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752A -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752A
KR20090039752A KR1020097002590A KR20097002590A KR20090039752A KR 20090039752 A KR20090039752 A KR 20090039752A KR 1020097002590 A KR1020097002590 A KR 1020097002590A KR 20097002590 A KR20097002590 A KR 20097002590A KR 20090039752 A KR20090039752 A KR 20090039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crk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183B1 (ko
Inventor
마티아스 델프
게르하르트 에세르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3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02Fuel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연료 펌프와 연료 축적기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료 펌프는 구동측이 캠축 또는 크랭크축과 커플링되고, 상기 연료 축적기는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연료 축적기에는 상기 연료 축적기 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가 할당된다. 내연 기관의 각 사이클에 제1 및 제2 크랭크축 회전(CRK_R1, CRK_R2)이 할당된다.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에 따라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구동측(drive side)이 캠축과 커플링되는 연료 펌프와, 연료 펌프에 의해 공급되고 연료 축적기 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가 할당되는 연료 축적기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 동작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은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과 커플링되는 캠축을 구비한다. 4 행정 내연 기관의 하나의 사이클은 흡입, 압축, 팽창 및 배출 행정들을 포함한다. 4 행정 내연 기관의 하나의 사이클은 720도에 해당하는 크랭크축 각을 요하고 따라서 제1 및 제2 크랭크축 회전을 요한다. 크랭크축 각을 감지하기 위하여, 증분형(incremental) 위치 센서들이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데, 증분형(incremental) 위치 센서는 예를 들어 특정한 수의 이(teeth)와 측정 신호가 예를 들어 각 이를 나타내는 센서 요소를 구비하는 톱니 바퀴(toothed wheel)로서 구성된 픽업 휠(pickup wheel)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 요소들은 예를 들어 홀 원리(Hall principle)에 따라서 기능하는 센서들이다. 크랭크축의 기준 위치를 설정(establish)하기 위하여, 픽업 휠은 일반적으로 두 이 사이에 더 확장된 갭(enlarged gap)을 갖는다. 단지 크랭크축 각 센서로부터의 측정 신호만을 기초로 하여서는 각 사이클 내에서 크랭크축이 어떤 회전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는데, 이 정보는 내연 기관의 구동에 있어서 중요하다.
내연 기관이 어떤 사이클 내에서 두 크랭크축 각 회전들 중 어느 것을 행하고 있는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캠축 각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축 상의 참조 위치 마크(reference mark)와 캠축 상의 참조 위치 마크 사이의 위상(位相, phase)을 조정하기 위하여 크랭크축의 특정한 위치에서 조정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DE 101 08 055 C1에 개시된 크랭크축과 관련하여 캠축의 위상 위치(phase position)를 결정하는 방법에서 감지된 캠축 각과 감지된 크랭크축 각에 따라서 위상 위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항들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이로운 구성들이 종속항들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은 구동측이 캠축 또는 크랭크축과 커플링된 연료 펌프와, 연료 펌프에 의해 제공되고 연료 축적기 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가 할당되는 연료 축적기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과 상응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크랭크축 각 회전이 내연 기관의 각 사이클에 할당된다. 내연 기관에서 캠축과 크랭크축이 커플링된다.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연료 저장소(fuel reservoir) 내에서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에 의존하여,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가가 확인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 및 제2 크랭크축 회전 각각을 단순하고 신뢰성 있게 할당할 수 있고 이로써 또한 동기화가 가능한데, 이것은 이후의 동작(further operation) 동안 단지 크랭크축 각 센서로부터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측정 신호만을 기초로 하여 각 사이클 내의 각 크랭크축 각을 할당할 수 있고 이로써 또한 제1 및 제2 크랭크축 회전을 할당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어떤 크랭크축 각 센서도 제공되지 않았거나 크랭크축 각 센서가 예를 들어 에러(failure)로 인하여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이롭다. 연료 저장소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프로세스는 특히 데이터의 임시 저장과 관련하여 특히 컴퓨터 또는 메모리 유닛으로 데이터를 읽어내는 것(read into)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를 감지하여, 연료 축적기 내에서 압력 증가가 발생하는 내연 기관의 동작 상태 동안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가 이 동작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크랭크축 회전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현저하게 특징적임이 보여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를 감지하여, 내연 기관이 시동되는 시간 근방에서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내연 기관이 시동되는 시간 근방 및 특히 내연 기관의 시동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연료 축적기 내에서 큰 압력 증가가 발생한다는 사실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를 감지하여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하기 전에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에서 연료 축적기 내의 압력이 감소한다. 이로써 이것은, 내연 기관이 제1 또는 제2 크랭크축 회전 중인가를 확인하는 것과 관련하여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의 특징적인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부작용을 동반하는 후속적인 압력 증가에 대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압력이 감소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이 각각의 크랭크 축 회전에 특징적인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를 감지하여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하는 사이클과 반드시 직접적으로 접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크랭크 축 회전에 특징적인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를 감지하여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하기 전에 크랭크축에 대한 캠축의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드라이브(adjustment drive)를 기준 위치로 조절한다. 이것은 특히 단순하고 신뢰성있게 또한 조정가능한 위상을 가진 내연 기관에서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의 함수로서 특성 데이터가 결정되고 특성 데이터와 기결정된 임계치의 비교의 함수로서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단순하게 실행된다.
이런 맥락에서 바람직하게는 유체 온도에 특징적인 변수의 함수로서 임계치가 결정된다. 이것은 크랭크축이 제1 크랭크축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특히 단순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에 의존하여 각 경우에서 크랭크축의 일 회전과 관련된 특정한 크랭크축 각 윈도우 이내에서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한다. 이것은 특히 단순하게 실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연료 축적기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에 의존하여 각 경우에서 크랭크축의 일 회전과 관련된 특정한 시간 윈도우 이내의 특정한 시간 길이 후에 기준 각을 참조하여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 중인지를 확인한다.
이하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내연 기관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a further view of elements)이다.
도 3은 내연 기관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제1 순서도이다.
도 4는 내연 기관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제2 순서도이다.
도 5는 신호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 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들(elements of the same construction or function)을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지칭하였다.
내연 기관(도 1)은 흡입 트랙(1), 엔진 블록(2), 실린더 헤드(3), 배기 트랙(4) 및 연료 공급 유닛(5)을 포함한다.
엔진 블록(2)은 피스톤들(6)과 피스톤들(6)과 크랭크축(9)을 커플링하는 커넥팅 로드들(8)을 구비하는 수 개의 실린더들(Z1 내지 Z4)을 포함한다.
실린더 헤드(3)는 가스 흡입 밸브(11)와 가스 배기 밸브(13)를 구비하는 밸브 기어를 포함한다. 가스 흡입 밸브(11)와 가스 배기 밸브(13)는 캠축에 의해 구동되는데, 캠축 상에는 가스 흡입 밸브(11)와 가스 배기 밸브(13)에 충격을 가하는(impact) 가스 배기 밸브 캠들(17)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캠축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하나는 가스 흡입 밸브(11)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가스 배기 밸브(13)에 할당된다.
가스 흡입 밸브(11) 및/또는 가스 배기 밸브(13) 구동 장치(drive)는 캠축(16)과 크랭크축(9)에 커플링된 조정 장치(19)(adjustment device)를 캠축(16) 이외에 포함할 수 있다. 조정 장치(19)(도 2)에 의해 크랭크축(9)과 캠축(16) 간의 위상(位相, phase)이 조정될 수 있다.
실린더 헤드(3)는 분사 밸브(15)와 바람직하게는 스파크 플러그(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와 달리 분사 밸브는 흡입 트랙(1)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연료 공급 유닛(5)은 제1 연료 라인을 매개로 저압 펌프(21)에 연결된 연료 탱크(20)를 포함한다. 저압 펌프(21)의 출력 측(outlet side)에서 고압 펌프(27)의 입력부(25)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저압 펌프(21)의 출력 측에서 기계적인 레귤레이터(23)가 제공되는데, 기계적인 레귤레이터(23)는 출력 측에서 다른 연료 라인을 매개로 탱크에 연결된다.
기계적인 레귤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단방향 밸브(nonreturn valve, 체크 밸브) 유형의 단순한 스프링-로드 밸브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스프링 상수는 입력부(25)에서의 압력이 특정한 저압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선택된다. 저압 펌프(21)는 바람직하게는 저압 펌프(21)의 동작 동안 항상 충분히 많은 연료량을 전달하여서 압력이 특정한 저압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입력부(25)는 3/2-방향 밸브로 구성되는 밸브(31)에 연결된다.
또한, 고압 펌프(27)가 제공되는데, 왕복 피스톤 펌프로서 구성되고 밸브(31)와 연결된다. 또한, 입력부(33)는 밸브(31)를 통해 연료 축적기(29)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압 펌프(27)는 캠축(16) 회전에 의해 주기적으로(cyclically) 왕복운동하고, 이 목적으로 제공되는 펌프 캠(35)에 의해 구동된다. 설계에 따라서, 고압 펌프(27)는 수 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캠축의 한도를 넘어 많은 수 개의, 예를 들어 세 개의 펌프 캠들이 고압 펌프(27)의 각 실린더가 캠축(16)의 일 회전 동안 상응하는 수의 스트로크들을 행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캠(35)이 크랭크축(9)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크랭크축(9) 상에 배치된 펌프 캠(들)에 의해 고압 펌프(27)가 구동될 수 있다.
밸브(31)의 제1 스위치 위치에서 고압 펌프(27)는 입력부(25)에 수력학적으로(hydraulically) 연결된다. 따라서 피스톤의 흡입 이동(suction movement) 동안 입력부(25)로부터 연료를 흡입한다. 이 스위치 위치에서 피스톤의 배출 행정(expulsion stroke) 동안 입력부(25)로 연료가 되돌려지도록 압력을 가한다.
밸브(31)의 제2 스위치 위치에서 고압 펌프(27)는 입력부(33)를 거쳐 연료 축적기(29)에 수력학적으로 연결된다. 고압 펌프(27)에 의해 전달되는 유량, 즉 하나의 실린더 세그먼트 주기(cylinder segment period) 동안 고압 펌프(27)에 의해 연료 축적기(29)로 펌핑되는 연료 체적은 밸브(31)의 스위치 위치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화시키는 스위치 신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펌프의 유량은 두 다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먼저, 배출 사이클의 시작에서 고압 펌프(27)가 입력부(33)를 통해 연료 축적기(29)에 수력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원하는 연료 체적을 전달하기로 예정된 크랭크축 각에서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고 그 결과 이 시점으로부터 적시에 고압 펌프(27)가 입력부(25)에 수력학적으로 연결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와 달리, 고압 펌프(27)의 배출 행정이 시작된 후에 특정한 크랭크축 각에서 고압 펌프(27)가 입력부(25)와 수력학적으로 연결되어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면 스위치 신호는 고압 펌프(27)가 밸브를 매개(31)로 입력부(33)를 거쳐 연료 축적기(29)에 커플링되도록 한다.
분사 밸브들(15)은 연료 축적기(29)와 연결된다. 그라면 연료 축적기(29)를 통해 분사 밸브들(15)에 연료가 공급된다.
또한, 제어 장치(37)가 제공되는데, 제어 장치(37)에 다양한 측정된 변수들 을 감지하고 각 경우에서 상기 측정된 변수의 측정치를 결정하는 센서들이 할당된다. 동작 변수들은 상기 측정된 변수들로부터 도출되는 변수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동작 변수들에 의존하여 제어 장치(37)는 활성화 변수들을 결정하는데, 활성화 변수들은 이후 상응하는 액츄에이터 드라이브들(actuator drives)을 사용하여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또는 수개의 활성화 신호들로 변환된다. 제어 장치(37)는 또한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로서도 기술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데, 입출력 인터페이스들은 예를 들어 A/D 컨버터들을 포함하고 상응하는 데이터 또는 이와 함께 컴퓨터 유닛의 구성 요소들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센서들은 가스 페달(39)의 페달 위치를 감지하는 페달 센서(41), 크랭크축 각을 감지하는 크랭크축 각 센서(43), 캠축 각을 감지하는 캠축 각 센서(45), 및 연료 축적기(29)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연료압 센서(47)이다. 측정 신호는 연료 축적기(29) 내의 측정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에 할당된다. 또한, 내연 기관의 냉각제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47)와 연료 축적기(29) 내의 유체 온도(TF)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51)가 제공된다.
크랭크축 각 센서(43)는 바람직하게는 증분형 센서(incremental sensor)로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teeth), 특히 58개의 이(58 teeth)와 크랭크축 기준 위치(L)에서 특별히 큰 갭(extra-big gap)을 구비한 픽업 휠(pickup wheel)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요소로서 홀 기반 센서 요소(Hall-based sensor element)가 제공된다. 크랭크축 각 센서의 측정 신호에 따라, 갭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크랭크축 기준 위치(L)를 특히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것보다 센서들의 수가 적어질 수 있거나, 또는 부가적인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들은 예를 들어 쓰로틀 밸브, 가스 흡입 및 가스 배기 밸브(11, 13), 분사 밸브(15), 스파크 플러그 또는 밸브(31)이다. 밸브(31)를 이용하여 연료 축적기(29)에 유입되는 연료의 체적 흐름을 고압 연료 펌프와 연관된 전술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것이 달성된다. 그러나 다른 체적 흐름 제어 밸브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린더(Z1) 이외에, 내연 기관에는 다른 실린더들(Z2 내지 Z4)이 대개 존재하고, 다른 실린더들(Z2 내지 Z4)에는 상응하는 액츄에이터들 또는 이와 함께 센서들이 할당된다.
내연 기관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어 유닛(37)에 프로그램들이 저장되고, 내연 기관의 동작 동안 제어 유닛(37)에서 실행된다.
내연 기관 구동용의 제1 프로그램은 단계 S1(도 3)으로 시작하는데, 변수들이 초기화될수 있다.
단계 S2에서 크랭크축(39)이 각 사이클의 제1 크랭크축 회전(CRK_R1) 중인지 또는 각 사이클의 제2 크랭크축 회전(CRK_R2) 중인지의 할당(assignment)과 관련하여 동기화(SYN)의 필요 여부를 체크한다. 제1 크랭크축 회전(CRK_R1)은 예를 들어 차지(charge) 사이클 상사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크랭크축 회전(CRK_R2)은 예를 들어 점화 상사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단계 S4로 분기되어, 바람직하게는 단계 S4에서 프로세스가 다시 단계 S2로 계속되기 전에 특정한 대기 시간(T_W) 동안 머문다. 특정한 대기 시간은 또한 크랭크축(9) 회전에 의존할 수 있고, 또한 실제 조건들에 따라서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계 S2의 조건이 충족되면, 단계 S6에서 내연 기관이 어떤 동작 상태(operating phase) BP에 있는지와 압력 증가의 동작 상태 BP_P_UP에 있는지를 체크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이 시동되는 때와 근접한 경우이지만, 압력이 더 증가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
단계 S6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바람직하게는 단계 S8이 실행되는데, 내연 기관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요구 조건들이 충족되면, 동작 상태 BP가 압력 감소의 동작 상태 BP_P_RED로 조절된다. 이런 방식으로 연료 축적기(29) 내의 압력이 적절하게 감소될 수 있고 그 후 단계 S10에서 동작 상태 BP가 압력 증가의 동작 상태 BP_P_UP로 조절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 S6로 계속된다.
이와 달리, 단계 S6의 조건이 충족되면, 단계 S12에서 크랭크축 각 센서(43)로부터의 신호 CRK_S를 기초로 크랭크 축 기준 위치(L)을 확인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단계 S12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단계 S14로 분기되어, 대기 시간(T_W) 동안 머물 수 있는데, 여기서 대기 시간(T_W)은 단계 S4에서의 대기 시간(T_W)과는 다를 수 있다. 이후 프로세스는 다시 단계 S12로 계속된다.
이와 달리, 단계 S12의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단계 S16에서 특정한 크랭크축 각 윈도우 CRK_W의 시작이 확인될 때까지 머문다. 바람직하게는 크랭크 축 각 윈도우 CRK_W가 적절하게 특정되어, 크랭크축이 각 사이클의 제1 크랭크축 회전(CRK_R1) 또는 제2 크랭크축 회전(CRK_R2) 중인가에 따라서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가 특징적인 방식(characteristic way)으로 달라질 수 있다. 크랭크 축 각 윈도우 CRK_W의 적절한 폭과 위치는 미리 테스트를 통해 적절히 결정되고 특정될 수 있다.
단계 S18에서, 크랭크축 각 윈도우(CRK_W) 동안, 신호 시퀀스(P_F_S)가 감지되는데, 즉 특히 제어 장치(37)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예를 들어 컴퓨터 유닛으로(into) 읽혀질(read in) 수 있고, 그것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수개의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후 프로세스를 위하여 신호 시퀀스(P_F_S)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 장치(37)에 저장된다.
또한 이후 단계 S18에서 바람직하게는 계산 내역(calculation specification)에 따라서 이전에 감지된 신호 시퀀스(P_F_S)에 의존하여 특성치(KW)가 결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크랭크 축 각 윈도우(CRK_W) 동안 발생하는 압력 증가, 즉 상응하는 압력 차(pressure differential)가, 특성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후 단계 S20이 실행되는데, 연료 축적기 내의 유체 온도(29) 또는 그를 대신할 수 있는 변수에 의존하여 임계치(THD)가 결정된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특성 맵(characteristic map)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2에서 특성치(KW)가 특정된 임계치(THD)보다 큰지를 체크한다. 그러하다면 크랭크축이 각 사이클의 제1 회전(CRK_R1) 중임이 확인된다. 이와 달리 그렇지 아니하다면 크랭크축이 각 사이클 동안 제2 회전(CRK_R2) 중임이 확인된다. 특성치에 관한 계산 명세의 구성에 의존하여, 할당(assignment)은 그 반대(the other way round)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바람직하게는 동기화(SYN)가 발생하는 단계 S28이 실행되는데, 동기화(SYN)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검침(meter reading) 또는 다른 정보 상태(information status)를 업데이트해서, 후속 사이클들에서 단지 크랭크축 각 센서로부터의 측정 신호 시퀀스를 기초로 크랭크축(9)이 어떤 크랭크축 회전을 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스는 다시 단계 S4로 계속된다.
도 4는 내연 기관 구동용 프로그램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다. 단계들 S30 내지 S42는 도 3에서의 프로그램 단계들 S1 내지 S12에 상응한다. 아래 내용이 아니였으면 단계 S18에 상응하였을 단계 S48에서 제2 시간 구간(T2) 내에 신호 시퀀스(P_F_S)가 감지되기 전에, 프로그램이 처음에 특정한 제1 시간 구간(T1) 동안 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단계 S46은 단계 S16과 다르다. 단계들 S50 내지 S58는 단계 S20 내지 S28에 상응한다.
도 5에는 크랭크축 각(CRK_S) 시퀀스와 상응하는 크랭크축 기준 위치들(L)을 시간 t에 따라서 도시하였다. 또한, 시간에 따른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를 같이 도시하였는데, 그에 의하여 제1 및 제2 시간 구간들(T1, T2)이 연속적인 크랭크축 회전들에 대한 예시로서 보여진다. dP는 압력의 감지된 증가를 나타낸다.

Claims (10)

  1. 연료 펌프(27)와 연료 축적기(29)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연료 펌프(27)는 구동측(drive side)이 캠축(16) 또는 크랭크축(9)과 커플링되고, 상기 연료 축적기(29)는 상기 연료 펌프(27)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연료 축적기(29)에는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47)가 할당되고, 상기 내연 기관의 각 사이클에 제1 및 제2 크랭크축 회전이 할당되되,
    -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를 감지하여,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에서 압력 증가가 나타나는 상기 내연 기관의 동작 상태(BP) 동안 상기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를 감지하여, 상기 내연 기관이 시동되는 시간 근방에서 상기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를 감지하여 상기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기 전에, 상기 내연 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에서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랭크 축 회전에 특징적인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를 감지하여 상기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기 전에, 상기 크랭크축(9)에 대한 상기 캠축(16)의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드라이브(19)(adjustment drive)를 기준 위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시퀀스(P_F_S)에 의존하여 특성치(KW)를 결정하고, 상기 특성치(KW)와 특정한 임계치(THD)의 비교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온도(TF)에 특징적인 변수에 따라 상기 임계치(THD)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에 따라 각 경우에서 크랭크축(9)의 일 회전과 관련된 특정한 크랭크축 각 윈도우(CRK_W) 이내에서 상기 크랭크축(9)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에 의존하여 각 경우에서 크랭크축(9)의 일 회전과 관련된 특정한 시간 윈도우(T2) 이내의 특정한 시간 길이(T1) 후에 기준 각을 참조하여 상기 크랭크축(9)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방법.
  10. 연료 펌프(27)와 연료 축적기(29)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연료 펌프(27)는 구동측(drive side)이 캠축(16) 또는 크랭크축(9)과 커플링되고, 상기 연료 축적기(29)는 상기 연료 펌프(27)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연료 축적기(29)에는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47)가 할당되고, 상기 내연 기관의 각 사이클에 제1 및 제2 크랭크축 회전이 할당되되,
    - 상기 각각의 크랭크축 회전에 특징적인 상기 연료 축적기(29) 내의 감지된 압력의 신호 시퀀스(P_F_S)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이 제1 또는 제2 회전(CRK_R1, CRK_R2) 중인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
KR1020097002590A 2006-07-07 2007-05-21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 및 방법 KR101356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1569A DE102006031569B3 (de) 2006-07-07 2006-07-0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6031569.3 2006-07-07
PCT/EP2007/054893 WO2008003550A1 (de) 2006-07-07 2007-05-2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752A true KR20090039752A (ko) 2009-04-22
KR101356183B1 KR101356183B1 (ko) 2014-01-24

Family

ID=3835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590A KR101356183B1 (ko) 2006-07-07 2007-05-21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74281B2 (ko)
KR (1) KR101356183B1 (ko)
DE (1) DE102006031569B3 (ko)
WO (1) WO2008003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2866B2 (en) 2008-10-31 2012-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system diagnosis via fuel pressure switch
EP2634407A1 (en) * 2012-02-29 2013-09-04 Volvo Car Corporation Camshaft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FR3015575B1 (fr) * 2013-12-19 2019-04-1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position angulaire d'un moteur thermique
DE102014223322A1 (de) * 2014-11-14 2016-05-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der Pumpenorientierung einer Kraftstoffhochdruckpumpe
DE102015218258B4 (de) * 2015-09-23 2017-08-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Raildruckregelung eines Einspritzsystems
FR3072124B1 (fr) * 2017-10-09 2019-10-0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et systeme de detection du sens de rotation d'un moteur de vehicule
FR3072125A1 (fr) 2017-10-09 2019-04-12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et systeme de validation de la phase d'un moteur de vehicule
US10968852B2 (en) * 2018-03-14 2021-04-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filter diagnostics
WO2019199280A1 (en) * 2018-04-10 2019-10-17 CAREY, David Michael Adaptive high pressure fuel pump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pumped mas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949B2 (ja) * 1986-11-28 1996-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4サイクル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US5402675A (en) * 1990-01-26 1995-04-04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recognizing the power stroke of a four-stroke engine
DE4141713C2 (de) * 1991-12-18 2003-11-06 Bosch Gmbh Robert Geberanordnung zur Zylindererkennung und zum Notlaufbetrieb bei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n Zylindern
DE4306252C1 (de) * 1993-03-01 1994-05-19 Daimler Benz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verdichtenden mehrzylindrigen Einspritzbrennkraftmaschine
FR2734322B1 (fr) * 1995-05-15 1997-07-25 Magneti Marelli France Procede de reconnaissance de la phase des cylindres d'un moteur multicylindres a combustion interne a cycle a quatre temps
JP3478949B2 (ja) * 1997-07-22 2003-1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DE19934112A1 (de) * 1999-07-21 2001-01-25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rkennung und Beeinflussung der Phasenlage bei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023227A1 (de) 2000-05-12 2001-11-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stimmen der Position eines Kolbens einer 1-Zylinder-Hochdruckpumpe eines Kraftstoffzumesssystems einer direkteinspritzenden Brennkraftmaschine
DE10108055C1 (de) 2001-02-20 2002-08-08 Siemens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115262C2 (de) * 2001-03-28 2003-04-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Drehlage der Nockenwelle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141821C1 (de) * 2001-08-27 2003-04-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teuer- und/oder Regelgerät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US6804997B1 (en) 2003-08-14 2004-10-19 Kyle Earl Edward Schwulst Engine timing control with intake air pressure sensor
JP2005337031A (ja) * 2004-05-24 2005-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筒内燃料噴射式内燃機関の高圧燃料系異常診断装置
JP4111956B2 (ja) * 2005-01-14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7392790B2 (en) * 2006-01-20 2008-07-01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crossed electrical leads
DE602007005260D1 (de) * 2007-09-26 2010-04-22 Magneti Marelli Spa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Common-Rail-Direkteinspritzungsystems mit einer Hochdruckkraftstoffpumpe
US7624712B1 (en) * 2008-05-19 2009-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roach for engine start synchronization
US8033268B2 (en) * 2009-01-21 2011-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synchronous control of high-pressure pump for direct injection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31569B3 (de) 2008-03-27
US7874281B2 (en) 2011-01-25
WO2008003550A1 (de) 2008-01-10
US20090320795A1 (en) 2009-12-31
KR101356183B1 (ko) 201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83B1 (ko) 내연 기관 구동용 장치 및 방법
CN108350824B (zh) 组合识别内燃机活塞、入口阀和出口阀行程相位差的方法
CN109790789B (zh) 识别内燃机的入口阀行程和出口阀行程相位差的方法
JP6805339B2 (ja) 内燃機関の吸気弁ストローク位相差と排気弁ストローク位相差を、同じ振幅の線を用いて、組み合わせて識別する方法
CN102635453B (zh) 可变气门升程机构故障检测系统和方法
JP6785986B2 (ja) 内燃機関の弁駆動装置において生じている偏差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実施する電子的なエンジン制御機器
US6691024B2 (en) Contro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based on phase position of camshaft relative to crankshaft
US7438046B2 (en) Failure detection apparatus for variable valve timing and lift control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8469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7034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certaining a cylinder pressure feature
CN102042110B (zh) 汽缸压力测量系统和方法
US7512478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87641B2 (ja) 可変操作が可能な吸入弁を備え、空気−燃料比の自己調整制御を行い、制御機能を監視できる内燃機関
CN103674419A (zh) 检测测量液压阀致动系统压力的压力传感器故障的系统和方法
US6840228B2 (en) Filter processing device for detecting values of common rail pressure and common rail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US73028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hase position between a crankshaft and a camshaf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881184A (zh) 两级油控制阀诊断系统
JP4262752B2 (ja) 内燃機関の位相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5064075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090013947A1 (en) Simulated Cam Position for a V-Type Engine
RU268156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фактического такта в цилиндре двигателя с поступательно движущимися поршнями
JP2016098824A (ja) 内燃機関の弁制御時間を調整する方法
US11905902B2 (en) Method for managing start up of a four-stroke engine
US118794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otation of a camshaft of an engine
SE15513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a crankshaft rotational position sensor unit of a crank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