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877A -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 Google Patents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877A
KR20090038877A KR1020097001058A KR20097001058A KR20090038877A KR 20090038877 A KR20090038877 A KR 20090038877A KR 1020097001058 A KR1020097001058 A KR 1020097001058A KR 20097001058 A KR20097001058 A KR 20097001058A KR 20090038877 A KR20090038877 A KR 20090038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dge
hook
component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686B1 (ko
Inventor
야스히코 켄모치
아키요시 키노시타
나츠코 아오야기
카요코 타나카
유스케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38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adjustable open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08Combined with diverse faste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훅 구성 요소와 루프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에 있어서, 훅 구성 요소가 말리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훅 구성 요소를 루프 구성 요소로부터 이탈시킬 때 베이스 시트가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 파스닝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훅 가장자리부(17)와 루프 가장자리부(18)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에 있어서, 훅 가장자리부(17)는, 착용 물품의 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제1 시트부(11)와, 제1 시트부(11)의 외측 가장자리(13)에 연결되고, 측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시트부(12)와, 외측 가장자리(13)에 이격되어 연장되어 제1 및 제2 시트부를 접합시키는 접합 영역(14)과, 접합 영역, 제1 및 제2 시트부 및 외측 가장자리로 둘러싸이는 비접합 영역(15)을 구비하며, 훅 구성 요소(7)는, 외측 가장자리(13)에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16) 및 제2 가장자리(19)를 가지며, 제1 가장자리(16)가 접합 영역(14) 상에 위치하고, 제2 가장자리(19)가 비접합 영역(15)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훅 가장자리부(17)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닝 수단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FASTENING MEANS OF WEARING ARTICLE}
본 발명은 착용 물품의 앞뒤 허리 영역의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를 이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파스닝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저귀의 파스닝 수단에 관한 것이다.
착용 물품을 훅 구성 요소와 루프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메커니컬 파스너로 걸어 맞추는 파스닝 수단이 널리 이용되며,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앞뒤 허리 영역의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메커니컬 파스너로 연결하는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저귀에서는, 훅 구성 요소(107)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으면 피부를 자극하여 위화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 구성 요소(107)를 착용 물품(110)의 외측을 향하게 하는 파스닝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훅 구성 요소(107)를 외측을 향하게 한 파스닝 수단의 경우, 착용자가 몸을 비틀었을 때 등에, 훅 구성 요소(107)가 부착되어 있는 부착 시트(120)의 자유단(113)에 훅 구성 요소(107)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힘(F)이 가해지면, 도 5b와 같이 훅 구성 요소(107)가 말려서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도 5c와 같이, 훅 구성 요소(107)가 베이스 시트(105)를 통해 부착 시트(120)에 접합되고, 베이스 시트(105)가 그 이면에 기저귀에 대한 접합 영역(114)과 비접합 영역(115)을 가지며, 그 비접합 영역(115)은, 훅 구성 요소(107)의 자유단(113)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파스닝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이 파스닝 수단에 따르면, 훅 구성 요소(107)가 루프 구성 요소(108)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움직여도 루프 구성 요소(108)로부터 간단히 이탈되는 일은 없다.
특허 문헌1 : 특허 공표 제2002-532147호 공보(단락 0063, 도 4)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191908호 공보(단락 0010∼0011, 도 4)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 문헌 2의 파스닝 수단에 따르면, 베이스 시트(105)가 그 이면에 부착 시트(120)에 대한 접합 영역(114)과 비접합 영역(115)을 갖기 때문에, 고정된 훅 구성 요소(107)와 루프 구성 요소(108)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힘(F)이 가해졌을 경우, 도 5c와 같이, 접합 영역(114) 및 비접합 영역(115)과의 경계(127)로부터 자유단(113)에 이르는 사이의 부착 시트(120)가 변형됨으로써, 훅 구성 요소(107)가 말리는 것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파스닝 수단에서는, 훅 구성 요소(107)로부터 루프 구성 요소(108)를 이탈시킬 때, 훅 구성 요소(107)와 루프 구성 요소(108) 사이의 걸어 맞춤 강도가 베이스 시트(105)의 인열(引裂) 강도를 상회한 경우, 비접합 영역(115)에서는 훅 구성 요소(107)와 루프 구성 요소(108)가 이탈하지 않고, 베이스 시트(105)가 접합 영역(114)과 비접합 영역(115)의 경계(127)를 따라 찢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훅 구성 요소와 루프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에 있어서, 훅 구성 요소가 말리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루프 구성 요소를 훅 구성 요소로부터 이탈시킬 때 베이스 시트가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 파스닝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앞뒤 허리 영역의 한쪽이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제1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다른 쪽이며 제2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제2 허리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허리 영역 사이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과, 상기 제1 허리 영역의 상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훅 구성 요소를 갖는 훅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허리 영역의 상기 제2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루프 구성 요소를 가지며, 상기 훅 가장자리부와 이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루프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의 개량에 관계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훅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제1 시트부와, 상기 제1 시트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향해 연장되어 나오는 제2 시트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에 병행 또한 이격되어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를 접합시키는 접합 영역과, 상기 접합 영역,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및 상기 외측 가장자리로 둘러싸이는 비접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훅 구성 요소가, 상기 외측 가장자리에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제1 가장자리가 상기 접합 영역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가장자리가 상기 비접합 영역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시트부 및 상기 제2 시트부 중 어느 한쪽에 고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가 단일체의 시트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 요소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접혀져 상기 훅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비접합 영역 부분에, 상기 외측 가장자리와 평행한 방향 성분을 포함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훅 구성 요소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섬유 부직포는 모두 한 방향에 있어서의 인열 강도가 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인열 강도보다 낮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인열 강도가 낮은 한 방향과, 부직포의 인열 강도가 낮은 한 방향이 일치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훅 구성 요소가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중 어느 한쪽에 고착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시트에 보강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훅 구성 요소의 베이스 시트가 제1 및 제2 시트부 중 어느 한쪽에 고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시트부를 구성하는 섬유 부직포로 보강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루프 구성 요소를 훅 구성 요소로부터 이탈시킬 때, 훅 구성 요소가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비접합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시트부는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시트부가 연결되는 외측 가장자리에 훅 구성 요소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비접합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시트부가 변형되어 훅 구성 요소의 가장자리를 덮음으로써 훅 구성 요소가 말리는 것이 억제된다.
훅 구성 요소를 이탈시키는 힘에 의해 비접합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시트부가 끌리도록 하여 변형된 경우, 훅 구성 요소를 이탈시키는 힘은 훅 구성 요소의 제2 가장자리를 향하는 성분과, 비접합 영역과 접합 영역의 경계를 향하는 성분으로 분산되어 약해짐으로써, 훅 구성 요소가 말리는 것이 억제된다.
도 1은 기저귀의 앞뒤 허리 영역의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의 한쪽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파스닝 수단의 모식 단면도.
도 3a는 외측 가장자리에 힘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이고, 도 3b, 도 3c는 힘 이 가해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스닝 수단의 모식도.
도 4는 파스닝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a, 도 5b는 특허 문헌 1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5c는 특허 문헌 2를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스닝 수단
2 : 앞 허리 영역
3 : 뒤 허리 영역
5 : 베이스 시트
6 : 훅
7 : 훅 구성 요소
8 : 루프 구성 요소
10 : 기저귀(착용 물품)
11 : 제1 시트부
12 : 제2 시트부
13 : 외측 가장자리
14 : 접합 영역
15 : 비접합 영역
16 : 제1 가장자리
17 : 훅 가장자리부
18 : 루프 가장자리부
19 : 제2 가장자리
20 : 시트 요소
21 : 앞 허리 영역의 측 가장자리부
22 : 슬릿
31 : 뒤 허리 영역의 측 가장자리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1)을, 기저귀(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사시도로 도시한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 가로 방향(X) 및 허리둘레 방향(Z)과, 신체측면(10a)을 구획하는 투액성 신체측 라이너(10A)와, 착의측면(10b)을 구획하는 불투액성 외측 시트(10B)와, 양자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앞 허리 영역(2)과, 뒤 허리 영역(3)과, 이들 양 역(2, 3)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4)을 갖고 있다. 기저귀(10)의 허리 개구 구획 가장자리(41)를 따라 허리 탄성 요소(42)가 신장 하에 부착되어 연장되고, 한 쌍의 다리 개구 구획 가장자리(43)를 따라 다리 탄성 요소(44)가 신장 하에 부착되어 연장되고 있다. 앞 허리 영역(2)과 뒤 허리 영역(3)에는 착용자에 대한 기저귀(10)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탄성 요소(45)가 허리둘레 방향(Z)으로 신장 하에 부착되어 연장되고 있다.
기저귀(10)의 파스닝 수단(1)은 앞 허리 영역(2)의 양측 가장자리부(21)를 따라 마련되어 훅 구성 요소(7)가 고착되는 훅 가장자리부(17)와, 뒤 허리 영역(3)의 양측 가장자리부(31)를 따라 마련되며, 루프 구성 요소(8)를 갖는 루프 가장자리부(18)로 구성되어 있다.
훅 구성 요소(7)와 루프 구성 요소(8)는 공지의 메커니컬 파스너의 구성 요소로서, 서로 이탈 가능하게 걸어 맞춰진다. 기저귀(10)를 착용할 때에는 루프 가장자리부(18)를 훅 가장자리부(17)에 대하여 압착시키고, 기저귀(10)를 벗길 때에는 루프 구성 요소(8)를 갖는 루프 가장자리부(18)의 상단부(25)를 잡고 상단부(25)로부터 그 반대측 하단부(26)를 향해 순차 루프 구성 요소(8)를 훅 구성 요소(7)로부터 이탈시킨다.
훅 가장자리부(17)는 측 가장자리부(21)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단일체의 시트 요소(20)가, 측 가장자리부(21)에 대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가장자리(13)를 접음선으로 하여 측 가장자리부(21)를 향해 접혀지고, 이 시트 요소(20)에 훅 구성 요소(7)가, 착용자로부터 보아 훅이 외측을 향하도록 착의측면(10b)에 부착되어 있다.
즉, 측 가장자리부(21)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외측 가장자리부(13)까지의 시트 요소(20)가 제1 시트부(11)에 해당하고, 외측 가장자리(13)에서 접혀져 측 가장자리부(21)를 향하는 시트 요소(20)의 나머지 부분이 제2 시트부(12)에 해당한다. 시트 요소(20)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시트부(11, 12)는 외측 가 장자리(13)에 병행 또한 이격되어 연장되는 접합 영역(14)에서 핫멜트 접착제(HM)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또한, 접합 영역(14), 제1 및 제2 시트부(11, 12) 및 외측 가장자리(13)로 둘러싸이는 비접합 영역(15)이 형성되어 있다.
훅 구성 요소(7)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5)와, 베이스 시트(5)의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훅(6)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시트(5)는 측 가장자리부(21)에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16)와, 제1 가장자리(16)에 대향하여 연장되는 제2 가장자리(19)를 가지며, 제1 가장자리(16)가 접합 영역(14) 상에 위치하고, 제2 가장자리(19)가 비접합 영역(15)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 시트부(11)에 핫멜트 접착제(HM)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베이스 시트(5)가 핫멜트 접착제(HM)와 제1 시트부(11)의 섬유 부직포로 보강되기 때문에, 루프 구성 요소(8)를 훅 구성 요소(7)로부터 이탈시킬 때, 훅 구성 요소(7)가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부직포의 인열 강도가 훅 구성 요소읜 인열 강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시트(5)에 미리 섬유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보강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접합시키고 나서, 훅 가장자리부(17)를 구성하는 제1 시트부(11)에 고착시키면, 훅 구성 요소(7)가 찢어지는 것을 더욱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HM)는 베이스 시트(5)의 거의 전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5)는 압출 성형으로 시트 가공할 때의 압출 방향의 인열 강도가 낮다. 이 때문에, 베이스 시트(5)의 압출 방향을, 측 가장자리부(21)의 연장 방향[루프 가장자리부의 상단부(25)로부터 하단 부(26)를 향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면, 루프 구성 요소(8)를 훅 구성 요소(7)로부터 이탈시킬 때 찢어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섬유 부직포로 구성되는 시트 요소(20)도 마찬가지로 성형시의 가공 방향의 인열 강도가 낮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때, 베이스 시트(5)의 인열 강도가 낮은 방향과, 시트 요소(20)의 인열 강도가 낮은 방향이 일치하지 않도록 하면, 시트 요소(20)에 의한 베이스 시트(5)의 보강 효과가 높아져 베이스 시트(5)가 찢어지는 것을 보다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훅 구성 요소(7)에는 인열 강도가 0.3∼3.0 N, 바람직하게는 0.5∼1.2 N인 것을 이용한다. 훅 구성 요소(7)의 인열 강도가 0.3 N 미만일 경우는 강도가 부족하고, 사용시 및 가공시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3.0 N을 초과하면 훅 구성 요소(7)의 베이스 시트(5)가 단단해져서 사용시의 위화감을 증대시킨다.
시트 요소(20)의 섬유 부직포에는 인열 강도 3.5∼25 N, 바람직하게는 5.0∼17 N인 것을 이용한다. 3.5 N 미만일 경우는 강도가 부족하여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25 N을 초과하면 섬유 부직포의 강성이 높아져서 사용시의 위화감을 증대시킨다.
인열 강도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우선, 측정하고자 하는 훅 구성 요소(7)의 베이스 시트(5) 또는 부직포의 성형시의 가공 방향을 세로 방향,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세로 50 ㎜, 폭 30 ㎜의 샘플을 제작한다. 다음에, 샘플의 폭 방향을 2등분하는 점을 기점으로 하여 커터로 세로 방향으로 20 ㎜의 슬릿을 형성한다. 그리고, 샘플을 슬릿부 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 각각의 잡는 부분을 약 15 ㎜로 하여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척간 거리 10 ㎜, 인장 속도 300 ㎜/분으로 인장시키며, 파단에 이를 때까지의 최대 하중을 구하여 그 값을 인열 강도로 한다.
훅 구성 요소(7)의 훅을 착용자로부터 보아 밖을 향하도록 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 가장자리부(17)의 외측 가장자리(13)는 기저귀(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쉽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몸을 비틀었을 때, 혹은 착용자가 손가락을 기저귀(10)와 몸 사이에 넣고 몸통둘레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키는 동작을 했을 때, 외측 가장자리(13)에, 훅 구성 요소(7)를 루프 구성 요소(8)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파스닝 수단(1)에 따르면, 훅 구성 요소(7)를 루프 구성 요소(8)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잘못하여 훅 구성 요소(7)가 말리거나 이탈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외측 가장자리(13)에 훅 구성 요소(7)를 루프 구성 요소(8)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의 힘(F)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 도 3b, 도 3c는 힘(F)이 가해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요소(20)의 외측 가장자리(13)로부터 베이스 시트(5)의 제2 가장자리(19)까지의 부분 및 외측 가장자리(13)로부터 비접합 영역(15)과 접합 영역(14)의 경계(27)까지의 부분은 다른 부재에 접합되어 있지 않아 외력을 받았을 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이 변형 가능한 부분을 가변부(30)라고 부른다.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외측 가장자리(13)에 훅 구성 요소(7)를 이탈시키는 방향의 힘(F)이 가해진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가장자리(13)가 훅 구성 요소(7)의 베이스 시트(5)의 제2 가장자리(19)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기 때문에, 외측 가장자리(13)가 힘(F)에 눌려 가변부(30)가 변형되기 시작하고, 도 3b와 같이, 가변부(30)는 훅 구성 요소(7)의 베이스 시트(5)의 제2 가장자리(19)를 덮도록 변형된다.
힘(F)이 더 가해지면, 시트 요소(20)의 가변부(30)는 제2 가장자리(19)를 덮으면서 틀어져 움직임으로써, 훅 구성 요소(7)가 말리거나 이탈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 힘(F)은 훅 구성 요소(7)를 루프 구성 요소(8)에 압착시키는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가변부(30)가 훅 구성 요소(7)를 이탈시키는 방향의 힘(F)에 의해 끌리도록 하여 변형되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 경우, 힘(F)은 훅 구성 요소(7)의 제2 가장자리(19)를 향하는 성분(f1)과, 비접합 영역(15)과 접합 영역(14)의 경계(27)를 향하는 성분(f2)으로 분산된다. 즉, 외측 가장자리(13)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게 되어 훅 구성 요소(7)가 말리거나 이탈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도 4는 파스닝 수단(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훅 구성 요소(7)가 고착되어 있는 쪽의 시트 요소(20)인 제1 시트부(11)의 비접합 영역(15) 부분에 복수의 슬릿(22)이 외측 가장자리(13)에 대하여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변부(30)가 훅 구성 요소(7)를 이탈시키는 방향의 힘(F)에 의해 끌리도록 하여 변형된 경우, 슬릿(2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제1 시트부(11)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훅 구성 요소(7)의 제2 가장자리(19)를 향하는 힘(F)의 성분(f1)이 보다 약해지는 결과, 훅 구성 요소(7)가 말리거나 이탈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기저귀(10)의 허리 탄성 요소(42), 보조 탄성 요소(45) 등은 루프 구성 요소(8)의 아래 부분에서는 신축성이 발현되지 않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공은 루프 구성 요소(8)의 아래의 보조 탄성 요소(45) 등을 절단,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피복 또는 약품 처리 등을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가공에 의해, 루프 구성 요소(8)에 주름이 생겨 훅 구성 요소(7)와의 접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파스닝 수단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훅 구성 요소(7)를 착용자로부터 보아 외측이 아니라, 착용 물품의 내측을 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훅 구성 요소(7)가 말려 착용자의 외측 의류, 침구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훅 가장자리부(17)를, 단일체의 시트 요소 대신에 2장의 시트를 외측 가장자리(13)에서 접합시켜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와 같이 단일체의 시트 요소를 접는 구성으로 한 경우, 가변부(30)는 접합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보다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트부(11, 12)의 접합이나 훅 구성 요소(7)의 고착을 핫멜트 접착제(HM) 대신에 히트 시일, 소닉 시일 등의 열용착이나 그 밖의 공지 수단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루프 구성 요소(8)를 메커니컬 파스너의 루프 대신에 훅 구성 요소와 접합 가능한 부직포로 할 수도 있다.

Claims (5)

  1. 앞뒤 허리 영역의 한쪽이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제1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다른 쪽이며 제2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제2 허리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허리 영역 사이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과,
    상기 제1 허리 영역의 상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훅 구성 요소를 갖는 훅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허리 영역의 상기 제2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루프 구성 요소를 가지며, 상기 훅 가장자리부와 이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루프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에 있어서,
    상기 훅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제1 시트부와, 상기 제1 시트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로 방향 대향측 가장자리부를 향해 연장되어 나오는 제2 시트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에 병행 또한 이격되어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를 접합시키는 접합 영역과, 상기 접합 영역,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및 상기 외측 가장자리로 둘러싸이는 비접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훅 구성 요소가, 상기 외측 가장자리에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제1 가장자리가 상기 접합 영역 상에 위치하 고, 상기 제2 가장자리가 상기 비접합 영역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시트부 및 상기 제2 시트부 중 어느 한쪽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가 단일체의 시트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 요소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접혀져 상기 훅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 제2 시트부, 또는 제1 시트부와 제2 시트부의 비접합 영역 부분에, 상기 외측 가장자리와 평행한 방향 성분을 포함하여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 구성 요소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섬유 부직포는 모두 한 방향에 있어서의 인열 강도가 상기 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인열 강도보다 낮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인열 강도가 낮은 상기 한 방향과, 상기 부직포의 인열 강도가 낮은 상기 한 방향이 일치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훅 구성 요소가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중 어느 한쪽에 고착되어 있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에 보강 시트가 접합되어 있는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KR1020097001058A 2006-07-06 2007-07-05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KR101319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87146 2006-07-06
JP2006187146A JP5047548B2 (ja) 2006-07-06 2006-07-06 着用物品の止着構造
PCT/JP2007/063496 WO2008004631A1 (fr) 2006-07-06 2007-07-05 Attache pour article à p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877A true KR20090038877A (ko) 2009-04-21
KR101319686B1 KR101319686B1 (ko) 2013-10-17

Family

ID=3889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058A KR101319686B1 (ko) 2006-07-06 2007-07-05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640638B2 (ko)
EP (1) EP2039330B1 (ko)
JP (1) JP5047548B2 (ko)
KR (1) KR101319686B1 (ko)
CN (1) CN101484115B (ko)
AU (1) AU2007270364B2 (ko)
BR (1) BRPI0712278B8 (ko)
CA (1) CA2655559C (ko)
CO (1) CO6140017A2 (ko)
EA (1) EA015749B1 (ko)
MX (1) MX2009000133A (ko)
MY (1) MY147140A (ko)
TW (1) TW200814974A (ko)
UA (1) UA95807C2 (ko)
WO (1) WO2008004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7868B2 (ja) * 2006-07-06 2012-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EP2110110B2 (de) 2008-04-15 2020-04-01 Lohmann-koester GmbH & Co. KG Windelverschlussband, Windel, Halbzeugstreifen und Herstellverfahren für einen Halbzeugstreifen
JP5421547B2 (ja) * 2008-05-15 2014-0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
JP5596939B2 (ja) * 2008-07-15 2014-09-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着用物品
JP5858677B2 (ja) * 2011-07-29 2016-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US9713558B2 (en) 2012-11-16 2017-07-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40259563A1 (en) * 2013-03-15 2014-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bassemblies comprising folded fastening tab member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9604A (en) * 1987-12-17 1994-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chanical fastening systems with disposal mean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6736804B1 (en) * 1987-12-17 2004-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chanical fastening systems with disposal mean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4884323A (en) * 1988-01-14 1989-12-05 Velcro Industries B. V. Quiet touch fastener attachment system
US5176670A (en) * 1988-12-20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5108384A (en) * 1990-09-11 1992-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combination mechanical and adhesive tape fastener system and having reserve adhesive tape for improved disposability
US5123467A (en) * 1991-12-06 1992-06-23 Romar International Corp. Diaperbag
US5549591A (en) * 1992-04-02 1996-08-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hesive/mechanical fastener systems for disposable articles
US5785699A (en) * 1994-12-29 1998-07-2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backsheet and an inner layer projecting beyond the front transverse edge of the backsheet for engaging with a mechanical fastening member
US5795350A (en) * 1994-12-29 1998-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mechanical fastener
JP3215314B2 (ja) * 1996-01-23 2001-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止着構造
US5897545A (en) * 1996-04-02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side panel for use with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s
US20020188268A1 (en) * 1999-06-30 2002-12-12 Mark James Kline Elastomeric side panel for use with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s
US5996189A (en) * 1998-03-30 1999-12-07 Velcro Industries B.V. Woven fastener product
GB9826222D0 (en) 1998-12-01 1999-01-20 Johnson Matthey Plc Improved reactor
US6645190B1 (en) * 1999-11-22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BR9915846A (pt) * 1998-12-18 2002-07-30 Kimberly Clark Co Artigo absorvente com costuras religáveis não irritantes
US6447497B1 (en) * 1999-11-22 2002-09-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hild resistant refastenable seams
JP3732393B2 (ja) * 2000-08-31 2006-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713254B2 (en) * 2001-06-28 2010-05-11 Sca Hygiene Products Ab Sanitar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fastener
US6730069B2 (en) * 2001-07-05 2004-05-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oth-like mechanical fastener
US7988682B2 (en) * 2002-04-02 2011-08-02 Sca Hygiene Products Ab Prefastened absorbent product with releasable fasteners and flaps having welds
EP1350494B1 (en) 2002-04-02 2015-05-20 SCA Hygiene Products AB Prefastened absorbent product with elastic reclosable sid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522186B2 (ja) * 2003-08-19 2010-08-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229921B2 (ja) * 2003-08-19 2009-0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US20080097368A1 (en) * 2006-10-24 2008-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lease tape-free fastener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tiliz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5559A1 (en) 2008-01-10
US7640638B2 (en) 2010-01-05
EP2039330A4 (en) 2013-07-03
AU2007270364A1 (en) 2008-01-10
CO6140017A2 (es) 2010-03-19
MY147140A (en) 2012-11-14
AU2007270364B2 (en) 2013-03-28
EA200900141A1 (ru) 2009-06-30
EP2039330B1 (en) 2016-11-09
CA2655559C (en) 2014-07-22
EA015749B1 (ru) 2011-12-30
BRPI0712278B1 (pt) 2018-06-19
JP2008012114A (ja) 2008-01-24
BRPI0712278B8 (pt) 2021-06-22
MX2009000133A (es) 2009-01-23
EP2039330A1 (en) 2009-03-25
TWI336250B (ko) 2011-01-21
TW200814974A (en) 2008-04-01
CN101484115A (zh) 2009-07-15
BRPI0712278A2 (pt) 2012-07-24
JP5047548B2 (ja) 2012-10-10
US20080016656A1 (en) 2008-01-24
UA95807C2 (uk) 2011-09-12
CN101484115B (zh) 2012-11-28
WO2008004631A1 (fr) 2008-01-10
KR101319686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3048B2 (ja) 着用物品
KR101319686B1 (ko) 착용 물품의 파스닝 수단
JP4920944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US7870651B2 (en) Elasticized side members
KR100784778B1 (ko) 착용 물품
KR10081622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EP2891479B1 (en) Pull-on clothing article
KR101180215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40040488A (ko) 기저귀에 패스너부를 부착하는 방법
JP2006158607A (ja) 使い捨てパンツ
CN108430413B (zh) 吸收性物品
KR10068128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5102526B2 (ja) 母乳パッド
JP3211618U (ja) パンツ型着用物品
EP4169583A1 (en) Ear part material for mask, mask, method for producing ear part material for mask, and method for producing mask
EP4159072A1 (en) Mask
JP2014217583A (ja) パンツ型着用物品
WO2019123572A1 (ja) 吸収性物品
JP649571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