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623A -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623A
KR20090037623A KR1020070103037A KR20070103037A KR20090037623A KR 20090037623 A KR20090037623 A KR 20090037623A KR 1020070103037 A KR1020070103037 A KR 1020070103037A KR 20070103037 A KR20070103037 A KR 20070103037A KR 20090037623 A KR20090037623 A KR 2009003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projector
portable projector
dissip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473B1 (ko
Inventor
김용관
허두창
이중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473B1/ko
Priority to US12/239,901 priority patent/US8057047B2/en
Publication of KR2009003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마이크로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고광도 광원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부착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판, 및 내부에 상기 열전도판이 체결되며, 상기 열전도판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별도의 방열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열전도판과 방열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용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히트 싱크, 방열 팬, 프로젝터, LED

Description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Structure of radiant heat for portable projector}
본 발명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마이크로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근래에는 마이크로 프로젝터(Micro Projector)가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마이크로 프로젝터는 LED모듈이나 LD(Laser Diode)모듈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소형의 휴대용 프로젝터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곳이면 어떠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젝터(이하, 휴대용 프로젝터)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휴대용 프로젝터의 경우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일반적인 종래의 프로젝터처럼 방열 팬(Fan)을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또한 펠티어(Peltier) 소자를 사용하여 방열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처럼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이 쉽게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는 외부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고광도 광원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부착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판, 및 내부에 상기 열전도판이 체결되며, 상기 열전도판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는 열전도판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 케이스로 전달한다. 이렇게 방열 케이스로 전달된 열은 방열 케이스 전체로 확산되며 방출된다. 따라서 별도의 방열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용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에 따른 전면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C-C'에 따른 평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b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프로젝터 모듈(120)과, 회로부(150), 안착판(140), 열전도판(130), 방열 케이스(110), 및 보호구(160)를 포함한다.
프로젝터 모듈(120)은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하, 영상으로 통칭함)을 외부 스크린이나 벽, 종이, 천에 투사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터 모듈(120)은 고광도의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124)와, 광원부(124)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며 영상의 화상을 투사하는 이미저(imager; 도시되지 않음), 및 이미저를 통해 투사된 화상을 외부 스크린이나 벽, 종이, 천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렌즈(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24)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D(Laser Diode)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는 정도의 광도를 갖는 램프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저는 LCoS(Liquid Crystal On Semiconductor) 판넬,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판넬,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판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회로부(150)는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신호선(155)을 통해 이를 프로젝터 모듈(120)로 전송한다. 따라서 회로부(150)는 외부 기기과 연결되는 접속부(도시되지 않음)와, 프로젝트 모듈(120)에 전력은 공급하는 전원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부(150)는 입력되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투사 가능한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부(150)가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내부, 즉 프로젝터 모듈(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120)의 후미나 상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하여 회로부(150)가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방열 케이스(110) 외부에 설치되고, 신호선(155)만이 방열 케이스(110) 내부로 삽입되어 프로젝터 모듈(120)과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휴대용 프로젝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 요소(예컨대, 제어부, 신호 처리부, 배터리 등)들을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회로부(150)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안착판(140)은 후술되는 방열 케이스(110)의 내부에 체결되며, 일면에 프로젝터 모듈(120)이 안착된다. 도 2a과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판(140)은 방열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평행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양 끝단은 방열 케이스(110)와 후술되는 열전도판(13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안착판(140)의 상부면에는 프로젝터 모듈(120)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안착판(140)은 단순히 프로젝터 모듈(120)을 안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되는 열전도판(130)이 안착판(140)의 역할까지 겸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열전도판(130)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방열 케이스(110)의 내부에 체결되며, 일면에 프로젝터 모듈(120)이 부착된다. 이때, 열전도판(130)의 일면은 프로젝터 모듈(120)의 표면 중 가장 열이 많이 발생하는 면에 부착된다. 또한, 열전도판(130)의 타면은 근접한 방열 케이스(110)의 일면과 일정 간격(G; 예컨대, 0.5~3mm) 이격되어 체결된다. 이는 열전도판(130)의 열(예컨대, H에서 직접 전도되는 열)이 직접적으로 방열 케이스(110)의 일면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열전도판(130)이 방열 케이스(1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됨으써, 열전 도판(130)의 열은 간격(G) 내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통해 복사열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열전도판(130)과 근접한 방열 케이스(110)의 일면의 온도가 집중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판(130)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g, Al과 같은 금속들, 또는 이와 관련된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금속이 아니더라도 열전도성을 갖는 열전도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도판(130)으로 그라파이트 시트(Graphite Sheet; 134) 가 부착된 합성수지(132)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132)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성 수지나 기타 다른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판(130)은 합성수지(132)로 지지되고, 합성수지(132) 상에 그라파이트 시트(134)가 부착된다. 그라파이트 시트(134)는 면방향으로 열전달에 효율적인 이방성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판(130)과 같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에 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에 적합하다.
이처럼 열전도판(130)이 그라파이트 시트(134)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젝터 모듈(120)의 일면, 특히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이 그라파이트 시트(134)에 부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140)과 수직을 이루며 열전도판(130)이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는 프로젝터 모듈(120)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이 프로젝터 모듈(120)의 측면(H)인 경우를 예로 들었기 때문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20)의 온도는 램프(즉, 광원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온도가 가장 높다. 따라서 열전도판(130)과 프로젝터 모듈(120)이 접하는 부분은 프로젝터 모듈(120)의 램프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120)의 바닥면에 근접하여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열전도판(130)은 도 2b의 안착판(140)을 대신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술하였듯이 안착판(140)은 생략되고 열전도판(130)이 안착판(14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방열 케이스(110)는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로,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케이스(110)는 열전도판(130)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를 위해 방열 케이스(110)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방열 케이스(110)는 금속, 합금강, 또는 열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열전도판(130)의 경우와 같이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방열 케이스(110)의 내벽은 그라파이트 시트로 형성되고 외벽은 상기한 금속, 합금, 또는 열전도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외부 케이스가 열전도도가 높은 케이스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프로젝터 모듈(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방열 팬이나 히트 싱크(heat sink) 등을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보다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보호구(160)는 방열 케이스(110)의 특정 부분(예컨대, N)에 열이 집중되어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이로부터 사용자가 상해를 입거나 놀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휴대용 프로젝터(100)가 도 2b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열전도판(130)과 방열 케이스(110)를 통해 열을 방출하더라도, 특정 부분(예컨대, N)은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도 4, 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이처럼 어느 한 부분이 집중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경우, 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구(160)를 포함한다.
보호구(160)는 방열 케이스(110)의 표면 중 프로젝터 모듈(120)로 인하여 가장 온도가 높은 부분을 덮으며 방열 케이스(110)에 체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의 경우, 보호구(160)가 띠(band) 형대로 형성되어 방열 케이스(110)를 두르며 방열 케이스(110)에 체결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열 케이스(110)에서 온도가 높은 부분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보호구(160)는 1W/mK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 형태의 보호구(16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방열 케이스(110)의 일면 전체를 덮도록 구성하거나, 열이 집중되는 해당 부분만을 덮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구동시키면, 회로부(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투사 가능한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젝터 모듈(120)로 전송한다. 이에 프로젝터 모듈(120)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서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전도판(130)에 전달된다. 그리고 열전도판(130)은 전달된 열을 확산시켜 방열 케이스(110)로 열을 전달한다. 이때 열전도판(130)의 열은 열전도판(130)과 방열 케이스(110)가 체결된 부분을 통해 전도됨과 동시에, 열전도판(130)의 타면을 통해 방열 케이스(110)의 일면으로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처럼 방열 케이스(110)로 전달된 열은 방열 케이스(110)의 전체 부분으로 확산되고, 이와 동시에 방열 케이스(1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따라 휴대용 프로젝터(100)에서 발생되는 열은 지속적으로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열을 방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열방출 상태가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판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방열 케이스 온도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판이 설치된 경우의 방열 케이스 온도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가 설치된 도 5의 방열 케이스 온도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구조에 따라 시뮬레이 션을 실시한 결과로, 이를 참조하면, 도 4에서는 열이 집중된 부분의 온도가 약46℃ 까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열전도판(130)을 설치한 경우, 도 5와 같이 도 4에서 열이 집중된 부분이 없어지고, 최대 온도가 약42℃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보호구(160)를 설치한 경우, 보호구(160)의 온도는 약 40℃ 정도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판(130)과 보호구(160)는 온도가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프로젝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방열 케이스(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를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의 방열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고, 열전도판(130)은 프로젝터 모듈(1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로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교적 부피가 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를 통해 열을 방출하므로, 휴대용 프로젝터(100)만의 방열 케이스(110)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높은 열 방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는 열전도판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 케이스로 전달한다. 이렇게 방열 케이스로 전달된 열은 방열 케이스 전체로 확산되며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별도의 방열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용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도판의 타면과 방열 케이스 사이가 공기층으로 채워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전도도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물질을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열 케이스의 표면에 열 방출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코팅하여 열 복사능력을 높이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휴대용 프로젝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에 따른 전면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C-C'에 따른 평면 단면도.
도 3은 도 2b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판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방열 케이스 온도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판이 설치된 경우의 방열 케이스 온도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가 설치된 도 5의 방열 케이스 온도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프로젝터 110 : 방열 케이스
120 : 프로젝터 모듈 122 : 렌즈
124 : 광원부 130 : 열전도판
132 : 합성수지
134 : 그라파이트 시트(Graphite Sheet)
140 : 안착판 150 :회로부
155 : 신호선 160 : 보호구

Claims (16)

  1. 외부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램프를 이용하여 고광도 광원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모듈;
    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부착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판; 및
    내부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부착된 상기 열전도판이 체결되며, 상기 열전도판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케이스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합금강, 또는 열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케이스는 내벽에 그라파이트 시트(Graphite Sheet)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 중 상기 램프와 근접한 부분에 상기 열전도판의 일면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타면이 상기 방열 케이스의 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방열 케이스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합금강, 또는 열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그라파이트 시트가 부착된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D(Laser Diod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케이스의 표면 중 가장 온도가 높은 부분을 덮으며 상기 방열 케이스에 체결되는 보호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띠 형대로 형성되어 상기 방열 케이스를 두르며 상기 방열 케이스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1W/mK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케이스의 내부에 체결되며, 일면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일단이 상기 열전도판의 일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KR1020070103037A 2007-10-12 2007-10-12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KR10142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037A KR101425473B1 (ko) 2007-10-12 2007-10-12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US12/239,901 US8057047B2 (en) 2007-10-12 2008-09-29 Heat radiation structure for portable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037A KR101425473B1 (ko) 2007-10-12 2007-10-12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623A true KR20090037623A (ko) 2009-04-16
KR101425473B1 KR101425473B1 (ko) 2014-08-04

Family

ID=4053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037A KR101425473B1 (ko) 2007-10-12 2007-10-12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7047B2 (ko)
KR (1) KR101425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1948B2 (ja) * 2008-12-10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放熱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1106771A1 (en) * 2010-02-26 2011-09-01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Thermal management for handheld projectors
US20130303238A1 (en) * 2012-05-10 2013-11-14 Shao Hua Huang Mini-Projector Apparatus for Combining with Portable Device
JP6075705B2 (ja) * 2012-05-11 2017-02-0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CN103438992B (zh) * 2013-08-16 2015-11-11 深圳中建院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自动定位功能的照度计
US9929599B2 (en) * 2015-06-18 2018-03-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US9960630B2 (en) * 2015-08-06 2018-05-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KR102405414B1 (ko) * 2015-10-13 2022-06-07 주식회사 위츠 자기장 차폐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JP7195770B2 (ja) * 2018-05-30 202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冷却ユニットを用いた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7766B1 (en) * 1993-09-30 2001-12-12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projector
JP3608428B2 (ja) * 1999-04-15 2005-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2003084368A (ja) 2001-09-10 2003-03-19 Tamron Co Ltd プロジェクタ
KR20050029328A (ko) * 2003-09-22 2005-03-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열전도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4133774B2 (ja) * 2003-12-02 2008-08-1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の冷却方法
JP4736418B2 (ja) * 2004-12-17 2011-07-27 株式会社ニコン 光照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6996A1 (en) 2009-04-16
US8057047B2 (en) 2011-11-15
KR101425473B1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7623A (ko) 휴대용 프로젝터의 방열 구조
EP202612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rojector
KR1006526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열장치
JP5794225B2 (ja) 発光装置の冷却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4559361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6032615A (ja) 電子機器
WO2006080198A1 (ja) 面状照明装置
JP2011186350A (ja) 照明装置および投写型画像表示装置
CN212413648U (zh) 一种显示装置
KR20120021086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냉각방법
US20130303238A1 (en) Mini-Projector Apparatus for Combining with Portable Device
JP2010198952A (ja) Led照明器具
US20090137290A1 (en) Wireless Telephone Housing Providing Enhanced Heat Dissipation
JPH1195871A (ja) 電子機器の放熱構造
KR101437904B1 (ko)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664480B1 (ko) 투사형 표시장치
JP4356355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11054723B2 (en) Illumination device
JP4736418B2 (ja) 光照射装置
JP2007114332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JP2006053232A (ja) 電子撮像装置
JP5321039B2 (ja) 照明装置、及び撮影装置
KR20140057735A (ko) 방열 덮개
JP2021015563A (ja) 携帯機器セット、携帯機器、及び付属部材
KR101580735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