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547A -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547A
KR20090039547A KR1020070105260A KR20070105260A KR20090039547A KR 20090039547 A KR20090039547 A KR 20090039547A KR 1020070105260 A KR1020070105260 A KR 1020070105260A KR 20070105260 A KR20070105260 A KR 20070105260A KR 20090039547 A KR20090039547 A KR 20090039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lter
display device
resin
exter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320B1 (ko
Inventor
안덕기
손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320B1/ko
Priority to DE102008042873A priority patent/DE102008042873A1/de
Priority to US12/252,466 priority patent/US7824758B2/en
Priority to TW097140043A priority patent/TW200918964A/zh
Priority to JP2008269345A priority patent/JP5028380B2/ja
Priority to CNA2008101702843A priority patent/CN101414020A/zh
Publication of KR2009003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1Antistatic or EM shielding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3Optical louvre elements, e.g. for directional light blo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9Optical compon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the vessel
    • H01J2329/895Spectral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표시장치용 필터는 투명 고분자 수지 및 색보정 색소를 포함하는 기재;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외광 차폐 패턴; 및 기재 상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을 포함한다.
표시장치, 필터, 기재, 투명 고분자 수지, 색보정 색소, 외광 차폐 패턴

Description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FILTER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란 데스크탑 모니터 및 텔레비젼 등과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표시장치는 그 시장 및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경량박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를 대표했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이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로 대체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른 평판 표시장치에 비해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시야각 등과 같은 표시능력이 우수하여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평판 표시장치 중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배경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에 인가되는 직류 또는 교류 전압에 의하여 전극 사이의 가스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여기에서 수반되는 자외선의 방사에 의하여 형광체를 여기시켜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구현 원리 및 구동 특성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자파 및 근적외선의 방출량이 많다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무선 전화기나 리모콘 등과 같은 기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 등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표면반사방지 및 색순도 개선 등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전자파 및 근적외선 방출량의 억제, 표면반사방지 및 색순도 개선 등은 표시장치용 필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용 필터는,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표시 패널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표시장치용 필터는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기능을 갖는 다수의 층들이 기재 상에 적층되어야 한다. 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원가를 상승시킴으로써 다른 평판 표시장치와의 시장 경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장치용 필터의 기재로서, 일반적으로, 비중이 크고 두께가 두꺼우면서도 잘 휘어지지 않는 유리 등을 사용하므로, 상기 표시장치용 필터를 유 연한(flexible) 표시장치에 장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경량박형의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유연성이 확보된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는 투명 고분자 수지 및 색보정 색소를 포함하는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외광 차폐 패턴;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의 제조 방법은 투명 고분자 수지 및 색보정 색소를 포함하는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재의 일면에 외광 차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상에 전자파 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복합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박형의 표시장치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장치용 필터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유연한 표시장치에 대응 가능하다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는 표시장치용 필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필터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외에 다른 평판 표시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장치,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150)는 기재(152), 상기 기재(152)의 일면에 형성된 외광 차폐 패턴(154) 및 상기 기재(152)의 타면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15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 및 상기 전자파 차폐층(156)은 상기 기재(152)의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이때 그 적층 순서는 상관이 없다.
기재(152)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Z축 방향에 따른 기재(152)의 두께(T)는 200㎛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기재(152)의 전면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152)의 두께(T)가 200㎛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기재(152)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확보될 수 있는 한도내에서 기재(152)의 유연성 및 박형화를 최대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재(152)의 두께(T)가 5㎜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재(152)의 유연성, 박형화 및 광투과율을 확보하는 한도내에서 기재(152)의 기계적 물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기재(152)는 투명 고분자 수지 및 색보정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재(152)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란 용어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기재(152)의 헤이즈(haze)는 5%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는 JIS-K7136에 규정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기재(152)에 포함된 투명 고분자 수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기재(152)의 기본 구조를 이룬다.
상기 투명 고분자 수지는, 기본적으로,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으면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가벼우면서도 비용 및 취급성이 용이한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페놀계, 또는 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상기 투명 고분자 수지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투명 고분자 수지로는 내열성 및 유연성의 밸런스가 양호한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카르보네이트계가 바람직하고,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과 글리콜에 대하여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한 후, 중축합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으며, 중합체 칩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비스페놀이 용융물로 디아릴 카르보네이트와 반응하고 히드록시아릴을 방출하는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중합체 칩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재(152)에 포함된 색보정 색소는 네온 컷 색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네온 컷 색소와 더불어 다른 색소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색보정 색소가 네온 컷 색소를 포함하는 이유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표시 패널로부터 오렌지색이 강하게 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표시 패널 자체로부터 발산되는 광 및 외부로부터 입사된 후 표시 패널로 부터 반사되는 외광이 오렌지색을 띄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150)에서는 기재(152)가 550㎚ 내지 610㎚대의 파장을 가진 광을 10% 내지 90% 흡수할 수 있는 네온 컷 색소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네온광 방출의 감소를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네온 컷 색소로는 550㎚ 내지 610㎚대의 파장을 가진 광을 10% 내지 90% 흡수하기만 하면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시아닌계, 폴리메틴계, 스쿠아릴륨염계, 프탈로시아닌계, 나프탈로시아닌계, 퀴논계, 아자포르피린계, 아조계, 아조킬레이트계, 아즈레늄계, 피릴륨계, 크로코늄계, 인도아닐린킬레이트계, 인도나프톨킬레이트계, 디티올금속착체계, 피로메텐계, 아조메틴계, 크산텐계, 또는 옥소놀계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열분해 개시 온도를 조사하여 200℃ 이상에서 버틸 수 있는 것을 네온 컷 색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152)에 더 포함된 자외선 흡수제는, 구체적으로, 파장 380nm에서의 투과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390nm에서의 투과율이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파장 400nm에서의 투과율이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투명성의 관점에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공지된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 만, 그 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가 적합하며, 특히 내열성의 점에서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자외선 흡수제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외광 차폐 패턴(154)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광(EL)을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외광 차폐 패턴(154)은 상기 표시장치용 필터(150)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될 시, 표시 패널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광(IL) 중에서 일부 광(IL1)을 차단하고, 일부 광(IL2)을 외부로 전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외광 차폐 패턴(154)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 특히, 밝은 환경하에서의 명암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IL3은 표시 패널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광(IL) 중에서 표시장치용 필터(150)를 직접 투과하는 광을 나타낸다.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은 기재(152)의 내부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쐐기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X축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은 기재(15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은 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또는 무작위적인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때문에,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은 YZ 평면상, 즉, 외광 차폐 패턴(154)의 단면상에서 그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다리꼴형 및 무작위적인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은 외광(EL)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그 폭(W) 및 높이(H)의 비가 크면 클수록 좋으나, 기재(152)의 두께(T) 및 외광 차폐 패턴(154)의 피치 등을 고려하여 그 폭(W)에 대한 높이(H)의 비가 최소 5:1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은, 구체적으로, 자외선 경화성 고분자 수지 및 광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고분자 수지로 굴절율이 1.35 내지 1.6 사이의 값을 가지는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차단 물질로 카본 블랙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표면이 검게 처리된 물질, 또는 전도성 고분자 수지, 탄소 나노 튜브 등 검고 불투명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층(156)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도전성 메쉬 필름 또는 투명 도전막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파 차폐층(156)이 투명 도전막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파 차폐층(156)은 기재(152)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 및 상기 기재(152) 및 상기 투명 도전막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층은 투명 도전막의 화학적 안정성과 전도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경우에 따라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전자파 차폐층(156)의 투명 도전막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파 차폐층(156)을 구성하는 투명 도전막은 금속 박막, 고굴절율 투 명 박막 및 저굴절율 투명 박막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박막을 기본 구조로 하여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 박막을 사이에 두고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형성된 고굴절율 투명 박막 및 저굴절율 투명 박막을 기본 구조로 하여 사익 기본 구조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층 투명 도전막 중에서 금속 박막은 금, 은, 구리, 백금, 팔라듐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 박막은 높은 도전성은 얻을 수 있으며 넓은 파장영역에 걸친 금속의 반사 및 흡수에 의해 근적외선 차폐능이 높으나, 가시광선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상기 다층 투명 도전막 중에서 고굴절율 투명 박막은 인듐주석산화물, 주석산화물,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셀레늄, 산화알루미늄, 산화란탄, 세스퀴산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굴절율 투명 박막은 금속 박막을 사용한 것에 비해서 도전성이나 근적외선의 반사능력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투명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고굴절율 투명 박막의 “고굴절율”이란 그 굴절율이 1.5 내지 2.3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다층 투명 도전막 중에서 저굴절율 투명 박막은 금속 산화물, 불화물 미립자 및 비정질 불소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산화실리콘, 불화마그네슘, 불화칼슘, 불화리튬 등이 있다. 상기 비정질 불소 중합체의 예로는 다관능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비닐에테르에 장쇄 플루오로알키렌기, 플루오로시클로알키렌기 등을 도입한 것이 있다. 여기서, 저굴절율 투명 박막의 “저굴절율”이란 그 굴절율이 1.3 내지 1.6인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전자파 차폐층(156)은 표면반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전자파 차폐층(156)이 표면반사방지 기능을 갖는 대신에 상기 기재(152)가 표면반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52) 및 전자파 차폐층(156) 각각이 표면반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150)에서는 기재(152)로 투명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므로, 표시장치용 필터(150)의 경량박형을 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연한 표시장치에 대응가능한 표시장치용 필터(150)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재(152)가 투명성 이외에 색보정 기능을 가지므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복합 기능을 가진 표시장치용 필터(150)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장치용 필터(150) 및 그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150)는,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기재(152)의 기본 구조를 이룰 투명 고분자 수지에 네온 컷 색소를 혼합 용융한 후, 압출 방식을 이용하여 기재(152)를 제조함과 동시에 압출되어 나오는 기재(152)의 일면에 패턴롤(pattern roll)을 이용하여 외광 차폐 패턴(154)과 역상인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외광 차폐 패턴(154)과 역상인 패턴에 자외선 경화성 고분자 수지 및 광차단 물질을 충진한 후,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외광 차폐 패턴(154)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기재(152)의 타면에 전자파 차폐층(156)을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150)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개략적으로,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 상부를 덮는 커버(220), 상기 케이스(210) 내에 수용되는 구동 회로 기판(230), 가스방전현상이 일어나는 발광셀을 포함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240) 및 표시 패널(240)의 전면에 장착되는 표시장치용 필터(1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장치용 필터(150)의 전자파 차폐층(156)은 커버(220)를 통하여 케이스(210)와 접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240)로부터 발생된 전자파 및 근적외선 등이 시청자에게 도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 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필터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표시장치용 필터 152: 기재
154: 외광 차폐 패턴 156: 전자파 차폐층
2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10: 케이스
220: 커버 230: 구동 회로 기판
240: 표시 패널

Claims (7)

  1. 투명 고분자 수지 및 색보정 색소를 포함하는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외광 차폐 패턴;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투명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페놀계, 또는 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색보정 색소는 네온 컷 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네온 컷 색소는 시아닌계, 폴리메틴계, 스쿠아릴륨염계, 프탈로시아닌계, 나프탈로시아닌계, 퀴논계, 아자포르피린계, 아조계, 아조킬레이트계, 아즈레늄계, 피릴륨계, 크로코늄계, 인도아닐린킬레이트계, 인도나프톨킬레이트계, 디티올금속착체계, 피로메텐계, 아조메틴계, 크산텐계, 또는 옥소놀계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그 두께가 200㎛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 패턴은 그 단면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다리꼴형 및 무작위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그 폭에 대한 높이의 비가 5: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 및
    상기 기재 및 상기 투명 도전막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필터.
  7. 투명 고분자 수지 및 색보정 색소를 포함하는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재의 일면에 외광 차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상에 전자파 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필터의 제조 방법.
KR1020070105260A 2007-10-18 2007-10-18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99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60A KR100991320B1 (ko) 2007-10-18 2007-10-18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DE102008042873A DE102008042873A1 (de) 2007-10-18 2008-10-15 Filter für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12/252,466 US7824758B2 (en) 2007-10-18 2008-10-16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097140043A TW200918964A (en) 2007-10-18 2008-10-17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8269345A JP5028380B2 (ja) 2007-10-18 2008-10-20 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A2008101702843A CN101414020A (zh) 2007-10-18 2008-10-20 显示设备用滤波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60A KR100991320B1 (ko) 2007-10-18 2007-10-18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47A true KR20090039547A (ko) 2009-04-22
KR100991320B1 KR100991320B1 (ko) 2010-11-01

Family

ID=4056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260A KR100991320B1 (ko) 2007-10-18 2007-10-18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24758B2 (ko)
JP (1) JP5028380B2 (ko)
KR (1) KR100991320B1 (ko)
CN (1) CN101414020A (ko)
DE (1) DE102008042873A1 (ko)
TW (1) TW200918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51B1 (ko) * 2010-03-08 2012-03-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명실명암 향상 필름 및 이를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8853B2 (ja) * 2009-11-12 2012-02-29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962661B2 (ja) 2010-06-22 2012-06-27 東洋紡績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WO2012092028A1 (en) * 2010-12-30 2012-07-05 Hutton Richard W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high-resolution micro-machining of thin films for light pattern projection
KR101833582B1 (ko) 2011-05-18 2018-02-2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3차원 화상표시 대응 액정표시장치에 적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5472464B2 (ja) 2011-05-18 2014-04-16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KR101842495B1 (ko) 2017-03-13 2018-03-27 한국화학연구원 스쿠아릴륨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근적외선 차단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0883B2 (ja) * 2000-10-19 2010-09-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透視性電磁波シールド・近赤外線カッ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13242A (ja) * 2001-04-10 2002-10-25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82275B1 (ko) * 2002-11-06 2006-05-23 삼성코닝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40040497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26433A (ko) * 2003-09-01 2006-12-0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자파 차폐 필름
KR100780283B1 (ko) * 2004-09-01 2007-11-28 삼성코닝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654685B2 (ja) * 2004-12-28 2011-03-23 東洋紡績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およ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KR100709985B1 (ko) * 2005-01-04 2007-04-23 삼성코닝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011694B2 (ja) 2005-09-28 2012-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複合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0708745B1 (ko) * 2006-03-28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0969B1 (ko) * 2006-08-07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51B1 (ko) * 2010-03-08 2012-03-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명실명암 향상 필름 및 이를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98698A (ja) 2009-05-07
JP5028380B2 (ja) 2012-09-19
DE102008042873A1 (de) 2009-07-30
US20090104413A1 (en) 2009-04-23
US7824758B2 (en) 2010-11-02
TW200918964A (en) 2009-05-01
KR100991320B1 (ko) 2010-11-01
CN101414020A (zh)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995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含んだ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79713B1 (ko)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91320B1 (ko) 표시장치용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US7821185B2 (en) Display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313360A (ja) 外光遮蔽層、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及びこれを含んだ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436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52003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06153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921434B2 (ja) フィルム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1892746B1 (en) External light-shielding lay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434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94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102104B2 (en) Front-side filter and plasma display panel device including the front-side filter
JP4842392B2 (ja) 外光遮蔽層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9006509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KR1010724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JP2009175656A (ja) 光学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フィルタを備えるプラズマ表示装置
KR1010436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527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08155A (ko) 디스플레이용 필터, 그 제조방법 및 필터를 구비하는디스플레이장치
KR100809622B1 (ko)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52093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070073447A (ko) 외광 차폐층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필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