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335A -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335A
KR20090037335A KR1020080099241A KR20080099241A KR20090037335A KR 20090037335 A KR20090037335 A KR 20090037335A KR 1020080099241 A KR1020080099241 A KR 1020080099241A KR 20080099241 A KR20080099241 A KR 20080099241A KR 20090037335 A KR20090037335 A KR 2009003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witch strip
support member
strip profi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쉐라우스
구이도 슈르
Original Assignee
마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마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3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5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vacuum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43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1.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의 제조 방법.
2.1.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2.2.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지지 부재 부분의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 방식으로 결합된다.
2.3. 예컨대 전기로 작동되는 차량 게이트 또는 차량 도어에 대한 끼임 방지부로서의 이용.
프로파일 장치, 지지 부재,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 고정 부분, 끼임 방지부.

Description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의 제조 방법{Profile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file arrangemen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switching strip profile)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지지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일 공개 공보 DE 103 49 650 A1로부터는, 탄성적으로 휘기 쉬운 스위치 프로파일(switching profile)이 지지 부재의 그루브 내에 삽입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그런 프로파일 장치가 공지되었다.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프로파일은 압출 성형되고, 그에 반해 지지 부재는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그루브는 자체 개구부 영역에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돌출부 및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들은 언더컷부를 형성하고, 이 언더컷 후방에는 스위치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이 맞 물린다.
또한, 예를 들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이 접착층을 구비됨으로써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에 구비된 고정 부분으로 그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지지 부재에 접착하는 점도 공지되었다. 지지 부재에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확실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비교적 시간을 소모하는 재료 준비 공정이 요구되는데, 예를 들면 지지 부재에서의 탈지(degreasing)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의 관점에서 짧은 시간 및 보다 낳은 신뢰성으로 제조될 수 있는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대응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장치가 제공되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지지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지지 부재 부분의 사출 성형에 의해 지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 방식으로(integrally) 결합된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사출 성형에 의해 지지 부재와 결합되면서,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공정 동안 지지 부재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 사이에 일체화 결합부(integral joint)가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과 지지 부재의 결합은, 지지 부재의 제조를 위해 여하히 요구되는 제조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점은, 지지 부재 자체에 대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접착 시에서와 같은 준비 공정, 예컨대 탈지 공정 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그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그 외에도 매우 좁은 제조 허용 한계가 달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스위치 스트립 프 로파일이 지지 부재에 상대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항상 배치되고, 그에 따라 특히 지지 부재 상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안착할 시에 위치 결정 오류가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고,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리브(rib)의 협폭측과 일체화 방식으로 결합된다.
지지 부재 부분에 제공되는 리브들은 한편으로 지지 부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리브의 협폭측과 결합되면서, 사출 성형 공정 동안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이 전면에 걸쳐 접촉하는 경우에서보다 더욱 낮은 압력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에 인가되는 점이 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 부재 부분의 사출 성형 시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이 단지 극미하게만 변형되고, 최종 상태에서는 스위치 스트립 기능을 충족하는데 최적화된 횡단면을 가지는 점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이 리브들은 자체 구비된 각각의 단부 구간에 의해 지지 부재의 베이스 구간으로부터 자유로이 돌출되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리브들의 단부 구간들에 안착되면서 그 단부 구간들과 일체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리브들이 재료 강도가 낮은 경우에도 자체 협폭측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굽힘력을 양호하게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매우 높은 강성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시에 작용하며, 그에 따라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부에 작용하게 되는 압력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의 매우 적은 표면 영역에서만 발생하는데, 왜냐하면, 상기 고정 부분이 리브들의 단부 구간에만, 그에 따라 각각의 리브의 자유 협폭측에만 안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변형은 사출 성형 시에 압력에 의해 광범위하게 방지될 수 있다.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분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스트립 또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스트립 또는 리브는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후 지지 부재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양측에서 둘러싸인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시에 사출 성형 압력이 오로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의 스트립 또는 리브에만 작용하는 점이 달성된다. 왜냐하면, 그 스트립 또는 리브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으로부터 사출 성형되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구간 중 본질적인 개폐 기능을 담당하면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구간은,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시 고정 부분이 사출 성형 압력에 결코 노출되지 않고 그 결과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없는 방식으로, 고정 부분의 부분 중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돌출부, 리브 및/또는 계단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 부재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 사이의 접촉면은 확대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체화 방식의 결합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부를 구비하고, 이 언더컷부 영역에서 지지 부재와 형태 고정 방식(shape-locked)으로 결합된다.
지지 부재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 사이에 일체화 결합부에 추가로 형태 고정부가 형성되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과 지지 부재 사이의 결합부는 재차 더욱 안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부분은 횡단면이 제비 꼬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스트립을 포함하고, 이 스트립은,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시에 그 지지 부재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체화 결합 이외에도 형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분에는 제비 꼬리 모양의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고, 이 그루브는 지지 부재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충진된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길이가 긴 스트립으로서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지지 부재와 함께 자동차에 직접 조립될 수 있는 구성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고, 지지 부재의 고정을 위해 예컨대 확장 리벳(expanding rivet)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종축 방향 및/또는 자체 횡축 방향에 따라 만곡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자동차의 도어 또는 게이트 개구부의 만곡부에 적합하게 적응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질적인 부분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중에 자체 만곡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이 공간상 만곡되어 연장될 시에도,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이 항상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지지 부재와 결합되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도 특히 정확한 장착용 부품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부는 장애물의 용량성 검출 시에 차폐 전극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고정부에 대체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 부재는, 작동 중 장애물의 용량성 검출을 위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의 차폐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차체에 대한 조립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애물 검출을 위한 전기 전계는 차체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어야 한다. 이런 점은 박판형 차체의 경우 대개 완벽하게 이루어지지만, 예컨대 플라스틱 도어 또는 플라스틱 게이트가 이용된다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는 상기와 같은 전기 전계의 차폐를 대폭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종축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도체를 포함하고, 제1 도체는 전기 전계를 생성하기 위한 커패시터 전극으로서, 제2 도체는 전기 전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차폐 전극으로서 형성된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제1 및 제2 도체 또는 추가적인 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변형 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장애물에 대한 비접촉식 용량성 검출에 추가로, 촉각식 검출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도체의 측면 중 제2 도체에 본질적으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측면에는, 제1 도체와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3 도체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도체는 진단 용도로, 또는 제1 도체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도체가 진단 용도로 제공되는 경우, 그 제3 도체에 의해서는, 예컨대 전기 전계가 제1 도체로부터 개시되고 용량성 센서가 그에 따라 기능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기 전계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 제3 도체는 제1 도체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예컨대 접지 전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도체는 또한, 센서 표면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제1 도체와 동일한 전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자명한 사실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을 위해 제3 도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폐 수단을 제공하면서, 제3 도체에 대해 앞서 설명한 기능들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종축 방향에서 볼 때, 제3 도체의 다양한 기능들은, 차량 도어 또는 차량 게이트의 개구부 영역의 공간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형성되는 지지 부 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이런 제조 방법을 위해 하기와 같은 단계들이 제공된다: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삽입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의 캐비티로부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 지지 부재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이용하는 플라스틱이 액상 상태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면서 지지 부재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 사출 성형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과 함께 지지 부재를 몰드에서 제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항상 지지 부재 상에서 정확하게 사전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런 점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내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간단하게 삽입하고, 이어서 지지 부재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사출 성형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과 함께 지지 부재를 몰드에서 제거한 후에는 본질적으로 바로 장착할 수 있는 구성부품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의 대응하는 그루브 내에 삽입되고, 그런 다음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흡인할 수 있도록 그루브에 부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내 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런 점은 특히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내에서 만곡된 형태, 경우에 따라서는 공간상 만곡된 형태를 구비해야하는 경우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압출 성형되고, 그 결과 우선적으로 한번은 직선의 형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이 만곡된 형태로 변형되면, 그에 따라 필연적으로 소정의 반발력이 발생한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내 그루브에 부압을 인가하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반발력은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억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후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은 지지 부재와 일체화 방식으로 결합되고, 그로 인해 앞서 정의한 형태로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와이어 스트랜드들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내에 삽입되기 전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 부재를 위한 플라스틱의 주입과 더불어, 상기 플라스틱에 의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양쪽 단부의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작업 단계를 절감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렇게 하지 않았을 경우 지지 부재의 사출 성형 후에 와이어 스트랜드들을 접촉시키고, 이런 접촉 후에 다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양쪽 개방 단부를 밀봉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보다 개선된 프로파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청구항들과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지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의 개별 특징 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넘어서지 않으면서,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된다.
도 1은 지지 부재(12)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을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은 거의 장방형인 횡단면을 갖는 스트립 형태로 실현되는 고정 부분(16)을 포함한다. 이 고정 부분(16) 상에는 실질적인 안전 프로파일(18)이 배치된다. 이런 안전 프로파일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튜브 모양의 형태를 갖는다. 안전 프로파일(18)은 중공부(20)를 포함하고, 이 중공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1 도체(22) 및 제2 도체(24)가 인접한다. 도체들(22, 24)은 각각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데, 예컨대 각각의 도체(22, 24) 중심에는 와이어 스트랜드가 각각 삽입된다. 만일 스위치 스트립(18)이 압축되면, 예컨대 안活◎스트립(18)이 사용자의 손 쪽에 밀착되면, 도체들(22, 24)은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개폐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이 개폐 신호는 다시 예컨대 슬라이딩 도어를 다시 개방할 수 있도록 구동 모터의 회전을 반전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선단 테두리에는 본원의 프로파일 장치(10)가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은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은 이른바 촉각식 스위치 스트립으로서 형성되고, 장애물이 스위치 스트립(18)에 접촉하게 되면 그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체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18)은 또한 비접 촉식 센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비접촉식 센서의 경우, 전기 전계에 의해 장애물이 용량성으로 그리고 비접촉 방식으로 검출된다. 이런 경우 제1 도체(22)로부터는 전기 전계가 개시되며, 그리고 제2 도체(24)는 전기 전계를 검출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도록 접지 쪽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장애물에 의한 전기 전계의 변화는 적합한 전자 평가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고정 부분(16)은 도 1에 도시한 자체의 좌측 협폭측과 자체의 밑면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12)에 인접한다. 지지 부재(12)와의 접촉 영역에서, 고정 부분(16)과 지지 부재(12)는 일체로(integrally) 서로 결합된다. 이런 일체화된 결합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이 사출 성형 몰드 내에 삽입되고, 이어서 지지 부재(12)가 상기 사출 성형 몰드에 사출 성형 됨으로써 달성된다. 사출 성형 몰드 내로 유입되는 액상의 플라스틱은 접촉면 영역에서 고정 부분(16)의 재료와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12)와 고정 부분(16)을 위한 재료 선택 시에, 각각 선택한 재료들이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예컨대 지지 부재(12)에 대한 재료와 고정 부분(16)에 대한 재료는 폴리올레핀 그룹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사출 성형 몰드의 일측 구간을 도시하고 있다. 사출 성형 몰드(26)는 그루브(28)를 포함하고, 이 그루브 내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정 부분(16)을 포함하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은, 그 고정 부분(16)이 측면에서 그루브(28)에 인접하는 리세스부들(30, 32) 내에 정확하게 위치할 때까지 상부 방향으로부터 그루브(28) 내로 삽입된다. 그루브(28) 내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이 삽입된 후에, 그루브(28)의 바닥부와 연통되는 보어부(34)에는 부압이 인가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은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그루브(28) 내부에 고정된다. 그루브(28)의 길이에 걸쳐 볼 때 다수의 보어부(34)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출 성형 몰드(26)를 밀폐한 후에, 플라스틱이 주입되고, 그에 따라 지지 부재(12)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의 고정 부분(16)에 사출 성형된다. 사출 성형은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분(16)이 지지 부재(12)의 플라스틱 재료로 밑면에서 전면에 걸쳐 사출 성형되고,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자체의 좌측 측면 테두리에서도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밑면에서 사출 성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지지 부재(12)용 플라스틱이 경화된 후에, 프로파일 장치(10) 전체를 사출 성형 몰드(26)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 부분(38)은 자체 우측 및 좌측 측면 테두리 영역에 각각 견부(shoulder)를 구비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지 부재의 플라스틱 재료와의 접촉면은 확대될 수 있고, 일체화 결합 방식의 결합이 향상될 수 있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은 고정 부분(38)과 함께 사출 성형되며, 그럼으로써 견부들은 길이 방향에서 볼 때 고정 부분(38)의 우측 및 좌측 측면에 인접하여 연속된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은 장애물의 용량성 비접촉식 검출뿐 아니라, 장 애물의 촉각식 검출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은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자체 스위치 스트립 영역에 중공부(29)를 포함할 뿐 아니라, 이 중공부(29)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제1 도체(31)를 포함한다. 또한, 중공부(29) 외부에서 스위치 스트립의 플라스틱 내에는 U자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제2 도체(33)가 제공된다. 제1 도체(31)의 측면 중 제2 도체(33)를 마주보고 있는 측면에는, 제3 도체(35)가 배치된다. 이 제3 도체는 와이어 스트랜드로만 구성된다. 궁극적으로 중공부(29)의 측면 중 제1 도체(31)를 마주보고 있는 측면에는, 중공부(29)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제4 도체(37)가 배치된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의 모든 도체는 도 3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제3 도체(35)를 제외하고, 모든 도체(31, 33, 37)는 각각 도전성 폴리머 소재로 구성되고, 이 폴리머 소재 중심에는 와이어 스트랜드가 제공된다. 와이어 스트랜드는 압출 성형 중에 삽입할 수 있다.
장애물의 용량성 검출을 위해, 제1 도체(31)는, 전기 전계가 개시되는 커패시터 전극으로서 이용된다. 그에 따라 전기 전계는 제1 도체(31)의 배면 쪽에 대향하여,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접지 쪽에 배치되는 제2 도체(33)에 의해 차폐된다. 장애물이 제1 도체(31)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 범위에 들어오면, 그 장애물은 적합한 전자 평가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개폐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도체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의 차폐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부분(38)은 도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어, 접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체(35)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제3 도체는, 제 1 도체(31)로부터 전기 전계가 개시되고 그에 따라 용량성 센서가 작동 대기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 전극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도체(35)는 제1 도체(31)와 동일한 전기 전위에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센서 표면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제3 도체(35)는 경우에 따라 제1 도체(31)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접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용량성 작동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촉각식 스위치 스트립으로서의 작동을 위해, 제1 도체(31)와 제4 도체(37) 사이에서는 저항이 검출된다. 만일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의 스위치 스트립이 장애물에 의해 압축되면, 제1 도체(31)는 제4 도체(37)와 접촉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두 도체(31, 37) 사이에서는, 검출되어 개폐 신호 생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단락이 발생한다.
도 4는 추가적인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40)의 고정 부분(42)은 자체 밑면에 2개의 그루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그루브들은 제비 꼬리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다. 지지 부재를 사출 성형할 시에, 액상 플라스틱이 그 그루브들 내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플라스틱의 경화 후에, 고정 부분(42)과 지지 부재 사이의 일체화 결합에 추가로, 형태 고정 결합부가 형성된다. 형태 고정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자명한 사실에 따르면, 제비 꼬리 모양의 그루브 이외에도, 제비 꼬리 모양의 돌출부 또는 스트립이 고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44)을 개략 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44)의 고정 부분(46)은 중심부에 자체 밑면에서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48)를 사출 성형할 시에, 플라스틱은 그 리브에만 접촉하고, 고정 부분(46)의 나머지 부분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지지 부재(48)는 삼각형 모양의 횡단면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그 삼각형 구조의 첨두부에 리브가 매립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 부재(48)의 사출 성형 시에 인가되는 압력은 양측면에서 고정 부분(46)의 리브에 작용한다. 리브에 인가되는 압력은 선택한 구조에 의해 제거되고, 특히 리브 외부 영역에서는 고정 부분(46)의 변형을 야기할 수 없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특히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44)의 실질적인 스위치 스트립은 사출 성형 공정 동안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자동차 리프트 게이트(50) 영역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차의 차체(52)는 리프트 게이트(5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빗물 수로(54)를 형성하고, 이 빗물 수로 내부에 리프트 게이트(50)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전기식 스핀들 구동 장치(56)가 배치된다. 리프트 게이트(50) 자체는 박판 구조(58)를 가지며, 이런 박판 구조에 재차 뒤 유리(60)가 배치된다. 차체(52)와 리프트 게이트(50) 사이의 영역에는, 리프트 게이트(50)를 닫는 도중에, 사람이나 물품이 끼이는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리프트 게이트(50)의 측면 테두리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장치(62)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장치(62)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로 구성되며, 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은 지지 부재(66)와 결합되고, 이 지지 부재는 재차 플라스틱 확장 리벳(68)에 의해 리프트 게이트(50)의 박판 구조(58)와 결합된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은 리프트 게이트(50)가 개방된 상태일 때 리프트 게이트(50)의 가장자리 부분 중 리프트 게이트(50)가 닫힐 때 장애물이 우선적으로 접촉해야 하는 그런 부분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과 접촉할 시에 개폐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이 개폐 신호는 전기식 스핀들 구동 장치(56)의 회전을 반전시키고 그 리프트 게이트(50)를 다시 개방한다. 이에 대체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은 장애물의 비접촉식 용량성 검출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만일 장애물이 리프트 게이트(50)와 차체(52) 사이의 간격에서 검출되면, 전기식 스핀들 구동 장치(56)는 정지하거나 역회전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은 지지 부재(66)의 구간 중 횡단면이 예컨대 L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박판 구조(58)로부터 돌출되는 그런 구간에 고정된다. 장애물과 접촉할 시에, 그에 따라 어느 정도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66)의 L자 모양 구간이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장애물의 용량성 검출 시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로부터는 전기 전계가 개시되며, 이런 전기 전계는 리프트 게이트(50)와 차체(52) 사이의 간격에 장애물이 유입됨으로써 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전기 전계의 변화가 검출된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에 영향을 미치고, 리프트 게이트(50)와 차체(52) 사이의 간격 영역에 그 전기 전계를 집중시키기 위해, 지지 부재(66)는 전기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 부재(66)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로부터 개시되는 전기 전계를 리프트 게이트(50) 쪽에 대향하여 차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프트 게이트의 박판 구조(58)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추가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64)의 구간 중 지지 부재(66)와 결합되어 있는 그런 고정 부분도 전기 도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장치(70)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 부재(72)는 2개의 관통구(7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관통구들을 통해서는, 차량 도어와 고정 부재(72)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예시에 따른 플라스틱 확장 리벳이 삽입될 수 있다.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은 고정 부재(72)와 결합되고, 이 고정 부재(72)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고정 부분(78)에 사출 성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정 부분(78)과 지지 부재(72) 사이의 일체화 결합부(integral joint)가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정 부분(78)의 측면 중 도 7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길이방향 측면과 지지 부재(72)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도 7의 프로파일 장치(70)를 하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도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정 부분(78)은, 지지 부재(72)와 접촉하는 자체 종방향 테두리로부터 개시되는 영역에서 일체형으로 계속해서 밑면에 그 지지 부재로 사출 성형되고, 그럼으로써 고정 부분(78)의 밑면의 가장자리 영역과 지지 부재(72) 사이에 평평한 일체화 결합부가 존재하게 된다.
그 외에도 지지 부재(72)는 자체 밑면에 본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리브(8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브들은 지지 부재(72)의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고 그렇게 돌출된 자유 구간을 이용하여 고정 부 분(78)의 밑면에 안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정 부분(78)의 면 중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스위치 스트립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밑면과, 리브들(80) 사이에는, 지지 부재(72)의 사출 성형 시에 리브들(80)의 협폭측 영역에 일체화 결합부가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리브들(80)은 돌출된 지지부의 형태에 따라 지지하는 방식으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을 고정한다. 그로 인해 지지 부재(72)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고정 부분 사이의 접촉면은 마찬가지로 압력에 민감한 영역에서는 분명하게 감소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지지 부재(72)의 사출 성형 중에 고정 부분(78)과 그에 따른 전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변형은 우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지지 부재(72)와 고정 부분(78) 사이의 접촉면은, 지지 부재(72)의 사출 성형 시에 압력 힘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스위치 스트립을 압축할 수도 있는 그런 영역에서 감소한다. 다시 말해, 정확하게 스위치 스트립을 마주보는 영역에서는, 리브들(80)의 돌출된 단부들만이 고정 부분(78)에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스위치 스트립 방향으로 고정 부분(78)에 가해지는 압력 힘은, 고정 부분의 밑면 중 도 8에서 위에 위치하는 밑면이 전면에 걸쳐 지지 부재(72)의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될 때에보다 본질적으로 더욱 작아진다.
도 9는 도 7의 프로파일 장치(70)를 정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하고 있다. 지지 부재(72)에 제공되는 리브들(80)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프로파일 장치(70)를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은 도 9의 프로파일 장치(70)를 하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은 도 9의 프로파일 장치(70)를 측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리브들(80)은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도 13은 도 12의 절개선 A-A에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절개선 B-B에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과 도 14에 따르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고정 부분(78)을 발코니 모양으로 지지하고 있는 리브들(80)의 모습을 매우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리브들(80)은 고정 부분(78)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 부분(76)의 맞은편 측면에서 스위치 스트립의 측면 테두리를 마주보고 있는 영역까지만 연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스위치 스트립에 작용하는 힘은 짧은 경로에서 리브들(80)로 유도되고 지지 부재(72) 상에 분포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몰드의 상부 몰드부(84)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몰드부(84)의 캐비티(86)는 지지 부재를 성형할 구간(88)과,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삽입하기 위한 그루브(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출 성형 시에 액상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한 채널(92)이 제공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의 절개선 A-A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삽입하기 위한 그루브(90)와, 채널(92)을 더욱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장치(70)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몰드 의 하부 몰드부(94)를 도시하고 있다. 캐비티(96)는 리브들(80)을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들(98)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채널(100)을 포함한다.
도 18은 도 17의 절개선 B-B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따르면, 비록 도 18에서 리브들(80)을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부들(98)을 확인할 수 없지만, 캐비티(96)의 구조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9는 압출 성형 공정 후에, 그리고 사출 성형 몰드 내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에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0은 사출 성형 몰드의 상부 몰드부(84)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9에 도시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은 그루브(90) 내로 삽입된다.
도 21은 지지 부재(72)용 플라스틱을 주입하고, 도 17에 도시한 사출 성형 몰드의 하부 몰드부(94)를 제거한 후 그 상부 몰드부(84)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완전한 프로파일 장치(70)는 상부 몰드부(84)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그 상부 몰드부로부터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사출 성형 채널(92)로 인해 형성된 플라스틱 재료만을 지지 부재(72)로부터 제거하기만 하면 된다. 그 밖의 부분에서 사출 성형 몰드로부터 제거된 후의 지지 부재(72)는 본질적으로 바로 장착할 수 있는 구성부품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추가로 스위치 스트립의 도체들 내 와이어 스트랜드들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만 하면 된다.
지지 부재(72)의 사출 성형 후 스위치 스트립의 도체들 내의 와이어 스트랜드들을 차후에 접촉시키는 점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그루브(90) 내에 삽입하기 전에 와이어 스트랜드들을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지지 부재(72)용 플라스틱을 주입하는 것과 더불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양쪽 단부의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그 양쪽 단부의 밀봉은 와이어 스트랜드들의 접촉 후에 실시할 수밖에 없게 된다. 놀랍게도 확인된 점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단부들이 자동으로 밀봉되는 점은, 지지 부재(72)용 플라스틱을 주입함과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추가적인 작업 단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몰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리프트 게이트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장치를 상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프로파일 장치를 하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프로파일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프로파일 장치를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프로파일 장치를 하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프로파일 장치를 옆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절개선 A-A에 따라 프로파일 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절개선 B-B에 따라 프로파일 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몰드의 상부 몰드부 표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절개선 A-A에 따라 사출 성형 몰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몰드의 하부 몰드부 표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절개선 B-B에 따라 사출 성형 몰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사출 성형 몰드에 삽입하기 전 상태의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르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삽입하기 전에 도 15의 사출 성형 몰드의 상부 몰드부를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따르는 사출 성형 몰드 내에 배치되어 제조 완료된 프로파일 장치와 함께 그 사출 성형 몰드의 상부 몰드부를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5)

  1.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되는 지지 부재(12; 66; 7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 64; 76)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장치이며,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 36; 40; 44; 64; 76)은 상기 지지 부재(12; 66; 72)와 결합되는 고정 부분(16; 38; 42; 46; 78)을 포함하는, 상기 프로파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14; 36; 40; 44; 64; 76)의 고정 부분(16; 38; 42; 46; 78)은 지지 부재 부분의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12; 66; 7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 방식으로(integrally)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8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고정 부분(78)은 상기 리브(80)의 협폭측과 일체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72)는 다수의 리브(80)를 포함하고, 이 리브들은 자체 각각의 단부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부재(72)의 베이스 구간으로부터 자유로이 돌출되며,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의 고정 부분(78)은 상 기 리브들(80)의 단부 구간들에 안착되고 이 단부 구간들과 일체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 40; 44)의 고정 부분(38; 42; 46)은 돌출부, 그루브, 리브 및/또는 계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40)의 고정 부분(42)은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부를 포함하고, 이 언더컷부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형태 고정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66; 72)는 길이가 긴 스트립으로서 형성되고, 차체(5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수단들(6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76)은 자체 종축 방향 및/또는 자체 횡축 방향에 따라 만곡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은 이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도체(31; 33)를 포함하고, 제1 도체(31)는 전기 전계를 생성하기 위한 커패시터 전극으로서 형성되며, 제2 도체(33)는 상기 전기 전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차폐 전극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의 도체들(31, 37)은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변형 시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31)의 측면 중 상기 제2 도체(33)에 대해 본질적으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도체(31)로부터 이 격되어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36)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도체(3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장치.
  13.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삽입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의 캐비티로부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 지지 부재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이용하는 플라스틱이 액상 상태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면서 지지 부재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그리고
    - 사출 성형된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과 함께 지지 부재를 몰드에서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추가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의 대응하는 그루브 내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삽입하고, 그에 따라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흡인하기 위해 그루브에 부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내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을 삽입하기 전에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 내부의 와이어 스트랜드들을 접촉시키고, 그에 따라 지지 부재를 사출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 스트립 프로파일의 양쪽 개방 단부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80099241A 2007-10-10 2008-10-09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90037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0352A DE102007050352A1 (de) 2007-10-10 2007-10-10 Profil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rofilanordnung
DE102007050352.2 2007-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335A true KR20090037335A (ko) 2009-04-15

Family

ID=3988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241A KR20090037335A (ko) 2007-10-10 2008-10-09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36716A1 (ko)
EP (1) EP2048014B1 (ko)
JP (1) JP2009090667A (ko)
KR (1) KR20090037335A (ko)
DE (1) DE102007050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9028U1 (de) * 2009-07-01 2010-12-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Kapazitive Sensoreinheit
US8493081B2 (en) 2009-12-08 2013-07-23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and sensor hook-on attachment principle
US9234979B2 (en) 2009-12-08 2016-01-12 Magna Closures Inc. Wide activation angle pinch sensor section
DE102012201181A1 (de) * 2012-01-27 2013-08-01 Mayser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Einklemmschutzprofils mit einem Träger, Einklemmschutzprofil und Einklemmschutzsystem
DE102012214289B4 (de) * 2012-08-10 2016-03-31 Mayser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leiste und Verfahren zum Anspritzen einer Endkappe an ein elastisches Schaltleistenprofil
DE202013005386U1 (de) 2013-06-13 2014-09-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eitenspoil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9688A1 (de) * 1993-11-22 1995-05-24 Karlheinz Beckhausen Nadelkontaktelement einer Sicherheitskontaktschiene
US6103168A (en) * 1995-03-22 2000-08-15 Gencorp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egrally molded applique article for a vehicle with integral cosmetic and functional material
DE19602744C2 (de) * 1996-01-19 1999-04-29 Mayser Gmbh & Co Sicherheitsschaltleistenanordnung
JP3472526B2 (ja) * 2000-04-27 2003-1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集積回路素子用接続モジュールおよび接続モジュール付き集積回路素子
US6782759B2 (en) * 2001-07-09 2004-08-31 Nartron Corporation Anti-entrapment system
DE20207992U1 (de) * 2002-05-23 2002-08-08 Schueco Int Kg Sicherheitsdichtung und Fenster-, Tür-, Fassaden- oder Lichtdachkonstruktion
DE10349650A1 (de) 2003-10-20 2005-05-19 Mayser Gmbh & Co. Kg Profilanordnung für Einklemmschutz und Spritzgusswerkzeug
US20050117270A1 (en) * 2003-10-20 2005-06-02 Mayser Gmbh & Co. Kg Profile arrangement for jamming protection and injection mould
DE102005059275B4 (de) * 2005-12-12 2008-03-13 Webasto Ag Verblendungsvorrichtung für Fahrzeugdachsysteme mit öffnungsfähigem Deckel
DE202007004037U1 (de) * 2007-03-22 2008-07-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kleid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6716A1 (en) 2009-05-28
JP2009090667A (ja) 2009-04-30
EP2048014A2 (de) 2009-04-15
EP2048014A3 (de) 2009-08-19
DE102007050352A1 (de) 2009-04-16
EP2048014B1 (de)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7335A (ko) 프로파일 장치와 프로파일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228139B1 (ko) 동력으로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위한 트래핑보호장치
KR100924630B1 (ko) 몰딩 부착 구조 및 몰딩 부착용 클립 및 몰딩
US20070207644A1 (en) Fixing member for electric conductors, electric conductor structure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mponent
US10677579B2 (en) Capacitive distance sensor
KR101847755B1 (ko) 자동차의 용량성 센서 장치
US10237972B2 (en) Plastic component with at least one electrical contact elemen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11196219B (zh) 触控传感器的安装构造以及制造方法
US20110241705A1 (en) Linear sensor
US20100095599A1 (en) Sealing system for vehicle door leaf, method for making same and vehicle including same
JP2019522591A (ja) 切替要素
US20060096383A1 (en) Lead wire routing structure for pressure-sensitive sensor of vehicle door
CN111038234A (zh) 密封条
JP4258246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64674A (ja) 自動車ドアロック、伝動装置ハウジング又は同様な伝導担体用ハウジング、特に錠ハウジング
CN114851971A (zh) 接触式传感器单元
JPH09504639A (ja) 密閉ケーシングを有する例えばリレー等の電気機械式構成要素
JP2013179007A (ja) 長尺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3755080B2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US11597264B2 (en) Window surround for a vehicle
CN116176246A (zh) 密封条及其制造方法
CN113250573B (zh) 具有牢固地整合在空心型材的腔室中的用电工作的开关板条的能弹性弯曲的空心型材
CN215204698U (zh) 一种固定结构
JP7410014B2 (ja) タッチセンサユニット
JP4426133B2 (ja) グラス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