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752A -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752A
KR20090037752A KR1020070103254A KR20070103254A KR20090037752A KR 20090037752 A KR20090037752 A KR 20090037752A KR 1020070103254 A KR1020070103254 A KR 1020070103254A KR 20070103254 A KR20070103254 A KR 20070103254A KR 20090037752 A KR20090037752 A KR 20090037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care
test
inspection
serv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383B1 (ko
Inventor
김중현
Original Assignee
애트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트민(주) filed Critical 애트민(주)
Priority to KR102007010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3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 기관으로부터 검사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검사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건상 상태를 평가하고 건강 상태에 따른 각종 처방 관련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서비스 사용자(개인 병원, 피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검사, 식이요법, 운동요법, 영양요법, 건강검진, 건강관리

Description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의 건강 상태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의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 건강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건강관리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환자가 병원이나 의사 개인이 제공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의료상담이 보편화되었고, 최근에는 인터넷상에서 원격으로 진료까지 시행하는 의료서비스 시스템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동통신망을 인터넷에 연동시켜, 환자가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의료서비스 시스템 역시 제안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들이 환자가 이용하는 개별 병원 마다 별도로 실시되어 환자가 통합적으로 자신의 의료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를 통합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48991호로 제안된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48991호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환자관리 맞춤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무선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병원 정보 시스템들로부터 전송 받은 환자정보를 환자의 식별번호에 의해 분류하고 각 병원마다 다른 형태로 생성된 이질적인 데이터를 환자분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통일시켜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환자분류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정보를 제공하는 병원들과의 협의 또는 의학 관련서적 등의 분석을 통해 환자관리 맞춤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환자에게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특허등록 제448991호는, 환자가 이용한 각각의 병원에서 실시한 진료 데이터를 모아 통일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에게 적절한 의학 관련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한다는 포괄적 개념의 서비스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병원에서 환자로부터 획득한 검진 데이터를 통일시키는 구체적인 방법과 통일된 데이터를 환자에게 유용한 의학 정보로 변환하여 제시하는 구체적 기술수단이 결여되어 있어서, 현실적으로 그 실시가 어려운 발명이었다.
일례를 들면, 통상의 건강검진 과정이나 또는 신체에 질병 발생 유무를 확인 하기 위하여 병원에서는 피검사자의 혈액검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채혈된 혈액은 혈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함유된 생화학물질을 측정하게 되는데, 어떤 생화학물질의 검사 결과치가 일정 수치 범위 이내에 있게 되면 정상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의 범위에 있게 되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어떤 혈액검사장치에서 측정한 혈액 중 콜레스테롤 양이 140-220 ㎎/㎗ 범위에 있게 되면 정상이고, 이 수치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정상으로 판정하는 범위내의 수치를 '참고치'라는 용어로 부르게 되며, 이러한 참고치는 일정 모집단의 사람들을 피검사자로 하여 검사한 후 그 검사값을 모아 통계적으로 정규분포곡선을 그릴 때 평균값을 중심으로 전체 피검사자의 95%가 들어가는 영역에 해당하는 수치범위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엄밀하게는 피검사자의 검사 수치가 참고치 내에 있다하여도 이를 무조건 정상이라고는 할 수 없고 피검사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는 위험치가 될 수도 있다. 즉 참고치는 통계적으로 모집단이 된 사람들의 95%에 해당하는 수치 범위에 있다는 것만을 의미하므로, 말 그대로 참고적 수치의 성격만을 갖는 것이다.
또한 혈액 검사 장치는 여러 제조회사에서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는데, 제조회사에 따라서 혈액 성분의 검사 결과치가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현실적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제조회사들은 그 회사의 혈액 검사 장치로 측정한 피검사자들의 검사값를 통계 내어 고유의 참고치를 정한다.
즉 A회사에서 제작 판매하는 혈액 검사 장치가 혈액 중 콜레스테롤 양이 140~220 ㎎/㎗ 범위인 것을 참고치로 하고 있더라도, B회사에서 제작 판매하는 혈액 검사 장치는 혈액 중 콜레스테롤 양이 120~200 ㎎/㎗ 범위 인 것을 참고치로 하는 등, 혈액 검사 장치에 따라 참고치가 다르게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참고치와 같이 각각의 검사 장치에 따라 달라지는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표준화시키고, 이렇게 표준화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에게 적절한 처방을 제공하는 구체적 방법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나, 종래에는 이러한 기술이 찾아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개별 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각각의 검사 장치에 따라 달라지는 상이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검사 기관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준으로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기관으로부터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준화시킨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건강 상태에 따른 처방 관련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검사자의 혈액으로부터 추출되는 각종 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건강관리를 위한 적절한 처방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사자로부터 채취한 시료를 분석하는 검사 장치를 구비한 검사기관의 검사기관 서버(20,21)와 상기 검사기관 서버로부터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표준치로 변환한 후, 이를 근거로 필요한 각종 요법처방에 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건강관리 서버(10)와 상기 보고서를 열람하거나 전송받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검사기관 서버와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는 건강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건강관리 서버(10)는 검사기관 서버로부터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사결과 정보 수신부(11)와 상기 수신된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수정하여 표준치로 표준화하는 검사결과 표준화 처리부(12), 상기 표준치로 수정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난 검사 결과치들을 찾고, 이에 적용되는 각종 요법 처방들을 요법처방관련 DB에서 대응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표준 화 검사결과 분석부(13), 그리고 상기 요법처방관련 DB에서 추출된 각종 요법처방들을 분류에 따라서 정리하고, 미리 정한 양식의 보고서 형태로 생성하는 분석 결과 정리부(14), 그리고 상기 생성된 보고서를 서비스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보고서 제공부(15)를 포함한다.
이에 덧붙여 필요에 따라 각 검사 기관의 검사 장치에 따라 서로 다른 참고치를 저장하는 검사 장치별 참고치 저장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검사기관의 검사 장치로 측정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검사기관 서버(20, 21)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는 건강관리 서버(10)의 데이터 수신단계(S200)와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상기 검사 결과치를 백분율을 사용하는 표준치로 변환하는 표준화 처리단계(S400),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상기 표준치로 변환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에서 경계범위 및 이상범위 값들을 찾고, 이에 적용되는 요법 처방을 요법처방관련 DB의 대응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단계(S500),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상기 DB에서 추출된 각종 요법들을 식이, 영양, 운동 등의 분류에 따라서 정리하고, 미리 정한 양식의 보고서를 생성하는 분석 결과 정리단계(S600), 상기 보고서를 건강관리 서버(10)에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고서 제공단계(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건강관리 서버(10)의 데이터 수신단계(S200)와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단계(S500) 사이에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수신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의 표기법이 건강관리 서버(10)의 표기법과 상이한지를 판단하여, 표기법이 상이하면 건강관리 서버 자체의 표기법으로 수정하여 변환하고, 표기법이 동일하면 수정하지 않는 검사결과 표기법 변환단계(S3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개별 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각각의 검사 장치에 따라 달라지는 상이한 검사 결과치를 표준화된 데이터인 백분율로 표기된 표준치로 변환하므로, 서비스 사용자가 검사 장치의 종류에 따라 혼동하는 일이 없이, 동일한 기준으로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검사 결과치를 백분율로 표기된 표준치로 변환한 후 시각적으로 판단이 용이한 그래프로도 표기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사용자가 손쉽게 이상이 있는 검사 결과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그에 따르는 처방 요법 보고서를 작성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므로 서비스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의 건강 상태에 따라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 서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라 설명하면, 본 발명은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이 실시되는 시스템 전체를 통합 관리하는 건강관리 서버(10)와, 이 건강관리 서버에 유무선 통신망(30)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검사기관 서버(20,21), 병원단말기(40), 개인단말기(50),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60)로 구성된다.
검사기관 서버는 혈액과 같은 피검사자의 검사대상 시료를 분석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검사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서버이다. 검사기관은 통상 대형병원이나 인체로부터 추출된 시료의 검사를 전문으로 수행하는 전문기관 등 고가의 검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곳이다.
검사기관 서버는 검사 장치가 분석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건강관리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건강관리 서버(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결과 정보수신부(11), 검사결과 표준화 처리부(12),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부(13), 분석 결과 정리부(14), 보고서 제공부(15)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검사 장치별 참고치저장부(16)가 필요에 따라 부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건강관리 서버(10)에는 식이요법처방관련DB(101), 영양요법처방관련DB(102), 운동요법처방관련DB(103) 등 처방에 필요한 각종 D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DB는 건강관리 서버(10)외에 별도의 DB서버를 따로 설치하여 구축한 후 건강관리 서버(10)와 연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검사결과 정보 수신부(11)는 각각의 검사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검사결과 표준화 처리부(12)는 건강관리 서버로 수신된 검사 결과치가 검사기관에 따라 상이하므로 이를 수정하여 건강관리 서버에서 정한 표준 방식으로 변환한다.
상기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부(13)는 표준치로 변환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난 검사 결과치들을 찾고, 이에 적용되는 요법 처방들을 상기 각종 요법처방관련 DB의 대응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추출한다.
상기 분석 결과 정리부(14)는 상기 DB에서 추출된 각종 요법들을 식이, 영양, 운동 등의 분류에 따라서 정리하고, 미리 정한 양식의 보고서 형태로 생성한다.
보고서 제공부(15)는 상기 생성된 보고서를 피검사자나 병원관계자가 웹상에서 출력하여 볼 수 있도록 하거나, 피검사자나 병원관계자에게 이메일 등의 방법으로 전송한다.
검사 장치별 참고치저장부(16)는 검사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검사 결과치 데이터에 참고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으나, 참고 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비되어 있어야한다. 그 이유는 추후 설명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병원단말기(40), 개인단말기(50),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60)는 모두 사용자들이 상기 건강관리 서버의 보고서 제공부(15)에서 제공하는 각종 요법처방 보고서를 열람하거나 전송받는데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례는 혈액검사와 그 분석을 통하여 건강관리를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나, 본 발명은 혈액뿐 만 아니라, 소변이나 기타 인체에서 추출되는 각종 시료들이 검사 및 분석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우선 본 발명에서 건강관리 서버(10)에서 검사기관들로부터 수신한 검사 결과치를 백분율을 사용하는 표준치로 변환하는 방법부터 설명한다.
참고로 백분율을 사용하는 표준치의 사례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서 '%Status'로 표시된 것이 '표준치'를 의미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각각의 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검사 장치는 그 검사 장치를 제작한 제조회사에 따라서, 혈액 등의 시료의 성분 측정값에 대한 참고치가 상이하게 결정된다.
통상 상기 검사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측정값은 단위는 효소의 경우는 U/L(참고로 1U/L은 주어진 조건하에서 1분간에 1μ㏖의 기질을 변화시킨 효소량), 기타의 물질은 ㎎/㎗ 또는 g/㎗ 등이 사용된다.
일례로 어떤 피검사자의 혈액 중에서 콜레스테롤 양을 측정값을 표준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했듯이 검사 장치들은 분석된 성분에 대한 고유의 참고치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참고치는 통계적으로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검사 장치 A의 경우 콜레스테롤의 참고치는 140~220 ㎎/㎗이고, 검사 장치 B의 콜레스테롤의 참고치는 120~200 ㎎/㎗라고 가정한다.
이때 검사 장치 A의 참고치 평균값은 180㎎/㎗이고 180㎎/㎗를 중심으로 위쪽 220 ㎎/㎗까지와 아래쪽 140㎎/㎗까지가 통계적으로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값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검사 결과치를 백분율 표기 표준치로 환산하기 위하여 검사 장치 A의 참고치 평균값은 180㎎/㎗중심으로 위쪽 220 ㎎/㎗까지를 50%로 잡고 아래쪽 140㎎/㎗까지를 -50%로 잡는다.
즉 참고치에 해당하는 콜레스테롤 양을 갖는 95%의 사람들을 전체 100%하여 참고치 평균값에서 상하로 50%를 구분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참고치 중에서 상기 백분율로 표기된 표준치가 평균값을 중심으로 ±37.5%까지를 경우를 정상에 해당하는 평균범위로 판정하고, ±37.5%에서 ±50%까지를 정상이지만 경계를 요하는 경계범위로 판정하며, ±50%를 넘는 경우는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이상범위로 판정한다.
이렇게 경계범위 개념을 도입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바 있듯이 참고치가 단 순히 모집단의 95%가 해당하는 수치를 의미할 뿐이어서, 피검사자의 검사 수치가 참고치 내에 있다하여도 의학적으로 이를 무조건 정상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피검사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는 위험한 수준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참고치의 경계에 가까운 검사결과가 나온 피검사자에게 주의를 주기 위함이다.
어떤 피검사자의 혈액 중 콜레스테롤 양이 검사 장치 A에서 210㎎/㎗으로 측정되고 검사 장치 B에서는 190㎎/㎗로 측정되었다고 한다면, 이 데이터를 수신한 본 발명의 건강관리 서버(10)는 (검사 결과치-평균값)/(참고치 최고값-평균값)× 100÷2 = 표준치(%)의 공식에 의하여 백분율 표준치를 구하게 된다.
즉 검사 장치 A에서 측정된 콜레스테롤 양이 210㎎/㎗이므로, 이는 (210-180)/(220-180)×100÷2=37.5이므로 37.5%라는 표준치로 변환된다.
또 검사 장치 B에서 측정된 콜레스테롤 양은 190㎎/㎗이므로, 이는 (190-160)/(200-160)×100÷2=37.5가 되어 마찬가지로 37.5%라는 표준치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검사 장치 A나 검사 장치 B는 모두 통계적으로 모집단에서 추출된 참고치를 가지는 것이므로, 각 장치로 측정된 콜레스테롤 양이 다르게 나타나더라도 동일인에 대한 측정값이라면 통계적으로는 동일한 백분율로 표기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표준치를 정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콜레스테롤에 관한 예와 같이 피검사자의 검사 장치 A로 검사한 결과 검사 결과치가 210㎎/㎗로 나온 경우, 검사 장치 B를 주로 사용하던 의사라면 이 결과를 이상범위로 혼동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검사 장치 B의 참고치가 120~200 ㎎/㎗이기 때문이다.
이 때 본 발명의 표준치 개념을 사용하게 되면, 어떠한 검사 장치를 사용하든 상기 피검사자의 검사 결과치가 37.5%라는 표준치로 변환 표시되므로 위에서처럼 혼동의 우려는 전혀 없어진다.
뿐만 아니라 표준치의 개념은 어떠한 검사항목(즉, 검사 장치로 분석하여 측정하는 성분)에 대하여도 백분율로 단순화하여 표기하므로 검사결과를 이해하기가 쉬워진다.
즉 상기와 같이 검사 장치 A의 콜레스테롤 참고치는 140~220 ㎎/㎗, 혈당의 참고치는 60~110 ㎎/㎗, 지오티나 지피티의 참고치는 0~31 U/L, 알부민의 참고치는 3.5~5 g/㎗ 로 정하여 지는 등, 검사항목에 따라 참고치의 범위 및 단위 등이 제각각이어서 검사 결과치가 나오면 일일이 참고치와 대비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여야한다.
그러나 백분율 표준치를 사용하면 어떠한 검사항목에서도 참고치의 범위 및 단위 등에 관계없이 일정한 일정 퍼센트(예를 들면 ±50%) 이상인가 또는 이내인가로 정상여부를 판별하므로, 검사결과의 판독이 용이하여 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백분율로 표기된 표준치는 시각적으로 판단이 용이한 그래프로 표기할 수 있게 된다.
그래프로 표기할 경우, 표준치가 평균값을 중심으로 ±37.5%까지인 평균범위 영역인 경우 파란색, ±37.5%에서 ±50%까지를 경계범위일 때는 노란색, ±50%를 넘는 위험수치일 때는 붉은 색 등을 사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시각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그래프 표기의 실례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표준치의 개념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의 수행 프로세스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임의의 검사기관에서는 피검사자의 혈액을 검사 장치로 분석하여 측정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 서버(10)로 전송함으로써, 건강관리 서버의 데이터 수신단계(S200)가 수행된다.
이 후 건강관리 서버(10)는 수신한 각종 검사 결과치 데이터의 표기법이 건강관리 서버(10)의 표기법과 상이한지를 판단하여, 표기법이 상이하면 건강관리 서버 자체의 표기법으로 수정하여 변환하는 검사결과 표기법 변환단계(S300)를 수행한다.
즉 검사 장치 별로 각종 검사항목의 표기법이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검사 장치 A에서는 '지오티'라고 표기되는 검사항목이 검사 장치 B에서는 GOT라고 영문자로 표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하는 단위의 표기법도 상이할 수가 있다.
따라서 건강관리 서버(10)에서는 표기법 변환단계(S300)에서 검사항목의 표기법을 건강관리 서버(10)의 표기법으로 통일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검사결과 표기법 변환단계가 수행되면 건강관리 서버(10)는 각종 검사 결과치들을 백분율을 사용하는 표준치로 변환하는 표준화 처리단계(S400)를 진행한다.
이 때 검사 장치별 참고치저장부(16)에 각 검사 장치별 참고치를 저장하여 놓은 경우에는 상기 검사 장치별 참고치저장부(16)에 저장된 참고치와 검사 결과치를 비교하여 표준치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각종 검사 결과치의 데이터에 참고치가 표기되어 있다면, 검사 장치별 참고치저장부(16) 자체를 두지 않거나 혹은 이 곳에 저장된 참고치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수신한 해당 항목의 참고치를 그대로 이용하여 상기 검사 결과치를 표준치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은 앞서 설명한 검사 결과치를 표준치로 변환하는 수식을 프로그램화하여 수행하며, 이러한 프로그래밍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검사 장치별 참고치저장부(16)에 저장된 각 검사 장치별 참고치는 건강관리 서버에 사전에 입력되어 있어야 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후 건강관리 서버(10)는 상기 표준치로 변환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에서 경계범위 및 이상범위 값들을 찾고, 이에 적용되는 요법 처방들을 상기 각종 요법처방관련 DB의 대응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단계(S500)를 진행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검사결과 데이터를 표준치와 이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게 되는데, 도 4에서는 경계범위의 값을 갖는 표준치는 알부민/글로부민 비와 콜레스테롤이고, 이상범위의 값을 갖는 표준치는 중성지방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건강관리 서버(10)는 식이요법 처방관련 DB에서 경계범위 및 이상 범위 값을 갖는 피검사자에게 권장되는 영양소와 이를 함유한 음식을 추출하게 된다. 즉 피검사자에게 비타민 A가 권장된다면, 이를 함유한 과일로서 오렌지나 토마토 등, 채소로서 고구마나 시금치 등, 어육류로서 생선이나 간 등의 음식을 추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영양요법 처방관련 DB에서는 상기 피검사자에게 권장되는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의 섭취 권장량과 이에 알맞은 권장영양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에게 1일 1,000㎎의 비타민 C 섭취가 권장된다면, 이를 함유한 비타민 제품을 추출하는 것이다.
운동요법 처방관련 DB에서는 상기 피검사자에게 필요한 운동 프래그램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준비운동으로서 걷기 5분, 유산소운동으로서 자전가타기 30분/일 주 5회, 근력운동으로서 벤치프레스 15회 3세트 주 3회, 마무리운동으로서 걷기 5분 등으로 프로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 건강관리 서버(10)는 상기 DB에서 추출된 각종 요법들을 식이, 영양, 운동 등의 분류에 따라서 정리하고, 미리 정한 양식의 보고서를 생성하는 분석 결과 정리단계(S600)를 진행한다.
이렇게 생성된 보고서는 서비스 사용자가 건강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웹상으로 보고서를 열람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건강관리 서버(10)가 직접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단말기(50), 병원단말기(40) 또는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60)로 이메일, SMS등의 방법으로 전송하는 보고서 제공단계(700)를 진행하고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의 건강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결과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 평가하여 건강관리 보고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의 건강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검사값 표준화에 따른 표준치 표시방식과 그 그래프 표시방식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강관리 서버 11 : 정보 수신부
12 : 표준화 처리부 13 :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부
14 : 분석 결과 정리부 15 : 보고서 제공부
16 : 검사 장치별 참고치 저장부 20, 21 : 검사기관 서버
40 : 병원 단말기 50 : 개인 단말기
60 : 개인 휴대용 단말기 101 : 식이요법처방관련DB
102 : 영양요법처방관련DB 103 : 운동요법처방관련DB

Claims (6)

  1. 피검사자로부터 채취한 시료를 분석하는 검사 장치를 구비한 검사기관의 검사기관 서버(20,21)와
    상기 검사기관 서버로부터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사결과 정보 수신부(11)와 상기 수신된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수정하여 표준치로 표준화하는 검사결과 표준화 처리부(12), 상기 표준치로 수정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난 검사 결과치들을 찾고, 이에 적용되는 각종 요법 처방들을 요법처방관련 DB에서 대응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부(13), 상기 요법처방관련 DB에서 추출된 각종 요법처방들을 분류에 따라서 정리하고, 미리 정한 양식의 보고서 형태로 생성하는 분석 결과 정리부(14), 그리고 상기 생성된 보고서를 서비스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보고서 제공부(15)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버(10)와,
    상기 건강관리 서버의 보고서 제공부(15)에서 생성한 각종 요법처방 보고서를 전송받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검사기관 서버와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는 건강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각 검사 기관의 검사 장치에 따라 서로 다른 참고치를 저장하는 검사 장치별 참고치 저장부(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3. 검사기관의 검사 장치로 측정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를 검사기관 서버(20, 21)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는 건강관리 서버(10)의 데이터 수신단계(S200),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상기 검사 결과치를 백분율을 사용하는 표준치로 변환하는 표준화 처리단계(S400),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상기 표준치로 변환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에서 경계범위 및 이상범위 값들을 찾고, 이에 적용되는 요법 처방을 요법처방관련 DB의 대응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단계(S500),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상기 DB에서 추출된 각종 요법들을 식이, 영양, 운동 등의 분류에 따라서 정리하고, 미리 정한 양식의 보고서를 생성하는 분석 결과 정리단계(S600),
    상기 보고서를 건강관리 서버(10)에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고서 제공단계(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10)가 수신한 검사 결과치 데이터의 표기법이 건강관리 서버(10)의 표기법과 상이한지를 판단하여, 표기법이 상이하면 건강관리 서버 자체의 표기법으로 수정하여 변환하고, 표기법이 동일하면 수정하지 않는 검사결과 표기법 변환단계(S300)가 상기 건강관리 서버(10)의 데이터 수신단계(S200)와 표준화 검사결과 분석단계(S500)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처리단계(S400)에서의 백분율을 사용하는 표준치는 (검사 결과치-평균값)/(참고치 최고값-평균값)×100÷2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처리단계(S400)에서의 백분율을 사용하는 표준치를 평균값을 중심으로 다수의 특정 범위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정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을 갖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103254A 2007-10-12 2007-10-12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5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54A KR100975383B1 (ko) 2007-10-12 2007-10-12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54A KR100975383B1 (ko) 2007-10-12 2007-10-12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752A true KR20090037752A (ko) 2009-04-16
KR100975383B1 KR100975383B1 (ko) 2010-08-11

Family

ID=4076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254A KR100975383B1 (ko) 2007-10-12 2007-10-12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3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93B1 (ko) * 2012-07-27 2014-09-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진단용 정량검사의 정확도 검증을 위한 이차원 플롯 생성장치 및 방법
KR20190129317A (ko) * 2018-05-10 2019-11-20 애트민(주)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및 그 제공장치
KR20200006837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이비엠 상담 프로세스 기반 멀티 처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453A1 (en) 2013-02-22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larms for medical device through mobile device
US10404784B2 (en) 2013-02-22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KR101722688B1 (ko) * 2013-02-22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알람을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770452A1 (en) 2013-02-22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through mobile device
KR20190136680A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퀘스천 블록체인 기반의 운동을 기초로 한 건강관리 토탈 플랫폼과 일상의 의료연계 서비스 제공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168A (ja) * 1993-09-10 1995-03-31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臨床検査結果用表示装置
KR20020041575A (ko) * 2000-11-28 2002-06-03 김동진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84878A (ko) * 2001-05-04 2002-11-13 (주)유진사이언스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1746A (ko) * 2005-08-19 2007-02-23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혈당량정보에 관한 표준메시지를전송하기 위한 혈당측정기, 이의 전송방법, 이를 이용한혈당정보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93B1 (ko) * 2012-07-27 2014-09-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진단용 정량검사의 정확도 검증을 위한 이차원 플롯 생성장치 및 방법
KR20190129317A (ko) * 2018-05-10 2019-11-20 애트민(주)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및 그 제공장치
KR20200006837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이비엠 상담 프로세스 기반 멀티 처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383B1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383B1 (ko)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Bridgwood et 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modifiable risk factor control in the secondary prevention of stroke
US8924226B2 (en) Interactive testing system for analysing biological samples
Tuah et al. Transtheoretical model for dietary and physical exercise modification in weight loss management for overweight and obese adults
Fossum et al. Effects of a computerized decision support system on pressure ulcers and malnutrition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Hoenders et al. Pitfalls in the assessmen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outine outcome monitoring (ROM) data: Results from an outpatient clinic for integrative mental health
CN105678075A (zh) 一种血细胞形态分析物联检测诊断方法及平台
Kitsos et al. Assessments in Australian stroke rehabilitation uni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post-stroke validity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harlton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nutrition screening tool for use in elderly South Africans
Muchira et 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metabolic disease in a rural Kenyan community
Pearsall et al. Dietary advice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Shnaimer et al. Primary health care physicians’ knowledge and adherence regarding hypertension management guidelines in southwest of Saudi Arabia
Lee et al. The impact of stroke: insights from patients in Taiwan
Barbic et al. Validation of the brief version of the Recovery Self-Assessment (RSA-B) using Rasch measurement theory.
US20080015423A1 (en) Computer docking station for multiple health-related measurements
Merom et al. Measurement issues in quantitative research
Higgins An introduction to reference intervals (1)—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Cecon et al. Development of the health behaviour scale for cancer patients (HBSCP), analysis of its factorial structure and evaluation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McNaughton et al. Research skills
Söderström et al. Association between separate items of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instrument and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troducing a trimmed MNA version
Kumar et al. ISSK-an integrated self service kiosk for health monitoring and management
CN109620252A (zh) 一种血糖监测系统及方法
Kaltoft et al. Preference-sensitive apomediative decision support is key to facilitating self-produced health
Özden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Fear of Falling Questionnaire-Revised (FFQ-R)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mild cognitive decline
dos Santos Diogo et al. Diagnostic concordance among nursing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users: a pilo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