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751A -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751A
KR20090036751A KR1020070101970A KR20070101970A KR20090036751A KR 20090036751 A KR20090036751 A KR 20090036751A KR 1020070101970 A KR1020070101970 A KR 1020070101970A KR 20070101970 A KR20070101970 A KR 20070101970A KR 20090036751 A KR20090036751 A KR 20090036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commercial
battery
maximum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038B1 (ko
Inventor
이병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파트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파트너
Priority to KR102007010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02J13/000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involved in a protection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소비가 많은 시간대의 수요전력을 최대수요전력 이하로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무정전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력 수용가의 부하를 상용전원을 직접 사용하고 정전시에는 중단해도 되는 제1 부하와, 정전시에도 전원을 계속 공급할 제2 부하, 최대수요전력이 되면 무정전(UPS) 전원을 공급할 제3 부하로 구분하여 해당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상용 교류전원을 감시하여 정전을 감지하는 정전감시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한 후 제어에 따라 심야시간대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부하에 상용전원이나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나 다른 전력원의 전력을 공급하는 자동 전력 스위칭부; 및 심야시간대, 최대수요전력시간대, 최대수요전력량 등을 설정하고, 상기 정전감시부를 통해 정전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다른 전력원의 상태를 입력받아 동작모드를 판별한 후 상기 자동 전력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UPS, 무정전 전력공급, 전력 부하 평준화, 최대수요전력, 발전기, 전력원, 효율

Description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HYBRID UPS SYSTEM FOR CONTROLLING MAXIMUM DEMAND POWER }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소비가 많은 시간대의 수요전력을 최대수요전력 이하로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장치(UPS)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와, 직류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 직류전원을 충전하고 있는 배터리,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다가 정전이 되면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정전시에도 전원을 계속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장치는 컴퓨터나 비상램프 등과 같이 중요한 장치를 위한 비상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생활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TV, 냉장고, 세탁기 등은 물론 에어콘, 전기난방장치 등의 전력소비가 높은 가전제품이 널리 보급되어 특정 시간대에 이러한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전력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새로운 발전소를 건립하는데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전력 수요패턴을 분석하여 전력소비가 적은 심야시간대와 전력소비가 큰 주간시간대를 구분하여 전기요금을 차등화하는 방안을 채택하여 주간시간대의 전기사용을 억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심야시간대에 저가의 전력을 저장한 후, 주간시간대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국가 전체적으로 사용 시간대에 따른 전력의 소비를 평준화 함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전력 공급을 위한 전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비가 적은 심야시간대에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다가 전력소비가 많은 시간대에 전력을 제공하여 수요전력을 최대수요전력 이하로 제한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 수용가의 부하를 상용전원을 직접 사용하고 정전시에는 전력 공급을 중단해도 되는 제1 부하와, 정전시에도 전력을 계속 공급할 제2 부하, 최대수요전력이 되면 무정전(UPS) 전원으로 전력을 공급할 제3 부하로 구분하여 해당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상용 교류전원을 감시하여 정전을 감지하는 정전감시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한 후 제어에 따라 심야시간대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부하에 상용전원이나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나 다른 전력원의 전력을 공급하는 자동 전력 스위칭부; 및 심야시간대, 최대수요전력시간대, 최대수요전력량 등을 설정하고, 상기 정전감시부를 통해 정전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다른 전력원의 상태를 입력받아 동작모드를 판별한 후 상기 자동 전력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전력 스위칭부는 제1 내지 제5 전력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용전원이 정상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전력스위치를 온시키고 제5, 제6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켜 제1 부하 내지 제3 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고, 상용전원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제2 전력스위치와 제4, 제6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제3, 제5 전력 스위치를 온시켜 제2 부하에만 배터리의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공급하고, 다른 전력원을 연결한 경우, 상기 제1, 제2 전력스위치와 제4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제6 전력 스위치를 온시켜 제2 부하에만 다른 전력원을 인버터를 통해 공급하고, 다른 전력원의 용량에 따라 상기 제3, 제5, 제6 전력스위치를 온시키고 제1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키며, 다른 전력원의 용량에 따라 제2 스위치와 제4 스위치를 온 혹은 오프시켜 제2 부하에는 다른 전력원을 인버터를 통해 필수적으로 공급하고, 제1부하와 제3부하는 다른 전력원의 용량에 따라 용량에 여유가 있을 경우에 공급하고, 다른 전력원의 용량에 비해 제1 내지 제3 부하의 전력소모가 적은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최대전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제2 전력스위치와 제4, 제5 전력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3, 제6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제1 부하와 제2 부하에는 상용전원을 공급하고, 제3 부하에는 배터리의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공급하여 상용전원의 전력 소비를 줄여서 전력소비의 평준화를 시행하며, 상용전원의 소모가 적은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5 전력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6 전력 스위치만을 오프시켜 상기 제1 부하 내지 제3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를 상용전 원으로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은 정전 시 제2 부하에 충분한 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비의 평준화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3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제3 부하의 전력을 자동으로 상용 전원 쪽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UPS시스템은 제어에 따라 전력회사 및 전력량계와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와, 제어에 따라 장비의 현 상태 정보와 상기 통신부를 거쳐서 입력된 전력사용자료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력회사와 통신하여 심야시간대, 최대수요전력시간대, 최대수요전력량 등을 설정하고, 상기 전력량계와 통신하여 순시전압, 순시전류, 순시전력, 현재 수요전력 등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사용자료 정보는 순시전압, 순시전류, 순시전력, 수요전력, 최대수요전력이고, 상기 현 상태 정보는 현재시간, 정전, 충전, 인버터구동, 자동 전력 스위칭부의 구동, 충/방전상태, 충전전압, 충전전력, 방전시 사용 가능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자동제어 대신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수동 조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른 전력원은 태양광 전지나 가정용 소형 엔진발전기, 풍력발전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하를 일반부하, 정전 시에도 전원을 계속 공급할 부하, 최대수요전력이 되면 UPS전원을 공급할 부하 등으로 구분한 후, 정전 시에는 해당 부하에 전원을 계속 공급하며, 다른 전력원을 이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정전 상태가 오래 지속될 때에도 해당부하에 전원을 계속 공급한다.
또한, 심야시간대에 배터리를 충전시킨 후 수요전력이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면 배터리의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대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수용가의 전력소비가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여 전체적으로 전력소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체 환경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회사(20)와 전력량계(50) 등과 통신이 가능하고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용전원(10) 을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부하(40-1~40-3)에 상용교류전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용전원 이상시나 최대 부하시 등에는 배터리(120)나 다른 전력원 예컨대 태양광 전지(30-1), 가정용 소형 엔진발전기(30-2), 풍력발전기(30-3)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 내지 제3 부하(40-1~40-3)에 중단없이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감시부(102)와, 통신부(104), 수동조작부(106), 표시부(108), 제어부(110), 배터리 및 충전기(120), 인버터(130), 자동전력 스위칭부(140:ATS)로 구성되어 동작모드에 따라 상용전원(10)이나 다른 전력원(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 내지 제3부하(40-1~40-3)에 중단없이 전력을 공급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부하를 다음 표 1과 같이 3가지 관리형태로 분류하여 제1 부하(30-1)는 전력회사(20)에서 제공하는 상용 교류전원이나 다른 전력원(30)의 출력을 자동전력 스위칭부(140)의 SW1과 SW2의 제어에 의해 공급할 수 있도록 배선하고, 제2 부하(30-2)는 평상시에는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하다가 정전시에는 무정전전원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여 항시 전원이 공급되게 배선하며, 제3 부하(30-3)는 평상시에는 전력회사의 전력을 공급하다가 전력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 수용가의 수요전력이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면 무정전전원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여 수용가의 수요전력이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배선한다.
구분 전원공급방식
제1부하 TV,오디오 등 정전시에는 사용을 중단하여도 무방한 장치
제2부하 전등,보안장치,냉장고,컴퓨터 등 정전시에도 전원공급을 중단하여서는 안되는 장치
제3부하 에어콘, 전기난방기 등 최대수요전력 관리 대상 장치
상기 표1을 참조하면, 제1 부하(40-1)는 TV나 오디오 등과 같이 일반적인 가전제품으로서 상용 전원으로 동작하고, 정전시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한 장치 이며, 제2 부하(40-2)는 정전시에도 동작할 필요가 있는 조명기구나 보안장치, 냉장고 등으로서 정전시에는 무정전 전원장치(100)의 전원으로 계속 동작하며, 제3 부하(40-3)는 소비전력이 큰 장치들로서 상용 교류전원으로 동작하다가 전력수요량이 최대에 이를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100)의 전원으로 동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전감시부(102)는 전력량계(50)를 거친 상용 교류전원(10)을 감시하여 정전이 되면 정전신호를 제어부(110)로 제공하고, 통신부(10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력량계(50), 전력회사(20)와 통신을 처리하고, 수동조작부(106)는 수동으로 동작하기 위한 버튼 등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자동제어 대신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108)는 LCD 등으로서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비의 현 상태와 통신부(104)를 거쳐서 입력된 전력 사용 자료와 현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때 전력 사용 자료는 순시전압, 순시전류, 순시전력, 수요전력, 최대수요전력 등이 있고, 현 상태 정보로는 현재시간, 제어상태(정전, 충전, 인버터구동, 자동 전력 스위칭부의 구동 등), 배터리 상태(충/방전상태, 충전전압, 충전전력, 방전시 사용가능시간 등)가 있다.
배티리 및 충전기(120)는 상용 교류전원이나 다른 전력원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고, 인버터(130)는 배터리나 다른 전력원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로 제공한다.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스위칭하는 제1 내지 제5 전력 스위치로 구성되고, 제어부(110)는 통신부(104)를 통해 전력량계(50), 전력회사(20)와 통신하여 심야시간대, 최대수요전력시간대, 최대수요전력량 등을 설정하고 순시전압, 순시전류, 순시전력, 현재 수요전력 등을 산출하여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다음 표 2와 같이 조건에 따라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의 전력 스위치를 제어하여 각 부하들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구분 전원상태 SW1 SW2 SW3 SW4 SW5 SW6 공급부하
모드1 상용전원 정상시 ON ON ON ON OFF OFF 제1부하 내지 제3부하
모드2 상용전원 이상시 OFF OFF ON OFF ON OFF 제2부하
모드3 다른 전력원 연결 OFF OFF ON OFF ON ON 제2부하
모드4 다른 전력원 용량에 따라 OFF ON / OFF ON ON / OFF ON ON 제2부하 (용량에 따라서 제1, 제3 부하 및 배터리 충전)
모드5 최대부하시 부하평준화 ON ON OFF ON ON OFF 제1, 제2 부하 : 상용전원 제3 부하 : 배터리
모드6 상용전력소모가 작은 경우 ON ON ON ON ON OFF 제1 내지 제3 부하, 배터리 충전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상기 표2와 같이 전원상태에 따라 6가지 동작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전력을 공급한다.
제 1 모드는 상용전원이 정상인 경우로서, 제어부(110)는 자동전력스위칭부(140)의 제 1 내지 제 4 전력스위치(SW1~SW4)를 온시키고 제 5, 제 6 전력 스위치(SW5, SW6)를 오프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하 내지 제3부하(40-1~40-3)에 상용전원을 공급한다.
제 2 모드는 상용전원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정전 등)로서, 제어부(110)는 자동전력 스위칭부(140)의 제 1, 제 2 전력스위치(SW1, SW2)와 제 4, 제6 전력 스위치(SW4, SW6)를 오프시키고 제 3, 제 5 전력 스위치(SW3, SW5)를 온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하(40-2)에만 배터리의 전력을 인버터(130)를 통해 공급한다.
제 3 모드는 다른 전력원(30) 연결시 로서, 제어부(110)는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의 제 1, 제 2 전력스위치(SW1, SW2)와 제 4 전력 스위치(SW4)를 오프시키고 제 3, 제 5, 제 6 전력 스위치(SW3, SW5, SW6)를 온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하(40-2)에만 다른 전력원(30)을 인버터(130)를 통해 공급한다.
제 4 모드는 다른 전력원(30) 용량에 따른 동작의 경우로서, 제어부(110)는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의 제 3, 제 5, 제 6 전력스위치(SW3, SW5, SW6)를 온시키고 제 1 전력 스위치(SW1)를 오프시키며, 다른 전력원(30)의 용량에 따라 제2 스위치(SW2)와 제4 스위치(SW4)를 온 혹은 오프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하(40-2)에는 다른 전력원(30)을 인버터(130)를 통해 필수적으로 공급하고, 제1부하(40-1)와 제3부하(40-2)는 다른 전력원(30)의 용량에 따라 용량에 여유가 있을 경우에 공급하며, 배터리(120)의 충전도 가능하다.
제 5 모드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최대전력을 초과한 경우로서, 제어부(110)는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의 제 1, 제 2 전력스위치(SW1, SW2)와 제 4, 제 5 전력 스위치(SW4, SW5)를 온시키고 제 3, 제 6 전력 스위치(SW3, SW6)를 오프시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하(40-1)와 제2부하(40-2)에는 상용전원을 공급하고, 제3부하(40-3)에는 배터리(120)의 전력을 인버터(130)를 통해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120)의 충전 잔량이 대략 30% 미만인 경우에는 정전 시 제2부하(40-2)의 전원 공급에 대비하여 자동으로 제3부하(40-3)의 전원공급을 상용전원으로 전환한다.
제 6 모드는 상용전원 소모가 적은 경우로서, 제어부(110)는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의 제 1 내지 제 5 전력스위치(SW1~SW5)를 온시키고 제 6 전력 스위치(SW6)만을 오프시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하(40-1) 내지 제3부하(40-3)에 상용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배터리(120)를 상용전원으로 충전시킨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정전시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수동조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제어부(110)는 통신부(104)를 통해 전력량계(50), 전력회사(20)와 통신하여 심야시간대, 최대수요전력시간대, 최대수요전력량 등을 설정한다(S101). 통상 심야시간대는 밤 12시부터 새벽 3시 정도로서 상대적으로 전력소비가 적은 시간대이고, 최대수요전력시간대는 낮 1시에서 4시 사이의 전력소비가 가장 많은 시간대이다. 그리고 최대수요전력량은 전력 수용가와 전력회사 간에 계약이나 약정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현재시간을 체크하여 현재시간이 설정된 심야시간대(상용전원소모가 작은 경우)이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심야전력으로 배터리(120)를 충전시킨다(S102,S103).
이어 현재시간이 최대수요전력시간대인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모드에 따라 전력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적당한 전원을 공급하고(S105), 최대수요전력시간대이면 현재 수요전력을 산출한다(S104,S106). S105 단계에서는 상기 표2를 참조하여 판단된 동작모드에 따라 각 부하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현재 수요전력과 미리 설정된 최대수요전력을 비교하여 현재 수요전력이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면, 제1 부하와 제2 부하에만 상용전원을 공급하고, 제3 부하에는 인버터(130)를 구동하여 배터리(120)의 충전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자동 전력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상용 교류전원을 차단하고 인버터(108)의 출력전원을 제3 부하(30-3)에 제공한다(S107,S108).
이에 따라 각 전력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시간대의 수요전력이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어 전력사용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고, 발전소를 새로 건설하지 않고서도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시 제 2부하에 충분한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S108 단계에서 배터리(120)의 충전 잔량이 3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인버터의 출력을 차단시키고, 제 3 스위치를 온 시켜서 제 3부하에 다시 상용전원을 공급하게 한다(S109, S111).
최대수요전력시간대가 경과하면, 제5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제3 스위치를 온시켜 제3 부하(40-3)의 전력을 다시 상용 교류전원으로 교체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S110, S11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제어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감시부(102)가 정전을 감지하면, 제어부(110)가 인버터(130)를 구동시킨 후 자동전력 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제2 부하(40-2)에 UPS전원을 계속 공급하고, 정전복구가 되면 모든 부하에 다시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한다(S201~S20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수동조작부(116)를 조작하여 수동모드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부하에 상용 교류전원이나 UPS전원을 공급한다(S301,S302).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체 환경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의 동작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의 정전시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의 수동조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제1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전력 공급 계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제2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전력 공급 계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제3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전력 공급 계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제4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전력 공급 계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제5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전력 공급 계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 시스템이 제6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전력 공급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용전원 20: 전력회사
30: 다른 전력원 40-1,40-2,40-3: 부하
50: 전력량계 102: 정전감시부
104: 통신부 106: 수동조작부
108: 표시부 110: 제어부
120: 배터리&충전기 130: 인버터
140: 자동 전력 스위칭부

Claims (7)

  1. 전력 수용가의 부하를 상용전원을 직접 사용하고 정전시에는 중단해도 되는 제1 부하와, 정전시에도 전원을 계속 공급할 제2 부하, 최대수요전력이 되면 무정전(UPS) 전원을 공급할 제3 부하로 구분하여 해당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상용 교류전원을 감시하여 정전을 감지하는 정전감시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한 후 제어에 따라 심야시간대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부하에 상용전원이나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나 다른 전력원의 전력을 공급하는 자동 전력 스위칭부; 및
    심야시간대, 최대수요전력시간대, 최대수요전력량 등을 설정하고, 상기 정전감시부를 통해 정전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다른 전력원의 상태를 입력받아 동작모드를 판별한 후 상기 자동 전력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력 스위칭부는 제1 내지 제5 전력스위치로 구 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용전원이 정상인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력스위치와 제 6 전력 스위치를 온시키고 제 5, 제 6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켜 제1부하 내지 제3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고,
    상용전원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 1, 제 2 전력스위치와 제 4, 제6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제 3, 제 5 전력 스위치를 온시켜 제2 부하에만 배터리의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공급하고,
    다른 전력원을 연결한 경우, 상기 제 1, 제 2 전력스위치와 제 4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제 3, 제 5, 제 6 전력 스위치를 온시켜 제2부하에만 다른 전력원을 인버터를 통해 공급하고,
    다른 전력원의 용량에 따라 상기 제 3, 제 5, 제 6 전력스위치를 온시키고 제 1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키며, 다른 전력원의 용량에 따라 제2 스위치와 제4 스위치를 온 혹은 오프시켜 제2 부하에는 다른 전력원을 인버터를 통해 필수적으로 공급하고, 제1부하와 제3부하와 배터리 충전은 다른 전력원의 용량에 따라 용량에 여유가 있을 경우에 공급하고,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최대전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 제 2 전력스위치와 제 4, 제 5 전력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 3, 제 6 전력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제1 부하와 제2 부하에는 상용전원을 공급하고, 제3 부하에는 배터리의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공급하며,
    상용전원의 소모가 적은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5 전력 스위치를 온시키고, 제 6 전력 스위치만을 오프시켜 상기 제1 부하 내지 제3부하에 상용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를 상용전원으로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은
    제어에 따라 전력회사 및 전력량계와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와,
    제어에 따라 장비의 현상태 정보와 상기 통신부를 거쳐서 입력된 전력사용자료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력회사와 통신하여 심야시간대, 최대수요전력시간대, 최대수요전력량 등을 설정하고, 상기 전력량계와 통신하여 순시전압, 순시전류, 순시전력, 현재 수요전력 등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자료 정보는 순시전압, 순시전류, 순시전력, 수요전력, 최대수요전력이고,
    상기 현상태 정보는 현재시간, 정전, 충전, 인버터구동, 자동전력 스위칭부의 구동, 충/방전상태, 충전전압, 충전전력, 방전시 사용 가능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피에스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자동제어 대신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수동 조작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UPS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력원은
    태양광 전지나 소형 엔진발전기, 풍력발전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할 때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30% 보다 적게 되면 정전 시 제2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부하3의 구동을 자동으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KR1020070101970A 2007-10-10 2007-10-10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KR10094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70A KR100947038B1 (ko) 2007-10-10 2007-10-10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70A KR100947038B1 (ko) 2007-10-10 2007-10-10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751A true KR20090036751A (ko) 2009-04-15
KR100947038B1 KR100947038B1 (ko) 2010-03-23

Family

ID=4076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970A KR100947038B1 (ko) 2007-10-10 2007-10-10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3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327B1 (ko) * 2010-06-09 2012-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2065538A (ja) * 2010-09-16 2012-03-29 Samsung Sdi Co Ltd 電力貯蔵システム
KR101288723B1 (ko) * 2012-03-12 2013-07-23 고병희 에너지 저장 및 공급 시스템
KR101319257B1 (ko) * 2013-05-10 2013-10-17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다기능 무정전 전원공급 시스템
WO2014017713A1 (ko) * 2012-07-24 2014-01-30 주식회사 포스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KR101475915B1 (ko) * 2012-05-31 201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정전 발생시 에너지의 우선 공급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에너지 관리 방법
KR101480770B1 (ko) * 2012-11-16 2015-01-13 전자부품연구원 무정전 비상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0379A (ko) * 2013-09-12 2015-03-20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저장 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1648804B1 (ko) * 2016-03-23 2016-08-17 동도전력 주식회사 복수 개의 배터리 시스템이 분산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90100373A (ko) * 2017-01-04 2019-08-28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무정전 전원 시스템 및 무정전 전원 장치
KR20200072961A (ko) * 2015-05-28 2020-06-23 한성에스앤아이 주식회사 무정전 전력공급장치 및 방법
KR102162246B1 (ko) * 2020-05-12 2020-10-06 한화시스템(주)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정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2020533931A (ja) * 2017-09-12 2020-11-19 エスエムエイ ソーラー テクノロジー アクテ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SMA Solar Technology AG H5トポロジー構造を有するインバータ装置用の制御処理方法
CN112117825A (zh) * 2019-06-20 2020-12-22 施耐德电气It公司 不间断电源系统及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12638700A (zh) * 2020-04-15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放电切换装置、方法及双向充电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0B1 (ko) * 2011-07-20 2013-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215396B1 (ko) * 2011-11-01 2012-12-26 정수만 방전전류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그리드 무정전전원장치
KR101418181B1 (ko) 2012-12-21 2014-07-09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41128B1 (ko) * 2015-08-19 2017-05-30 주식회사 그랜드 태양광 발전전력을 이용한 분산 피크제어 및 비상전원 분산 공급시스템
KR101738064B1 (ko) * 2015-08-19 2017-05-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력 조절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183993B1 (ko) 2016-09-23 2020-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283A (ja) * 1991-11-28 1993-06-25 Nec Corp Cvcf電源装置
JP2003092844A (ja) * 2001-09-20 2003-03-28 Fujitsu General Ltd 自家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
JP2005185070A (ja) 2003-12-24 2005-07-07 Aichi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ーの給電制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327B1 (ko) * 2010-06-09 2012-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2065538A (ja) * 2010-09-16 2012-03-29 Samsung Sdi Co Ltd 電力貯蔵システム
US8872380B2 (en) 2010-09-16 2014-10-28 Samsung Sdi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KR101288723B1 (ko) * 2012-03-12 2013-07-23 고병희 에너지 저장 및 공급 시스템
KR101475915B1 (ko) * 2012-05-31 201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정전 발생시 에너지의 우선 공급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에너지 관리 방법
US9837854B2 (en) 2012-07-24 2017-12-05 Posco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WO2014017713A1 (ko) * 2012-07-24 2014-01-30 주식회사 포스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KR101480770B1 (ko) * 2012-11-16 2015-01-13 전자부품연구원 무정전 비상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319257B1 (ko) * 2013-05-10 2013-10-17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다기능 무정전 전원공급 시스템
KR20150030379A (ko) * 2013-09-12 2015-03-20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저장 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200072961A (ko) * 2015-05-28 2020-06-23 한성에스앤아이 주식회사 무정전 전력공급장치 및 방법
KR101648804B1 (ko) * 2016-03-23 2016-08-17 동도전력 주식회사 복수 개의 배터리 시스템이 분산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90100373A (ko) * 2017-01-04 2019-08-28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무정전 전원 시스템 및 무정전 전원 장치
JP2020533931A (ja) * 2017-09-12 2020-11-19 エスエムエイ ソーラー テクノロジー アクテ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SMA Solar Technology AG H5トポロジー構造を有するインバータ装置用の制御処理方法
US11451165B2 (en) * 2017-09-12 2022-09-20 Sma Solar Technology Ag Control processing method for inverter device having H5 topological structure
CN112117825A (zh) * 2019-06-20 2020-12-22 施耐德电气It公司 不间断电源系统及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US11223228B2 (en) 2019-06-20 2022-01-11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Artificially intellige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N112638700A (zh) * 2020-04-15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放电切换装置、方法及双向充电系统
KR102162246B1 (ko) * 2020-05-12 2020-10-06 한화시스템(주)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정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038B1 (ko) 201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38B1 (ko) 최대수요전력 제한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유피에스시스템
US10536008B2 (en)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torage systems control method
EP2701264B1 (en)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EP247986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upply to devices
US20120185107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264142B1 (ko) 가정과 마이크로그리드에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시스템
US20130093242A1 (en) Smart power supply system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during device standby
EP1925886B1 (en) Storage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storage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CN103606944B (zh) 一种通信机房智能供电系统
JP2001008385A (ja) 電力貯蔵システム
JP2006320099A (ja) 電力貯蔵システム
CN102738844A (zh) 在线互动式电源控制系统
JP2000295784A (ja) 電力貯蔵システム
CN111817342B (zh) 一种太阳能供电的智能家居系统
KR20200032293A (ko) 단말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가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201177349Y (zh) 空调控制器及空调系统
CN101749835A (zh) 具有辅助控制芯片的利用太阳能电池的空调控制器及其空调系统
CN107732332B (zh) 一种电信基站电池休眠与空调协同控制方法及系统
CN113659671A (zh) 一种能量转换管理系统及方法
CN113691006A (zh) 一种智能分配电能的光伏储能逆变器
CN113036901A (zh) 智能配电系统
JP2001069668A (ja) 電力管理装置
CN112467869A (zh) 供电系统及供电方法
JP201604682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676229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