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054A -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054A
KR20090041054A KR1020070106561A KR20070106561A KR20090041054A KR 20090041054 A KR20090041054 A KR 20090041054A KR 1020070106561 A KR1020070106561 A KR 1020070106561A KR 20070106561 A KR20070106561 A KR 20070106561A KR 20090041054 A KR20090041054 A KR 2009004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container
postal
separat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985B1 (ko
Inventor
송재관
김동호
김기학
김인수
허홍석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6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301/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2301/0016RFID-tag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우편 용기를 도착장으로부터 해당 우편물의 구분기까지, 구분기로부터 발송장까지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우편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해당 우편 용기가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착장에 도착된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어 우편 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편 용기 이동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분기에서 구분된 우편물이 담긴 우편 용기가 타 지역으로 잘못 발송될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우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인식, 우편 용기, 파렛, 자동 운반, 태그, 벨트 컨베이어

Description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portation of a roll cage based on RFID}
본 발명은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우정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X-004-01, 과제명: 실시간 우편물류 요소기술개발].
일반적으로 우체국에서 접수된 우편물은 우편 용기인 파렛(Pallet)에 담기고, 파렛에 담겨진 우편물은 우편 차량에 실려 우편 집중국으로 운송된다. 우편 집중국으로 운송된 파렛은 우편물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구분되기 위해 해당 구분기 투입구로 옮겨지는데, 구분기 투입기로 파렛을 옮기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우편 집중국은 매우 넓은 작업장으로, 우편물이 도착하는 도착장, 우편물을 구분하고 처리하는 작업장 및 우편물을 각각 해당하는 지역으로 발송하는 발송장이 있다. 이와 같이 도착장, 작업장 및 발송장으로 이어지는 파렛의 운반은 작업자가 전동차를 이용하여 운반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 및 시설물 파손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렛 운반 상황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우편 집중국 구분기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전동차에 의한 작업장 내 파렛 운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착장에 우편 차량(10)이 도착하면, 우편물을 담은 파렛(20)이 우편 차량(20)의 뒷 문에서 도크(Dock)로 순차적으로 내려지고, 해당 구분기로 운반된다. 파렛(20)에 담겨진 우편물은 기계를 이용하여 지역별로 자동 구분되는데, 우편물 종류에 따라 서장 구분기(40), 소포 구분기(50), 패킷 구분기(60), 플랫 구분기(70)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시는 도착장에서 구분기로, 구분기에서 발송장으로 파렛이 이동되는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구분기에 의해 구분된 우편물은 다시 파렛(20)에 담겨 발송장으로 이동되고, 다시 우편 차량(30)에 실려 해당 지역으로 운송된다. 이때 이용되는 파렛에 대해서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착장에 도착한 파렛(20)은 전동차(80)에 의해 각각의 구분기가 있는 작업장으로 또는 구분기에서 발송장으로 이동한다. 이때 파렛과 파렛 사이에는 연결 고리(25)가 있어 다수의 파렛을 한꺼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파렛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운송하는 경우, 무거운 파렛을 작업자가 밀거나 당겨야 하고 작업장 안으로 운반하기 위해 여러 개의 파렛을 전동차에 매달아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파렛 자체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파렛이 우편물 구분기나 시설물의 모퉁이 등과 충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구분기에서 구분된 우편물이 담긴 파렛을 발송하기 위해 지역별로 정해진 발송장 게이트로 운반할 때, 해당 게이트에 파렛을 잘 못 갖다 놓을 경우 다른 지역으로 오발송되며, 이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인식을 이용하여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은,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방법에 있어서,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착장 게이트로 운반된 우편 용기의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태그의 태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도착장 게이트로부터 상기 우편물을 구분하는 구분기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경로를 토대로 상기 우편 용기를 상기 구분기로 이동하고, 상기 구분기를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은,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분기로부터 구분된 우편물을 적재한 우편 용기의 태그에, 상기 우편물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우편물 정보가 입력된 우편 용기의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한 태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구분기로부터 발송장 게이트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경로를 토대로 상기 우편 용기를 운반하고, 상기 발송장 게이트에서 상기 우편 용기의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우편 용기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은,
도착장 게이트로 유입된 제1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우편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우편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구분기로 상기 제1 우편 용기를 전달하는 우편물 유입부; 상기 우편물 유입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우편 용기의 우편물이 각각 해당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다수의 구분기를 가지며, 상기 구분기에서 구분된 우편물을 제2 우편 용기를 통해 출력하는 구분부; 상기 제2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2 우편 용기를 발송장 게이트로 전달하는 우편물 출력부; 및 상기 제1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의 구분기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구분기로의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우편물 유입부에 전달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편물 유입부, 구분부 및 우편물 출력부는 상기 제1 우편 용기 및 제2 우편 용기를 운반하는 자동 운반 장치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착장에 도착된 파렛을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어 파렛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렛 이동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분기에서 구분된 우편물이 담긴 파렛이 타 지역으로 잘못 발송될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우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집중국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3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 집중국은 크게 중앙 제어부(100), 집중국(200), 도착장 게이트(300) 및 발송장 게이트(400)로 이루어진다. 도착장 게이트(300) 및 발송장 게이트(400)는 다수의 게이트를 포함한다. 집중국(200)에는 서장 구분기(210), 소포 구분기(220), 패킷 구분기(230) 및 플랫 구분기(240)가 위치되어 도착장 게이트(300)로 도착된 우편물을 구분한다. 도착장 게이트(300), 집중국(200) 내의 다수의 구분기 및 발송장 게이트(400)는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제어부는 우편 집중국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우편 집중국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착장 게이트(300)로 이동된 우편 용기(이하 파렛이라 지칭)(330)을 구분부(202)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렛 운반용 자동 운반장치(250)가 집중국(200)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착장 게이트(300), 각각의 구분기(210, 220, 230, 240) 및 발송장 게이트(400)를 하나씩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운반장치(250)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ryer)를 예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벨트 컨베이어는 분기점, 곡선 부분 및 긴 직선 부분에서는 분리된 형태로 설치되며, 각각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벨트 컨베이어의 사용에 따른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를 움직이는 로울러(roller) 세트는 파렛이 유입되기 직전에 구동되고 파렛이 지나가면 멈추도록 제어한다. 또한, 진행중인 파렛의 유무 여부는 센서(Sensor)를 감지하여 판단한다.
집중국(200)은 크게 우편물 유입부(201), 구분부(202) 및 우편물 출력부(203)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구분부(202)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구분기(210, 220, 230, 240)에서 구분된 우편물들은 발송장 게이트(400)로 전달되기 전에 하나의 파렛(430)에 취합되며, 이때 파렛(430)에는 각각의 구분기(202)에서 이동형 리더(211, 221, 231, 241)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우편 집중국으로 유입된 파렛이 도착장으로부터 구분부까지 운반되는 흐름에 대하여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착장 게이트로부터 구분부까지의 파렛 운반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역 우체국 등의 수집 장소에서 우편물이 담긴 파렛을 싣고 출발한 우편 차량(310)은 집중국의 도착장 게이트(300)로 도착한다. 우편 차량(310)의 뒷 부분을 도크에 위치시킨 후 차량의 뒷 문을 개방하면, 우편물이 담긴 파렛(330)이 순차적으로 하차된다. 이때, 파렛(330)에 부착된 태그를 도착장 게이트(300) 상단에 설치된 리더(320)가 무선으로 인식한다. 리더(320)에 의해 인식된 정보는 리더를 통해 중앙 제어부(도 3a에 도시된 100)로 보내진다.
여기서 중앙 제어부(100)는 리더로부터 수신한 정보에서 우편물 종류 정보를 추출하고, 파렛(330)이 작업장의 구분부(202) 내의 어느 구분기로 운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파렛(330)을 구분기로 운반하기 위한 다양한 경로 중 어느 경로가 최적 경로인지를 시스템적으로 결정한다. 중앙 제어부(100)는 산출한 정보를 해당 구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전달하고, 정보를 수신한 해당 제어부는 해당 구분기를 동작할 수 있도록 준비 상태로 전환한다.
도착장 게이트(300)에서 인식된 파렛(330)이 해당 구분기로 이동되기 위해 컨베이어 입구 레일인 우편물 유입부(201)에 진입하면, 우편물 유입부(201)에 설치된 센서가 파렛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중앙 제어부(100)에서 설정한 최적 경로에 있는 벨트 컨베이어는 순차적으로 동작한다.
도착장 게이트(300)에서 구분부(202)까지의 시스템 동작 순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편물을 실은 우편 차량(310)이 도착장 게이 트(300)에 도착하면, 센서가 차량의 도착을 감지하고(S100), 감지된 정보를 중앙 제어부(100)로 전달한다(S101). 중앙 제어부(100)는 전달받은 정보를 통해 집중국(200) 내에 위치하고 있는 RFID 시스템과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시킨다(S102).
다음 작업자가 차량에서 태그가 부착된 파렛(330)을 내리면, 리더(320)가 파렛(300)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한다(S103). 이때 인식되는 정보는 파렛(330)에 담겨있는 우편물의 종별 정보로써, 중앙 제어부(100)가 해당 파렛을 어떤 구분기로 운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인식된 정보는 중앙 제어부(100)로 전달되고(S104), 중앙 제어부(100)는 수신한 정보로부터 파렛(330)에 담긴 우편물의 종별 정보를 알아낸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파렛(300)이 구분기까지 이동되는 다수의 경로 중 최적 경로를 설정하고(S105), 해당 구분기가 파렛의 우편물의 유입과 동시에 동작할 수 있게 준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S106).
작업자가 파렛(330)을 컨베이어 시스템 입구인 우편물 유입부(201)에 투입하면 입구에 있는 센서가 파렛(330)을 감지하고(S107), 컨베이어를 구동시켜(S108) 파렛(330)을 해당 구분기까지 운반한다(S109). 다음, 우편물 유입부(202)에 위치한 센서는 파렛이 일정 시간동안 유입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0), 만약 파렛이 들어오지 않으면 시스템은 정지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S111).
그러나, 파렛이 계속 유입될 경우, S103 단계 이후의 절차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구분부(202)에서 우편물이 구분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상기 도 4의 절차를 통해 구분부로 유입된 파렛을 발송장 게이트까지 운반하는 절차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분부로부터 발송장 게이트까지의 파렛 운반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분기에 의해 구분된 우편물은 각각의 구분기의 적재부(도면 미도시)에서 각각 파렛(430)에 담긴다. 이때 작업자는 이동형 리더(211, 221, 231, 241)를 이용하여 파렛(430)에 부착된 태그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한다(S200). 여기서 정보는 발송국 기호, 우편물 종별 기호, 도착국 기호, 날짜 및 시간 등을 포함한다.
한편, 우편물이 담긴 파렛(430)은 해당 발송장 게이트(400)로 보내지기 위해 우편물 출력부(203)에 투입된다(S201). 파렛(430)이 우편물 출력부(203)에 투입되면, 우편물 출력부(203)에 위치한 센서는 파렛(430)의 진입을 감지하고, 컨베이어를 동작시켜 파렛(430)을 해당 발송장 게이트(400)로 운반시킨다. 이때, 파렛(400)이 컨베이어의 우편물 출력부(203)로 도착하면, 우편물 출력부(203)에 위치한 리더(도면 미도시)가 파렛(430)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읽어들여(S202) 해당 파렛(430)이 발송장의 어느 발송장 게이트(400)로 가야 할 것인지 최적 경로를 설정하고(S203), 파렛(430)을 해당 발송장 게이트로 운반한다(S204).
파렛(430)이 해당 발송장 게이트(400)로 이동되어 우편 차량(410)에 실릴 때, 발송장 게이트에 위치한 리더(420)가 파렛(430)에 부착된 태그를 읽어(S205) 해당 지역으로 발송되는 파렛인지 여부를 검증한다(S206). 다시 말해, 리더(4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발송 지역 관련 정보들과, 리더(420)가 읽어들인 파렛(430)의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로 검증을 수행한다.
만약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리더(420)는 파렛 발송 정보를 중앙 제어부(100)로 보내고(S207), 중앙 제어부(100)는 수신한 파렛 발송 정보를 저장한다(S208). 그러나,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파렛이 잘못된 발송장 게이트로 전달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파렛을 우편 차량에 적재하지 않는다(S209). 다음, 우편물 출력부(203)에 위치한 센서는 파렛이 일정 시간동안 우편물 출력부(203)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10), 만약 유입되지 않으면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S211).
그러나, 우편물 출력부(203)로 지속적으로 파렛이 유입되면, S202 단계 이후의 절차룰 수행한다. 이때 발송장 게이트(400)가 집중국(200)으로 유입되는 파렛 유무를 알 수 있는 것은, 각각 발송장 게이트(400)와 집중국(200)의 우편물 출력부(203)를 제어하는 제어부 간에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렛이 자동으로 분류되고 최적의 경로로 유입되는 것은, 파렛에 부착되어 있는 무선 태그를 RFID 리더가 읽음으로써 가능하다. 이때의 태그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기록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 용기인 파렛에는 무선 태그가 부착되어 있고, 태그에는 파렛을 보내는 발송국 기호, 우편물 종별 기호, 도착국 기호, 날짜 및 시간 정보등을 기록한다.
발송국 기호는 파렛을 보내는 발송국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며, 우편물 종별 기호는 해당 우편물의 종류를 구분한다. 우편물의 종류는 편지를 나타내는 서장(Letter), 소포(Parcel), 두꺼운 대형 우편물을 나타내는 패킷 또는 및 얇은 플랫 우편물 다발을 나타내는 플랫(Flat)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착국 기호는 구분기에 의해 구분된 우편물이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할 목적지 내의 우편 집중국을 나타낸다. 또한 날짜 및 시간은 해당 우편물이 언제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우편 집중국 구분기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전동차에 의한 작업장 내 파렛 운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 집중국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착장 게이트로부터 구분부까지의 파렛 운반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분부로부터 발송장 게이트까지의 파렛 운반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기록 정보의 예시도이다.

Claims (11)

  1.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착장 게이트로 운반된 우편 용기의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태그의 태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도착장 게이트로부터 상기 우편물을 구분하는 구분기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경로를 토대로 상기 우편 용기를 상기 구분기로 이동하고, 상기 구분기를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우편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우편물의 우편물 종류 정보인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착장 게이트로부터 구분기로 연결되어 있는 자동 운반 장치를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기로 유입되는 우편 용기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유입되는 우편 용기가 없으면, 상기 우편 용기를 상기 구분기로 이동하는 상기 자동 운반 장치 및 상기 우편물의 구분을 위해 동작중인 상기 구분기를 대기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
  5.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분기로부터 구분된 우편물을 적재한 우편 용기의 태그에, 상기 우편물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우편물 정보가 입력된 우편 용기의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한 태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구분기로부터 발송장 게이트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경로를 토대로 상기 우편 용기를 운반하고, 상기 발송장 게이트에서 상기 우편 용기의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우편 용기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정보는,
    상기 우편물의 발송국 정보, 상기 우편물의 종류 정보, 상기 우편물의 도착국 정보, 상기 우편물의 수집 날짜 및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우편 용 기 자동 운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우편 용기의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우편 용기 발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장 게이트로 유입되는 우편 용기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새로 유입되는 우편 용기가 없으면, 상기 구분기로부터 상기 발송장 게이트까지 연결되어 있는 자동 운반 장치를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방법.
  9. 우편 용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도착장 게이트로 유입된 제1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우편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우편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구분기로 상기 제1 우편 용기를 전달하는 우편물 유입부;
    상기 우편물 유입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우편 용기의 우편물이 각각 해당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다수의 구분기를 가지며, 상기 구분기에서 구분된 우편 물을 제2 우편 용기를 통해 출력하는 구분부;
    상기 제2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2 우편 용기를 발송장 게이트로 전달하는 우편물 출력부; 및
    상기 제1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의 구분기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구분기로의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우편물 유입부에 전달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우편물 유입부, 구분부 및 우편물 출력부는 상기 제1 우편 용기 및 제2 우편 용기를 운반하는 자동 운반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는,
    상기 제1 우편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우편물의 우편물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우편 용기의 태그 정보는,
    상기 제2 우편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우편물의 발송국 정보, 상기 우편물의 종류 정보, 상기 우편물의 도착국 정보, 상기 우편물의 수집 날짜 및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KR1020070106561A 2007-10-23 2007-10-23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KR10092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61A KR100923985B1 (ko) 2007-10-23 2007-10-23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61A KR100923985B1 (ko) 2007-10-23 2007-10-23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054A true KR20090041054A (ko) 2009-04-28
KR100923985B1 KR100923985B1 (ko) 2009-10-28

Family

ID=4076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561A KR100923985B1 (ko) 2007-10-23 2007-10-23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14A1 (ko) 2009-05-12 2010-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0340034A (zh) * 2019-08-19 2019-10-18 北京极智嘉科技有限公司 分拣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81B1 (ko) 2014-08-13 2016-12-06 이명자 우체국 물품 접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42A (ja) * 1992-07-15 1994-02-08 Nippon Avionics Co Ltd 荷物仕分装置
JPH0639351A (ja) * 1992-07-27 1994-02-15 Nippon Avionics Co Ltd 郵便物区分搬送制御装置
KR20040106007A (ko) * 2003-06-10 2004-12-17 (주) 세이프텔 전동팔레트를 이용한 물품 자동운반 및 자동등록 시스템
JP2005267074A (ja) 2004-03-17 2005-09-29 Toshiba Tec Corp 無線タグ自動読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14A1 (ko) 2009-05-12 2010-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0340034A (zh) * 2019-08-19 2019-10-18 北京极智嘉科技有限公司 分拣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985B1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789A (en) Semi-automated integrated sort system
US200302082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pass letter and flat processing
US20150231670A1 (en) Facility Wide Mixed Mail Sorting and/or Sequencing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s Thereof
US11484914B2 (en) Sorting installation for parcels and method for sorting parcels
US9604257B2 (en) Automated waste mail verification
KR20120063378A (ko)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047002B (zh) 一种预分式交叉带分拣机系统及其分拣方法
US20030155213A1 (en) Bi-directional package divert mechanism and method of use
KR100923985B1 (ko) 무선 인식을 이용한 우편 용기 자동 운반 시스템 및 방법
KR101255076B1 (ko) 소포 우편물 순서화 시스템 및 방법
CN204276368U (zh) 带有两个存储区域的分类设备
US20070073578A1 (en) Dock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of product
KR20050066789A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물류작업 자동 처리 시스템
KR100886389B1 (ko) 소포우편물 자동구분 장치 및 그 방법
CN110216072A (zh) 一种物流货物自动分拣系统及其装置
CN111921874A (zh) “行李预分拣及再分拣模式”行李处理系统及控制方法
EP2120219A1 (en) Method for processing bank notes and money counting station
US7663072B2 (en) Delivery point sorting system
KR100860403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우편물 순로구분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4235065U (zh) “行李预分拣及再分拣模式”行李处理系统
CN113070223A (zh) 物品分拣系统及物品分拣方法
KR100796727B1 (ko) 우편물 순로 구분 및 분류 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9606801B (zh) 自动打包装置
JP4130340B2 (ja) 物流制御方法及び物流制御装置
US20100241272A1 (en) Automated product transporting and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