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872A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872A
KR20090037872A KR1020090022846A KR20090022846A KR20090037872A KR 20090037872 A KR20090037872 A KR 20090037872A KR 1020090022846 A KR1020090022846 A KR 1020090022846A KR 20090022846 A KR20090022846 A KR 20090022846A KR 20090037872 A KR20090037872 A KR 20090037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rap
drain trap
discharge pip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733B1 (ko
Inventor
이준기
Original Assignee
이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기 filed Critical 이준기
Publication of KR2009003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관내에 장착되며, 관상으로 형성된 트랩관부; 및 트랩관부의 단부로부터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에 경사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적어도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오수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절개선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를 집수관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트랩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배수트랩, 트랩관부, 배출관부, 연장부, 배출부, 절개선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S}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은 세면기, 변기 등의 하수관에 설치되며, 모양과 기능에 따라 P트랩, S트랩, U트랩, 벨트랩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배수트랩은, 각종 생활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할 때, 일정량의 오수를 수용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욕실, 베란다, 세탁실 등의 바닥은, 이러한 배수트랩을 설치할 만한 여유공간을 갖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욕실, 베란다, 세탁실 등의 바닥에는 하수관의 입구에 악취방지를 위한 집수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집수부재에는, 하수관의 입구 둘레를 따라 오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수용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다음 하수관을 따라 배수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집수부재의 경우, 오수가 수용부를 거침에 따라, 오수가 배수 되는 속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용부에 저장된 오수가 하수관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악취가 역류 되며, 일정 시간 이상 경과 하면 수용부에 저장된 오수가 부패하여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용도 및 위치에 따라 하수관의 직경이 상이하므로, 집수부재의 크기도 하수관의 직경에 맞추어 제작되어야 한다. 즉, 다양한 사이즈의 집수부재를 제작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욕실, 베란다, 세탁실 등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 배수트랩을 개발함으로써,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의 범용성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수관내에 장착되며, 관상으로 형성된 트랩관부; 및 상기 트랩관부의 단부로부터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에 경사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적어도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오수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절개선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배출관부를 상기 트랩관부에 고정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트랩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절개선이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측의 소정 영역과 배출부의 내측의 소정영역에 연속하여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트랩관부는, 상기 하수관의 내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측에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과 외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의 외부에는, 절개선끼리 만나는 부분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수막형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또한, 외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한 걸림턱이 형 성될 수 있다.
한편, 배출관부는 핀을 삽입할 수 있는 핀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핀 삽입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의 소정영역과 배출부의 외측의 소정영역에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는 상기 절개선에 대응되는 영역이 상기 결합부의 인접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는 상기 연장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절개선의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배수트랩은, 상기 트랩관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트랩관부와 상기 배출관부를 하수관에 장착시키기 위한 원판상의 장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장착부재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트랩관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는 재단을 할 수 있는 재단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배수트랩은,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다. 또한, 장착부재를 집수관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트랩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트랩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수트랩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수트랩의 배면도이다.
본 배수트랩(1)은, 하수관내에 장착되며, 관상으로 형성된 트랩관부(10)와, 오수의 배출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20)를 포함한다.
트랩관부(10)는 하수관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배출관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외관(11), 내관(13), 및 연결부(15)를 포함한다.
트랩관부(10)의 외관(11)은 하수관의 내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관(11)의 상부 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8)이 외관(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내관(13)은 배출관부(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내관(13)과 외관(11)은 동심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관(11)과 내관(13)은 하나의 몸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5)는 내관(13)의 상부측에서 내관(13)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연결부(15)에 배출관부(20)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는 내관(13)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계단모양의 단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단턱에 배출관부(20)가 걸쳐져서 고정되게 된다. 배출관부(2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단차 모양의 연결부(15)에 배출관부(20)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랩관부(10)는 배출관부(20)를 지지할 만한 지지력을 보유할 수 있 는 적합한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부(20)는, 오수를 집수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부(20)는 결합부(25), 연장부(30), 및 배출부(31)를 포함한다.
결합부(25)는, 트랩관부(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결부(1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부(20)는 트랩관부(10)와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며, 이를 위해, 배출관부(20)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성형되며, 배출관부(20)의 중심을 향하여 일시적으로 수축된 상태로 트랩관부(1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연결부(15)에 대응되는 공간에 도달하면, 수축을 해제시켜 연결부(15)와 결합부(25)가 결합되게 된다.
결합부(25)는 원형테두리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15)와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연장부(30)는 결합부(25)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 연장되며, 배출부(31)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배출부(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부(30)의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은, 결합부(25) 영역으로부터 배출부(31) 영역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며, 두께가 두꺼워지는 폭도 결합부(25)로부터 배출부(31)로 갈수록 넓어진다. 즉, 연장부(30)의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은 삼각형상으로 두께와 폭이 확장되어 연장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장부(30) 영역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으로서 연장부(30)의 내부를 두껍게 하는 방법 및/또는 연장부(30)의 외부를 두껍게 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된 결합부(30)에서는, 결합부(30)의 외부를 두껍게 하는 방법을 채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25)에서 배출부(31) 영역으로 갈수록 그 외부를 두껍게 함에 따라서, 연장부(30)는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이 돌출되므로, 둘레방향을 따라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와 폭이 증가 되므로, 절개선(35)이 4개로 형성되어 있다면, 연장부(30)는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고, 절개선(35)이 3개로 형성되어 있다면 연장부(30)는 단면이 삼각형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장부(30)의 두께를 배출부(13) 영역으로 갈수록 두껍게 하는 이유는, 오수가 배수되지 않은 때에 배출부(31)가 빈틈없이 닫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장부(30)의 하부에 결합된 배출부(31)는, 연장부(30)와 동일하거나 연장부(30)와는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31)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선(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절개선(35)은 배출부(31)의 상부영역으로부터 하부영역까지 길게 형성되며, 각 절개선(35)은 배출부(31)의 하단부의 한점(이하, "정점"이라고 한다)에서 만나게 된다. 이러한 각 절개선(35)은 오수의 유입시 상호 이격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한다. 한편, 오수가 배출부(31)를 통해서 배출이 완료된 직후에 정점뿐만 아니라 절개선끼리 만나는 부분에는 수막이 형성되며, 이 수막에 의해 하수구로부터의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18참조)에 따르면 배출부(31)의 하단부에는 수막이 형성되기 쉽도록 수막형성부(1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막형성부는 복수의 작은 오목한 영역을 가지며, 이로써 물이나 수증기를 보다 오랫동안 배출부(31)의 정점이나 절개선 끼리 만나는 부분에 머물도록 한다. 또 다르게, 수막형성부는 울퉁불퉁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정점과 절개선끼리 만나는 부분에 수막이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출부(31)의 하단 외부면의 재질자체를 물이나 수증기를 오랫동안 함유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수막형성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배출부(31)의 전체 외부면을 물이나 수증기를 오랫동안 함유할 수 있는 재질이나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수막형성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8에는 도 6의 배수트랩에 수막형성부(142)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배출부(31)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은 배출부(31)의 타 영역보다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도 배출부(3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부(31)는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이 외부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다각 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절개선(35)을 형성함에 따라 배출부(31)의 형태가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나, 절개선(35)의 개수는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절개선(35)의 개수에 따라 배출부(31)의 형태가 결정된다. 배출부(31)의 두께도, 배출부(31)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서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배출부(31)는 배출부(31)의 외부에서 두께를 조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한편, 배출부(31)에 형성되는 절개선(35)의 길이는 오수의 양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배출부(31)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오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한번에 많은 양의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개선(35)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오수의 양이 작을 경우에는 절개선(35)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31)의 탄성력이 클 경우에는 오수의 압력에 견디는 힘이 커지므로, 절개선(35)의 길이를 길게 하여 오수의 유입시 절개선(35)이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출부(31)는 하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기 때문에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의 무게에 따라 절개선(35)이 벌어지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오수가 소량 유입되면, 오수에 의해 배출부(31)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절개선(35)이 벌어지는 폭이 작고, 오수가 다량 유입되면, 오수에 의해 배출부(31)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절개선(35)이 벌어지는 폭이 넓다. 이와 같이, 절개선(35)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는 오수의 양에 따라 그 개방되는 폭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30)와 배출부(31)에서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은 타 영역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오수가 배출된 다음 배출부(31)의 탄성력에 의해 배출구가 폐쇄될 때, 배출부(31)에 부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여 배출구의 폐쇄가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부(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배 출부(31)의 오수 배출이나 배출하지 않은 경우에 적절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그 내측에 지지부(36)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36)는 연장부(30)의 내측의 소정영역과 배출부(31)의 내측의 소정영역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36)는 연장부(30)의 내부와 배출부(31)의 내부에서 막대모양의 돌출부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수트랩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배수트랩의 평면도, 도 10은 도 6의 배수트랩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배수트랩을 설명한다. 본 도 6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따른 배수트랩(1)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배수트랩(100)은, 트랩관부(110)와, 오수의 배출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랩관부(100)는 트랩관부(110)는 하수관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배출관부(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외관(111), 내관(113), 및 연결부(115)를 포함하며, 배출관부(120)는 결합부(125), 연장부(130), 및 배출부(131)를 포함한다.
도 6의 배출관부(120)는 특히 핀 모양의 탄성체를 삽입할 수 있는 핀 삽입부(138)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핀 삽입부(138)는 연장부(130)와 배출부(131)의 양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130)의 외측 영역과 배출부(131)의 외측 영역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부(138)는 길이를 가 진 핀을 삽입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핀 삽입부(138)에 핀이 삽입되면 배출관부(120)에서 오수 배출이 없는 경우 보다 단단하게 배출관부(120)를 폐쇄시킴으로서 냄새가 위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핀 삽입부(138)에 삽입되는 핀은 단단한 재질 예를 들면 철과 같은 재질이 적합하나, 단단한 재질을 가진 것이라면 철이 아니라도 사용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배수트랩의 단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배수트랩의 평면도, 도 16은 도 11의 배수트랩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배수트랩(200)을 설명한다. 본 도 11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따른 배수트랩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배수트랩(200)은, 트랩관부(210)와, 오수의 배출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랩관부(200)는 트랩관부(210)는 하수관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배출관부(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외관(211), 내관(213), 및 연결부(215)를 포함하며, 배출관부(220)는 결합부(225), 연장부(230), 및 배출부(231)를 포함한다.
도 11의 배출관부(220)는, 도 6의 배출관부(120)와 같이, 핀 모양의 탄성체를 삽입할 수 있는 핀 삽입부(238)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핀 삽입부(238)는 연장부(230)와 배출부(231)의 양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230)의 외부와 배출부(231)의 외부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 부(238)는 길이를 가진 핀을 삽입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핀 삽입부(238)에 핀이 삽입되면 배출관부(220)에서 오수 배출이 없는 경우보다 단단하게 배출관부(220)를 폐쇄시킴으로서 냄새가 위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하수관에 장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40)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장착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장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장착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장착부재의 사시도이다.
장착부재(40, 440, 540)는, 하수관에 배수트랩(1)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며,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재(40, 440, 540)의 중앙영역에는 트랩관부(10)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45, 445, 545)이 형성되며, 관통공(45)의 연부는 트랩관부(10)의 걸림턱(18)의 하부(11, 111, 211)에 접촉되며, 배수트랩의 걸림턱(18, 118, 218)의 밑면(18a, 118a, 218a)은 장착부재의 배수트랩장착부(449, 549)에 장착된다. 이로써, 장착부재(40, 440, 540)은 배수트랩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하수관의 입구에는 욕실이나 베란다의 오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재(50)가 결합된다. 집수부재(50)의 연부에는 집수부재 덮개와의 결합을 위한 사각 형상의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집수부재(50)의 중앙영역에는 하수관과 결합되는 집수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집수부재(50)에는 테두리로부터 집수관(60)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51)과, 경사면(51)과 집수관(60)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된 안착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착턱(55)에는 장착부재(40, 440, 540)가 안착되며, 안착턱(55)과 장착부재(40, 440, 540)는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재(40, 440, 540)의 폭은 안착턱(55)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집수관(60)의 안착턱(55)은, 설치장소나 목적에 따라 그 폭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부재(40, 440, 540)의 직경을 너무 좁게 형성하면, 집수관(60)의 안착턱(55)보다 너무 작아서 설치가 불안정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장착부재(40, 440, 540)의 직경을 너무 넓게 형성하면, 집수관(60)의 안착턱(55)보다 너무 커서 장착부재(40, 440, 540)가 경사면까지 연장되므로, 배수트랩(1)을 고정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착부재(40, 440, 54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제작되며, 안착턱(55)의 폭에 따라 장착부재(40, 440, 540)를 잘라낼 수 있도록 한다. 즉, 배수트랩(1)의 설치자는 안착턱(55)의 폭에 맞도록 가위 등을 이용하여, 장착부재(40, 440, 540)를 재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턱(55)의 폭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장착부재(40, 440, 540)를 이용하여 배수트랩(1)을 하수관에 장착할 수 있다. 안착턱(55)의 모양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일 수 있는데, 본원 발명에 따른 장착부재(40, 440, 540)는 안착턱(55)의 모양의 종류나 직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1, 100, 2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장착부재(4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장 착부재(40)는 안착턱(55)의 폭에 따라서 가위 등을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는 재단선(47)을 포함한다. 재단선(47)을 따라서 배수트랩(1)의 설치자는 가위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재단을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장착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장착부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440)는 관통공(445), 몸체(48), 배수트랩장착부(449), 재단선(447)을 포함한다.
관통공(445)으로는 배수트랩이 통과되며, 배수트랩 장착부(449)에는 배수트랩의 걸림턱의 하부(18a, 118a, 218a)가 위치되며, 재단선(447)은 재단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장착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장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540)는 관통공(545), 몸체(548), 재단도입부(546), 배수트랩장착부(549), 재단선(547)을 포함한다.관통공(545)으로는 배수트랩이 통과되며, 배수트랩 장착부(549)에는 배수트랩의 걸림턱의 하부(18a, 118a, 218a)가 위치되며, 재단도입부(546)는 재단을 하기 쉽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활을 하며, 재단선(547)은 재단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재(40, 440, 540)를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집수관(60)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관(60)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장착부재(40, 440, 540)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 수트랩(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의 장착부재(40, 440, 540)를 제작하기 위한 사출성형기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수트랩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배수트랩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배수트랩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수트랩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배수트랩의 평면도,
도 10은 도 6의 배수트랩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배수트랩의 단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배수트랩의 평면도,
도 15는 도 11의 배수트랩의 배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하수관에 장착시킨 상태의 사시도,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40)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6의 배수트랩에 수막형성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장착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장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장착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장착부재의 사시도이다.

Claims (10)

  1. 관상으로 형성되는 트랩관부; 및
    상기 트랩관부에 장착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서 형성되고, 오수의 배출 유무에 따라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절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오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출관부에는 상기 절개선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절개선은 상기의 깔대기 형상의 하부에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끼리 만나는 부분에는 수막형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트랩관부에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핀을 삽입할 수 있는 핀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핀 삽입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 영역 및 배출부의 외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에는 그 내측에 지지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측 영역 및 배출부의 외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9. 배수트랩에 사용되는 배출관부로서,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서 형성되고, 오수의 배출 유무에 따라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절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관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오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관부.
KR1020090022846A 2007-10-09 2009-03-18 배수트랩 KR100938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174 2007-10-09
KR20070101174 2007-10-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310A Division KR100954013B1 (ko) 2007-10-09 2007-10-09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872A true KR20090037872A (ko) 2009-04-16
KR100938733B1 KR100938733B1 (ko) 2010-01-26

Family

ID=4076127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310A KR100954013B1 (ko) 2007-10-09 2007-10-09 배수트랩
KR1020090013201A KR20090036555A (ko) 2007-10-09 2009-02-18 배수트랩용 장착부재
KR1020090022846A KR100938733B1 (ko) 2007-10-09 2009-03-18 배수트랩
KR1020100055169A KR20100083113A (ko) 2007-10-09 2010-06-11 배수트랩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310A KR100954013B1 (ko) 2007-10-09 2007-10-09 배수트랩
KR1020090013201A KR20090036555A (ko) 2007-10-09 2009-02-18 배수트랩용 장착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169A KR20100083113A (ko) 2007-10-09 2010-06-11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0954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93Y1 (ko) 2007-10-09 2010-12-01 이준기 배수트랩
KR101031707B1 (ko) * 2010-03-29 2011-04-29 최문환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0472604Y1 (ko) * 2012-05-25 2014-05-13 (주)도원드레인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200489455Y1 (ko) * 2018-09-28 2019-06-19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090044B1 (ko) * 2019-08-06 2020-03-17 서혜민 배관 구조물
KR102624945B1 (ko) 2021-06-09 2024-01-15 유진에스알 주식회사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769A (en) 1979-09-12 1981-04-21 Shin Gijutsu Kaihatsu Kk Check valve for drilling pipe
JP3362971B2 (ja) * 1994-08-02 2003-01-07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接着剤注入用逆止弁
KR200176888Y1 (ko) * 1999-10-25 2000-04-15 이동욱 일체형 역류방지 밸브
GB0015146D0 (en) 2000-06-21 2000-08-09 Munster Simms Engineering Limi Check valves
KR20050081903A (ko) * 2005-07-22 2005-08-19 정준채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100708302B1 (ko) * 2006-02-24 2007-04-17 중앙아이앤티산업(주) 악취발생방지 배수장치
KR200437512Y1 (ko) * 2006-11-17 2007-12-07 엄경숙 하수구의 악취 역류차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555A (ko) 2009-04-14
KR20090036248A (ko) 2009-04-14
KR100938733B1 (ko) 2010-01-26
KR100954013B1 (ko) 2010-04-20
KR20100083113A (ko)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733B1 (ko) 배수트랩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KR100887004B1 (ko) 배수트랩
KR20100042619A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102190516B1 (ko)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KR200233488Y1 (ko) 배수구의 냄새차단장치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JP3911588B2 (ja) 吸気弁付き排水トラップ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101176896B1 (ko) 타원형상의 힌지구조를 갖는 배수구 악취 차단용 마개
KR20160004362U (ko) 악취차단 배수트랩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102133230B1 (ko) 초절수 양변기
KR200311713Y1 (ko) 배수트랩
KR102571978B1 (ko) 변기의 냄새 역류 및 소음 방지 장치
KR200333044Y1 (ko) 배수트랩
KR200352132Y1 (ko)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