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126A -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126A
KR20090037126A KR1020070102592A KR20070102592A KR20090037126A KR 20090037126 A KR20090037126 A KR 20090037126A KR 1020070102592 A KR1020070102592 A KR 1020070102592A KR 20070102592 A KR20070102592 A KR 20070102592A KR 20090037126 A KR20090037126 A KR 2009003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emo
storing
extrac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라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10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7126A/ko
Publication of KR2009003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에 메모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으로서, (a)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메모 추출 및 저장을 위한 문자열 또는 영역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에서 선택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추출하고 해당 메시지에서 메모가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메모장의 메모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 단말, 문자 메시지, 추출, 메모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Method for fetching memo of private messag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에 메모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전화 가입자들 간에 짧은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가입자 간의 메시지 전송뿐만 아니라 주식 정보나 교통정보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고, 원격제어기술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단문 메시지 전송뿐만 아니라 장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음성 통화, 메시지 서비스 이외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하는 중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한 텍스트 형식의 무선 인터넷에서 벗어나 유선 인터넷과 동일한 환경의 풀 브라우징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무선 인터넷 중에 알게 된 유용한 정보들을 메시지로서 다른 가입자들에게 전달하여 공유한다. 예컨대, 무선 인터넷 중에 획득하게 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주소를 문자 메시지로 작성하여 친구, 동료 등에게 전달하여 함께 공유한다. 이 밖에도 모임 장소, 계좌 번호, 연락처 등의 중요한 사항을 메시지로 전달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트 주소, 모임 장소, 계좌 번호, 연락처 등의 메시지로 수신한 중요한 정보들을 나중에 확인하거나 다시 이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신된 메시지를 다시 검색해야하고, 그 메시지 내의 중요 정보를 기억하거나 종이에 메모를 해 두었다가 이용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 사용자는 메시지 내의 중요 정보들을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다시 검색하여 확인해야 하고, 아니면 종이 등에 따로 메모를 해 두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수신된 메시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중요 메시지를 다시 검색하기 힘들 뿐더러 중요한 정보를 수신한 사실을 잃어버려 큰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수신된 메시지 내의 중요한 정보를 메모로 추출하고 메모장 목록에 저장하여 손쉽게 메시지 내의 중요 정보를 따로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메시지 중에 중요 정보를 추출한 메시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으로서, (a)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메모 추출 및 저장을 위한 문자열 또는 영역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에 서 선택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추출하고 해당 메시지에서 메모가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메모장의 메모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로서, 메시지 및 메모장의 메모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메시지, 메모 및 설정된 플래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메모 추출 및 저장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에서 문자열 또는 영역을 선택받아 추출하고, 해당 메시지에서 메모가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플래그를 설정한 다음 상기 저장수단의 메모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중요 정보를 메모로 추출하여 따로 저장 관리하게 되므로 중요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중요 정보를 망각하지 않도록 환기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메시지 중에 중요 정보를 추출한 메시지에는 플래그를 설정하고 이를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메모를 추출한 메시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송수신부(110), 송수화부(120), 키입력부(130), 표시부(140), 메모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110)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데이터 신호, 단문(SMS) 또는 MMS 메시지 등을 수신하고, 또한 음성/화상 통화 신호, 데이터 신호, 메시지 등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송수화부(120)는, 마이크,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110)에서 수신되어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음성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키입력부(130)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단말을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키입력부(130)는, 음성/화상 통화 발신을 위한 키 신호, 또는 메시지 발신 및 메시지 확인을 위한 키 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키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중 원하는 메시지에서 메모의 추출을 희망하는 키 신호를 입력받고, 수신된 메시지 내에 기록되어 있는 문자열 또는 영역을 메모로 추출하여 메모장의 메모 목록에 저장하기 위한 키 신호를 입력받는다.
표시부(140)는 사용자에게 단말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이다. 특히, 표시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 수신함, 메모장 등과 같은 기능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메모리(150)는, 이동통신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프로그램과,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메모리(150)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 예컨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모를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 내에 기록된 문자열 또는 소정 영역을 추출 및 저장하고, 플래그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6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요청 신호 처리부(161), 선택 처리부(162), 추출 처리부(163), 편집 처리부(164), 플래그 설정부(165), 저장 처리부(166)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 신호 처리부(161)는 상기 키입력부(130)에서 입력받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메시지에서 메모의 추출 및 저장을 희망하는 추출 요청 신호를 전달받아 후술할 선택 처리부(162)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 처리부(162)는 추출을 희망하는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이나 특정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130)를 통한 선택입력으로 원하는 문자열이나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문자열 선택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블럭을 설정하여 원하는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겠다. 여기서, 선택하는 문자열은 숫자, 문자 및 기호 등의 텍스트가 될 것이고, 선택하는 영역은 음성, 이미지 및 영상 중 선택된 일정 부분의 영역이 될 것이다.
상기 추출 처리부(163)는 상기 선택 처리부(162)에서 선택받은 문자열 또는 영역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음성, 이미지 및 영상 등은 선택된 영역을 캡처하여 추출하게 된다. 상기 추출 처리부(163)는 추출과 함께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상기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편집 처리부(164)는 상기 추출 처리부(163)를 통해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확인함과 함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문자열 또는 영역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플래그 설정부(165)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상기 추출 처리부(163)를 통해 메시지 내 메모가 추출 완료된 상태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플래그 설정부(165)는 다수의 수신된 메시지들 중 메모가 추출된 메시지를 플래그로 설정하고 아이콘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용이하게 메모가 추출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플래그는 다수의 단계를 표현하는 플래그로 설정하고 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단계의 플래그 중 선택받은 플래그로 해당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이콘 등도 단계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소, 연락처, 계좌번호 등으로 메모의 특성을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도록 플래그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플래그가 설정된 메시지를 통해 메모가 추출되었음을 확인하고 단계로 구분된 플래그를 통해서는 추출된 메모가 어떤 내용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 처리부(166)는 상기 추출 처리부(163)를 통해 추출된 문자열 및 영역을 상기 메모리(150)의 메모장 영역에 저장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수신된 메시지들 중 상기 추출 처리부(163)를 통해 메모가 추출된 메시지에는 상기 플래그 설정부(165)를 통해 플래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수신한다.(1) 이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는 제어부(160)를 통해 제어처리되어 메모리(150)의 메시지 수신함에 저장된다.(2)
이어서, 제어부(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키입력부(130)를 통해 수신한다(3).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를 메모리(150)에서 불러와 세부 내용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4). 바람직하게,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의 리스트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중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시지의 세부 내용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표시부(140)에 표시 중인 메시지 내의 메모를 추출하여 저장하기 위한 추출 요청 신호를 키입력부(130)를 통해 수신한다.(5) 이렇게 추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130)를 통해 해당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이나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 조작을 수신한다.(6) 메시지 내 문자열 또는 영역의 선택 입력 수신이 완료되면, 선택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메모로 추출하는 처리과정이 진행된다.(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추출된 메모는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추출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가 진행된다.(8) 이렇게 표시된 메모는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거나, 수정 또는 내용의 추가 등 편집 입력 작업을 진행 한다. 이때에는 확인 입력을 수신하거나, 편집 입력을 수신하여 작업을 진행한다.(9)
이와 함께 메모의 추출이 완료된 메시지에는 메모가 추출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되고,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메시지 리스트에도 아이콘이 표시된다.(10)
마지막으로, 추출된 메모는(편집된 내용 포함) 메모리(150)의 메모장 영역에 메모 리스트로 저장되어 이동통신 단말의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의 절차는 완료하게 된다.(1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에서 메모를 추출하여 메모장에 저장하는 과정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수신함에 접근하여 메모를 추출할 메시지를 선택한다. 도 4의 (a)에서 사용자는 메모를 추출할 메시지로서 1번 메시지를 선택한다. 선택된 메시지는 도 4의 (b)와 같이 세부 내용이 단말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4의 (b)와 같은 화면에서 메시지 내의 메모를 추출하여 저장하기 위해 메뉴(301) 버튼을 입력한다. 메뉴(301) 버튼을 입력하면 도 4의 (c)와 같은 답장 보내기, 메모 추출 및 저장하기 등의 서브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그 중 메모 추출 및 저장하기(303) 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4의 (d)와 같이 메모 선택 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문자열을 선택하도록 한다. 도 4의 (d)에서는 사용자가 문자열을 선택하여 블 럭(305)이 설정된 화면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추출할 문자열을 선택하고 나면 선택된 문자열이 화면에 표시되고, 서브 메뉴에는 메모장에 저장하기와 추출된 메모 편집하기 등이 제공된다. 도 4의 (e)에서는 추출된 메모를 메모장에 저장하는 1번 메뉴 버튼(307)을 선택한 예시가 도시되었다. 1번 메뉴 버튼(307)을 선택하면, 추출된 메모는 메모장의 메모 목록에 추가되어 저장된다. 도 4의 (f)와 같이 추출된 메모의 내용이 메모장의 4번 목록에 저장이 되었다.
이렇게 메모 추출 및 저장이 완료되면 도 4의 (g)와 같이 메시지 수신함에는 메모가 추출된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되고 아이콘(311)이 표시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에서 메모를 추출하여 메모장에 저장하는 과정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무선 송수신부 120 : 송수화부
130 : 키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메모리 160 : 제어부

Claims (10)

  1.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으로서,
    (a)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메모 추출 및 저장을 위한 문자열 또는 영역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에서 선택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추출하고 해당 메시지에서 메모가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메모장의 메모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메시지에서 메모의 추출 및 저장을 희망하는 추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플래그 설정시에는,
    다수의 단계를 표현하는 플래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c) 사이에서,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c) 사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편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선택되어 추출되는 문자열 또는 영역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8.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로서,
    메시지 및 메모장의 메모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메시지, 메모 및 설정된 플래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메모 추출 및 저장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에서 문자열 또는 영역을 선택받아 추출하고, 해당 메시지에서 메모가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플래그를 설정한 다음 상기 저장수단의 메모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메시지에서 메모의 추출을 희망하는 추출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메시지에서 추출할 문자열 또는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에 대한 편집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된 문자열 또는 영역을 편집하여 상기 저장수단의 메모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KR1020070102592A 2007-10-11 2007-10-11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90037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92A KR20090037126A (ko) 2007-10-11 2007-10-11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92A KR20090037126A (ko) 2007-10-11 2007-10-11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26A true KR20090037126A (ko) 2009-04-15

Family

ID=4076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592A KR20090037126A (ko) 2007-10-11 2007-10-11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7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035A (ko) * 2013-07-10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 기능이 연동된 메시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035A (ko) * 2013-07-10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 기능이 연동된 메시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193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а канала связи
EP1215867B1 (en) Emoticon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7366529B2 (en)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101402243B1 (ko) 촉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EP1919174B1 (en) Presence informatio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268882A1 (en) Short message service enhancement techniques for added communication options
CN101406028B (zh) 动态快速拨叫号码映射
JP2008544629A (ja) 文字メッセージに含まれている電話番号にハイパーリンク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KR20080015887A (ko)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단말
KR2012006825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0054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32097B1 (ko) 음성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1814288A1 (en) Transmission of database record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695212B1 (ko) 푸쉬 메시지를 자동 저장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121304A (ja) 携帯端末装置
JP2004178294A (ja) 関連する電子メールを表示する携帯端末、電子メー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04900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ne-touch message transmission
KR200901162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신저 정보 보관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과 메신저 정보 보관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CN103095891A (zh) 一种快速录入名片信息的方法、装置及其终端
KR20090037126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내 메모 추출 및 저장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JP4493617B2 (ja) 電話機
JP200925914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方法
KR100969284B1 (ko) 문자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89225B1 (ko) 이동 단말에서 메시지 처리 상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 단말
KR100878349B1 (ko) 특수 효과가 적용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