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102A -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102A
KR20090037102A KR1020070102542A KR20070102542A KR20090037102A KR 20090037102 A KR20090037102 A KR 20090037102A KR 1020070102542 A KR1020070102542 A KR 1020070102542A KR 20070102542 A KR20070102542 A KR 20070102542A KR 20090037102 A KR20090037102 A KR 2009003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eodorizer
natural mineral
cover
wrap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607B1 (ko
Inventor
장종엽
Original Assignee
장종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엽 filed Critical 장종엽
Priority to KR102007010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6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종 실내나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설치 공간에 제약이 없도록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실내의 조경용 장식물로도 사용 가능한 탈취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내부에 천연 광물질(15)이 수용되고 상단 면에 제거 가능한 랩 시트(wrap sheet)(11)가 부착되며 상기 랩 시트의 제거시 물 저장이 가능하게 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씌워지고 내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21)이 형성된 커버(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상기 커버(20) 내에 수경 식물 등 각종 식물을 꽂을 수 있는 장식공(22)이 더 형성된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DEODORIZATION VESSEL AND USE OF SAME}
본 발명은 악취 제거를 위한 탈취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거주하는 병실이나, 통기성이 양호하지 않아 곰팡이 냄새 등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 노래방, 지하실 방, 화장실, 또는 담배 냄새에 찌든 방 등에 놓여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각종 냄새 인자를 효과적으로 흡수, 제거할 수 있는 탈취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일반적인 병실은 여러 종류의 병을 가진 환자가 다수인이 함께 입원해 있기 때문에 공기의 청정 유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또한 실내 환경이 밝고 깨끗한 이미지를 주는 것이 환자들의 건강에 유리하지만,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지출되어야 하고 또한 공기의 청결 유지의 지속성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지하 노래방이나, 지하방 등은 특히 습기로 인한 곰팡이 균의 번식이 쉬워서 악취를 유발하고, 화장실의 경우도 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며, 그 외에도 신발장, 싱크대 내부, 냉장고 내부 등 밀폐된 공간에서 악취의 발생이 빈번함에 따라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방향제 또는 나프탈렌 등을 사용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청정기는 비교적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냄새를 유발하는 장소마다 모두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인 부담이 있고, 신발장이나 냉장고 안과 같이 좁은 공간이나 기타 전자제품 내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며,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과 아울러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향제나 나프탈렌의 경우는, 악취를 유발하는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방향제나 나프탈렌의 강하고 진한 냄새로 인해 냄새 입자에 의해 악취를 맡지 못하게 하는 것이어서 실제로 냄새 제거에는 효과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악취 제거에 대한 역효과가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 크기의 미세 기공이 형성된 천연 광물질 입자를 통해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되, 상기 천연 광물질의 유통과 취급이 용이함과 동시에 안전하고, 설치 장소나 공간상의 제약 없이 어디에나 설치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탈취기와 이러한 탈취기의 제올라이트 취급과 사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탈취기의 기능뿐 아니라, 수경 식물 등 실내 조경용 식물을 꽂을 수 있는 관상용 탈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천연 광물질(15)이 수용되고 상단 면에 제거 가능한 랩 시트(wrap sheet)(11)가 부착되며 상기 랩 시트의 제거시 물 저장이 가능하게 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씌워지고 내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21)이 형성된 커버(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커버(20) 내에 수경 식물 등 각종 식물을 꽂을 수 있는 장식공(2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천연 광물질은 미세 기공이 형성된 다공질의 제올라이트 입자일 수 있고, 상기 장식공(22)의 외측 면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식물을 세워서 지지하도록 하는 리브가 상향 및/또는 하향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측면에 의하면, 천연 광물질(15)을 수용한 베이스(10)로부터 커버(20)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부착된 랩 시트(11)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10) 내에 물을 주입하여 천연 광물질(15)을 적시는 단계 및 상기 커버(20)를 베이스 상에 씌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취기의 사용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탈취기에 의하면, 천연 광물질을 이용하여 탈취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환경오염이나 공해를 유발하지 않고, 유통이나 취급에 있어서 안전하고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소형이어서 다량 구매를 통해 집안 구석구석 어디에나 설치하여도 비용 부담이 적은 이점이 있다. 또한 설치 공간의 크기나 장소에 구애 없이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어서 편리성과 탈취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물론, 수경식물 등 장식용 식물을 꽂아서 보관하면 냄새 제거와 동시에 식물로 인한 실내 분위기 고조와 함께, 식물의 생장 시간을 연장하게 되어 식물을 오랫동안 보관 및 관상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내부에 천연 광물질(15) 입자를 수용하고, 상단 면에는 랩 시트(wrap sheet)(11)가 부착된다. 상기 랩 시트(11)는 박막 상의 알루미늄 또는 비닐 막이 중첩된 종이 등, 유통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수용된 천연 광물질(15)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빠지지 않도록 베이스(10) 상단 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랩 시트(11)는 베이스(10)의 상단 면에 접착성분으로 부착되고 필요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부터 잡아 올려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는 운반 등의 유통 과정에서 제올라이트와 같은 천연 광물질(15)이 베이스(10) 외부로 누설되는 것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커버(2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단에서 분리 및 체결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 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통기공(21)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랩 시트(11)가 제거되어 있더라도 커버(20)가 베이스(10) 상에 씌워지거나 체결된 경우, 천연 광물질(15)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외부 공기와 천연 광물질(15)은 통기공(21)을 통해 상호 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탈취기에 대한 사용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탈취기는 랩 시트(11)와 커버(20)가 각각 베이스(10) 상단에 부착 또 는 체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때 소비자는 베이스(10)에서 커버(20)를 분리한 뒤, 베이스(10) 내부를 밀봉하고 있던 랩 시트(11)를 떼어서 제거한 다음, 도 2와 같이 베이스(10) 내부에 있는 천연 광물질(15)이 잠길 정도까지 물(16)을 부은 후, 다시 커버(20)를 베이스(10) 상단에 체결하여 덮고, 이를 악취가 발생하는 공간에 설치하면, 천연 광물질(15)에 의해서 악취가 제거된다.
이를 단계별로 세분화하면, 천연 광물질(15)을 수용한 베이스(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21)이 형성된 커버(20)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부착된 밀폐용 랩 시트(11)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10) 내에 물을 주입하여 천연 광물질(15)을 적시는 단계 및 상기 커버(20)를 베이스 상에 씌우는 단계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천연 광물질(15)은, 예컨대 나노 크기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제올라이트일 수 있고, 또한 100%의 순수 제올라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의 입자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비정형 입자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올라이트가 통기공(21)을 통해 외부 악취 공기와 접할 경우 악취 또는 냄새를 유발하는 미세한 불순물 입자(냄새 입자)가 미세기공 내에 흡착되어 냄새가 제거된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천연 광물질(15)은 순수 제올라이트에만 한정되지 않고 나노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다른 천연 물질로 대체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천연 물질은 기타 결합제 또는 첨가제와 혼합된 것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탈취기 구성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 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탈취기에 있어서 커버(20) 내에 장식공(22)을 더 부가한 것으로서, 기타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탈취기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커버(20) 내부에 형성된 장식공(22)은 수경식물등 조경을 위한 각종 장식용 식물(미도시)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 경우 조경용 또는 관상용으로서 실내의 분위기를 고취할 뿐 아니라 베이스(10) 내부에 물(16)이 수용되어 있어서 식물의 생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장식공(22)의 외측 면은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리브(22a)가 형성되어서 장식공(22)에 꽂아진 식물이 상부 리브(22a)에 기대어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리브(22a)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식물은 더욱 안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 수 있다.
물론, 상부 리브(22a)가 상측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는 것에 대체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장식공(22)의 외측 면이 하측으로 연장된 상부 리브(22b)를 형성함으로써 식물이 거의 수직 상태로 꽂아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
0.7ℓ(리터) 용량의 베이스(10) 내에 순수 제올라이트 입자 500g(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제올라이트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으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공기와 접할 수 있는 탈취기 시료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m(미터)인 밀폐 상자 내에 상기 탈취기 시료를 넣은 다음, 암모니아 가스를 100ppm이 측정될 때가지 주입하여 시간당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때 암모니아 측정은 'RAE Systems'사의 'ToxiRAE II'로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ppm이고, 측정 주기는 30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표 1]
경과 시간(min) 암모니아 농도(ppm) 감소율(%)
30 7 93
60 4 96
90 2 98
120 1 99
위 표에서와 같이 암모니아는 30분 경과시 93%까지 감소하였고, 30분 이후 120분까지는 점차 감소하였으나 감소량이 크지는 않았으며, 이를 통해 30분이라는 단시간 내에 암모니아가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은 도시된 제한적인 실시예만 참고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 및 도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취기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11 : 랩 시트(wrap sheet)
15 : 천연 광물질
20 : 커버 21 : 통기공
22 : 장식공 22a, 22b : 리브(rib)

Claims (6)

  1. 내부에 천연 광물질(15)이 수용되고 상단 면에 제거 가능한 랩 시트(wrap sheet)(11)가 부착되며 상기 랩 시트의 제거시 물 저장이 가능하게 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씌워지고 내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21)이 형성된 커버(20)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광물질(15)은 다공질의 제올라이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 내에 장식공(2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공(22)의 외측 면이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 리브(22a)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공(22)의 외측 면이 하측으로 연장된 상부 리브(2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
  6. 천연 광물질(15)을 수용하고 상단에 밀폐용 랩 시트(11)가 부착된 베이스(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21)이 형성된 커버(20)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10) 상단의 랩 시트(11)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10) 내에 물을 주입하여 천연 광물질(15)을 적시는 단계, 및
    상기 커버(20)를 베이스 상에 씌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의 사용방법.
KR1020070102542A 2007-10-11 2007-10-11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 KR10089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42A KR100899607B1 (ko) 2007-10-11 2007-10-11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42A KR100899607B1 (ko) 2007-10-11 2007-10-11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02A true KR20090037102A (ko) 2009-04-15
KR100899607B1 KR100899607B1 (ko) 2009-06-02

Family

ID=4076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542A KR100899607B1 (ko) 2007-10-11 2007-10-11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6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84B1 (ko) * 2006-08-30 2007-08-10 임수환 항균, 탈취 기능을 갖는 다용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607B1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US10330384B2 (en) Drying device
US5180552A (en) Room air purification
US20030217507A1 (en) Pot plant stand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plant pot for the stand
SI1645295T1 (sl) Difuzor z nadziranim sproščanjem za sobne dezodorante in/ali dišave, zasnovan za pritrditev na steno
KR101930809B1 (ko) 수납장용 받침대
KR101429337B1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KR100899607B1 (ko) 탈취기 및 그의 사용방법
JP2008272115A (ja) 空気清浄機
CN2270908Y (zh) 盒式冰箱除味灭菌器
CN2262916Y (zh) 六面透气式冰箱杀菌除味器
JPH0322681Y2 (ko)
KR200412943Y1 (ko) 방향제를 구비한 제습용기
JP3085534U (ja) 木炭または竹炭利用の空気清浄機
JPH04108547U (ja) 室内の空気浄化装置
JP3541804B2 (ja) 消臭機能付き玄関収納下駄箱
JPS625213Y2 (ko)
JP3527436B2 (ja) 消臭剤および消臭方法
KR200491188Y1 (ko) 탈착형 제습제 수납케이스
JP4771609B2 (ja) 空気清浄機付きプランター
JP2005312422A (ja) 温室利用空気清浄器
KR20130016974A (ko) 내용물의 교환이 용이한 용기
KR200360153Y1 (ko) 탈취 겸용 제습용기
JP2006014663A (ja) 強制脱臭装置内蔵二重鉢構造の植木鉢
JP3078191U (ja) 消臭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