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998A -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998A
KR20090040998A KR1020070106465A KR20070106465A KR20090040998A KR 20090040998 A KR20090040998 A KR 20090040998A KR 1020070106465 A KR1020070106465 A KR 1020070106465A KR 20070106465 A KR20070106465 A KR 20070106465A KR 20090040998 A KR20090040998 A KR 2009004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eck
coupled
box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247B1 (ko
Inventor
전영도
손의원
임명환
김경태
유승완
Original Assignee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247B1/ko
Priority to JP2007309388A priority patent/JP2009102162A/ja
Priority to CNA2007101952488A priority patent/CN101417760A/zh
Priority to TW096146401A priority patent/TW200918434A/zh
Publication of KR2009004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05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or for loading an empty core
    • B65H67/041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or for loading an empty cor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5Brakes
    • B65H2403/7251Block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개의 데크를 이용하여 사권취 효율을 두배로 증가시키고, 또한 보빈 홀더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센터 디바이스를 채택하여 사권취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릭션 롤러 박스, 트래버스 캠 박스 및 두개의 보빈 홀더를 갖는 리볼루션 드럼 등으로 이루어진 데크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부에 제1데크가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제1데크와 수직 위치가 약간 다르게 제2데크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데크에 설치된 보빈 홀더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각 보빈 홀더의 끝단과 대응되는 영역에 센터 디바이스가 결합된다.

Description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Winder having double deck}
본 발명은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권취 장치는 실을 공급하는 고뎃 롤러(godet roller)와, 상기 고뎃 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주기로 왕복 이동하는 다수의 트래버스 가이드(traverse guide)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를 미리 설정된 이동폭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트래버스 캠(traverse cam)과,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실을 권취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보빈(bobbin)이 설치된 보빈 홀더(bobbin holder)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보빈 홀더는 하나의 리볼루션 드럼(revolution drum)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부의 보빈이 만권되면, 하부의 보빈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권취 작업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사권취 장치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통상 고속화와 권취 개수를 증대시키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빈 홀더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그 길이를 길게 하여 더욱 많은 보빈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빈 홀더의 회전 속도를 일정 속도 이상으로 하면, 실이 잘 끊어짐은 물론 진동 현상이 심해져 권취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빈 홀더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에도 그 끝단이 회전 구동점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회전중 끝단의 진동이 매우 심해져 사권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을 권취하는 데크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동일한 시간동안 사권취량을 두배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팔보(cantilever) 형태의 보빈 홀더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보빈 홀더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는 고뎃 롤러의 하부에,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는 실이 단단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프릭션 롤러 박스 및 실이 소정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트래버스 캠 박스가 상호 수평하게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에 의해 안내된 실이 보빈에 권취되도록 다수의 보빈 홀더가 장착되고, 보빈이 만권되면 일정 각도 회전하여 빈보빈에 자동적으로 실이 연속 권취되도록 하는 리볼루션 드럼이 설치되며, 상기 리볼루션 드럼의 하부 일측에는 만권 보빈을 보빈 홀더로부터 제거하는 제1푸셔 디바이스가 설치된 제1데크와, 상기 제1데크의 하부에,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는 실이 단단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프릭션 롤러 박스 및 실이 소정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트래버스 캠 박스가 상호 수평하게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에 의해 안내된 실이 보빈에 권취되도록 다수의 보빈 홀더가 장착되고, 보빈이 만권되면 일정 각도 회전하여 빈보빈에 자동적으로 실이 연속 권취되도록 하는 리볼루션 드럼이 설치되며, 상기 리볼루션 드럼의 하부 일측에는 만권 보빈을 보빈 홀더로부터 제거하는 제2푸셔 디바이스가 설치된 제2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크의 프릭션 롤러 박스 및 트래버스 캠 박스는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1~+5°회전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데크의 프릭션 롤러 박스 및 트래버스 캠 박스는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1~-5°회전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데크의 리볼루션 드럼의 중심과 상기 제2데크의 리볼루션 드럼의 중심은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 홀더는 일단에 풀리가 형성되고, 타단에 커플링이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커플링에 결합되고, 내부에 다수의 슬라이드콘 및 테퍼 피스가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링 형태로 결합된 센터캡과, 상기 센터캡의 내부에 베어링을 통하여 결합된 홀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빈 홀더의 모터중 풀리에는 브레이크 디바이스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스터드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레이크암과, 상기 브레이크 암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풀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브레이크 라이닝과, 상기 브레이크암의 하단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앵글과, 상기 앵글에 결합된 동시에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암을 상기 풀리쪽으로 밀어내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데크에 장착된 제1푸셔 디바이스는 상기 보빈 홀더의 하단에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보빈 홀더와 평행하게 고정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샤프트의 반대측에는 에어 실린더 및 이동 샤프트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 실린더 및 이동 샤프트의 끝단에는 상기 보빈 홀더에 끼워진 만권 보빈 또는 불량 보빈을 일측으로 밀어 꺼내기 위해 푸셔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 샤프트는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된 리니어 부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데크에 장착된 제2푸셔 디바이스는 평판 형태의 레일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 내주연에는 인너 커버로 감싸여진 한쌍의 에어 실린더가 장착되며, 상기 인너 커버의 전,후방에는 자신의 전,후 이동이 자유롭도록 플라스틱 볼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의 아웃터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후방에는 자신의 전,후 이동이 자유롭도록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방에는 만권 보빈 또는 불량 보빈을 일측으로 밀어 꺼내기 위해 푸셔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기 플라스틱 볼 베어링을 안내하기 위한 평판형 레일이 더 설치되고, 상기 평판형 레일의 양측 외주연에는 상기 롤러를 안내하기 위한 롤러 레일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에어 실린더는 일측 에어 실린더의 후단이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고, 나머지 타측 에어 실린더의 전방이 아웃터 커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2개의 에어 실린더 작동에 의해 푸셔가 2 스트로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데크 및 제2데크에는 각각 보빈 홀더의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센터 디바이스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디바이스는 상기 보빈 홀더의 끝단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 홀더에까지 연장된 암과, 상기 암에 결합된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이 가능한 윙과, 상기 윙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암을 관통하는 푸싱 바디와, 상기 푸싱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 홀더에 접촉 및 분리되는 푸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에는 부싱이 형성된 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튜브의 부싱 내부에 상기 푸싱 바디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푸셔와 푸싱 바디 사이에는 베어링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사권취를 수행하는 데크가 2개 구비됨으로써, 실을 권취하는 생산성이 종래 보다 대략 2배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데크 및 제2데크에서 실을 안내하는 트래버스 캠 박스가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고뎃 롤러부터 제1데크 및 제2데크로 각각 안내되는 실 상호간에 간섭이나 방해가 발생하지 않아 사권취가 더욱 용이하게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데크의 구성 요소중 제1푸셔 디바이스가 제2데크의 제2푸셔 디바이스와 다르게 레일 방식이 아닌 샤프트 방식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미작동시에는 최소 부피를 차지하고, 따라서 제2데크쪽으로 안내되는 실과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 홀더의 일단이 리볼루션 드럼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센터 디바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보빈 홀더의 길이를 확장하여 발생될 수 있는 보빈 홀더의 처짐 현상과, 보빈 홀더가 동축선상에 대해 어긋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빈 홀더의 회전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보빈 홀더의 길이 증가 및 고속 회전시에도 회전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으로써, 종래의 사권취 장치에 비해 크게 향상된 사권취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는 기본적으로 고뎃 롤러(godet roller)(300; 도 6 참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권취를 수행하는 제1데크(deck)(100)와, 상기 제1데크(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또다른 사권취를 수행하는 제2데크(200)와, 상기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에 설치된 보빈 홀더(bobbin holder)의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디바이스(center device)(160,26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제1데크(100)는 고뎃 롤러(300)의 하부인 메인 프레임(main frame)(101)에 상,하로 일정 거리 왕복 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박스(slide box)(11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박스(110)의 전방 일측에는 보빈에 실이 단단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프릭션 롤러 박스(friction roller box)(120)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실이 소정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트래버스 캠 박스(traverse cam box)(130)가 상호 수평하게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릭션 롤러 박스(120)의 하단 일측에는 프릭션 롤러(121)가 설치되어 보빈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130)에는 요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캠(131)과, 상기 요홈에 결합되어 캠(131)의 원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면서 실을 안내하는 트래버스 가이드(traverse guide)(132)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릭션 롤러 박스(120) 및 트래버스 캠 박스(130)는 상기 슬라이드 박스(110)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1~+5°, 바람직하게는 +3.3°회전되어 설치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고뎃 롤러(300)부터의 실이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32)의 돌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입사하도록 상기 프릭션 롤러 박스(120) 및 트래버스 캠 박스(130)가 소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데크(100)는 상기 슬라이드 박스(110)의 하부에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리볼루션 드럼(revolution drum)(1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볼루션 드럼(140)의 상,하부에는 각각 보빈 홀더(141,1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보빈 홀더(141,142)에는 다수의 보빈이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130)에 의해 소정 위치로 안내되는 실은 상기 각각의 보빈에 권취되고, 이때 상기 권취되는 실 위에는 프릭션 롤러 박스(120)의 프릭션 롤러(121)가 접촉됨으로써, 실이 단단하고 촘촘하게 상기 보빈에 감기게 된다. 물론,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실의 권취량이 많아질 수록 상기 슬라이드 박스(210)는 점차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볼루션 드럼(140)에서 상부의 보빈 홀더(141)에 끼워진 보빈이 만권되면, 상기 리볼루션 드럼(140)이 대략 180°회전함으로써, 하부의 보빈 홀더(142)가 상부로 이동하여 그것에 끼워진 빈보빈에 연속적으로 실이 권취된다.
더욱이, 상기 리볼루션 드럼(140)의 하부에는 제1푸셔 디바이스(pusher device)(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푸셔 디바이스(150)는 하부로 이동된 만권 보빈을 보빈 홀더(141)에서 빼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푸셔 디바이스(150) 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2데크(200)는 상기 제1데크(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또다른 보빈에 고뎃 롤러(300)부터의 실이 권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2데크(200)는 상기 제1데크(100)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박스(210)가 프레임(202)에 결합되어 있고, 그 표면에 실이 단단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프릭션 롤러 박스(220) 및 실이 소정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트래버스 캠 박스(230)가 상호 수평하게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박스(210)의 하부에는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230)에 의해 안내된 실이 보빈에 권취되도록 다수의 보빈 홀더(241,242)가 장착되고, 보빈이 만권되면 일정 각도 회전하여 빈보빈에 자동적으로 실이 연속 권취되도록 하는 리볼루션 드럼(240)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리볼루션 드럼(240)의 하부 일측에는 만권 보빈을 보빈 홀더(242)로부터 제거하는 푸셔 디바이스(2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데크(10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하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데크(200)의 프릭션 롤러 박스(220) 및 트래버스 캠 박스(230)는 상기 슬라이드 박스(210)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1~-5°, 바람직하게는 -3.3°회전되어 설치됨으로써, 고뎃 롤러(101)부터의 실이 트래버스 캠 박스(230)에 설치된 트래버스 가이드(232)의 돌출 길이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데크(200)의 제2푸셔 디바이스(250)는 상기 제1데크(100)의 제1푸셔 디바이스(150)와 약간 다르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푸셔 디바이 스(250) 역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센터 디바이스(160)는 제1데크(100)의 보빈 홀더(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센터 디바이스(260)는 제2데크(200)의 보빈 홀더(2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 디바이스(160,260) 역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2 및 202는 센터 디바이스(160,260)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support plate)이고, 미설명 부호 203은 각종 스위치들이 설치된 스위치 박스(switch box)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고뎃 롤러(300)부터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로 안내되는 실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데크(100)의 리볼루션 드럼(140)의 중심(140c)과 상기 제2데크(200)의 리볼루션 드럼(240)의 중심(240c)이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리볼루션 드럼(240)의 중심(240c)은 대략 상기 리볼루션 드럼(140)의 반지름에 해당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보빈 홀더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보빈 홀더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보빈 홀더는 제1데크(100)에 두개, 제2데크(200)에 두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모두 동일한 구조를 하므로 제1데크(100)에 설치된 하나의 보빈 홀더(141)를 예로 하여 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홀더(141)는 일단에 풀리(pulley)(141_2)가 형성되고, 타단에 커플링(coupling)(141_3)이 형성된 모터(motor)(141_1)와, 상기 모터(141_1)의 커플링(141_3)에 결합되고, 내부에 다수의 슬라이드콘(slide corn)(141_4) 및 테퍼 피스(taper piece)(141_5)가 결합된 샤프트(shaft)(141_6)와, 상기 샤프트(141_6)의 끝단에 링 형태로 결합된 센터캡(center cap)(141_9)과, 상기 센터캡(141_9)의 내부에 베어링(bearing)(141_10)을 통하여 결합된 홀더(holder)(141_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141_11)은 센터 디바이스(예를 들면 16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끝단이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141_1)와 인접한 샤프트(141_6)에는 리볼루션 드럼(예를 들면, 도면 부호 140)에 결합되는 샤프트 커버(shaft cover)(141_12)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샤프트 커버(141_12)의 내측에서 베어링(141_14,141_15)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141_6)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샤프트 커버(141_12)는 일단이 모터(141_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141_6)의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드콘(141_4) 및 테퍼 피스(141_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141_7)이 결합된 소샤프트(141_8)가 더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공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콘(141_4) 및 테퍼 피스(141_5)가 보빈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공압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141_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콘(141_4) 및 테퍼 피스(141_5)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홀더(141)의 모터(141_1)중 풀리(141_2)에는 브레이크 디바이스(brake device)(144)가 더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144)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예를 들면 도면 부호 101)에 고정된 브라켓(bracket)(144_1)과, 상기 브라켓(144_1)에 스터드(stud)(144_2)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레이크암(brake arm)(144_3)과, 상기 브레이크암(144_3)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풀리(144_2)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144_4)과, 상기 브레이크암(144_3)의 하단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101에 결합된 앵글(angle)(144_5)과, 상기 앵글(144_5)에 결합된 동시에 일단에 돌기(144_6)가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암(144_3)을 상기 풀리(141_2)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144_7)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보빈 홀더(141)의 회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에어 실린더(144_7)로 공압을 제공하면 상기 에어 실린더(144_7)의 돌기(144_6)가 상부로 돌출한다. 그러면, 상기 돌기(144_6)가 스터드(144_2)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브레이크암(144_3)을 상부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암(144_3)에 결합된 브레이크 라이닝(144_4)이 풀리(141_2)에 밀착됨으로써, 결국 보빈 홀더(141)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제1푸셔 디바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제1푸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1푸셔 디바이스(150)는 보빈 홀더(141,142)의 하단에 플레이트(151)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51)를 관통하여 상기 보빈 홀더와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샤프트(153b)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샤프트(153b)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151)를 관통하여 에어 실린더(152) 및 이동 샤프트(153a)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실린더(152) 및 이동 샤프트(153a)의 끝단에는 상기 보빈 홀더에 끼워진 만권 보빈 또는 불량 보빈을 외측으로 밀어 꺼내기 위해 푸셔(154)가 연결플레이트(156)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이동 샤프트(153a)는 수평 이동이 양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51)에 고정된 리니어 부시(liner bush)(155)에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푸셔(154) 및 연결 플레이트(156)는 평상시 권취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메인 프레임(102)에 거의 밀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2a는 에어 실린더(152)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 샤프트(153b) 위에서 이동 샤프트(153a)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연결 샤프트이고, 미설명 부호 157은 메인 프레임(201)에 상기 고정 샤프트(153b)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제2푸셔 디바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평면도이며, 도 4c 및 도 4d는 제2푸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2푸셔 디바이스(250)는 평판 형태의 레일 플레이트(rail plate)(251)가 보 빈 홀더(241,242)의 길이 만큼 돌출되어 메인 프레임(20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 플레이트(251)의 후방 내주연에는 인너 커버(inner cover)(252)로 감싸여진 한쌍의 에어 실린더(253a,253b)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너 커버(252)의 전,후방 양측면에는 자신의 전,후 이동이 자유롭도록 플라스틱 볼 베어링(254)이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인너 커버(252)의 전방에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아웃터 커버(outer cover)(255)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터 커버(255)의 전,후방 측면에는 자신의 전,후 이동이 자유롭도록 롤러(256)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커버(255)의 전방에는 만권 보빈 또는 불량 보빈을 일측으로 밀어 꺼낼 수 있도록 푸셔(257)가 연결 플레이트(259)에 의해 상기 아웃터 커버(255)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플레이트(251)의 중앙에는 상기 플라스틱 볼 베어링(254)이 안정하게 전,후방으로 안내되도록 평판형 레일(258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평판형 레일(258a)의 양측 외주연에는 상기 롤러(256)가 안정하게 전,후방으로 안내되도록 롤러 레일(258b)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레일(258a)은 상기 롤러 레일(258b)의 길이에 비해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레일 플레이트(251)의 후단과 거의 일치한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에어 실린더(253a,253b)는 일측 에어 실린더(253a)의 후단 즉, 연결 샤프트(253a')가 레일 플레이트(251)의 후단에 고정판(251a)을 통하여 고정된 동시에, 에어 실린더(253a)의 전단은 인너 커버(255)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 에어 실린더(253b)의 전방 즉, 연결 샤프트(253b')가 아웃터 커버(255)의 전방에 결합되고, 그 에어 실린더(253b)의 후방은 인너 인너 커버(255)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에어 실린더(253a,253b)가 1스트로크씩 별도로 이동됨으로써, 결국 2스트로크 이동되어, 원하는 돌출 길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센터 디바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측면도이며, 도 5c는 정단면도이다.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에는 각각 보빈 홀더(141,241)의 끝단을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디바이스(160,2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두개의 센터 디바이스는 형태가 거의 같으므로 하나의 센터 디바이스(160)를 예로 하여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센터 디바이스(160)는 보빈 홀더(141)의 끝단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서포트 플레이트(support plate)(102)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2)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 홀더(141)에까지 연장된 암(arm)(161)과, 상기 암(141)에 결합된 에어 실린더(162)와, 상기 에어 실린더(162)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이 가능한 윙(wing)(163)과, 상기 윙(163)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암(161)을 관통하는 푸싱 바디(pushing body)(164)와, 상기 푸싱 바디(164)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 홀더(141)에 접촉 및 분리되는 푸셔(16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암(161)에는 부싱(bushing)(166)이 형성된 튜브(tube)(167)가 결합되고, 상기 튜브(167)의 부싱(166) 내부에 상기 푸싱 바디(164)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푸셔(165)와 푸싱 바디(164) 사이에는 베어링(168)이 더 개재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9는 커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데크(100) 및 제2데크(200)가 하나의 고뎃 롤러(300)부터 각각 실(301,302)을 공급받는다.
먼저, 제1데크(100)의 프릭션 롤러 박스(120)와 트래버스 캠 박스(130) 사이로 실(301)이 안내된다. 그러면, 트래버스 가이드(132)의 일정 폭을 갖는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실(301)도 일정 폭의 경로를 가지며 배출된다. 물론, 이러한 트래버스 가이드(132)는 캠(131)의 요홈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그 캠(131)의 원운동이 트래버스 가이드(132)의 직선 운동으로 구현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릭션 롤러 박스(120) 및 트래버스 캠 박스(130)는 슬라이드 박스(110)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1~+5°바람직하게는 +3.3°회전되어 설치됨으로써, 그 실(301)이 트래버스 가이드(132)의 돌출 길이에 대하여 직선으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실 안내가 정확히 수행된다.
한편,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132)를 통과한 실(301)은 리볼루션 드럼(140)의 상부 보빈 홀더(141)에 끼워진 보빈(도시되지 않음)에 귄취된다. 물론, 상기 보빈 홀더(141)는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 회전함으로써, 그것에 끼워진 보빈에 실(301)이 고속으로 권취된다. 더욱이, 이때 상기 프릭션 롤러 박스(120)의 롤러(121)는 상기 보빈 위의 권취된 실(301)을 눌러 줌으로써, 보빈에 실(301)이 촘촘하고 단단하게 감기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상부 보빈 홀더(141)에 끼워진 보빈이 만권되면, 상기 리볼루션 드럼(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80°회전함으로써, 만보빈은 하부에 위치되고, 빈보빈은 상부로 이동하여 그것에 계속 실(301)이 권취된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의 만보빈은 제1푸셔 디바이스(150)에 의해 보빈 홀더(141)로부터 모두 꺼내어 진다. 즉, 에어 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해 연결 샤프트(152a) 및 이동 샤프트(153a)가 보빈 홀더(14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면, 연결플레이트(156)에 의해 결합된 푸셔(154)도 함께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푸셔(154)에 의해 만보빈이 상기 보빈 홀더(141)로부터 외측으로 순차 빠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만보빈 상태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실 권취 작업중 실이 끊어지거나 기타 권취 불량이 발생했을 경우 리볼루션 드럼(140)이 회전하게 되고, 이후 상기 푸셔 디바이스(150)가 작동함으로서, 그 불량 보빈을 보빈 홀더(141)로부터 함께 꺼내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제1푸셔 디바이스(150)는 상술한 푸셔(154) 및 플레이트(151)가 실 권취중에는 메인 프레임(101)에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제2데크(200)로 안내되는 실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2데크(200)도 상기 하나의 고뎃 롤러(300)부터 다른 실(302)을 공급받아 실 권취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권취 작용 및 만보빈의 꺼냄 작용은 위와 유사하므로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데크(100)에 설치된 리볼루션 드럼(140)의 외주연 접선에 제2데크(200)에 설치된 리볼루션 드럼(240)의 중심점이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1데크(100)와 제2데크(200)로 안내되는 실은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술한 제1데크(100)의 리볼루션 드럼(140)은 만보빈의 교체시 도면상 대략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만보빈이 제2데크(200)로 안내되는 실(302)과 간섭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제2데크(200)의 프릭션 롤러 박스(220) 및 트래버스 캠 박스(230)는 슬라이드 박스(210)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1~-5°바람직하기로는 -3.3°회전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302)은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230)에 설치된 트래버스 가이드(232)의 돌출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데크(200)로 안내되는 실은 프릭션 롤러(256)에 접촉하면서 보빈 홀더(241)에 끼워진 보빈에 정확하게 안내되어 권취된다.
한편, 위와 같이 상부의 보빈이 만권되면 리볼루션 드럼(240)이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한 후 빈보빈에 실이 연속적으로 권취된다.
이후, 제2푸셔 디바이스(250)가 작동하는데, 이러한 제2푸셔 디바이스(250)의 작동은 제1데크(100)의 제1푸셔 디바이스(150) 구조와 상이하므로 그 작동 역시 상이하다.
먼저, 먼저 한쌍의 에어 실린더(253a,253b)가 작동한다.
즉, 일측의 에어 실린더(253a)에 장착된 연결 샤프트(253a')가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결국 인너 커버(252) 및 아웃터 커버(255)가 전방으로 1스트로크 이동된다. 물론, 이때 인너 커버(252)의 플라스틱 볼 베어링(254)은 평판형 레일(258a)을 따라, 아웃터 커버(255)의 롤러(256)는 롤러용 레일(258b)을 따라 전진한다.
계속해서, 다른 에어 실린더(253b)에 장착된 연결 샤프트(253b')가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결국 인너 커버(252)는 정지한 상태에서 아웃터 커버(255)가 1스트로크 더 전진한다. 이러한 작용은 에어 실린더(253b)의 후단은 인너 커버(252)의 후단에 결합되고, 전단의 연결 샤프트(253b')는 아웃터 커버(255)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동작이다.
물론 이때 상기 아웃터 커버(255)에 장착된 롤러(256)는 롤러용 레일(258b)을 따라 전진한다.
한편, 상기 아웃터 커버(255)와 이것의 전방에 연결 플레이트(259)를 통하여 결합된 푸셔(257)도 전방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푸셔(257)는 보빈 홀더(241)에 끼워진 만보빈을 바깥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결국 제2데크(200)로부터 만보빈을 배출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제2데크(200)의 푸셔 디바이스(250) 역시 만보빈 상태에서만 작동하는 것은 아니며, 실 권취 작업중 실이 끊어지거나 기타 권취 불량이 발생했을 경우 리볼루션 드럼(240)이 회전하게 되고, 이후 상기 푸셔 디바이스(250)가 작동함으로서, 그 불량 보빈을 보빈 홀더(241)로부터 꺼내게 된다.
이어서, 상기 센터 디바이스(16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제1데크(100)와 제2데크(200)에 설치된 센터 디바이스(160)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제1데크(100)에 설치된 센터 디바이스(160)의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빈 홀더(141)는 다수의 빈보빈이 끼워진채, 리볼루션 드럼(140)의 180도 회전에 의해 대략 리볼루션 드럼(140)의 상부 영역에 위치된다.
그러면, 암(161)에 결합된 에어 실린더(162)로 공압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162)에 결합된 윙(163)이 일측으로 움직인다. 예를 들면, 도 5c에서 윙(163)이 상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윙(163)에 결합된 푸싱 바디(164) 역시 튜브(167)의 부싱(166)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푸싱 바디(16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그것에 결합된 푸셔(165)가 보빈 홀더(141)에 접촉한다. 즉, 상기 푸셔(165)는 보빈 홀더(141)의 홀더(141_11)에 접촉한다.
한편, 상기 푸셔(165)는 상기 푸싱 바디(164)에 베어링(168)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보빈 홀더(14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터 디바이스(160)가 보빈 홀더(141)의 끝단에 결합됨으로써, 보빈 홀더(141)가 매우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즉, 실 권취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보빈 홀더(141)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고 해도, 보빈 홀더(141)가 하부로 처지거나 또는 보빈 홀더(141)가 동축선상에서 어긋 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 권취 효율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보빈 홀더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보빈 홀더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제1푸셔 디바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제1푸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제2푸셔 디바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평면도이며, 도 4c 및 도 4d는 제2푸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중 센터 디바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측면도이며, 도 5c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데크 200; 제2데크
300; 고뎃 롤러 101,201; 메인 프레임
102,202; 서포트 프레임 110,210; 슬라이드 박스
120,220; 프릭션 롤러 박스 121,221; 프릭션 롤러
130,230; 트래버스 캠 박스 131,231; 캠
132,232; 트래버스 가이드 140,240; 리볼루션 드럼
141,241; 상보빈 홀더 142,242; 하보빈 홀더
150; 제1푸셔 디바이스 250; 제2푸셔 디바이스
150,260; 센터 디바이스

Claims (13)

  1. 고뎃 롤러의 하부에,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는 실이 단단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프릭션 롤러 박스 및 실이 소정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트래버스 캠 박스가 상호 수평하게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에 의해 안내된 실이 보빈에 권취되도록 다수의 보빈 홀더가 장착되고, 보빈이 만권되면 일정 각도 회전하여 빈보빈에 자동적으로 실이 연속 권취되도록 하는 리볼루션 드럼이 설치되며, 상기 리볼루션 드럼의 하부 일측에는 만권 보빈을 보빈 홀더로부터 제거하는 제1푸셔 디바이스가 설치된 제1데크와,
    상기 제1데크의 하부에,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박스에는 실이 단단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프릭션 롤러 박스 및 실이 소정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트래버스 캠 박스가 상호 수평하게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트래버스 캠 박스에 의해 안내된 실이 보빈에 권취되도록 다수의 보빈 홀더가 장착되고, 보빈이 만권되면 일정 각도 회전하여 빈보빈에 자동적으로 실이 연속 권취되도록 하는 리볼루션 드럼이 설치되며, 상기 리볼루션 드럼의 하부 일측에는 만권 보빈을 보빈 홀더로부터 제거하는 제2푸셔 디바이스가 설치된 제2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크의 프릭션 롤러 박스 및 트래버스 캠 박스는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1~+5°회전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데크의 프릭션 롤러 박스 및 트래버스 캠 박스는 상기 슬라이드 박스의 수직 이동 방향에 대하여 -1~-5°회전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크의 리볼루션 드럼의 중심과 상기 제2데크의 리볼루션 드럼의 중심은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는
    일단에 풀리가 형성되고, 타단에 커플링이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커플링에 결합되고, 내부에 다수의 슬라이드콘 및 테퍼 피스가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링 형태로 결합된 센터캡과,
    상기 센터캡의 내부에 베어링을 통하여 결합된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의 모터중 풀리에는 브레이크 디바이스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스터드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레이크암과,
    상기 브레이크 암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풀리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브레이크 라이닝과,
    상기 브레이크암의 하단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앵글과,
    상기 앵글에 결합된 동시에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암을 상기 풀리쪽으로 밀어내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크에 장착된 제1푸셔 디바이스는
    상기 보빈 홀더의 하단에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보빈 홀더와 평행하게 고정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샤프트의 반대측에는 에어 실린더 및 이동 샤프트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 실린더 및 이동 샤프트의 끝단에는 상기 보빈 홀더에 끼워진 만권 보빈 또는 불량 보빈을 일측으로 밀어 꺼내기 위해 푸셔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 샤프트는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된 리니어 부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크에 장착된 제2푸셔 디바이스는 평판 형태의 레일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 내주연에는 인너 커버로 감싸여진 한쌍의 에어 실린더가 장착되며, 상기 인너 커버의 전,후방에는 자신의 전,후 이동이 자유롭도록 플라스틱 볼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방으 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의 아웃터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후방에는 자신의 전,후 이동이 자유롭도록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전방에는 만권 보빈 또는 불량 보빈을 일측으로 밀어 꺼내기 위해 푸셔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기 플라스틱 볼 베어링을 안내하기 위한 평판형 레일이 더 설치되고, 상기 평판형 레일의 양측 외주연에는 상기 롤러를 안내하기 위한 롤러 레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에어 실린더는 일측 에어 실린더의 후단이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고, 나머지 타측 에어 실린더의 전방이 아웃터 커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2개의 에어 실린더 작동에 의해 푸셔가 2 스트로크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크 및 제2데크에는 각각 보빈 홀더의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센터 디바이스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디바이스는
    상기 보빈 홀더의 끝단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 홀더에까지 연장된 암과,
    상기 암에 결합된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이 가능한 윙과,
    상기 윙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암을 관통하는 푸싱 바디와,
    상기 푸싱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 홀더에 접촉 및 분리되는 푸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에는 부싱이 형성된 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튜브의 부싱 내부에 상기 푸싱 바디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와 푸싱 바디 사이에는 베어링이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KR1020070106465A 2007-10-23 2007-10-23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KR10093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65A KR100936247B1 (ko) 2007-10-23 2007-10-23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JP2007309388A JP2009102162A (ja) 2007-10-23 2007-11-29 二重デッキを有する糸巻取装置
CNA2007101952488A CN101417760A (zh) 2007-10-23 2007-12-04 具有两层层面的绕线装置
TW096146401A TW200918434A (en) 2007-10-23 2007-12-05 Two-decked line win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65A KR100936247B1 (ko) 2007-10-23 2007-10-23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998A true KR20090040998A (ko) 2009-04-28
KR100936247B1 KR100936247B1 (ko) 2010-01-12

Family

ID=4062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465A KR100936247B1 (ko) 2007-10-23 2007-10-23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02162A (ko)
KR (1) KR100936247B1 (ko)
CN (1) CN101417760A (ko)
TW (1) TW2009184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9249A (zh) * 2021-02-26 2021-06-08 易俊吉 可避免针线纺织无法固定的针线纺织加工用切割机构
CN113336003A (zh) * 2021-06-30 2021-09-03 陈小苑 一种转动式锦纶长丝收卷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8369B (zh) * 2015-06-29 2017-12-01 新华都特种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包带机的辅助定位机构
KR102073909B1 (ko) * 2018-04-11 2020-02-05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권폭 조정 장치
JP2023135874A (ja) * 2022-03-16 2023-09-29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7270A (ja) * 1988-04-16 1989-10-25 Teijin Seiki Co Ltd ターレット型自動切替え糸条巻取機
JPH06211431A (ja) * 1993-01-18 1994-08-02 Murata Mach Ltd 紡糸巻取機のパッケージ排出装置
JP4128367B2 (ja) 2002-02-12 2008-07-30 Tstm株式会社 レボルビング型自動巻取機
KR100554063B1 (ko) * 2004-02-09 2006-02-22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9249A (zh) * 2021-02-26 2021-06-08 易俊吉 可避免针线纺织无法固定的针线纺织加工用切割机构
CN113336003A (zh) * 2021-06-30 2021-09-03 陈小苑 一种转动式锦纶长丝收卷设备
CN113336003B (zh) * 2021-06-30 2022-08-26 陈小苑 一种转动式锦纶长丝收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02162A (ja) 2009-05-14
KR100936247B1 (ko) 2010-01-12
CN101417760A (zh) 2009-04-29
TW200918434A (en) 200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247B1 (ko)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JP5615743B2 (ja) 紡糸巻取機
JP5740000B2 (ja) 線材を線材加工機に送給する装置
CN110869302B (zh) 卷绕机
US20050161550A1 (en) Traverse apparatus
JP5065290B2 (ja) 巻取機
JP2018514486A (ja) 巻取り機
CN102839451B (zh) 中空导向轴体单元、气流纺纱装置及纺纱机械
JP2013544650A5 (ko)
JP2009126711A (ja) ツインドラムワインダー
US20130118122A1 (en) Sleeving device, method and mandrel for arranging sleeves around products
CN101736460A (zh) 涂蜡装置
JP2011105472A (ja) ボビンホルダ
CN110267894B (zh) 卷绕机
US9884739B2 (en) Method for removal of yarn, especially faulty yarn, from inter-storage of yarn at operating unit of textile machin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0137987A (ja) 最内外層のバンチ形成を防止できる糸巻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糸移動方法
KR100554063B1 (ko)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US9365388B2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winding up a thread
JP5647563B2 (ja) 糸条巻取機
CN101970327B (zh) 氨纶丝卷绕头
KR200350832Y1 (ko)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KR102252716B1 (ko)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KR200384520Y1 (ko) 이중 데크를 갖는 사 권취 장치의 보빈 처짐 방지 장치
CN107487664B (zh) 夹线装置
JP7176052B2 (ja) 糸巻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