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398A -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398A
KR20090036398A KR1020070101572A KR20070101572A KR20090036398A KR 20090036398 A KR20090036398 A KR 20090036398A KR 1020070101572 A KR1020070101572 A KR 1020070101572A KR 20070101572 A KR20070101572 A KR 20070101572A KR 20090036398 A KR20090036398 A KR 2009003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al effect
image
viewfinder
ligh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이종환
박수진
양경동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6398A/ko
Priority to CNA2008101303449A priority patent/CN101409786A/zh
Priority to US12/284,641 priority patent/US20090091640A1/en
Publication of KR2009003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과,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와, 사용자가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을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뷰파인더와, 뷰파인더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뷰파인더에 표시될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특수효과 유닛과, 광전변환소자와 특수효과 유닛에 연결되어 미리 선택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 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Digital camera with a view finder and image displaying method on the view finder and photographing method with the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뷰파인더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특수효과 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특수효과특수효과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 작업을 수행할 때 뷰파인더를 통해 특수효과특수효과 처리될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 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종래의 필름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복잡한 필름인화작업 없이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쉽게 편집, 가공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필름 카메라를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할 때에 피사체를 확인하며 구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광학적 뷰파인더(optical view finder)가 구비된다. 뷰파인더는 렌즈 유닛에 의해 카메라 내부로 유입된 피사체의 영상광을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하므로, 사용자는 뷰파인더를 통해 촬영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의 실제 색채 그대로를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서 널리 이용되는 기능 가운데 영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여 촬영하는 기능이 있다. 특수효과에는 흑백 모드, 세피아 모드, 사용자 지정 모드, 광원에 따른 색재현 모드(형광등, 흐림, 태양광, 백열등) 등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또는 촬영 상황에 따라 원하는 특수효과를 선택하여 촬영을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방식으로 특수효과의 처리가 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광학적 뷰파인더가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 작업을 행하는 사용자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그대로 전달하는 뷰파인더를 통해 피사체를 관찰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가 특수효과 촬영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촬영되는 화상에 어떠한 특수효과 처리가 이루어질지 정확히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수효과 촬영 기능을 사용해 본 경험이 없는 사용자라면 디지털 카메라의 특수효과 설정 메뉴에 표시되는 각각의 모드의 명칭이나 설명서를 통해서 특수효과의 내용을 예측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특수효과 촬영 기능을 경험한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현재 뷰파인더를 통해 관찰할 수 있는 피사체의 영상이 선택된 특수효과 에 의해 어떤 영상으로 변환될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수효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을 했을 때에는, 이미 촬영이 끝난 뒤 저장된 영상을 통해 특수효과의 결과를 확인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사용자가 반복적인 시행 착오를 여러 번 겪어 특수효과의 내용을 경험적으로 체득한 후에야 이를 기초로 특수효과를 적절히 선택하여 촬영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특수효과 촬영 기능과 관련하여 사용과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적 뷰파인더와 특수효과 촬영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특수효과 처리될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광을 변환할 수 있는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뷰파인더에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뷰파인더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특수효과 유닛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과,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와, 사용자가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을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뷰파인더와, 뷰파인더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뷰파인더에 표시될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특수효과 유닛과, 광전변환소자와 특수효과 유닛에 연결되어, 미리 선 택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뷰파인더에 표시될 화상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뷰파인더는, 렌즈 유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과, 거울에 의해 변경된 영상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스크린과, 초점 스크린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프리즘과, 프리즘으로부터 방출되는 영상광을 받아들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안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초점 스크린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접안 렌즈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뷰파인더의 광 경로를 차단하도록 위치하는 차단 위치와, 광 경로를 개방하도록 위치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유기전계발광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발광다이오드(LED)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수효과 유닛은, 특수효과 모드들의 적어도 일부의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필터들과, 미리 선택된 특수효과 모드에 따라 필터들을 선택하여 뷰파인더의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미리 선택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은, 특수효과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의 영상광을 수광하는 수광 단계와, 렌즈 유닛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뷰파인더로 향하도록 변경하는 광로 변경 단계와, 광로 변경 단계에 의해 광로가 변경된 영상광에 의해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에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뷰파인더 화상 변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변환 단계는 뷰파인더로 향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은, 특수효과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의 영상광을 수광하는 수광 단계와, 렌즈 유닛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뷰파인더로 향하도록 변경하고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뷰파인더로 향하는 광의 경로에 배치된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함으로써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을 변경하는 뷰파인더 표시 단계와, 영상광이 렌즈 유닛을 통과하며 결상된 화상을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영 단계와,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의 처리를 수행하는 특수효과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광을 변환할 수 있는 특수효과 유닛과 광학적 뷰파인더를 구비하므로, 사용자가 특수효과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 작업을 수행할 때 뷰파인더를 통해 특수효과 처리될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와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10)과,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20)와, 사용자가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뷰파인더(30)와,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특수효과 유닛(40)과, 특수효과 유닛(40)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2)의 전방에 설치되는 렌즈 유닛(10)은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렌즈 유닛(10)은 복수 개의 광학 렌즈들을 포함한다.
광전변환소자(20)는 렌즈 유닛(10)을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 치에 배치되어, 렌즈 유닛(10)에 의해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광전변환소자(20)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을 수행하는 중심적인 기능을 한다. 광전변환소자(20)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와 신호를 주고 받으며 동작한다.
뷰파인더(30; view finder)는 렌즈 유닛(10)을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작업을 실시하는 동안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뷰파인더(30)는, 렌즈 유닛(10)을 통과한 영상광이 진행하는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31)과, 거울(31)에 의해 변경된 영상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스크린(32)과, 초점 스크린(32)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프리즘(33)과, 프리즘(33)으로부터 방출되는 영상광을 받아들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안 렌즈(34)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리즘(33)은 5각형 프리즘(pentagonal prism)이며, 초점 스크린(32)을 통과한 영상광을 대략 직각의 방향으로 변경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2)의 후면에 배치되는 접안 렌즈(34)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특수효과 유닛(40)은 뷰파인더(30)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뷰파인더(30)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디지털 카메라에는 특수효과를 부여하여 촬영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또는 촬영 상황에 따라 원하는 특수효과를 선택하여 촬영을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방식으로 특수효과의 처리가 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40)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설정한 특수효과에 맞추어 뷰파인더(30)에 의해 사용자에 제공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변경하여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셔터 버튼을 조작하여 최종적으로 촬영 작업을 완료하기 전에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된 특수효과에 의해 화상이 어떻게 변환될지를 뷰파인더(30)를 통해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특수효과 유닛(40)은 초점 스크린(32)과 프리즘(33)의 사이에서 초점 스크린(32)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특수효과 유닛(40)은 초점 스크린(32)과 프리즘(33)의 사이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특수효과 유닛(40)은 초점 스크린(32)과 거울(31)의 사이에서 초점 스크린(3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특수효과 유닛(40)은 거울(31)로부터 전달되어 초점 스크린(32)을 통과한 영상광을 투과시켜 프리즘(33)으로 전달한다. 특수효과 유닛(40)은 제어부(5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선택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뷰파인더(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사체의 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40)은 뷰파인더(30)에 표시될 화상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하나 이상을 변경함으로써 뷰파인더(30)에 표시될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40)은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모듈일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40)은 별도의 광원을 구비하지 않고, 렌즈 유닛(10)과 거울(31)을 통해 전달된 피사체의 영상광이 광원이 될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40)은 피사체의 영상광을 주된 광원으로 하고, 피사체의 영상광을 보조하는 광원을 발생시키는 보조 광 원(백라이트)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수효과 유닛(40)은 반드시 엘씨디 모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제어부(50)에 의해 구동되어 원하는 색상, 명도, 또는 채도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한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효과 유닛(40)은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수단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2)에 내장되는 제어부(50)는, 광전변환소자(20) 및 특수효과 유닛(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 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화상 처리부(51)와, CPU(52)와, 특수효과 유닛 구동부(53)와, 메모리 제어부(54)를 포함한다.
광전변환소자(20)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전기적 신호인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50)의 화상 처리부(51)는 광전변환소자(20)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51)가 변환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부(54)를 통해 메모리(71)에 저장될 수 있다.
화상 처리부(51)는 특수효과부(55)를 포함하는데, 특수효과부(55)는 사용자가 조작 메뉴를 직접 조작하여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하거나 디지털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설정한 특수효과 모드에 따라 화상 데이터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용되는 특수효과에는 흑백 모드, 세피아 모드, 사용자 지정 모드, 광원에 따른 색재현 모드(형광등, 흐림, 태양광, 백열등) 등이 있다. 특수효과 유닛(40)인 엘씨디 모듈은 제어부(50)의 특수효과 유닛 구동부(53)에 의해 구동되어 화상을 변경함으로써, 뷰파인더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에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특수효과 유닛(40)이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피사체의 화상의 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여 뷰파인더(30)로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된 특수효과 모드에 따라 촬영이 수행되어 특수효과부(55)에서 처리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뷰파인더(30)를 통해 동일한 특수효과의 처리가 수행된 화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화상을 표시 방법도 함께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은, 특수효과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S100)와,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의 영상광을 수광하는 수광 단계(S110)와, 뷰파인더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로 변경 단계(S120)와,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화상 변환 단계(S140)와,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영 단계(S150)와,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특수효과 단계(S160)를 포함한다.
모드 설정 단계(S100)는 특수효과 촬영을 실시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에 특수효과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모드 설정 단계(S100)에서는, 흑백 모드, 세피아 모드, 사용자 지정 모드, 광원에 따른 색재현 모드(형광등, 흐림, 태양광, 백열등) 등의 특수효과 모드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메뉴를 조정하여 특수효과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촬영 환경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그에 맞는 모드를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광 단계(S110)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렌즈 유닛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 내부로 수광하는 단계이다. 렌즈 유닛은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킬 수 있다. 렌즈 유닛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로 입사된 영상광은 디지털 카메라의 광전변환소자로 결상되거나, 뷰파인더로 제공될 수 있다.
광로 변경 단계(S120)는 렌즈 유닛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뷰파인더로 향하도록 변경하는 단계이다.
제어부는 특수효과 모드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작업과, 촬영 작업을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모드 설정 단계(S100)에서 특수효과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는 화상 변환 단계 및 뷰파인더 표시 단계(S140)와, 특수효과 단계(S160)를 수행할 수 있다.
화상 변환 단계 및 뷰파인더 표시 단계(S140)는, 모드 설정 단계(S100)에서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화상 변환 단계는 뷰파인더로 향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 특수효과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드 설정 단계(S100)에서 특수효과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는 뷰파인더로 향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함으로써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은 뷰파인더에 표시될 화상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하나 이상을 변경함으로써 특수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은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에 맞추어 뷰파인더에 의해 사용자에 제공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특수효과 유닛은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하나 이상을 변경함으로써, 뷰파인더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에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셔터 버튼을 조작하여 최종적으로 촬영 작업을 완료하기 전에 뷰파인더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된 특수효과에 의해 화상이 어떻게 변환될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은 엘씨디 모듈일 수 있다. 특수효과 유닛이 엘씨디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별도의 광원을 구비하지 않고, 렌즈 유닛과 거울을 통해 전달된 피사체의 영상광이 광원이 될 수 있다. 또는 특수효과 유닛은, 예를 들어,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표시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작동시키거나,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적인 작동에 의해 촬영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촬영 단계(S160)는 영상광이 렌즈 유닛을 통과하며 결상된 화상을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촬영 단계(S160)의 이후에는 특수효과 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특수효과 단계(S160)는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특수효과 유닛이 미리 설정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피사체의 화상의 상을 변환하여 뷰파인더로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된 특수효과 모드에 따라 촬영이 수행되어 특수효과부에서 처리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뷰파인더를 통해 촬영된 화상에 대하여 이루어질 특수효과와 동일한 특수효과 처리가 수행된 화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특수효과 단계(S160)에서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의 처리가 됨으로써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S190).
모드 설정 단계(S100)에서 특수효과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화상 변환 단계와 특수효과 단계를 생략하고, 뷰파인더 표시 단계(S170)와, 촬영 단계(S180)를 수행할 수 있다.
뷰파인더 표시 단계(S170)에서는 뷰파인더로 향하는 광에 대한 특수효과의 처리가 수행되지 않고, 자연색 그대로의 피사체의 화상이 뷰파인더에 제공된다.
또한 촬영 단계(S180)의 이후에는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의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촬영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가 그대로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S19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10)과,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20)와, 사용자가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10)을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뷰파인더(30)와, 뷰파인더(30)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화상을 변환하는 특수효과 유닛(140)과, 특수효과 유닛(140)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특수효과 유닛(140)은 뷰파인더(30)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지만,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와는 달리 설치되는 위치가 변경되었다. 특수효과 유닛(140)은 접안 렌즈(34)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렌즈 유닛(10)에 입사된 영상광은 거울(31)에 의해 광의 경로가 변경되고, 초점 스크린(32)과, 프리즘(33)을 지나 접안 렌즈(34)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사체의 화상이 제공된다.
특수효과 유닛(140)은 제어부(50)에 연결되며, 제어부(50)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선택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대응하여 구동됨으로써 프리즘(33)을 통과한 영상광에 의한 화상에 대해 특수효과를 부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셔터 버튼을 조작하여 촬영 작업을 완료하기 전에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된 특수효과에 의해 화상이 어떻게 변환될지를 뷰파인더를 통해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10)과,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20)와, 사용자가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10)을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뷰파인더(30)와, 뷰파인더(30)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화상을 변환하는 특수효과 유닛(240)과, 특수효과 유닛(240)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특수효과 유닛(240)은 뷰파인더(30)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지만, 상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설치되는 위치가 변경되었다. 특수효과 유닛(240)은 거울(31)과 초점 스크린(32)의 사이에서 초점 스크린(32)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특수효과 유닛(240)은 회전축(241)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축(241)은 제어부(50)에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특수효과 유닛(240)은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뷰파인더(30)의 광의 경로를 차단하도록 위치하는 차단 위치(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됨)와, 광의 경로를 개방하도록 위치하는 개방 위치(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의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가 특수효과 찰영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수효과 유닛(240)의 회전축(241)을 구동하여 특수효과 유닛(240) 을 차단 위치로 스위칭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수효과 모드에 따라 특수효과 유닛(240)을 제어함으로써 뷰파인더(30)의 화상에 동일한 특수효과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특수효과 촬영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50)가 특수효과 유닛(240)의 회전축(241)을 구동하여 특수효과 유닛(240)을 개방 위치로 스위칭시킨다. 뷰파인더의 영상광은 원래의 상태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특수효과 처리가 되지 않은 자연 상태의 피사체의 화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특수효과 유닛(340)의 형태가 변형되었다. 특수효과 유닛(340)은 복수 개의 필터들(341, 342, 343)과, 필터들(341, 342, 343)을 뷰파인더의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구동 장치인 회전축(345)을 구비한다.
필터들(341, 342, 343)은 디지털 카메라의 특수효과 모들들에 대응하여 영상광의 색을 변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들(341, 342, 343)은 회전축(345, 346)에 감기거나 회전축(345, 346)으로부터 풀릴 수 있는 롤 형태의 필름(346)으로 설치된다. 회전축(345, 346)은 구동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 모터(미도시)가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면, 회전축(345, 346)이 회전하여 뷰파인더의 광이 지나는 경로 상에 필터들(341, 342, 343)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 로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는 회전축(345, 346)의 회전을 제어하여, 뷰파인더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들(341, 342, 343)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된 특수효과 모드에 대응하는 필터들(341, 342, 34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특수효과 유닛(440)의 형태가 변형되었다. 특수효과 유닛(440)은 복수 개의 필터들(441, 442, 443)과, 필터들(441, 442, 443)을 뷰파인더의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특수효과 유닛(440)의 구동 장치는 구동모터(445)와, 구동모터(445)의 회전축(446)에 결합되는 회전판(447)을 포함한다. 회전판(447)에는 필터들(441, 442, 443)이 배치된다. 구동모터(445)가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면 회전판(447)이 회전함으로써 필터들(441, 442, 443)의 어느 하나가 뷰파인더의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뷰파인더의 광의 경로가 거울(31)에 의해 변경되어 초점 스크린(32)을 통해 필터(443)를 통과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어부는 구동모터(445)를 구동하여 회전판(447)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여 뷰파인더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들(441, 442, 443)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에 설정된 특수효과 모드에 대응하는 필터들(441, 442, 443)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부와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거울 50: 제어부
20: 광전변환소자 32: 초점 스크린
445: 구동모터 55: 특수효과부
10: 렌즈 유닛 33: 프리즘
54: 메모리 제어부 346: 필름
71: 메모리 34: 접안 렌즈
2: 본체 51: 화상 처리부
30: 뷰파인더 241, 345, 346, 446: 회전축
53: 특수효과 유닛 구동부 447: 회전판
40, 140, 240, 340, 440: 특수효과 유닛 52: CPU
341, 342, 343, 441, 442, 443: 필터들

Claims (19)

  1.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
    결상된 상기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
    사용자가 상기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유닛을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뷰파인더;
    상기 뷰파인더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뷰파인더에 표시될 화상에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특수효과 유닛; 및
    상기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특수효과 유닛에 연결되어, 미리 선택된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상기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상기 뷰파인더에 표시될 상기 화상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디지털 카메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는, 상기 렌즈 유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
    상기 거울에 의해 변경된 영상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스크린;
    상기 초점 스크린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프리즘; 및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방출되는 영상광을 받아들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안 렌즈;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상기 초점 스크린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디지털 카메라.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상기 접안 렌즈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디지털 카메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뷰파인더의 광 경로를 차단하도록 위치하는 차단 위치와, 광 경로를 개방하도록 위치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모듈인, 디지털 카메라.
  8.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유기전계발광장치인, 디지털 카메라.
  9.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발광다이오드(LED) 표시장치인, 디지털 카메라.
  10.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상기 특수효과의 모드들의 적어도 일부의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필터들과, 미리 선택된 상기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상기 필터들을 선택하여 상기 뷰파인더의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11.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선택된 상기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상기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의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12. 특수효과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의 영상광을 수광하는 수광 단계;
    상기 렌즈 유닛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뷰파인더로 향하도록 변경하는 광 로 변경 단계; 및
    상기 광로 변경 단계에 의해 광로가 변경된 영상광에 의해 상기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에,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특수효과를 부여하는, 뷰파인더 화상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 화상 변환 단계는 상기 뷰파인더로 향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하여 수행되는,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상기 화상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모듈인,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
  16.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유기전계발광장치인,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
  17.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발광다이오드(LED) 표시장치인,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
  18. 특수효과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의 영상광을 수광하는 수광 단계;
    상기 렌즈 유닛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뷰파인더로 향하도록 변경하고,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상기 뷰파인더로 향하는 광의 경로에 배치된 특수효과 유닛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뷰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을 변경하는, 뷰파인더 표시 단계;
    영상광이 상기 렌즈 유닛을 통과하며 결상된 화상을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영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상기 특수효과의 모드에 따라 상기 광전변환소자의 전기적 신호에 특수효과의 처리를 수행하는 특수효과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효과 유닛은, 상기 뷰 파인더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의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뷰파인더의 화상 표시 방법.
KR1020070101572A 2007-10-09 2007-10-09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KR20090036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572A KR20090036398A (ko) 2007-10-09 2007-10-09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CNA2008101303449A CN101409786A (zh) 2007-10-09 2008-07-11 数码相机、图像显示方法和使用数码相机的拍摄方法
US12/284,641 US20090091640A1 (en) 2007-10-09 2008-09-24 Digital camera with special effect viewfinder, image displaying method on the viewfinder, and photographing method with the digita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572A KR20090036398A (ko) 2007-10-09 2007-10-09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98A true KR20090036398A (ko) 2009-04-14

Family

ID=4052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572A KR20090036398A (ko) 2007-10-09 2007-10-09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91640A1 (ko)
KR (1) KR20090036398A (ko)
CN (1) CN1014097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670A (ja) * 2009-07-30 2011-02-17 Sony Corp 光学ファインダ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5606755B2 (ja) * 2010-03-04 2014-10-1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2244716B (zh) * 2010-05-13 2015-01-21 奥林巴斯映像株式会社 摄像装置
JP5709545B2 (ja) * 2011-01-18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TWI455578B (zh) * 2011-02-08 2014-10-01 Alpha Networks Inc 監控攝影機及其操作方法
TWI615597B (zh) * 2017-01-20 2018-02-21 瑞柯科技股份有限公司 測距裝置以及測距方法
CN110933269B (zh) * 2019-11-12 2021-11-23 武汉联一合立技术有限公司 一种相机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634A (ja) * 1994-12-13 1996-06-25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スーパーインポーズ表示装置
EP0817476A3 (en) * 1996-07-01 1998-05-13 Sun Microsystems, Inc. Advanced electronic still image viewfinders
JP2001177761A (ja) * 1999-12-15 2001-06-29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7224395B2 (en) * 2001-03-01 2007-05-29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having a shutter to cut reverse-incident light from the eyepiece lens
WO2005022238A1 (ja) * 2003-09-01 2005-03-10 Nikon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およびカメラ
JP5144006B2 (ja) * 2005-07-25 2013-02-13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表示スクリーンを備える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9786A (zh) 2009-04-15
US20090091640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275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photographing and camera
KR20090036398A (ko)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뷰파인더에서의화상 표시 방법과,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JP2006345172A (ja) ファインダ装置及びカメラ
US8908068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unit to form composite image
JP4652998B2 (ja) 撮影装置
JP2008275732A (ja) 撮像装置
CN113395421B (zh) 图像处理设备、摄像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05229326A (ja) カメラ装置及びスルー画像表示方法
JP2011017827A (ja) フィルタ装置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撮影レンズおよび撮影装置
JP200824223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JP2006339902A (ja) ファインダ装置及びカメラ
US20040201771A1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method
US20090110387A1 (en) Imaging device
JP2009253372A (ja) 交換レンズ式デジタルカメラ、仮想撮影画像生成方法および仮想撮影画像表示方法
JP533388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153441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35648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撮像方法
JP2004159211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2016080740A (ja) 光学機器のファインダ装置
JP2012253797A (ja) カメラ装置及びスルー画像表示方法
JP2009141978A (ja) カメラ装置、スルー画像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470909B2 (ja)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JP2007049363A (ja) カメラ
JP4201634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617820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