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215B1 -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0215B1 KR101180215B1 KR1020077026333A KR20077026333A KR101180215B1 KR 101180215 B1 KR101180215 B1 KR 101180215B1 KR 1020077026333 A KR1020077026333 A KR 1020077026333A KR 20077026333 A KR20077026333 A KR 20077026333A KR 101180215 B1 KR101180215 B1 KR 101180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portion
- fastening member
- panel
- sides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뒤 패널부를 분리한 후에 이들을 다시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사용시까지 사용 가능하며, 또한,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회용 기저귀(10)가 연결된 앞 패널부(16) 및 뒤 패널부(17)와, 이들 앞뒤 패널부(16, 17)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에 설치된 절단부(22)와, 분리된 앞뒤 패널부(16, 17)를 다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절단부(22)에 근접하도록 뒤 패널부(17)의 내면(14)측에 설치된 체결 부재(23)를 갖고, 절단부(22)와 체결 부재(23)를 덮는 피복 부재(24)가 뒤 패널부(17)의 내면(14)측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5-317356(특허 문헌 1)에는 앞뒤 길의 대향 측부에 접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체결편을 갖고, 체결편의 접합부보다도 내측에서 접합부에 근접하는 부위에 앞뒤 길끼리를 분리하기 위한 절단선을 구비하고 있는 팬츠형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체결편의 선단부 내면에는 결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결착부는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 외에 훅 군(群)을 갖는 공지된 테이프 편(片)을 점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일회용 기저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선과 체결편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절단선으로 앞뒤 길을 분리한 후에, 개방형 기저귀로서 착용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317356호 공보
상기 체결편은 절단선으로 앞뒤 길이 분리될 때까지 사용되지 않지만, 체결편이 기저귀의 외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전에 장난 등에 의해 결착부가 더럽혀져 체결편을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체결편의 결착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아 착용자가 불쾌감을 기억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접합되어 있는 앞뒤 길을 분리한 후에 이들을 다시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고, 그 체결 수단을 사용시까지 더럽히지 않으며,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내면, 외면, 서로 대향하여 몸통 둘레 영역을 갖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를 갖고, 이들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폭 방향 몸통 둘레 양 측부에서 연결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절단부가 양 측부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분리된 제1 패널부를 제2 패널부와 다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결 부재가 절단부에 근접하도록 제1 패널부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절단부와 체결 부재를 덮는 피복 부재가 제1 패널부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분리되면, 피복 부재가 말려 올려져 체결 부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체결 부재가 물품의 내면측에 설치되고, 또한, 피복 부재에 의해서 덮여져 있음으로써, 체결 부재가 장난 등에 의해 더럽혀져 사용 불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체결편의 결착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아 착용자가 불쾌감을 기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복 부재가 절단부와 체결 부재를 덮고 있음으로써,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고자 하는 힘이 절단부에 가해졌을 때에, 그 힘이 피복 부재에도 전달되며, 그 결과, 피복 부재가 말려 올려져 감춰져 있던 체결 부재가 노출된다.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분리된 후, 노출된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다시 연결하면, 이 착용 물품을 개방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는 어느 쪽이 앞측이고, 어느 쪽이 뒤측이어도 좋지만, 체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제1 패널부가 뒤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이 착용 물품을 개방형으로서 사용할 때에, 착용자를 위로 향하게 하여 눕힌 상태에서 앞측인 제2 패널부의 외면에 뒤측인 제1 패널부를 중첩시켜 이들의 패널부를 다시 연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는 서로 대향하는 폭 방향 몸통 둘레 양 측부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어도 좋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있어서, 접착 혹은 용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 사이에 물품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다른 부재가 끼워지고,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의 각각이 그 다른 부재와 접착 혹은 용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연결하는 부재를, 이하 연결편이라고 한다. 연결편은 물품의 내면 및 외면 중 어느 한쪽에 접합되어도 좋고, 내면 및 외면의 양면에 접합되어도 좋다.
절단부는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연결되어 있는 몸통 둘레 양 측부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몸통 둘레 양 측부의 양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물품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보다 바람직하다.
몸통 둘레 측부는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의 경계 및 그 주변 일대이다. 절단부는 몸통 둘레 측부이면, 경계 이외의 부분에 있어도 좋지만, 절단부가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의 경계에 있으면, 여기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기 쉬워져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고, 절단부가 이들 패널부의 경계인 경우에는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의 접합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연결편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절단부가 이들 패널부의 경계인 연결편인 경우에는 연결편을 물품의 그 밖의 부분과 비교하여 찢어지기 쉽거나 혹은 인열(引裂)되기 쉬운 부분으로 함으로써,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절단부는 여기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할 수 있는 한, 그 형성 재료나 형상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단부가 물품의 그 밖의 부분에 비해서 찢어지기 쉽거나 혹은 인열되기 쉬운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절단부는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적이며, 또한, 단속적으로 형성된 슬릿, 즉 소위 재봉선이어도 좋고, 물품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인열 개시점이 되도록 형성된 절결이어도 좋다. 또한, 물품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편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연결편을 물품의 그 밖의 부분보다도 찢어지기 쉽거나 혹은 인열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 시트 재료로 형성하여 그것을 절단부로 하여도 좋다. 연결편을 절단부로 하여, 여기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물품이 흡수체를 구성하는 펄프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등의 내용물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어도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였을 때에 이들의 내용물이 외부로 튀어나올 염려가 없다.
체결 부재를 덮는 피복 부재가 제1 패널부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물품의 내면과 피복 부재 사이에 체결 부재가 끼워져 있을 때, 피복 부재는 절단부 및 체결 부재에 겹치는 부분에서, 이들에 점착제 혹은 메카니컬 파스너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의 분리시에 피복 부재가 무리 없이 말려 올려지기 위해서는 피복 부재가 절단부 및 체결 부재와 겹치는 부분에서 이들에 접합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피복 부재는 제1 패널부의 내면측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그 폭 방향의 양 측부에서 제1 패널부의 내면측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의 분리시에, 피복 부재가 보다 말려 올려지기 쉽도록 피복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시트 재료로 형성하거나, 피복 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부분을 설치하거나 하면 바람직하다. 피복 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부분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찢어지기 쉬운 부분이 체결 부재의 폭 방향의 양 측부 중 절단부가 근접하는 측부와는 반대 측부에 근접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위치에 찢어지기 쉬운 부분이 설치되어 있으면, 찢어지기 쉬운 부분에서 피복 부재가 찢어지는 동시에, 체결 부재의 체결면을 광범위에 걸쳐 노출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를 분리하는 작업과는 별도로 피복 부재를 말려 올려 체결 부재를 노출시키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체결 부재의 체결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찢어지기 쉬운 부분은 피복 부재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결선, 즉 슬릿으로 할 수 있다. 슬릿은 1개여도 좋지만,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피복 부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소위 재봉선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리, 인열 혹은 찢어졌을 때에는 사람이 맨손으로 행할 수 있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회용 기저귀를 몸통 개구의 바로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둘레 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 측으로부터 본 몸통 둘레 측부의 부분 파단 확대도이다.
도 5는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 측으로부터 본 몸통 둘레 측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앞뒤 패널부가 분리된 후의 몸통 둘레 측부를 도시한 도 4의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착용 물품)
14 ; 내면
15 : 외면
16 : 앞 패널부(제2 패널부)
17 : 뒤 패널부(제1 패널부)
18 : 몸통 둘레 측부
19 : 몸통 둘레 측부
20 : 연결편
22 : 절단부
23 : 체결 부재
24 : 피복 부재
L : 길이 방향
W : 폭 방향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회용 기저귀(10)를 몸통 개구의 바로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회용 기저귀(10)의 몸통 둘레 측부(18)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12)와, 이들 양 시트(11, 12) 사이에 끼우는 체액 흡수성 코어재(1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일회용 기저귀(10)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내면(14), 외면(15), 서로 대향하여 몸통 둘레 영역을 갖는 앞 패널부(제2 패널부)(16) 및 뒤 패널부(제 1 패널부)를 갖는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는 이들의 서로 대향하는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에서 한 쌍의 연결편(20)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몸통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20)은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에 걸치도록 접착제(30)에 의해 내면(14)에 접합되어 있다(도 2, 3을 참조).
일회용 기저귀(10)의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에는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절단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부(22)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양 귀부(18a, 18a) 사이 및 양 귀부(19a, 19a)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편(20) 상의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와의 경계(21)에 있다(도 2를 참조). 절단부(22)는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의 양방에 절단부(22)가 설치되어 있으면, 절단부(22)에서 연결편(20)을 손으로 인열하여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를 분리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완전히 전개할 수 있어 일회용 기저귀(10)의 착탈 조작이 용이해진다.
몸통 둘레 탄성 부재(41) 및 다리 둘레 탄성 부재(43)가 각각 공지한 수단에 의해 몸통 개구 및 다리 개구를 따라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앞뒤 패널부(16, 17)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41)보다 하측에는 몸통 둘레 및 다리 둘레 탄성 부재(41, 43)의 신장 응력보다도 낮은 신장 응력을 갖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 둘레 보조 탄성 부재(42)가 부착되어 있다. 몸통 둘레 탄성 부재(41), 몸통 둘레 보조 탄성 부재(42) 및 다리 둘레 탄성 부재(43)는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표리면 시트(11, 1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신장 상태하에서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몸통 둘레 탄성 부재(41) 및 몸통 둘레 보조 탄성 부재(42)는 앞 패널부(16)에 배치되어 있는 전반분과 뒤 패널부(17)에 배치되어 있는 후반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전반분과 후반분은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에서 연속하고 있지 않다. 즉, 몸통 둘레 탄성 부재(41)는 절단부(22)인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의 경계(21)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43)는 다리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상반분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43)도 몸통 둘레 탄성 부재(41)와 마찬가지로 앞 패널부(16)에 배치되어 있는 전반분과 뒤 패널부(17)에 배치되어 있는 후반분으로 나누어지고, 이들 전반분과 후반분은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에서 연속하고 있지 않다. 즉, 다리 둘레 탄성 부재(43)는 절단부(22)인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와의 경계(21)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절단부(22)에 어느 하나의 탄성 부재(41, 42, 43)도 존재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절단부(22)에 있어서 앞뒤 패널부(16, 17)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앞뒤 패널부(16, 17)의 분리시에 탄성 부재가 끊어져 손에 닿는 번거로움을 느끼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분리된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를 다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결편(20)의 강성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 한 쌍의 체결 부재(23, 23)가 몸통 둘레 양 측부(18, 19)에 있어서의 절단부(22)에 근접하도록 뒤 패널부(17)의 내면(14)측 에 설치되어 있다. 체결 부재(23)는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뒤 패널부(17)의 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부재(23)가 이와 같이 설치되어 있으면, 체결 부재(23)의 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편(20)을 인열할 수 있어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체결 부재(23)는 접착제(31)에 의해 연결편(20)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착제(31)는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체결 부재(23)의 연결편(20)과의 접합면 전체에 도포되어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의 사용상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한, 체결 부재(23)의 연결편(20)과의 접합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접착제(31)가 체결 부재(23)의 연결편(20)과의 접합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체결 부재(23)의 폭 방향(W)의 양 측부(23a, 23b) 중 적어도 측부(23b)에 접착제(31)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뒤 패널부(16, 17)를 분리한 후, 체결 부재(23)를 통해 앞뒤 패널부(16, 17)를 다시 연결하여, 일회용 기저귀(10)를 개방형으로서 사용할 때에, 체결 부재(23)가 앞 패널부(16) 근방에 위치하는 측부(23a)에서 접착제(31)에 의해 뒤 패널부(17)의 내면(14)측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체결 부재(23)에 전단력이 작용하면 앞뒤 패널부(16, 17)가 떨어지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체결 부재(23)가 측부(23b)에서 접착제(31)에 의해 뒤 패널부(17)의 내면(14)측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경우와 접착제(31)의 도포 면적이 동일하여도 전술한 경우에 비하여, 앞뒤 패널부(16, 17)가 떨어지기 어렵다.
도시되어 있는 체결 부재(23)는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이지만, 체결 부 재(23)로서,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피복 부재(24)로서 이형성을 갖는 시트편을 이용하거나 혹은 시트편의 체결 부재(23)와의 접촉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등의 이형 처리를 실시하여, 시트편을 체결 부재(23)의 표면으로부터 말려 올려지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부재(23)는 피복 부재(24)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 피복 부재(24)는 절단부(22)와 체결 부재(23)를 덮고, 뒤 패널부(17)의 내면(14)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피복 부재(24)는 폭 방향(W)의 양 측부(24a, 24b)에서 접착제(32)에 의해 연결편(20)에 접합되어 있지만, 절단부(22) 및 체결 부재(23)에 겹치는 부분(24c)에서는 이것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피복 부재(24)가 절단부(22)와 체결 부재(23)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 절단부(22)에 작용하는 인열력이 피복 부재(24)의 다른 부분에 전달되기 쉬운 동시에, 체결 부재(23)의 표면으로부터 피복 부재(24)를 박리시키기 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를 매우 용이하게 손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편(20)과 체결 부재(23)와 피복 부재(24)가 도시한 바와 같이 중첩되어 접합되는 경우에는 연결편(20)과 체결 부재(23)와 피복 부재(24)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미리 준비해 둠으로써, 이들의 부재를 이 일회용 기저귀(10)에 부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4는 일회용 기저귀(10)의 내면(14) 측으로부터 본 몸통 둘레 측부(18)의 확대도이다. 단, 편의상 피복 부재(24)가 부분적으로 파단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외면(15) 측으로부터 본 몸통 둘레 측부(18)의 확대도이 다. 도 6은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가 절단부(22)에서 분리된 후의 몸통 둘레 측부(18)를 도시하는 도 4의 상당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통 둘레 측부(18)에서 절단부(22) 및 체결 부재(23)를 덮는 피복 부재(24)에는 길이 방향(L)으로 찢어지기 쉬운 부분(25)이 설치되어 있다. 찢어지기 쉬운 부분(25)은, 예컨대 길이 방향(L)으로 형성된 슬릿으로 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복 부재(24)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재봉선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찢어지기 쉬운 부분(25)은 체결 부재(23)의 폭 방향(W)의 양 측부(23a, 23b) 중 절단부(22)가 근접하는 측부(23a)와 반대측 측부(23b)에 근접하여, 체결 부재(23) 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체결 부재(2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혹은 체결 부재(23)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있어 측부(23b)에 근접하고 있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찢어지기 쉬운 부분(25)이 체결 부재(23)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있는 경우에는, 피복 부재(24)가 찢어지기 쉬운 부분(25)에서 찢어져서 말려 올려졌을 때에, 체결 부재(23)가 폭 방향(W)의 전체 길이에 걸쳐 노출된다. 그것에 의해, 체결 부재(23)의 체결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를 분리할 때에는 몸통 둘레 측부(18) 및/또는 몸통 둘레 측부(19)에서 절단부(22)의 폭 방향(W) 양측을 양손으로 잡고, 연결편(20)을 길이 방향(L)으로 인열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 힘은 내면측에서 연결편(20)에 겹쳐져 있는 피복 부재(24)에도 전달된다. 피복 부재(24)는 처음에 절단부(22)에서 연결편(20)과 함께 인열되지만, 곧 인열 용이한 부위(25)에서 찢어진 다(도 6을 참조). 피복 부재(24)가 인열 용이한 부위(25)에서 찢어질 때에는 그 밖의 부위에서 찢어질 때보다도 약한 힘으로 용이하게 찢어지기 때문에, 절단부(22)가 피복 부재(24)에 의해 덮여져 있어도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가 분리되는 동시에 피복 부재(24)가 말려 올려져 체결 부재(23)가 노출된다.
앞 패널부(16) 및 뒤 패널부(17)는 연결편(20)을 통하지 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도 좋다. 연결편(20)이 생략되는 경우, 앞뒤 패널부(16, 17)는 손으로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접합 강도를 갖도록 공지한 수단에 의해 직접 접합된다. 이 때, 체결편(20) 및 피복 부재(24)는 뒤 패널부(17)[또는 앞 패널부(16)]에 직접 접합된다. 앞 패널부(16) 및 뒤 패널부(17)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도 일회용 기저귀(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체결편(20) 및 피복 부재(24)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앞 패널부(16)와 뒤 패널부(17)가 분리되는 동시에 피복 부재(24)가 말려 올려져 체결 부재(23)가 노출된다.
표면 시트(11)에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된 평량 10~30 g/㎡의 부직포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 10~30 미크론의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된 개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12)에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 20~50 미크론의 이축 연신 필름이나 그 필름과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된 평 량 20~50 g/㎡의 부직포를 간헐적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체결 부재(23)로서,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면 시트(12)에 그 훅이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파일(pile)형 보풀을 표면에 갖는 것을 사용한다.
코어재(13)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을 액투과성 또는 액투과성과 액확산성이 우수한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시트 재료로 피복한 것이나, 분쇄 펄프를 그와 같은 시트 재료로 피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편(20)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나 이들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혹은 그와 같은 부직포와 필름의 적층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예로서는, 섬도가 1~5 dtex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지며, 평량이 20~50 g/㎡의 스펀 본드 부직포나, 섬도가 1~5 dtex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지며, 평량이 6.5 g/㎡의 스펀 본드 부직포와 섬도가 0.2~1 dtex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지고, 평량이 2 g/㎡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와 섬도가 1~5 dtex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지며, 평량이 6.5 g/㎡의 스펀 본드 부직포와의 적층물인 SMS 부직포 등이 있다. 상기 필름의 예로서는 두께 20~50 미크론을 갖고, 일축 혹은 이축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있다. 부직포를 형성하고 있는 섬유가 있는 특정한 방향을 향해서 강하게 배향하고 있는 부직포나, 필름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쇄가 있는 특정한 방향을 향해서 강하게 배향하고 있는 필름을 그 특정한 방향이 일회용 기저귀(10)의 길이 방향이 되도록 사용함으로써, 연결편(20)의 인열을 용이하게 하거나, 인열을 길이 방향으로 진행되기 쉽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소위 재봉선을 설치함으로써도 연결편(20)의 인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체결 부재(23)로서,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체결 부재(23)로서,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테이프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지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편에 공지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피복 부재(24)에는 연결편(20)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나 이들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혹은 그와 같은 부직포와 필름의 적층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편(20), 체결 부재(23) 및 피복 부재(24)의 접합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사용상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에 의해 행하여도 좋고, 열 혹은 초음파에 의한 용착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의 접합은 연속적이어도 간헐적이어도 좋다.
탄성 부재(41, 42, 43)에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우레탄폼 등 공지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絲) 고무나 평(平)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이외에, 트레이닝 팬츠나 실금 환자용 팬츠, 생리용 쇼트 등의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하면, 체결 부재가 샤시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체결 부재의 전면이 피복 부재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절단부에서 앞뒤 패널부를 분리할 때까지, 체결 부재를 사용시까지 더럽히지 않으며,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구성, 재료 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술이 여기에 원용된다. 단,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 길이 방향, 폭 방향, 내면, 외면, 서로 대향하여 몸통 둘레 영역을 갖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를 갖고, 이들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가 폭 방향 몸통 둘레 양 측부에서 연결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절단부가 상기몸통 둘레 양 측부의 한쪽 또는 양쪽의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의 경계에 있으며, 분리된 상기 제1 패널부를 상기 제2 패널부와 다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결 부재가 상기 절단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몸통 둘레 양 측부의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절단부와 상기 체결 부재를 덮는 피복 부재가 상기 몸통 둘레 양 측부의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가 분리되면, 상기 피복 부재가 말려 올려져 상기 체결 부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체결 부재에 겹치는 부분에서는 이들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폭 방향의 양측 부분에서 상기 몸통 둘레 양 측부의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내면측에 접합되어 있는 착용 물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부분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찢어지기 쉬운 부분이 상기 체결 부재의 폭 방향의 양 측부 중 절단부가 근접하는 측부와 반대 측부에 근접하고 있는 착용 물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찢어지기 쉬운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인 착용 물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가 상기 몸통 둘레 양 측부에서 연결편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착용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129994A JP4705405B2 (ja) | 2005-04-27 | 2005-04-27 |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
JPJP-P-2005-00129994 | 2005-04-27 | ||
PCT/JP2006/308137 WO2006118024A1 (ja) | 2005-04-27 | 2006-04-18 |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3411A KR20080003411A (ko) | 2008-01-07 |
KR101180215B1 true KR101180215B1 (ko) | 2012-09-05 |
Family
ID=3723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6333A KR101180215B1 (ko) | 2005-04-27 | 2006-04-18 |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7497852B2 (ko) |
EP (1) | EP1875887B1 (ko) |
JP (1) | JP4705405B2 (ko) |
KR (1) | KR101180215B1 (ko) |
CN (1) | CN101166496B (ko) |
HK (1) | HK1108109A1 (ko) |
RU (1) | RU2408348C2 (ko) |
TW (1) | TWI296518B (ko) |
WO (1) | WO20061180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71144A1 (en) * | 2004-12-29 | 2006-07-06 | Sca Hygiene Products Ab | Pant type absorbent article |
JP5014595B2 (ja) * | 2005-06-14 | 2012-08-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
JP4678721B2 (ja) * | 2005-06-14 | 2011-04-2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
EP2113233A1 (en) * | 2008-04-29 | 2009-11-04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garment with strain resistant core cover |
US8601665B2 (en) * | 2010-01-20 | 2013-12-1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
WO2011091117A1 (en) * | 2010-01-20 | 2011-07-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
US8998873B2 (en) * | 2010-01-20 | 2015-04-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
US11246767B2 (en) * | 2018-08-27 | 2022-02-15 | Medline Industries, Lp | Easy change protective underwea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34266A1 (en) | 1994-06-14 | 1995-12-2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Adjustable fit disposable training pant or incontinence garment having disposable means |
US5624428A (en) | 1995-11-29 | 1997-04-29 | Kimberly-Clark Corporation | Absorbent article having a pantlike pull down feature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8303466A (pt) * | 1983-06-29 | 1985-02-12 | Johnson & Johnson | Estrutura de artigo absorvente,artigo absorvente |
US4701171A (en) * | 1985-09-06 | 1987-10-20 | Kimberly-Clark Corporation |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zoned stretchable outer cover |
MY106077A (en) * | 1990-05-09 | 1995-03-31 | Kao Corp | Disposable diapers. |
US5074854A (en) * | 1990-08-24 | 1991-12-24 | The Procter & Gamble Co. | Disposable undergarment having a break-away panel |
JPH0729295B2 (ja) | 1992-03-17 | 1995-04-05 | 森山 正夫 | 四軸押出機 |
JP3096152B2 (ja) | 1992-05-22 | 2000-10-1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オムツ |
JPH0631725U (ja) * | 1992-10-02 | 1994-04-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SE508612C2 (sv) * | 1994-04-12 | 1998-10-19 | Sca Hygiene Prod Ab | Förfarande för att tillverka en byxblöja eller byxbinda samt en sådan artikel |
JP4034347B2 (ja) * | 1995-10-10 | 2008-01-16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使い捨て物品に使用するためのフランジレスシ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
US5662638A (en) * | 1995-10-10 | 1997-09-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langeless seam for use in disposable articles |
US6287287B1 (en) * | 1998-06-19 | 2001-09-1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passive side bonds and adjustable fastening systems |
US6972012B1 (en) * | 1998-12-18 | 2005-12-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
US6579275B1 (en) * | 2000-09-28 | 2003-06-1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releasable seams and a folded fastening feature |
JP2003339772A (ja) | 2002-05-29 | 2003-12-02 | Crecia Corp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US20060089616A1 (en) * | 2002-08-22 | 2006-04-27 | Kimberly-Clark World, Inc. |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pattern bonding |
SE0203462L (sv) * | 2002-11-22 | 2004-06-16 | Sca Hygiene Prod Ab |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förslutningsmekanism |
JP4727265B2 (ja) * | 2005-03-17 | 2011-07-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
JP4678721B2 (ja) * | 2005-06-14 | 2011-04-2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
JP5014595B2 (ja) | 2005-06-14 | 2012-08-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
-
2005
- 2005-04-27 JP JP2005129994A patent/JP470540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4-18 WO PCT/JP2006/308137 patent/WO200611802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4-18 KR KR1020077026333A patent/KR1011802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04-18 CN CN2006800142631A patent/CN10116649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4-18 RU RU2007143631/14A patent/RU2408348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4-18 EP EP06745419A patent/EP1875887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4-24 TW TW095114557A patent/TWI29651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4-26 US US11/380,321 patent/US749785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2-15 HK HK08101676.1A patent/HK1108109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34266A1 (en) | 1994-06-14 | 1995-12-2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Adjustable fit disposable training pant or incontinence garment having disposable means |
US5624428A (en) | 1995-11-29 | 1997-04-29 | Kimberly-Clark Corporation | Absorbent article having a pantlike pull down fea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711637A (en) | 2007-04-01 |
HK1108109A1 (en) | 2008-05-02 |
TWI296518B (en) | 2008-05-11 |
RU2408348C2 (ru) | 2011-01-10 |
CN101166496A (zh) | 2008-04-23 |
EP1875887A4 (en) | 2011-10-19 |
EP1875887A1 (en) | 2008-01-09 |
WO2006118024A1 (ja) | 2006-11-09 |
JP4705405B2 (ja) | 2011-06-22 |
KR20080003411A (ko) | 2008-01-07 |
US20060247595A1 (en) | 2006-11-02 |
RU2007143631A (ru) | 2009-06-10 |
CN101166496B (zh) | 2012-06-13 |
JP2006304973A (ja) | 2006-11-09 |
EP1875887B1 (en) | 2012-04-25 |
US7497852B2 (en) | 2009-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65858B2 (ja) | 折り畳み式失禁用品 | |
KR100281297B1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KR101180215B1 (ko) |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 |
JP4920944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US7943537B2 (en) | Stretch laminate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JP4672009B2 (ja) | 吸収性の失禁用品 | |
JP6316375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KR102236503B1 (ko) | 착용 물품 | |
WO2013146946A1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KR100884838B1 (ko) | 일회용 기저귀 | |
EP2891479B1 (en) | Pull-on clothing article | |
KR101251677B1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WO2008004631A1 (fr) | Attache pour article à porter | |
KR20040040488A (ko) | 기저귀에 패스너부를 부착하는 방법 | |
KR100636724B1 (ko) |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70095415A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JP2005211673A (ja) |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 |
WO2010109995A1 (ja) | 体液吸収性物品の包装体 | |
JP5709450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JP2587166Y2 (ja) | 弾性複合体 | |
JP6495710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JP5697532B2 (ja) | 吸収性物品 | |
CA2602991C (en) | Stretch laminate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