2011-03-30 2013-02-01 (주)이지위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3074567A1 (en) * 2011-11-15 2013-05-23 Trimble Navigation Limited Progressively providing software components for browser-based 3d modeling
US9223593B2 (en) 2011-11-15 2015-12-29 Trimble Navigation Limited Efficient distribution of functional extensions to a 3D modeling software
US9256453B2 (en) 2011-11-15 2016-02-09 Trimble Navigation Limited Extensible web-based 3D modeling
CN111744182A (zh) * 2020-07-03 2020-10-09 广州要玩娱乐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游戏场景的批处理渲染方法、装置以及服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284B1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2825B2 (en) Parallelized streaming accelerated data structure generation
Bracci et al. HexaLab. net: An online viewer for hexahedral meshes
CN105701851B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三维渲染引擎系统
Steinberger et al. On‐the‐fly generation and rendering of infinite cities on the GPU
KR100901284B1 (ko) 3d 모델 식별자를 이용한 랜더링 시스템 및 방법
JP4676630B2 (ja) 三次元解析モデル生成方法、装置、三次元解析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Novák et al. Rasterized bounding volume hierarchies
JP2006277166A (ja) 3次元形状比較プログラム及び3次元類似形状検索プログラム
CN103679792A (zh) 一种三维模型的渲染方法和系统
JP7017852B2 (ja) 記述子を用いた3dオブジェクトの位置特定
KR102441902B1 (ko) 시계열 3차원 시각화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Meyer et al. Query-driven visualization of time-varying adaptive mesh refinement data
JP6981753B2 (ja) 複数のグラフィックカードの管理
JP6981754B2 (ja) 複数のグラフィックカードの管理
CN111783186B (zh) 通用cad模型结果轻量可视化查看方法
KR100989080B1 (ko) 시공간 정보가 결합된 체험형 지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503174A (zh) 一种基于网络三维建模的场景可视化方法及系统
Zamri et al. Research on atmospheric clouds: a review of cloud animation methods in computer graphics
Klein Managing the scalability of visual exploration using game engines to analyse UHI scenarios
Bormann et al. Real-time indexing of point cloud data during LiDAR capture
Argudo et al. Interactive inspection of complex multi-object industrial assemblies
Martinez et al. Recolorcloud: A point cloud tool for recoloring, segmentation, and conversion
CN117635791B (zh) 3d模型的呈现方法及系统、存储介质、电子设备
US202301561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illiams Volumetric representation of virtual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